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39074Y1 - 퓨즈박스 - Google Patents

퓨즈박스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074Y1
KR200439074Y1 KR2020070010867U KR20070010867U KR200439074Y1 KR 200439074 Y1 KR200439074 Y1 KR 200439074Y1 KR 2020070010867 U KR2020070010867 U KR 2020070010867U KR 20070010867 U KR20070010867 U KR 20070010867U KR 200439074 Y1 KR200439074 Y1 KR 200439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box
bus bar
cover
terminal
fu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배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0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0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07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48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or held directly by the ba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75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 H01H2085/208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9Junction box with busbar for plug-socket type interconnection with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퓨즈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부커버(20)와; 상기 하부커버(20)에 터미널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퓨즈박스터미널(30)과; 상기 하부커버(20)에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안착되고,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에 버스바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버스바(40)와; 상기 하부커버(20)에 장착되는 메인커버(50)와; 상기 메인커버(50)의 일부를 덮도록 장착되고, 상기 버스바체결수단을 외부로부터 차폐하기 위한 차폐부(64)가 구비되는 퓨즈커버(60)와; 상기 메인커버(50)에 장착되는 상부커버(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버스바를 고정시키는 볼트 및 너트가 차폐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하므로 작업자가 볼트 및 너트의 결합을 해제하려는 생각을 가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퓨즈박스터미널과 버스바의 접촉상태가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퓨즈박스, 터미널, 버스바

Description

퓨즈박스{Fusebox}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퓨즈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커버와 메인커버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퓨즈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하부커버에 메인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배터리 2 : 배터리포스트
10 : 퓨즈박스 20 : 하부커버
22 : 안착부 30 : 퓨즈박스터미널
32 : 결합링 36 : 터미널체결볼트
38 : 터미널체결너트 40 : 버스바
42 : 버스바체결볼트 44 : 버스바체결너트
50 : 메인커버 60 : 퓨즈커버
62 : 퓨즈안착부 64 : 차폐부
70 : 상부커버
본 고안은 퓨즈박스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퓨즈박스터미널과 버스바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구조를 가진 퓨즈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배터리는 가솔린차, 디젤차를 불문하고 차량에 탑재되어 엔진의 시동, 점화, 조명 및 기타 전장품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퓨즈박스터미널은 상기와 같이 시동, 점화, 조명 및 기타 전장품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배터리에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수단으로 사용된다.
또한, 최근에는 차량이 고급화되고 차량내부의 전기장치들이 복잡해짐에 따라 퓨즈박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퓨즈박스는 여러 전장부품과 관련된 퓨즈를 집합시켜 놓은 것으로, 예를 들어 자동차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각종 전장부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터리의 상면에는 배터리포스트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포스트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차량 내부로 전원을 분배하기 위해, 퓨즈박스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의 상면에는 퓨즈박스가 설치된다. 상기 퓨즈박스는 상기 배터리의 상면에 직접 안착되어 상기 배터리포스트와 연결됨으로써, 차량의 내부로 전원을 분배하게 된다. 상기 퓨즈박스의 외관 및 골격은 하부커버, 메인커버, 그리고 상부커버가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퓨즈박스의 하부골격 및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하부커버의 내부에는 퓨즈박스터미널이 장착된다. 상기 퓨즈박스터미널은 상기 배터리포스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퓨즈박스터미널의 선단에는 상기 배터리포스트를 압입하는 결합링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링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포스트에 상기 퓨즈박스터미널의 선단을 위치시킨 후에 너트(A)를 죄어주면 상기 결합링이 내측으로 압입되면서 배터리포스트를 죄어주게 된다.
한편, 상기 퓨즈박스의 내부에는 버스바가 설치된다. 상기 버스바는 상기 퓨즈박스터미널과 함께 상기 하부커버에 안착되어, 2개 이상의 회로를 개별적으로 연결하거나 한 시스템 내의 여러 등량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스바는 상기 퓨즈박스터미널에 별도의 너트(B)를 통해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퓨즈박스를 배터리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포스트와 버스바는 각각 별개의 너트(A,B)를 통해 퓨즈박스터미널에 결합된다. 배터리의 수명이 다한 경우에 사용자는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포스트에 결합된 퓨즈박스를 분리시켜야 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상기 배터리포스트와 퓨즈박스터미널을 결합시킨 너트(A)를 해제하여야 한다. 하지만, 상기 너트(A,B)가 서로 인접하게 구비되고 그 형상이 유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너트(A)가 아닌 다른 너트(B)를 푸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너트(B)는 설계에 의한 적정토크로 상기 퓨즈박스터미널과 버스바를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결합부위를 혼동하여 너트(B)를 푼 상태에서 적정토크로 조여주지 않게 되면, 퓨즈박스터미널과 버스바의 접촉면이 불안해져 스파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스파크는 자칫 대형화재로 연결될 우려도 있다. 상기 퓨즈박스터미널과 버스바의 접촉면은 전류가 통하는 부분으로서 그 접촉상태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퓨즈박스터미널과 버스바의 접촉 상태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퓨즈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에 터미널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퓨즈박스터미널과; 상기 하부커버에 상기 퓨즈박스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안착되고, 상기 퓨즈박스터미널에 버스바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버스바와; 상기 하부커버에 장착되는 메인커버와; 상기 메인커버의 일부를 덮도록 장착되고, 상기 버스바체결수단을 외부로부터 차폐하기 위한 차폐부가 구비되는 퓨즈커버와; 상기 메인커버에 장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폐부는 상기 버스바체결수단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버스바를 고정시키는 볼트 및 너트가 차폐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하므로 작업자가 볼트 및 너트의 결합을 해제하려는 생각을 가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퓨즈박스터미널과 버스바의 접촉상태가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퓨즈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퓨즈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커버와 메인커버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퓨즈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하부커버에 메인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량에는 엔진의 시동, 점화, 조명 및 기타 전장부품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1)에는 상기 전장부품 측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배터리포스트(2)가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퓨즈박스(10)는 상기 배터리포스트(2)와 연결된다. 상기 퓨즈박스(10)는 여러 전장부품과 관련된 퓨즈를 집합시켜 놓은 것으로, 예를 들어 자동차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각종 전장부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커버(20)는 상기 퓨즈박스(10)의 하부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부커버(20)는 상기 배터리(1)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배터리포스트(2)와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박스터미널(30)이 연결되도록 한 다.
상기 하부커버(20)에는 안착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2)는 퓨즈박스터미널(30)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2)에는 통공부(24)가 형성되고, 이를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포스트(2)가 퓨즈박스터미널(30)과 결합된다.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은 케이블을 통하여 차량의 내부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포스트(2)에 결합되어 연결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에는 한 쌍의 결합링(32)이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포스트(2)에 삽입된다.
상기 배터리포스트(2)가 상기 결합링(32)에 형성된 삽입공(34)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구가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구는 터미널체결볼트(36) 및 터미널체결너트(38)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커버(20)의 안착부(22)에는 버스바(40)가 장착된다. 상기 버스바(40)는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과 함께 상기 하부커버(20)에 안착되어, 퓨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퓨즈박스(10)의 외부로 연장되는 전선을 통해 각각의 전장부품들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버스바(40)는 버스바체결볼트(42) 및 버스바체결너트(44)에 의해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과 버스바(40)는 각각 별개의 체결구에 의해 상기 하부커버(20)에 장착된다.
상기 하부커버(20)의 상부에는 메인커버(50)가 장착된다. 상기 메인커버(50) 는 상기 배터리(1)에 안착되기 위해 저면 모서리부가 소정의 넓이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커버(50)는 상기 하부커버(20)의 전체적인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하부커버(20)의 상부를 덮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커버(50)의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커버(7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52)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메인커버(50)의 상부에는 퓨즈커버(60)가 장착된다. 상기 퓨즈커버(60)는 상기 메인커버(50)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퓨즈커버(60)의 상면에는 퓨즈가 장착되는 퓨즈장착부(62)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퓨즈커버(60)의 일측에는 차폐부(64)가 구비된다. 상기 차폐부(64)는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버스바체결볼트(42) 및 버스바체결너트(44)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버스바체결볼트(42) 및 버스바체결너트(44)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차폐부(64)는 실질적으로 상기 퓨즈커버(6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차폐부(64)는 상기 버스바체결볼트(42) 및 버스바체결너트(44)를 차폐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차폐부(64)의 저면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체결볼트(42) 및 버스바체결너트(44)가 요입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폐부(64)는 작업자가 상기 터미널체결너트(38)와 혼동하여 버스바체결너트(44)를 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터미널체결너트(38)와 버스바체결너트(44)는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형상이 유사하기 때문 에 상기 퓨즈박스(10)를 배터리(1)로부터 분리할 때 공구를 사용하여 버스바체결너트(44)의 결합을 해제할 우려가 있다. 하지만, 상기 터미널체결너트(38)는 상기 차폐부(64)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체결너트(38)를 조작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차폐부(64)는 상기 버스바체결볼트(42) 및 버스바체결너트(44)만 차폐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체결볼트(36) 및 터미널체결너트(38)는 외부로 노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차폐부(6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커버(50)와 별도로 구비된 퓨즈커버(60)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메인커버(5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커버(50)의 상부에는 상기 퓨즈커버(6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커버(70)가 장착된다. 상기 상부커버(70)의 측면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체결후크(72)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후크(72)는 상부커버(70)의 장착시에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체결부(52)와 결합된다.
상기 상부커버(70)의 일측에는 보강부(74)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74)는 상기 상부커버(70)의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1)와 퓨즈박스(10)간의 상대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퓨즈박스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하부커버(20)의 안착부(22)에 퓨즈박스터미널(30)을 상방으로부터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에 버스바(50)를 결합시킨다. 상기 버 스바(50)는 버스바체결볼트(42) 및 버스바체결너트(44)에 의해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에 체결된다. 즉, 작업자는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버스바체결너트(44)를 죄임으로써, 퓨즈박스터미널(30)과 버스바(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과 버스바(50)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커버(20)를 상기 배터리(1)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을 배터리포스트(2)와 연결하기 위해 터미널체결너트(38)를 조이게 된다. 그러면,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의 결합링(32)이 상기 배터리포스트(2)는 결합링(32)의 삽입공(34)에 압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커버(50)의 상면에 퓨즈커버(60)를 장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퓨즈커버(60)를 장착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바체결볼트(42) 및 버스바체결너트(44)가 차폐부(64)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는 상기 차폐부(64)가 상기 버스바체결볼트(42) 및 버스바체결너트(44)의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터미널체결볼트(36) 및 터미널체결너트(38)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
끝으로, 상기 메인커버(50)의 상면에 상부커버(70)를 장착시킨다. 상기 메인커버(50)의 체결부(52)는 상기 상부커버(70)의 체결후크(72)와 체결되어 양자를 결합시킨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퓨즈박스(10)가 상기 배터리(1)에 조립되면, 상기 터미널체결볼트(36) 및 터미널체결너트(38)만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버스바체결볼트(42) 및 버스바체결너트(44)는 차폐부(64)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 는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1)의 수명이 다하여 교체할 경우에 작업자는 외부로 노출된 상기 터미널체결너트(38)에 공구를 삽입하여 풀면 된다. 그러면, 상기 삽입공(34)에 압입되어 있던 배터리포스트(2)의 결합이 해제되고 퓨즈박스(10)를 배터리(1)와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버스바체결너트(42)는 차폐부(64)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작업자는 상기 버스바체결너트(42)를 조작할 생각을 가지지 않는 것이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바고정볼트(42) 및 버스바고정너트(44)는 상기 퓨즈커버(60)에 일체로 형성된 차폐부(64)에 의해 차폐되지 않고, 별도의 커버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퓨즈박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버스바체결너트가 퓨즈커버에 형성된 차폐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외부로부터 차폐되지 않은 터미널체결너트를 조작하여 결합을 해제하게 된다. 결국, 퓨즈박스터미널과 버스바의 결합이 그대로 유지되므로 양자의 접촉상태가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에 터미널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퓨즈박스터미널과;
    상기 하부커버에 상기 퓨즈박스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안착되고, 상기 퓨즈박스터미널에 버스바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버스바와;
    상기 하부커버에 장착되는 메인커버와;
    상기 메인커버의 일부를 덮도록 장착되고, 상기 버스바체결수단을 외부로부터 차폐하기 위한 차폐부가 구비되는 퓨즈커버와;
    상기 메인커버에 장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버스바체결수단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박스.
KR2020070010867U 2007-07-02 2007-07-02 퓨즈박스 Expired - Lifetime KR200439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867U KR200439074Y1 (ko) 2007-07-02 2007-07-02 퓨즈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867U KR200439074Y1 (ko) 2007-07-02 2007-07-02 퓨즈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074Y1 true KR200439074Y1 (ko) 2008-03-19

Family

ID=41626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867U Expired - Lifetime KR200439074Y1 (ko) 2007-07-02 2007-07-02 퓨즈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0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702B1 (ko) 2014-12-24 2015-09-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블럭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702B1 (ko) 2014-12-24 2015-09-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블럭
CN105742873A (zh) * 2014-12-24 2016-07-06 韩国端子工业株式会社 用于车辆的块
US9627869B2 (en) 2014-12-24 2017-04-18 Korea Electric Terminal Co., Ltd. Block for vehicle
CN105742873B (zh) * 2014-12-24 2019-02-19 韩国端子工业株式会社 用于车辆的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8310A (en) Fuse box
US8821190B2 (en) Fuse unit
CN109792140B (zh) 电连接箱
JP7420205B2 (ja) 電気接続箱
JP5299698B2 (ja) 電気接続箱
JP4560011B2 (ja) 電流センサーを備えた電源回路構造およびその組立方法
CN110832712A (zh) 充电用插座
US9508518B2 (en) Fuse unit
US20100124850A1 (en) Manual disconnect system
KR200439074Y1 (ko) 퓨즈박스
KR100755031B1 (ko)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장착구조
JP6238873B2 (ja) 電気接続箱
KR20100084891A (ko) 퓨즈박스
JPH1037938A (ja) ボルト脱落防止ホルダー
JP2012038643A (ja) バッテリ直付けヒューズ
JPH0731036A (ja) 電気接続箱
KR200436538Y1 (ko) 퓨즈박스의 버스바 장착구조
KR102088887B1 (ko) 프로텍터
KR20090004245U (ko) 퓨즈박스
KR100787200B1 (ko) 퓨즈박스터미널 고정구조
KR200429701Y1 (ko) 퓨즈박스터미널의 고정구조
JP2006296172A (ja) 電気接続箱
KR200408484Y1 (ko) 연결브라켓 연결구조
KR200427969Y1 (ko) 퓨즈박스터미널의 고정구조
JP2006050824A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70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3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8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