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552Y1 - Electronic Locking Device for Furniture - Google Patents
Electronic Locking Device for Furni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8552Y1 KR200438552Y1 KR2020060032286U KR20060032286U KR200438552Y1 KR 200438552 Y1 KR200438552 Y1 KR 200438552Y1 KR 2020060032286 U KR2020060032286 U KR 2020060032286U KR 20060032286 U KR20060032286 U KR 20060032286U KR 200438552 Y1 KR200438552 Y1 KR 20043855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rniture
- drawer
- locking
- lifting
- lifting p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5895 bisc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용 전자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버튼을 눌러서 서랍 등을 전자식으로 록킹하거나 록킹해제할 수 있어서 열쇠가 불필요하므로, 열쇠의 분실 및 미소지로 인해 서랍 등을 제때에 열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록킹장치에서 록킹유닛만을 용이하게 교체 설치할 수 있어서 비용이 절감되고, 외부인이 무단으로 열 경우 경보 신호가 발생되므로 보다 안전하게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가구용 전자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locking device for furniture,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lock or unlock the drawer electronically by pressing a button, so the key is unnecessary, and the drawer cannot be opened on time due to the loss of the key and the micro paper. It can be prevented, and the existing locking device can be easily replaced and installed only to reduce the cost, and to provide an electronic locking device for furniture that can keep more secure because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when an outsider opens unauthorized. Have a purpo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가구(1)에 수납되는 서랍(2)이나 가구(1)에서 개폐되는 도어를 록킹하며, 상기 가구(1)의 내측벽과 마주하는 서랍(2)의 측벽에 설치된 걸림부재(10)와, 상기 서랍(2)의 측벽과 마주하는 가구(1)의 내부 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서랍(2) 상측으로 수평연장되는 연장부(21)가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는 상기 걸림부재(10)에 걸려지는 걸림편(22)이 구비된 승강바아(20)와, 상기 서랍(2)에 설치되어 승강바아(20)를 승하강시키는 록킹유닛(30)을 포함하는 가구용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30)은 상기 서랍(2)에 설치되며, 상기 연장부(21)에 접촉되어 회전됨으로써 승강바아(20)를 승강시키는 승강핀(40)과, 이 승강핀(40)을 작동시키는 작동수단(50)과, 이 작동수단(50)을 외부의 신호 입력에 따라 작동시켜 승강핀(40)의 위상이 상단 및 하단으로 위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와, 이 제어부(60)에 전 기적으로 연결되어 승강핀(40)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입력하도록 된 키입력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전자록킹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rawer (2) that is stored in the furniture (1) or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in the furniture (1), the drawer (2) facing the inner wall of the furniture (1) And a locking member 10 installed at a side wall of the side wall and an inner sidewall of the furniture 1 facing the side wall of the drawer 2 so as to be lifted up and down in one direction and extending horizontally above the drawer 2 at one side. A lifting bar 20 provided with a part 21 and a locking piece 22 to be caught by the locking member 1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installed on the drawer 2 to lift the lifting bar 20. In the locking device for furniture comprising a locking unit 30 for lowering, the locking unit 30 is installed in the drawer (2), the lifting bar (20) by lifting the lifting bar 20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21) Lifting pin 40, the operation means 50 for operating the lifting pin 40, and the operation means 50 for inputting an external signal. The control unit 60 to control the phase of the lifting pin 40 to be positioned in the upper and lower by operating according to,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60 to input a signal to operate the lifting pin 40 Provided is a furniture electronic locking device comprising a key input unit (70).
가구, 록킹, 승강바아, 록킹유닛, 전자 Furniture, Locking, Lift Bar, Locking Unit, Electronic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록킹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lectronic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의 측단면도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unlocked state of the embodiment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록킹이 작동된 상태의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embodimen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가구 2 : 서랍 1: furniture 2: drawers
10 : 걸림부재 20 : 승강바아10: locking member 20: lifting bar
30 : 록킹유닛 40 : 승강핀30: locking unit 40: lifting pin
50 : 작동수단 60 : 제어부50: operating means 60: control unit
70 : 키입력부70: key input unit
본 고안은 가구용 전자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사용자가 버튼을 누름에 따라 전자식으로 록킹하거나 록킹해제할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하고, 기존의 가구에 용이하게 교체 설치할 수 있으며, 외부인이 무단으로 열 경우 경보 신호가 발생되어 보다 안전하게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가구용 전자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locking device for furniture, and more particularly, the structure is very simple, but can be locked or unlocked electronically as the user presses a button, so the operation is simple and can be easily replaced and installed in existing furni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locking device for furniture that can keep a safer security signal when an outsider opens an unauthorized person.
일반적으로, 책상이나 장롱과 같은 가구에는 복수개의 서랍이 수납되어 있는데, 필요에 따라 서랍을 잠글 수 있도록 각 서랍에 록킹장치가 구비되고, 가구의 외부에는 키뭉치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열쇠로 키뭉치를 록킹 방향 또는 록킹해제 방향으로 돌리면, 서랍의 잠금장치가 작동되면서 서랍이 록킹되거나 록킹해제된다.In general, a plurality of drawers are stored in a furniture such as a desk or a dresser, and lockers are provided in each drawer to lock the drawers as needed, and a key bundle is installed outside of the furniture, so that the user When the bundle is turned in the locking direction or the unlocking direction, the drawer is locked and the drawer is locked or unlocked.
한편, 상기 록킹장치는 서랍 등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편심캠을 열쇠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편심캠에 구비된 걸림돌기가 서랍이 안착되는 부분에 장착된 걸림편에 걸려져서 록킹이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가구용 록킹장치로 록킹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열쇠를 소지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상기 록킹장치는 키뭉치로 록킹시키게 되므로, 열쇠를 분실하거나 소지하고 있지 않으면, 서랍을 정상적으로 열지 못하여 제때에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분실된 열쇠가 타인에게 유입되어, 그 타인이 서랍을 열 수 있으므로, 보안상의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device by rotating the eccentric cam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drawer, such as by the key, the locking projection provided on the eccentric cam is caught by the locking piece mounted on the portion where the drawer is seated is locked. However, in order to lock with the conventional furniture locking device,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hold a key, and the locking device is locked by a key bundle, so if the key is not lost or possessed, the drawer cannot be normally opened in a timely manner.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In addition, a lost key is introduced to another person, the other person can open the drawer, there is a security problem.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버튼을 눌러서 서랍 등을 전자식으로 록킹하거나 록킹해제할 수 있어서 열쇠가 불필요하므로, 열쇠의 분실 및 미소지로 인해 서랍 등을 제때에 열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록킹장치에서 록킹유닛만을 용이하게 교체 설치할 수 있어서 비용이 절감되고, 외부인이 무단으로 열 경우 경보 신호가 발생되므로 보다 안전하게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가구용 전자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user can lock or unlock the drawer, such as electronically by pressing a button, because the key is unnecessary, the drawer, etc. Can be prevented from opening in a timely manner, and only the locking uni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installed in the existing locking device to reduce the cost, and if the outsider opens an alarm,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which can keep the security more secure. It is to provide a locking device.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가구(1)에 수납되는 서랍(2)이나 가구(1)에서 개폐되는 도어를 록킹하며, 상기 가구(1)의 내측벽과 마주하는 서랍(2)의 측벽에 설치된 걸림부재(10)와, 상기 서랍(2)의 측벽과 마주하는 가구(1)의 내부 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서랍(2) 상측으로 수평연장되는 연장부(21)가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는 상기 걸림부재(10)에 걸려지는 걸림편(22)이 구비된 승강바아(20)와, 상기 서랍(2)에 설치되어 승강바아(20)를 승하강시키는 록킹유닛(30)을 포함하는 가구용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30)은 상기 서랍(2)에 설치되며, 상기 연장부(21)에 접촉되어 회전됨으로써 승강바아(20)를 승강시키는 승강핀(40)과, 이 승강핀(40)을 작동시키는 작동수단(50)과, 이 작동수 단(50)을 외부의 신호 입력에 따라 작동시켜 승강핀(40)의 위상이 상단 및 하단으로 위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와, 이 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승강핀(40)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입력하도록 된 키입력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전자록킹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작동수단(50)은 구동모터(51)와, 일면 둘레부에 승강핀(40)이 결합되는 회전판(41)과, 상기 구동모터(51)의 회전축(52)과 회전판(41)의 타면을 축결합하는 베벨기어(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전자록킹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uating means 50 includes a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핀(40)이 회전되면서 접촉되는 상기 연장부(21)의 부위에는 센서(42) 또는 피감지부(43)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핀(40)에는 상기 센서(42) 또는 피감지부(43)와 마주보는 부분에 피감지부(43) 또는 센서(42)가 구비되어, 승강핀(40)과 연장부(21)가 접촉된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전자록킹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전자록킹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 고,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locking device for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가구용 전자록킹장치는 가구(1)의 내측벽과 마주하는 서랍(2)의 측벽에 설치된 걸림부재(10)와, 상기 서랍(2)의 측벽과 마주하는 가구(1)의 내부 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서랍(2) 상측으로 수평연장되는 연장부(21)가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는 상기 걸림부재(10)에 걸려지는 걸림편(22)이 구비된 승강바아(20)와, 상기 서랍(2)에 설치되며 상기 연장부(21)에 접촉되어 회전됨으로써 승강바아(20)를 승강시키는 승강핀(40)과, 이 승강핀(40)을 작동시키는 작동수단(50)과, 이 작동수단(50)을 작동시켜 승강핀(40)의 위상이 상단 및 하단으로 위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와, 이 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승강핀(40)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입력하도록 된 키입력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lectronic locking device for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우선, 상기 가구(1)는 책상이나 문갑, 책장, 장농 또는 진열장 등의 서랍(2)이나 개폐도어 뿐 아니라 그 이외에 서랍(2)이나 개폐도어가 구비된 모든 것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서랍(2)이 구비된 책상의 서랍장을 예시하였다.First, the
또한, 상기 서랍(2)의 측벽과 마주하는 가구(1)의 내부 측벽에는 승강바아(10)가 수직하게 설치되며, 이 승강바아(20)는 표면에 장공 형태의 비스공(23)이 관통되어, 비스공(23)을 관통하여 가구(1)의 내벽면에 체결되는 비스(24)에 의해 가구(1)의 내벽면에 승강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승강바아(20)의 상단에는 서랍(2)의 측벽 상부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서랍(2)의 상측에 구비되는 연장부(21)가 형성 되고, 승강바아(20)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의 서랍(2)의 측벽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걸림편(22)이 서랍(2)의 측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바아(20)는 복수개의 분할바아(25)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된다. 즉, 분할바아(25)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는 연결홈(26)과 연결돌기(27)가 형성되어, 연결홈(26)과 연결돌기(27)의 결합에 의해 각 분할바아(25)를 연결하여 승강바아(20)의 길이를 서랍(2)의 개수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걸림부재(10)는 상기 가구(1)의 내측벽과 마주하는 서랍(2)의 측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띠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서랍(2)의 측벽면에 수평 설치되며, 상기 승강바아(20)의 걸림편(22)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걸림홈(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10)는 가이드롤러(12)에 얹혀지며, 서랍(2)을 가구(1)의 전후방으로 인출하거나 밀어 넣을 때 가이드롤러(12)에 의해 걸림부재(10)가 슬라이드되도록 가이드된다. The
상기 록킹유닛(30)은 상기 서랍(2)에 설치되며, 상기 연장부(21)에 접촉되어 회전됨으로써 승강바아(20)를 승강시키는 승강핀(40)과, 이 승강핀(40)를 작동시키는 작동수단(50)과, 이 작동수단(50)을 작동시켜 승강핀(40)의 위상이 상단 및 하단으로 위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와, 이 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승강핀(40)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입력하도록 된 키입력부(70)로 이루어진다.The
이때, 상기 승강핀(40)은 상기 승강바아(20)의 연장부(21)와 직교되도록 서랍(2) 전면판(3)의 배면에 설치되어 서랍(2) 내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50)은 구동모터(51)와, 일면 둘레부에 상기 승강핀(40)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회 전판(41)과, 이 회전판(41)의 타면 중심부와 상기 구동모터(51)의 회전축(52)이 축결합되는 베벨기어(5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51)의 작동으로 베벨기어(53)에 의해 회전판(41)을 회전시키게 되어, 승강핀(40)의 위상이 회전판(41)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21)는 상기 승강핀(40)의 상하부에 접촉되도록 승강바아(20)에서 한 쌍이 연장 형성되며, 회전판(41)이 회전되더라도 상기 승강핀(40)은 연장부(21)와 접촉되면서 그 위상이 변화된다. At this time, the
한편, 서랍(2)이 록킹된 상태, 즉, 상기 회전판(41)에서 승강핀(40)이 최상단에 위치된 경우 상기 연장부(21)와 접촉되는 승강핀(40) 부위에는 센서(42)가 구비되고, 이때 승강핀(40)과 접촉되는 연장부(21)에는 피감지부(43)가 구비되어, 승강핀(40)이 연장부(21)에서 이탈되는 경우에 상기 센서(42)가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 키입력부(70)는 서랍(2)의 전면판(3) 전면에 노출되며, 다수개의 숫자버튼(71)과 오픈버튼(72) 및 클로즈버튼(73)이 구비되어, 상기의 버튼(71, 72, 73)들을 누름에 따라 제어부(60)에 신호 입력된다. 이때, 이러한 제어부(60)는 구동모터(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60)에 입력된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51)가 작동되며, 또한, 상기 제어부(60)에는 경보부(61)가 연결된다. 이 경보부(61)는 경보 신호를 울리는 스피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가구용 전자록킹장치는 키입력부(70)에 구비된 클로즈버튼(73)을 사용자가 누르면, 구동모터(51)의 회전축(52)이 회전되면서 베벨기어(53)에 의해 회전판(41)이 회전되어 승강핀(40)이 회전판(41)의 최상단에 위치되 게 되는데, 이때, 승강핀(40)이 승강바아(20)의 연장부(21)와 접촉되면서 최상단으로 이동되므로, 승강바아(20)가 승강되게 되어, 승강바아(20)의 각 걸림편(22)이 각 서랍(2)에 구비된 걸림부재(10)의 걸림홈(11)에 걸려지기 때문에, 서랍(2)이 록킹 상태로 된다. 이때, 도둑이 가구(1)를 부수어 서랍(2)을 여는 경우와 같이, 비정상적으로 서랍(2)이 열릴 때, 즉, 센서(42)가 피감지부(43)와 떨어지게 되면, 센서(42)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60)에 신호를 입력하고, 이러한 입격 신호에 따라 경보부(61)에서 경보 신호가 발생되어 외부로 쉽게 알리게 된다. Electronic locking device for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presses the
반대로, 사용자가 숫자버튼(71)을 눌러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오픈버튼(72)을 누르면 구동모터(51)의 회전축(52)이 회전되면서 승강핀(40)이 회전판(41)의 최하단으로 이동되어, 승강바아(20)가 하강되므로, 승강바아(20)의 각 걸림편(22)이 각 서랍(2)에 구비된 걸림부재(10)의 걸림홈(11)에서 이탈되기 때문에, 서랍(2)의 록킹이 해제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inputs a password by pressing the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판(41)이 베벨기어(53)에 의해서 회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랙과 피니언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rotating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가구(1)의 외부로 노출 설치된 키입력부(70)의 버튼(71, 72, 73)을 누름에 따라 서랍(2)이나 도어를 전자식으로 록킹하거나 록킹해제할 수 있으므로, 열쇠의 분실이나 미소지로 인해 서랍(2) 등을 제대로 열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며, 열쇠를 소지한 외부인이 임의적으로 서랍(2) 등을 여는 것을 방지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 등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electronically locks or locks the
또한, 기존에 수동식 캠 방식으로 서랍(2) 등에 설치되었던 록킹유닛을 가구(1) 내에 설치되었던 기존의 승강바아(20)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승강핀(40)가 구동모터(51)로 베벨기어(53)에 의해 작동되는 록킹유닛(30)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수동식을 전자식 록킹장치로 교체함에 있어, 손쉽고도 비용의 증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lifting
그리고, 승강핀(40)이 승강바아(20)의 연장부(21)와 접촉을 유지하면서 회전판(41)에서 위상이 변화되므로, 외부인이 강제로 서랍(2) 등을 열기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가구를 파손하여 서랍(2) 등을 여는 경우와 같이 비정상적으로 서랍(2) 등이 열리면 자동으로 경보 신호가 울리면서 외부로 신속하게 알릴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게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nd, since the lifting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32286U KR200438552Y1 (en) | 2006-12-21 | 2006-12-21 | Electronic Locking Device for Furni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32286U KR200438552Y1 (en) | 2006-12-21 | 2006-12-21 | Electronic Locking Device for Furni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8552Y1 true KR200438552Y1 (en) | 2008-02-25 |
Family
ID=41627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3228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38552Y1 (en) | 2006-12-21 | 2006-12-21 | Electronic Locking Device for Furni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8552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0629B1 (en) | 2012-04-26 | 2012-06-28 | 아이리스원 주식회사 | Door lock with handle |
-
2006
- 2006-12-21 KR KR2020060032286U patent/KR200438552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0629B1 (en) | 2012-04-26 | 2012-06-28 | 아이리스원 주식회사 | Door lock with hand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58878B2 (en) | Door assembly for storage and dispensing unit | |
US8479543B2 (en) | Door locking system with an idle handle | |
US11002039B2 (en) | Electronic controlled handles | |
GB2429493A (en) | Cabinet with electronic lock | |
KR100765191B1 (en) | Electronic Locking Device for Furniture | |
KR100766404B1 (en) | Automatic and manual locks for windows | |
EP4013929B1 (en) | Storage device for theft-proof storage of valuable articles | |
KR200438552Y1 (en) | Electronic Locking Device for Furniture | |
US20070294944A1 (en) | Child Safety Barrier with a Gate | |
KR102133349B1 (en) | Door lock device applicable for door type and drawer type cabinet | |
CN208089023U (en) | A kind of electronic coded lock device | |
KR101119837B1 (en) | Safety locker to block safety bar interlocking of safety door | |
KR20120003390U (en) | Digital lock for drawers | |
KR200443688Y1 (en) | Electronic door lock type cabinet door opener | |
JP3099000U (en) | Electronic lock | |
GB2459493A (en) | A multi-point panic or emergency exit mechanism | |
JP2003074227A (en) | Furnishings with lock | |
KR200458319Y1 (en) | Drawer opener for small safe | |
KR100391803B1 (en) | A door lock for an entrance door | |
CN111520027A (en) | Safes and how to operate them | |
KR101127749B1 (en) | Digital locking device of window | |
KR200436459Y1 (en) | Auxiliary lock for front door | |
KR101018454B1 (en) | Anti-panic anti-rotation assembly | |
KR200276139Y1 (en) | A door lock | |
KR20030068641A (en) | A door 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1221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712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802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21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214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30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