[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39207Y1 - 내압 방폭 등기구에 사용되는 무전극 전구형 형광 램프전용 무전극전구 마운트 - Google Patents

내압 방폭 등기구에 사용되는 무전극 전구형 형광 램프전용 무전극전구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207Y1
KR200439207Y1 KR2020070016258U KR20070016258U KR200439207Y1 KR 200439207 Y1 KR200439207 Y1 KR 200439207Y1 KR 2020070016258 U KR2020070016258 U KR 2020070016258U KR 20070016258 U KR20070016258 U KR 20070016258U KR 200439207 Y1 KR200439207 Y1 KR 200439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less
mount
explosion
bulb
proo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철
Original Assignee
진영에너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영에너텍(주) filed Critical 진영에너텍(주)
Priority to KR2020070016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2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20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a separate microwave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8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using an excitation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0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electrodes in the vessel, e.g. surface discharge lamps, electrodeless discharge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내압 방폭 등기구에 무전극 전구형 형광램프(이하 “무전극전구”라 칭함)를 장착하기 위해 종래의 램프 베이스에 적합하게 적용되던 모갈과 모갈 고정 마운트를 대체하여 편평한 플랜지 타입의 베이스(이하 “플랜지 베이스”라 함) 구조에 적합하면서도 키트(Kit, 일체단순화)화하여 무전극 램프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의 단순성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무전극전구의 온도와 광효율간의 특성에 적합한 방/보열의 기능을 갖춘 무전극 전구형 형광 램프 전용 무전극전구 마운트를 내압 방폭 등기구에 사용함으로써 고효율 장수명의 무전극전구를 적용한 최적의 내압방폭 조명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무전극전구 마운트는 외관상 소정크기의 봉형 또는 원통형 볼트 형상이며, 그 편평한 일단면에 무전극전구의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무전극전구 케이블(동축케이블)을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는 케이블 통과구와 무전극전구의 장착을 위한 M4 볼트를 삽입 체결할 수 있는 2~4개의 램프 장착탭이 형성되고, 상기 2~4개의 램프 장착탭에 볼트를 사용하여 무전극전구의 플랜지 베이스의 단면(무전극전구의 하단면)을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의 일단면과 최대한 면접촉으로 밀착하여 장착하며,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의 외측 외주는 일정한 내압 및 방/보열 기능이 가능하도록 소정 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무전극전구를 장착한 무전극전구 마운트가 상기 내압방폭등기구 몸체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내압방폭등기구, 방열, 모갈, 무전극전구, 플랜지 베이스, 마운트

Description

내압 방폭 등기구에 사용되는 무전극 전구형 형광 램프 전용 무전극전구 마운트{Electrodeless electric bulb mount for electrodeless electric bulb-type fluorescent lamp used in pressure-resistant flameproof light}
본 고안은 내압 방폭 등기구에 사용되는 무전극 전구형 형광 램프 전용 무전극전구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산업용 내압방폭 등기구의 E-베이스(스크류 타입) 전용의 소위 “모갈”과 "모갈 고정 홀더(마운트)" 부분을 단순 일체부품(Kit)화함과 동시에 무전극전구의 구조적 특성과 방전물리적 특성에 적합하게 설계하여 제작한 무전극전구 마운트를 내압방폭 등기구에 적용함으로써, 위험 상황 발생시에 내압방폭 등기구의 램프실(램프를 실장하여 발광하는 내부)의 특정 폭발 내압에도 견딜 수 있고, 플랜지 베이스 타입의 무전극전구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폐된 램프실 공간에서 무전극전구의 점등에 따른 램프 발열량의 증가를 억제함과 동시에 일정한 점등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무전극전구의 점등 온도 특성에 적합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춘 내압방폭 등기구의 일 부품인 무전극 전구형 형광램프 전용 무전극전구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압방폭 등기구는 위험지역 예를 들면 정유 공장, 석유화학제품 공장, 산업 위험군 가스류 취급소 등의 작고 경미한 화원(火原)으로부터 쉽게 착화 및 폭발할 수 있는 장소에 사용되는 등기구로서, 만일 조명기기 즉, 조명설비 혹은 조명장치에 외적인 물리적인 영향 혹은 내부의 물리적, 전기적 이상으로 인하여 내부 폭발 및 불꽃이 발생하더도 그 영향이 외부에 도달 및 전달되지 않도록 내압 밀폐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내압방폭 등기구에 무전극전구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무전극전구를 탈/부착하고자 하는 마운트는 내압방폭 등기구의 기능상 일정 폭발 내압을 견디면서, 동시에 절연과 내습성을 갖추어야 하고, 무전극전구를 용이하게 탈/부착 작업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밀폐된 램프실 내에서의 점등 및 동작으로 인하여 발광 효율을 저해할 수 있는 램프의 뜨거운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종래의 내압방폭 등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램프를 장착하기 위해 소위 E-베이스(나선 모양)를 수용할 수 있는 소위 모갈(5)(소켓 역할) 및 모갈 고정 홀더(마운트)(4)라는 것을 필요로 하지만, 무전극전구는 플랜지 타입의 베이스 구조를 갖기 때문에 기존의 내압방폭 등기구의 모갈(5)과 모갈 고정 홀더(마운트)(4)를 무전극전구의 장착을 위하여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단순하게 모갈만을 대체하여 종래의 모갈 고정 마운트(홀더)에 직접 무전극전구를 장착할 경우 방열 문제가 발생하여 점등 및 동작 불가 혹은 광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설령, 상기의 두 가지 문제, 즉 용이한 탈/부착 및 방열을 위하여 본 고안과 유사한 아이디어를 유추하거나 제작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무전극전구의 방전 물리학적인 특성상 최적의 점등/동작 온도를 유지하게 하는 데에는 다각적인 전문 기술과 수 차례의 실험을 요하게 한다.
그리고, 무전극전구를 장착 사용하고자 하거나, 혹은 무전극전구 전용의 내압방폭 등기구를 설계 제작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램프 베이스에 적합하게 적용되던 모갈과 모갈 고정 마운트(혹은 모갈 장착 부품)을 대신하여 무전극전구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야 하며, 동시에 무전극전구의 전기적 및 방전 물리에 기초한 무전극전구의 온도와 광효율간의 특성에 적합한 점등/동작 온도 대역을 유지하여 하며, 내압방폭 등기구의 구성품으로써의 본래의 기능인 램프실의 내압, 밀폐, 절연, 내습성, 내열성, 내충격성 등의 전기적 및 물리적 기능에 부족하거나 열등한 기능상의 저하가 없어야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종래의 산업용 내압방폭 등기구를 거의 그대로 활용하되, 종래의 산업용 내압방폭 등기구의 E-베이스 전용의 소위 모갈과 모갈 고정 홀더(마운트) 부분을 단순일체부품(Kit)화함과 동시에 무전극전구의 구조적 특성과 방전물리적 특성에 적합하게 설계하여 제작한 무전극전구 마운트를 내압방폭 등기구에 적용함으로써, 위험 상황 발생시에 내압방폭 등기구의 램프실(램프를 실장하여 발광하는 내부)의 특정 폭발 내압에도 견딜 수 있고, 플랜지 베이스 타입의 무전극전구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폐된 램프실 공간에서 무전극전구의 점등에 따른 램프 발열량의 증가를 억제함과 동시에 일정한 점등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무전극전구의 점등 온도 특성에 적합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춘 내압방폭 등기구의 일 부품인 무전극 전구형 형광램프 전용 무전극전구 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내압 방폭 등기구에 사용되는 무전극 전구형 형광 램프 전용 무전극전구 마운트는 중심부를 관통함과 아울러 내주면에 암나사 탭이 형성된 마운트 접속구(150)를 구비하는 내압 방폭 등기구 몸체(90)와, 상기 내압 방폭 등기구 몸체(90)의 선단측과 결합하여 램프실을 밀폐시키는 글로브(60)를 포함하는 내압 방폭등 기구에 사용되며; 상기 내압 방폭 등기구 몸체(90)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결합되고 무전극 전구(100)를 고정 지지하는 무전극전구 마운트(30)로서,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는 편평한 일단면에 무전극전구 케이블(160)을 통과시키는 케이블 통과구(80) 및 무전극 전구(100)의 고정을 위한 볼트가 삽입 통과하는 다수의 램프 장착탭(120)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램프 장착탭(120)에 볼트를 삽입 결합하여 무전극 전구(100)의 하단면(무전극전구의 플랜지 베이스의 단면)을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의 일단면과 면접촉으로 최대한 밀착시켜 고정 지지한다.
또한,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의 외주는 소정 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가 상기 내압 방폭 등기구 몸체(90)의 마운트 접속구(150)에 나사결합될 수 있음과 아울러 내압 및 방/보열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 또는 테이퍼형의 봉재를 기계 가공하거나 주물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는 상기 내압 방폭 등기구 몸체(90)의 마운트 접속구(150)에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의 일단면은 밀폐와 절연을 위하여 콤파운드 실링이 실시되어 콤파운드 실링층(190)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통과구(80)에 무전극전구 케이블(160)이 관통한 후 상기 케이블 통과구(80)가 상기 콤파운드 실링에 의해 확실히 밀폐되도록 상기 케이블 통과구(80)의 상단 외주연에 콤파운드 홀(17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의 타단면 외주연에는 내압 밀폐를 위한 잠김 보조홈(180)이 2 내지 4개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무전극전구 마운트에 의하면, 종래의 내압방폭 등기구용 모갈과 모갈 고정 마운트(혹은 모갈 장착 부품)부분을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단순(:Kit)화시킴과 동시에 무전극전구의 베이스 특성에 맞게 설계 제작한 무전극전구 마운트를 내압방폭 등기구에 적용함으로써, 무전극전구의 조립이 용이하고, 전기적 광학적으로 최적인 방/보열 성능을 구비한 우수한 고효율 장수명의 내압방폭 등기구 혹은 내압방폭 조명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역학적 기계적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래의 모갈과 모갈 고정 마운트(혹은 모갈 고정 홀더) 부분을 무전극전구 마운트의 1부품으로 일체 단순화시킴으로써 등기구의 부품수를 절감시킬 수 있다.
둘째, 볼트에 의해 무전극전구 베이스 하단면의 플랜지 형상과 유사하면서도 편평한 무전극전구 마운트의 일단면과 최대한 밀착시켜 장착함으로써 두 금속 단면이 면접촉화에 의하여 열전도도를 최대화할 수 있다.
셋째, 무전극전구는 무전극전구 마운트에 오른 나사방식에 의한 볼트 장착식 임으로 램프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무전극전구 마운트도 내압방폭 등기구 몸체에 오른 나사방식으로 체결 밀착됨으로써 이 작업 또한 용이한 장점이 있다.
넷째, 무전극전구 마운트를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 구성함으로써 전열, 내압 특성 뿐만아니라 다이캐스팅 성형 및 기계가공성 등의 장점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내압 방폭 등기구에 사용되는 무전극 전구형 형광 램프 전용 무전극전구 마운트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종래의 내압방폭 등기구에 사용되는 모갈과 모갈 고정 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갈(5)과 모갈 고정 홀더(4)가 금속 볼트를 통해 결합되어진다. 이와 같이, 모갈과 모갈 고정 홀더를 사용한 종래 방식에 따르면, 내부 램프(:광원)에 의하여 발생한 열이 글로브를 통하여 빛과 함께 방열되거나 알루미늄 소재로 성형된 내압방폭 등기구의 몸체를 통해 방열이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극히 일부이며, 만약 무전극전구일 경우 내부의 발열에 의하여 광효율 및 점등/동작이 저조하거나 불가할 수 있다.
도2는 종래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무전극전구(100)를 적용하기에 적합한 본 고안에 따른 무전극전구 마운트(30)를 구비한 내압방폭 등기구의 전체 조립도를 나타낸다.
위치박스(10)는 내압방폭 등기구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배치되어 접속 닛블(130) 등을 통해 내압방폭 등기구와 연결됨으로써 내압방폭 등기구를 필요한 설정장소에 위치시키고, 무전극전구(100)에 사용되는 케이블을 수납함과 동시에 통과시키는 역할과 함께 내압 특성에 적합하게 적용된다.
안정기 박스(20)는 무전극전구용 안정기를 수납하는 것으로서, 내압방폭 등기구의 특성상 안정기를 수납한 후 내부를 충전재로 완전히 채워 밀폐 공간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안정기 박스(20)는 위치 박스(10)의 측방에 설치되지만, 위치 박스(10)와 안정기 박스(20)의 배치는 이것에 제한되지 않고, 내압방폭 등기구의 상측에 안정기 박스(20)를 바로 설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무전극전구 마운트(30)를 구비한 내압방폭 등기구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물 성형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내압방폭 등기구 몸체(90)와, 상기 내압방폭 등기구 몸체(90)의 선단측과 결합하여 램프실(무전극전구를 실장하여 발광하는 내부)을 밀폐시키는 내압/내열성 유리재질의 글로브(60)와, 상기 내압방폭 등기구 몸체(90)에 무전극전구(100)와 함께 혹은 개별로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무전극전구(100)를 고정 지지하는 무전극전구 마운트(3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내압방폭 등기구 몸체(90)은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 다수 개의 반사갓 고정구(140)이 형성되어 있어, 무전극전 구(100)가 중심부를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개구부를 가진 반사갓(40)이 볼트를 통해 상기 내압방푹 등기구 몸체(90)의 내측에 부착된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압방폭 등기구 몸체(90)은 그 중심부를 관통함과 아울러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마운트 접속구(150)를 구비하여 후술하는 무전극전구 마운트(30)가 나사결합되게 된다. 본 고안의 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의 설명으로서, 상기 내압방폭 등기구 몸체(90)는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를 오른 나사방식으로 아래에서 위로 또는 위에서 아래로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암나사 탭을 낸 마운트 접속구(150)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반사갓(40)의 재질은 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글로브(60)를 보호하기 위해 글로브(60)의 외주 둘레에 가드(:Guard,안전망)(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무전극전구 마운트(30)의 상평면도, 도3b는 정면도, 도3c는 하평면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무전극전구 마운트(30)는 금속성 재질의 원통 형상이며, 무전극전구의 사양에 따라 사이즈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는 편평한 일단면에 무전극전구(100)의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무전극전구 케이블(동축케이블)(160)을 통과시키는 케이블 통과구(80)와, 무전극전구(100)의 고정을 위한 볼트(일 실시예로서, M4 볼트)가 삽입 통과하여 각각의 평탄면의 밀착시키는 램프 장착탭(120)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3a를 참조하여 다시 상술하면, 무전극전 구(100)의 장착을 위한 M4 볼트를 오른 나사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는 2~4개의 램프 장착탭(120)(도3a에서는 4개가 형성됨)이 형성되고, 상기 2~4개의 램프 장착탭(120)에 볼트를 사용하여 무전극전구(100)의 플랜지 베이스 단면(무전극전구의 하단면)을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의 일단면과 최대한 면접촉으로 밀착하여 장착시킨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무전극전구 마운트(30)를 구비한 내압방폭 등기구는 상기 4개의 램프 장착탭(120)에 볼트를 삽입 결합하여 무전극전구(100)의 하단면을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의 편평한 일단면과 면접촉으로 최대한 밀착시켜 무전극전구(100)를 고정 지지한다.
또한,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의 외주는 소정 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가 암나사식의 상기 내압방폭 등기구 몸체(90)의 마운트 접속구(150)에 오른 나사방식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내압방폭 등기구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소정의 갯수는 통상 7~10개로 설계 제작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무전극전구(100)의 열전달을 최적화시키기 위해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a 및 도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전구 마운트(30)의 상하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무전극전구 마운트(30)의 구조와 형상은 첨부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콤파운드 실링층이 형성된 무전극전구 마운 트에 무전극 전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의 일단면은 밀폐와 절연을 위하여 콤파운드 실링이 실시되어 콤파운드 실링층(190)이 형성된다. 상기 콤파운드 실링은 위험지역에 설치되는 모든 전기설비에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공지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콤파운드 실링층(190)이 형성됨으로써, 무전극전구(100)가 본 고안의 무전극전구 마운트(30)에 장착되는 내압방폭 등기구에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케이블 통과구(80)에 무전극전구 케이블(160)이 관통한 후 상기 케이블 통과구(80)가 상기 콤파운드 실링에 의해 확실히 밀폐되도록 상기 케이블 통과구(80)의 상단 외주연에 콤파운드 홀(170)이 형성된다.
상기 콤파운드홀(17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의 상측면의 케이블 통과구(80)의 외주연에 최적의 실링을 위한 최적의 부피로 오목홈 형태를 이룬다. 이 오목홈 형태의 콤파운드홀(170) 내에 콤파운드가 실링됨으로써 케이블 통과구(80)와 무전극전구 케이블(160) 사이를 확실히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의 타단면 외주연에는 내압 밀폐를 위한 잠김 보조홈(180)이 2 내지 4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무전극전구 마운트(30)에 잠김 보조홈(180)이 형성됨으로써, 무전극전구 마운트(30)를 내압방폭 등기구 몸체(90)의 마운트 접속구(150)에 나사 결합할 시 “―”자 드라이버 등을 사용하여 무전극전구 마운트(30)를 마운트 접속구(150)에 확실히 결합시켜 램프실내를 내압 밀폐 조건을 만족시키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 턱(200)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미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모갈과 모갈 고정 홀더를 장착한 종래의 내압 방폭 등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전극전구 마운트를 구비한 내압 방폭 등기구의 조립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전극전구 마운트의 (a)상평면도, (b)정면도, (c)하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무전극전구 마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무전극전구 마운트가 내압방폭 등기구 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콤파운드 실링층이 형성된 무전극전구 마운트에 무전극 전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위치박스 20 : 안정기 박스
30 : 무전극전구 마운트 40 : 반사갓
50 : 가드 60 : 글로브
70 : 커플링 80 : 케이블 통과구
90 : 내압방폭 등기구 몸체 100 : 무전극전구
110 : 커플링 접속부 120 : 램프 장착탭
130 : 접속 닛블 140 : 반사갓 고정구
150 : 마운트 접속구 160 : 무전극전구 케이블
170 : 콤파운드 홀 180 : 잠김 보조홈
190 : 콤파운드 실링층 200 : 마운트 턱

Claims (5)

  1. 중심부를 관통함과 아울러 내주면에 암나사 탭이 형성된 마운트 접속구(150)를 구비하는 내압 방폭 등기구 몸체(90)와, 상기 내압 방폭 등기구 몸체(90)의 선단측과 결합하여 램프실을 밀폐시키는 글로브(60)를 포함하는 내압 방폭등 기구에 사용되며; 상기 내압 방폭 등기구 몸체(90)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결합되고 무전극 전구(100)를 고정 지지하는 무전극전구 마운트(30)로서: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는 편평한 일단면에 무전극전구 케이블(160)을 통과시키는 케이블 통과구(80) 및 무전극 전구(100)의 고정을 위한 볼트가 삽입 통과하는 다수의 램프 장착탭(120)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램프 장착탭(120)에 볼트를 삽입 결합하여 무전극 전구(100)의 하단면을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의 일단면과 면접촉으로 최대한 밀착시켜 고정 지지하며,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의 외주는 소정 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가 상기 내압 방폭 등기구 몸체(90)의 마운트 접속구(150)에 나사결합될 수 있음과 아울러 내압 및 방/보열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의 일단면은 밀폐와 절연을 위하여 콤파운드 실링이 실시되어 콤파운드 실링층(190)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통과구(80)에 무전극전구 케이블(160)이 관통한 후 상기 케이블 통과구(80)가 상기 콤파운드 실링에 의해 확실히 밀폐되도록 상기 케이블 통과구(80)의 상단 외주연에 콤파운드 홀(17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의 타단면 외주연에는 내압 밀폐를 위한 잠김 보조홈(180)이 2 내지 4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 방폭 등기구에 사용되는 무전극 전구형 형광 램프 전용 무전극전구 마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 또는 테이퍼형의 봉재를 기계 가공하거나 주물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 방폭 등기구에 사용되는 무전극 전구형 형광 램프 전용 무전극전구 마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극전구 마운트(30)는 상기 내압 방폭 등기구 몸체(90)의 마운트 접속구(150)에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 방폭 등기구에 사용되는 무전극 전구형 형광 램프 전용 무전극전구 마운트.
  4. 삭제
  5. 삭제
KR2020070016258U 2007-10-05 2007-10-05 내압 방폭 등기구에 사용되는 무전극 전구형 형광 램프전용 무전극전구 마운트 Expired - Fee Related KR200439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258U KR200439207Y1 (ko) 2007-10-05 2007-10-05 내압 방폭 등기구에 사용되는 무전극 전구형 형광 램프전용 무전극전구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258U KR200439207Y1 (ko) 2007-10-05 2007-10-05 내압 방폭 등기구에 사용되는 무전극 전구형 형광 램프전용 무전극전구 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207Y1 true KR200439207Y1 (ko) 2008-03-27

Family

ID=4164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25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39207Y1 (ko) 2007-10-05 2007-10-05 내압 방폭 등기구에 사용되는 무전극 전구형 형광 램프전용 무전극전구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2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539B1 (ko) 엘이디 방폭등
US7883246B2 (en) Lighting fixture and method
CN101696778B (zh) Led隔爆型防爆灯具
KR101600006B1 (ko) 독립 제어형 엘이디 방폭등
KR101683137B1 (ko) 해양플랜트용 방폭조명등
KR101962274B1 (ko) 내압 방폭 엘이디 조명등
WO2013007815A1 (en) Light-emitting diode lamp, lighting fixture,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emitting lamp,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emitting diode lamp, street light, and method of exchanging lamp
KR200459504Y1 (ko) 방폭등용 엘이디 광원 모듈
CN201133627Y (zh) 防爆平台灯
CN106122800B (zh) 防爆led模块
CN104776341B (zh) 一种iic级隔爆型led防爆灯具
KR20160000244U (ko) 엘이디 방폭등
JP2014130714A (ja) 耐圧防爆形照明器具
KR200485418Y1 (ko) 작업등기구
KR20110003698U (ko) 방폭등
KR200439207Y1 (ko) 내압 방폭 등기구에 사용되는 무전극 전구형 형광 램프전용 무전극전구 마운트
CN111174183A (zh) 防爆灯具
CN118066512A (zh) 防爆灯具
KR101625160B1 (ko) 엘이디 방폭등
CN104832797A (zh) 一种隔爆型led防爆灯
CN205208306U (zh) 一种led防爆照明灯
RU42286U1 (ru) Взрывозащищенный световой прибор
US20030165058A1 (en) Hazardous location induction lighting fixture
CN219693064U (zh) 一种防爆灯
RU191026U1 (ru) Светильник взрывозащищенны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10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0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05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7112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3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0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40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