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38219Y1 - 찢기 용이한 삼각 쥐치포 - Google Patents

찢기 용이한 삼각 쥐치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219Y1
KR200438219Y1 KR2020060028672U KR20060028672U KR200438219Y1 KR 200438219 Y1 KR200438219 Y1 KR 200438219Y1 KR 2020060028672 U KR2020060028672 U KR 2020060028672U KR 20060028672 U KR20060028672 U KR 20060028672U KR 200438219 Y1 KR200438219 Y1 KR 2004382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ngular
tear
ratchet
tearing
eas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영
Original Assignee
이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영 filed Critical 이인영
Priority to KR2020060028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2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2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21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5Coating with a layer, stuffing, laminating, binding or compressing of original fish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9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공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찢어 먹기 편리한 쥐치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쥐치포는 작은 쥐치 어포(1) 수개를 그 결(2)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배열하고, 어포의 결 방향으로 찢기 위한 찢기 홈(3)을 다수 형성한 삼각형 형상을 가진 삼각 쥐치포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삼각 쥐치포는, 어포의 결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어포의 결 방향으로 찢기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작은 힘으로도 쉽게 찢어진다. 본 쥐치포는 10세 전후의 어린이들도 쉽게 찢어 먹을 수 있다.
쥐치, 쥐치포, 결, 찢기 홈, 삼각형

Description

찢기 용이한 삼각 쥐치포{Well Cutting Triangular Dried File Fish}
도 1은 본 고안인 삼각쥐치포의 형상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삼각쥐치포의 제조방법 그림이다.
※ 주요 구성요소 번호
1 : 어포 조각, 2 : 쥐치포 결, 3. 찢기 홈
본 고안은 가공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찢어 먹기 편리한 쥐치포에 관한 것이다.
쥐치는 그 학명이 Stephanolepis cirrhifer이며, 최대 몸길이 20cm까지 성장하는데, 서부 서부태평양의 온대 해역의 수심 100m 가량의 암초 지대에 주로 서식하고, 5 내지 8월에 산란을 하는 복어목 쥐치과에 속하는 경골어류의 바닷물고기이다. 쥐치는 문헌에 쥐치어, 서탑, 서어로 기록되어 있고, 쥐고기라 많이 불리며, 전남에서는 쥐치어, 포항에서는 가치, 제주도에서는 객주리라 불린다. 쥐치어의 몸은 타원형에 가까우며 옆으로 매우 납작하고 몸높이는 높다. 주둥이 끝은 뾰족하 고, 암초 등에 붙어있는 생물을 뜯어 먹기에 편리한 강한 앞니를 가지고 있다. 몸은 전체적으로 노란색 또는 회갈색이며, 여러 개의 암갈색 점이 흩어져 있다. 집단에서 우위에 있는 쥐치는 암갈색 무늬가 짙다. 작고 거친 비늘 때문에 몸은 매우 꺼칠꺼칠하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노란색을 띤다. 꼬리지느러미는 담갈색 바탕에 암갈색 띠가 2∼3줄 나타난다.
쥐치는 몸이 납작하여 껍질을 벗겨서 포를 뜨기가 쉬우며, 뼈가 연하여 뼈째 썰어서 회로 먹으며, 10~12㎝ 크기로 포를 뜬 것을 포개서 조미하여 말린 것이 쥐치포이다. 쥐치에는 불포화 지방산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서 고혈압, 비만 등의 성인병의 위험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쥐치포는 1960, 1970년대에는 어획량이 풍부하고, 크기가 비교적 큰 성어들이 많이 잡혀, 성어를 어포로 뜨고, 두 쪽씩 접착, 건조한 쥐치포가 많이 생산되었고, 국내에 다량으로 소비되고, 가공 수산물로 수출까지 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부터는 어자원이 고갈되고, 쥐치의 채형이 작은 것이 주로 잡혀서, 작은 쥐치 어포 여러 장을 일정 형상의 틀에 넣고 압착, 건조하여 쥐치포를 생산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 시판되는 쥐치포는 타원형 형상이 60% 정도, 원형 형상이 38% 정도로 대종을 이루고, 그외 사각형, 일자 막대형 등이 소량 판매되고 있다.
현재 쥐치포는 매년 소비량이 줄고 있는데, 그 원인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종래의 쥐치포는 그 자체가 딱딱하고, 원형 또는 타원형의 쥐치포는 찢기가 불편하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자력으로 찢어 먹기가 불편하여 어린이 간식용으로의 소비 가 크게 줄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특히 쥐치포를 불에 구운 후 시간이 경과하여 식게 되면, 어포의 등 부분이 아주 딱딱하게 굳어, 심지어 성인도 찢어 먹기 불편하여 소매점에서 술안주로 소비되는 량도 줄고 있는 추세이다.
쥐치포는 단백질 이 풍부하고 불포화 지방산을 다량으로 함유하여 영양학적으로 아주 우수한 식품인바, 이의 소비, 특히 아동들의 소비를 늘려 국민 건강에 기여하고, 수산업에 종사하는 어민들의 소득을 증대하기 위하여, 찢어 먹기 편한 쥐치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쥐치포는 찢어서 먹기가 아주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바, 쉽게 찢을 수 있는 쥐치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구조적으로 쉽게 찢어지는 쥐치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쥐치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미한 쥐치 어포(여기서 어포란, 물고기의 뼈를 발골하고 남은 납작한 형상의 육질로서, 건조되기 전의 것을 칭한다. 이하 동일하다.)(1) 수개를 그 결(2)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배열하고, 어포의 결 방향으로 찢기 위한 찢기 홈(3)을 다수 형성한 형상으로서,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상을 한 쥐치포이다.
쥐치를 비롯한 물고기류는 그 육질에, 머리 쪽에서 꼬리 쪽으로 결이 형성되 어 있는데, 이 결 방향으로는 비교적 쉽게 찢어는 반면, 결과 횡 방향으로는 잘 찢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여러 장의 어포를 겹쳐서 제조한 쥐치포가 잘 찢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어포의 결이 일정한 방향이 되도록 해야한다.
원형 또는 타원의 경우 구조적으로 매우 튼튼한 구조이고, 어느 방향으로 찢더라도 찢기는 길이가 길어서 쥐치포를 종래와 같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할 경우 찢는데 큰 힘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찢기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고, 구조적으로 약한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하는데, 그 중 삼각형이 가장 유리하다.
따라서 쥐치포의 어포들을 결이 일정한 방향이 되도록 하여 건조 성형을 하는데, 그 형상을 삼각형으로 하면 그 결을 따라 잘 찢어지므로 먹기가 편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 쥐치포를 결을 따라 접듯이 구부리면 쥐치포가 쉽게 쪼개지고, 이런 방법으로 먹을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쥐치 어포(1)를 일정한 형상의 틀에 넣어 쥐치포를 제조할 경우, 틀과 접하는 부분인 가장자리 부위에서 어포들이 접히고, 육즙들이 말라붙어 잘 찢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쥐치포를 쉽게 찢기게 하려면, 어포의 결의 끝이 노출된 변에 찢기 홈(3)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찢기 홈을 형성하여 두면, 그 홈이 노치(Notch)가 되고, 쥐치포를 찢기 위하여 힘을 가하면 그 홈의 하단에 응력이 집중되어, 작은 힘으로도 쥐치포가 찢어진다. 노치의 홈이 쥐치포의 결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쥐치포는 끝까지 잘 찢어진다.
쥐치포를 더욱더 잘 찢어지게 하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쥐치포를 긴 장방형 형태로 성형, 건조하여 제조하고, 이를 삼각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절단 한 후, 결의 끝이 노출된 두 변에 찢기 홈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때, 삼각형 요철로 절단되는 재봉용 가위와 같은 구조의 절단기를 이용하면 절단과 찢기 홈의 형성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쥐치포를 제조하면, 긴 장방형 형상의 쥐치포를 절단하는 방법에 따라 사다리꼴, 사각형, 마름모꼴, 육각형, 평행사변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쥐치포의 형상과 제조방법은 쥐치포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건조 어포 또는 육포에 적용될 수 있고,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삼각 쥐치포는, 어포의 결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어포의 결 방향으로 찢기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작은 힘으로도 쉽게 찢어진다.
실험적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직경 10cm의 원형 쥐치포를 무작위로 100매를 구입하여 시험하여 본 결과, 직경 방향으로 찢는데 3 내지 5kgf가 소요되었다. 이정도의 찢는 힘은 12세 전후의 어린이가 내기 어려워 쥐치포를 찢어 먹기 어렵다.
반면, 본 고안인 쥐치포를 한 변의 길이를 10cm로 제조하여 시험해본 결과, 가장 긴 하변을 찢는데 2 내지 3kgf가 소요되었다. 이 정도의 힘은 10세 전후의 어린이가 낼 수 있는 힘으로서, 어린이들도 쉽게 찢어 먹을 수 있다.
본 고안인 삼각 쥐치포가 시판될 경우, 쥐치포의 소비가 증가하여 어민 및 수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큰 경제적 도움이 되고, 국민 건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인 삼각 쥐치포는 종래의 쥐치포와는 색다른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사람들의 구매욕구를 자극하여 소비가 더욱 촉진될 수 있다.

Claims (4)

  1. 어포의 결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다수의 조미한 쥐치 어포 조각을 배열하여 건조한 것으로서, 전체적 형상이 삼각형이고, 육질의 결이 시작되고 끝나는 변에 다수의 찢기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 쥐치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쥐치포는,
    원료 쥐치포를 장방형으로 길게 제조하고, 찢기 홈이 있는 변은 원료쥐치포를 건조한 후 이를 삼각형으로 절단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 쥐치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쥐치포는,
    장방형 원료 쥐치포의 절단부위의 위치에 따라 사다리꼴, 사각형, 마름모꼴 또는 여타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쥐치포.
KR2020060028672U 2006-10-30 2006-10-30 찢기 용이한 삼각 쥐치포 Expired - Fee Related KR2004382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672U KR200438219Y1 (ko) 2006-10-30 2006-10-30 찢기 용이한 삼각 쥐치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672U KR200438219Y1 (ko) 2006-10-30 2006-10-30 찢기 용이한 삼각 쥐치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219Y1 true KR200438219Y1 (ko) 2008-01-29

Family

ID=4133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672U Expired - Fee Related KR200438219Y1 (ko) 2006-10-30 2006-10-30 찢기 용이한 삼각 쥐치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2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je et al. An atlas on the Elasmobranch fishery resources of India
Yokota et al. Family Gymnuridae
CN102805219A (zh) 一种钓青鱼饵的配制方法
KR200438219Y1 (ko) 찢기 용이한 삼각 쥐치포
Skałecki et al. The nutritional valu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muscle tissue of carp (Cyprinus carpio L.) and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Walb.) obtained from fish farms in the Lublin region
Castro A field guide to the sharks commonly caught in commercial fisheries of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KR20170116414A (ko) 제주 냉면의 제조방법
Séret Batoid fishes
Tan et al. A colour guide to the fishes of the South China Sea and the Andaman Sea
Raghunath et al. Carcass characteristics of a farmed medium carp Hypselobarbus pulchellus (Day, 1878)
CN1723784A (zh) 一种鲜鱼去刺法
Sadhale et al. On fish in Manasollasa (c. 1131 AD)
JP2001275581A (ja) 頭足類養殖用飼料
Nichols Fishes of the vicinity of New York City
Vidthayanon Species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fishes in the South China Sea, Area I: Gulf of Thailand and east coast of Peninsular Malaysia
Fearnley-Whittingstall et al. The River Cottage Fish Book
KR101268190B1 (ko) 일정량의 난질을 함유한 암컷 알배기 양식 참조기 굴비 제조방법
Hadiuzzaman et al. Etymological history of some freshwater fishes of Bangladesh: A review
Sweetser The Connoisseur's Guide to Fish & Seafood
Stoops et al. RAYS, SKATES, AND SHARKS (ELASMOBRANCHS)
Barco FISh neT MArkS On CeTACeAnS
Badonia et al. Important fishery resources of Madhya Pradesh
al-Janabi Identify Some Morphorogical and Biological Study of Gar or Alligator Fish Atractosteus spatula (Lepisosteiformes: Lepisosteidae)(Lacepede, 1803)
CN104839480A (zh) 一种七星刀鱼的养殖饲料以及生产方法
Rajan Utilization of trash fish in value added food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10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707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1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0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21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