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38257Y1 - 히터 장력조절단자를 개량한 열 봉함장치 - Google Patents

히터 장력조절단자를 개량한 열 봉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257Y1
KR200438257Y1 KR2020060031049U KR20060031049U KR200438257Y1 KR 200438257 Y1 KR200438257 Y1 KR 200438257Y1 KR 2020060031049 U KR2020060031049 U KR 2020060031049U KR 20060031049 U KR20060031049 U KR 20060031049U KR 200438257 Y1 KR200438257 Y1 KR 2004382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lug
hole
heater
tension adjus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주) 가성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가성팩 filed Critical (주) 가성팩
Priority to KR2020060031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2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2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25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2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silient means, e.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4Machines constructed with readily-detachable units or assemblies, e.g. to facilitate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밴드 히터를 신속 교체 가능함과 동시에 길이가 긴 밴드 히터라도 그 열팽창에 의한 길이 변화를 흡수 완충할 수 있도록 히터 장력조절단자를 개량한 열 봉함장치로서, 단자 하우징의 내측에서 핀에 의해 하측부가 축 지지되어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중에 구멍이 형성된 러그, 상기 단자 하우징의 외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구멍에 일치하는 통공을 갖춘 스프링 시트, 상기 스프링 시트에 받쳐지도록 배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과 스프링 시트의 통공, 러그의 구멍을 관통하고 부동 너트에 나사맞춤 되어 상기 러그로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 되게 하는 장력조절용 스크루, 그리고 상기 장력조절용 스크루에 나사 맞춤 되어서 상기 스프링을 탄압하여 그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배치되는 조절 너트를 포함한 구성, 또는 밴드 히터가 휘어져 연장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면과 결착홈을 갖춘 단자 하우징, 상면에 절결 홈이 형성되고 그 측방으로 체결나사가 끼워진 러그, 상기 단자 하우징의 결착홈으로 끼워지는 기립벽체를 양변에 갖추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스프링 시트, 상기 스프링 시트의 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러그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단자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장력조절용 스크루, 상기 장력조절용 스크루에 끼워져서 상기 스프링 시트에 받쳐지는 스프링, 상기 장력조절용 스크루에 나사 맞춤 되어서 상기 스프링을 탄압할 수 있게 배치되는 조절 너트를 갖춘 구성으로 된 것이다.
열 봉함장치, 히터 장력조절, 히터 자동조절, 밴드 히터 장력조절단자,

Description

히터 장력조절단자를 개량한 열 봉함장치{thermal bonding type package machine having an improved heater tension adjuster}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열 봉함기구의 히터 장력조절단자를 나타내는 제1 실시 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히터 장력조절단자의 사용 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3은 히터 장력조절단자의 제2 실시 예에 관련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히터 장력조절단자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열 봉함장치에 있어서, 열 봉함 기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히터 장력조절단자에 관련된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히터 장력조절단자 16: 밴드 히터
160: 양단 18: 단자 하우징
180: 가이드 면 182: 결착홈
20: 축 22: 러그
220: 체결나사 222: 클램프 편
224: 구멍 226: 절결 홈
26: 스프링 32: 장력조절용 스크루
320: 스프링 시트 322: 조절 너트
324: 통공 326: 부동 너트
328: 기립벽체
본 고안은 봉투의 개구부를 상하에서 눌러 일시 고정하는 한 쌍의 홀더와, 상하에서 눌려진 봉투의 개구부를 열 접합하는 밴드 히터로 이루어진 열 봉함 기구를 갖춘 열 봉함장치로서, 특히 상기 밴드 히터의 장력을 자동 조절하기 위하여 그 양단부에 설치되는 히터 장력조절단자를 개량한 열 봉함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 봉함장치는 본 고안자가 제안한 등록특허 10-0337110호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납 대상물을 담은 봉투를 열 접착하여 봉함하는 장치로서, 종래부터 식품, 기계부품, 반도체소자 등의 포장에 널리 응용되고 있는 장치이다.
이 종류 열 봉함장치의 통상적 구조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기대(2)의 평면 가장자리에 봉투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부 홀더(4)가 고정 배치되고, 그 반대 측 상방에는 아암(6)에 의해 상하 작동되면서 봉투의 상면을 눌러주는 상부 홀더(8)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또한 이 상부 홀더(8)와 함께 누름 판(10)이 병설되어서 상하로 봉투를 눌러주는 기구를 기본으로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누름 판(10)의 대향측에는 받침판(12)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이 받침판(12)의 양단에는 히터 장력조절단자(14)가 부착된다.
이 히터 장력조절단자(14)는 상기 하부 받침판(12)에 놓여져 연장되는 밴드 히터(16)의 양단을 인장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즉, 도 6의 도시와 같이 단자 하우징(18)의 내측에서 러그(22)는 핀(20)으로 축 지지되어 요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그 상단부에는 밴드 히터(16)의 양단(160)에 설치된 꺾쇠부분을 관통하는 나사(24)가 체결되어 상기 밴드 히터(16)를 부착 고정하는 한편, 상기 핀(20)에는 스프링(26)이 설치되어 있어서 항상 도면의 화살표“가”방향으로 탄압됨에 따라 상기 밴드 히터(16)를 인장 하여 열팽창에 의한 길이 변화를 흡수 완충하여 주게 되어 있다.
한편, 단자 하우징(18)의 일측에 마련된 레버(28)는 밴드 히터(16)의 교환 시에 조작되어 러그(22)를 화살표“가”의 반대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하여 배치된 것이며, 더스트 커버(30)는 히터 장력조절단자(14)의 금속부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여 전기적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종래의 열 봉함장치에서 히터 장력조절단자(14)는 내측에 스프링(26)을 구비하고 있음에 따라 완충작용의 길이가 짧게 설정되기 때문에 긴 밴드 히터(16)가 채용되는 대형의 열 봉함장치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대형의 열 봉함장치는 100cm 이상의 폭을 갖춘 포장 봉투의 봉함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여기에 설치되는 밴드 히터(16)의 길이는 120cm 이상으로 되어 열팽창에 의한 길이는 상당히 길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종래의 열 봉함장치에서 히터 장력조절단자의 구조로 인해 길이가 긴 밴드 히터의 완충 작용에서 나타나는 상술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히터 장력조절단자를 개량한 열 봉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의 목적은 히터 장력조절단자의 스프링을 단자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배치하여 그 길이가 제한받지 않게 되는 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는 본 고안은, 단자 하우징의 내측에서 핀에 의해 하측부가 축 지지되어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중에 구멍이 형성된 러그, 상기 단자 하우징의 외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구멍에 일치하는 통공을 갖춘 스프링 시트, 상기 스프링 시트에 받쳐지도록 배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과 스프링 시트의 통공, 러그의 구멍을 관통하고 부동 너트에 나사맞춤 되어 상기 러그로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 되게 하는 장력조절용 스크루, 그리고 상기 장력조절용 스크루에 나사 맞춤 되어서 상기 스프링을 탄압하여 그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배치되는 조절 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밴드 히터가 휘어져 연장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면과 결착홈을 갖춘 단자 하우징, 상면에 절결 홈이 형성되고 그 측방으로 체결나사가 끼워진 러그, 상기 단자 하우징의 결착홈으로 끼워지는 기립벽체를 양변에 갖추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스프링 시트, 상기 스프링 시트의 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러그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단자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장력조절용 스크 루, 상기 장력조절용 스크루에 끼워져서 상기 스프링 시트에 받쳐지는 스프링, 상기 장력조절용 스크루에 나사 맞춤 되어서 상기 스프링을 탄압할 수 있게 배치되는 조절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상술한 도 5 및 도 6에 묘사된 것과 동일한 부분은 설명을 돕기 위하여 같은 부호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열 봉함장치에 채용된 히터 장력조절단자(14)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는 히터 장력조절단자(14)도 단자 하우징(18)의 내측에서 핀(20)에 의해 하측부가 축 지지되어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러그(22)를 구비한다.
상기 러그(22)의 상부에는 체결나사(220)로 나사맞춤 된 클램프 편(222)이 대향하는 위치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체결나사(220) 외에 별도로 장력조절용 스크루(32)가 더 배치되어 있다.
장력조절용 스크루(32)는 항상 도면의 화살표“가”방향으로 탄성력을 일으키는 스프링(26)을 외주에 갖추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스프링(26)의 한쪽은 단자 하우징(18)의 외측에 가로 걸쳐지게 배치된 스프링 시트(320)로 받쳐짐과 동시에 다른쪽은 장력조절용 스크루(32)에 나사맞춤 된 조절 너트(322)로 받쳐져 있고, 또한 상기 장력조절용 스크루(32)는 스프링 시트(320)에 형성된 통공(324)과 러그(22)에 형성된 구멍(224)을 관통하여 연장된 다음, 상기 러그(22)의 이면에서 부동너트(326)로 나사맞춤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스프링(26)의 탄성력은 장력조절용 스크루(32)를 도면의 화살표“가”방향으로 인장 하게 되고, 또 상기 장력조절용 스크루(32)는 부동너트(326)를 통해 상기 러그(22)의 이면을 항상 밀어 주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히터 장력조절단자(14)는 체결나사(220)를 조작하여 상기 러그(22)와 클램프 편(222) 사이로 간격“D”이 형성되게 하고, 이 간격“D”에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밴드 히터(16)의 양단(160)에 설치된 꺾쇠부분을 끼우고 다시 체결하여 압착 연결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밴드 히터(16)를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다.
게다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밴드 히터(16)의 양단(160)에 설치된 꺾쇠부분으로 나사(도 6 참조)를 끼우기 위한 통공을 뚫지 않아도 되므로 도중에 단면적이 좁아지는 부분도 없어 전류 공급이 원활하고 평탄하게 행해질 수 있다.
한편, 러그(22)와 클램프 편(222) 사이로 접속 연결된 밴드 히터(16)는 그 양단이 냉간 상태에서 팽팽하게 인장 될 때까지 상기 스프링(26)의 탄성력을 조절 너트(322)로 증감 조절하여 쌍방이 평형을 이루게 하되, 상기 러그(22)가 스프링 시트(320)에 대하여 거리 “L”만큼 떨어져 위치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이렇게 설정한 결과로, 러그(22)에는 스프링(26)을 통해 화살표“가”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과, 상기 밴드 히터(16)에 의해 도면의 화살표“나”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 동시에 가해져 평형을 이루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밴드 히터(16)가 통전 가열에 의해 열 팽창하면 러그(22)에 작용하던 상기 밴드 히터(16)의 인장력은 줄어들지만 스프링(26)의 탄성력은 변함없 으므로 평형상태가 깨지면서 상기 러그(22)는 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화살표“가”방향으로 회동 되면서 간격“L”을 축소하게 되고, 그 결과로 늘어나는 밴드 히터(16)는 상기 축소되는 간격“L”만큼 더 당겨져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작용한다.
반대로 밴드 히터(16)가 냉각에 의해 줄어들면 상기 러그(22)는 다시 간격“L”을 형성하는 위치로 회동하고 이때의 길이 변화는 스프링(26)이 수축되면서 흡수 완충한다.
이와 같이 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이끌려 러그(22)가 연동 되면서 밴드 히터(16)의 길이 변화를 흡수 완충하는 작용은 종래의 열 봉함장치에 구비된 히터 장력조절단자의 작용과 동일한 것이나, 본 고안은 히터 장력조절단자(14)의 스프링(26)이 단자 하우징(18)의 외측으로 연장 배치됨에 따라 그 길이에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적 구조는 기다란 밴드 히터(16)를 필요로 하는 대형의 열 봉함장치에서도 열팽창에 의한 밴드 히터(16)의 길이 변화를 능히 흡수 완충할 수 있게 해준다.
도 3은 본 고안에 관련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로서, 단자 하우징(18)은 내측에 밴드 히터(16)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면(180)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에는 결착홈(182)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러그(22)의 상면에는 밴드 히터(16)의 양단(160)에 설치된 꺾쇠부분이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 절결 홈(22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 홈(226) 의 측방에는 체결나사(220)가 배치되어서 상기 양단(160)에 설치된 꺾쇠부분을 고정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한편, 장력조절용 스크루(32)의 도중에는 양변이 절곡에 의해 기립벽체(328)로 형성된 스프링 시트(320)가 개재되어서 조절 너트(322)와의 사이로 스프링(26)을 받쳐주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히터 장력조절단자(14)에 의하면, 밴드 히터(16)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가이드 면(180)을 따라 무리 없이 휘면서 그 끝이 러그(22)의 절결 홈(226)으로 끼워져 체결나사(220)에 의해 압착 고정된다.
또한, 이 실시 예는 밴드 히터(16)에 양단(160)의 꺾쇠 부분이 부착되지 않은 평판 형태 그대로 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밴드 히터(16)는 상술한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그 양단이 냉간 상태에서 팽팽하게 인장 될 때까지 상기 스프링(26)의 탄성력을 조절 너트(322)로 증감 조절하여 쌍방이 평형을 이루면서 배치되게 하되, 상기 러그(22)가 스프링 시트(320)에 대하여 거리 “L”만큼 떨어져 위치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그 결과, 러그(22)에는 스프링(26)을 통해 화살표“가”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과, 상기 밴드 히터(16)에 의해 도면의 화살표“나”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 동시에 가해져 평형을 이루고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밴드 히터(16)가 통전 가열에 의해 열 팽창하면 러그(22)에 작용하던 상기 밴드 히터(16)의 인장력이 줄어들어 평형상태가 깨지면서 상기 러그(22)는 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화살표“가”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간격“L”을 축소함과 동시에 늘어나는 밴드 히터(16)를 상기 축소되는 간격“L”만큼 더 당겨주어 팽팽한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반대로 밴드 히터(16)가 냉각에 의해 줄어들면 상기 러그(22)는 다시 간격“L”을 형성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이때의 길이 변화는 스프링(26)이 수축되면서 흡수 완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 예도 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이끌려 러그(22)의 위치가 변화하면서 밴드 히터(16)의 길이 변화를 흡수 완충하는 작용을 나타내면서도 상기 스프링(26)이 단자 하우징(18)의 외측으로 연장 배치됨에 따라 그 길이에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는 특징은 그대로 구비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열 봉함장치에 채용된 히터 장력조절단자는 러그와 클램프 편 사이, 또는 러그 상면에 형성된 절결 홈으로 밴드 히터의 양단을 끼워서 압착 연결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밴드 히터의 교체를 신속하게 할 수 있고, 밴드 히터의 양단에는 통공이 필요치 않게 되어 단면적이 좁아지는 부분도 없으므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이 균질하고 원만하게 되어 상기밴드 히터의 사용 수명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러그에 탄성력을 작용시켜서 상기 밴드 히터의 길이 변화를 흡수 완충하게 하는 스프링이 단자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길이에 제한을 받지 않아 상기 밴드 히터의 길이가 긴 대형 열 봉함장치에서도 완벽하게 밴드 히터의 길이 변화를 흡수 완충할 수 있다.

Claims (2)

  1. 단자 하우징의 내측에서 핀에 의해 하측부가 축 지지되어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중에 구멍이 형성된 러그와;
    단자 하우징의 외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구멍에 일치하는 통공을 갖춘 스프링 시트와;
    상기 스프링 시트에 받쳐지도록 배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과 스프링 시트의 통공, 러그의 구멍을 관통하여 연장되어서 부동 너트에 나사맞춤 되는 장력조절용 스크루와;
    상기 장력조절용 스크루에 나사 맞춤 되어서 상기 스프링을 탄압할 수 있게 배치되는 조절 너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장력조절단자를 개량한 열 봉함장치.
  2. 밴드 히터가 휘어져 연장되게 안내하는 가이드 면이 내측에 형성되고, 외부에는 결착홈이 설치되어 있는 단자 하우징과;
    상면에 절결 홈이 형성되고 그 측방으로 체결나사가 끼워진 러그와;
    상기 단자 하우징의 결착홈으로 끼워지는 기립벽체를 양변에 갖추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스프링 시트와;
    상기 스프링 시트의 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러그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단자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장력조절용 스크루와;
    상기 장력조절용 스크루에 끼워져서 상기 스프링 시트에 받쳐지는 스프링과;
    상기 장력조절용 스크루에 나사 맞춤 되어서 상기 스프링을 탄압할 수 있게 배치되는 조절 너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장력조절단자를 개량한 열 봉함장치.
KR2020060031049U 2006-12-05 2006-12-05 히터 장력조절단자를 개량한 열 봉함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4382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049U KR200438257Y1 (ko) 2006-12-05 2006-12-05 히터 장력조절단자를 개량한 열 봉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049U KR200438257Y1 (ko) 2006-12-05 2006-12-05 히터 장력조절단자를 개량한 열 봉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257Y1 true KR200438257Y1 (ko) 2008-02-04

Family

ID=4133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049U Expired - Lifetime KR200438257Y1 (ko) 2006-12-05 2006-12-05 히터 장력조절단자를 개량한 열 봉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2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8058A (zh) * 2013-12-10 2014-04-09 红塔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袋装口含烟包装设备的成型调节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8058A (zh) * 2013-12-10 2014-04-09 红塔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袋装口含烟包装设备的成型调节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615065A1 (fr) Support pour plaques de circuits imprimes
TWI590546B (zh) 用於一連接終端的撓性通道及包含此通道的終端
KR200438257Y1 (ko) 히터 장력조절단자를 개량한 열 봉함장치
JP2755258B2 (ja) ウォーム駆動されるホースクランプのワンピースハウジング
US8076774B2 (en) Transistor clamping device
JP4408989B2 (ja) 温度スイッチ
JP2001059538A (ja) 特に振動減衰器のための、圧力に依存して反応する弁
JP3418172B2 (ja) 振動減衰装置を備えた管ホルダ
JPH04234653A (ja) 給紙印刷機のグリツパー軸のグリツパーフインガー
KR200438256Y1 (ko) 히터 장력조절단자를 개량한 열 봉함장치
JP5156675B2 (ja) ガスコンロ
KR100271895B1 (ko) 밀봉장치
JP4015069B2 (ja) ヒートシール装置用線状ヒータとヒートシール装置
CN108799270A (zh) 车辆安装件组件和具有其的车辆
ES2375336T3 (es) Elemento de sujeción para aprisionar componentes de potencia a una superficie de refrigeración.
WO2020054664A1 (ja) 電磁弁ユニット
CN217701162U (zh) 弹簧打结设备及其夹紧组件
KR200323199Y1 (ko) 차량용스티어링칼럼의길이조절장치
JP4440135B2 (ja) 温度センサー取り付け装置
KR200141413Y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의 마운팅 구조
KR20100126974A (ko) 디아이에이치 주차 브레이크의 슈 고정장치
JP2004316357A (ja) 煽止め具
US20020113537A1 (en) Halogen lamp supporting device
US3579020A (en) Electron discharge device with electrode spacer having integral electron vibration dampening member thereon
JPH0764342B2 (ja) 包装材封緘装置のヒータ取付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12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12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2101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7060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