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38100Y1 - 식용유 정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식용유 정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100Y1
KR200438100Y1 KR2020070003495U KR20070003495U KR200438100Y1 KR 200438100 Y1 KR200438100 Y1 KR 200438100Y1 KR 2020070003495 U KR2020070003495 U KR 2020070003495U KR 20070003495 U KR20070003495 U KR 20070003495U KR 200438100 Y1 KR200438100 Y1 KR 200438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oil
filter
tank
adsorbent
refi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선
신대승
Original Assignee
이종선
신대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선, 신대승 filed Critical 이종선
Priority to KR2020070003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1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10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08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filtration, e.g. including ultra filtration, di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6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8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10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식용유 정제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따른 식용유 정제 시스템은 사용한 식용유를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정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여과망이 내재되어 있어, 식용유를 여과시키는 여과필터,흡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식용유를 정제시키는 정제필터, 상기 정제필터의 하부에 설치되는 탱크, 및 상기 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정제부 및 상기 탱크의 일측에 설치된 관을 통하여 상기 탱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탱크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진공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정제부는, 상기 탱크가 진공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여과필터로부터 공급호스를 통하여 상기 식용유를 공급받아 상기 정제필터로 하여금 상기 식용유를 정제시킨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진공펌프와 식용유를 배출하는 배출펌프를 분리함으로써 진공펌프의 흡입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식용유 정제, 정제필터, 흡착제

Description

식용유 정제 시스템{System for refining cooking oi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용유 정제 시스템의 내부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용유 정제 시스템의 내부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용유 정제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제필터의 구조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정제필터의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여과필터 120 : 정제필터
130 : 진공펌프 140 : 배출 펌프
160 : 제어박스
본 고안은 식용유 정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한 식 용유를 여과필터 및 정제필터를 이용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정제하는 식용유 정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튀김용으로 사용되는 식물성 식용유는 수회 반복해서 사용되면, 동물성 유지, 불순물, 현탁된 고체제, 지방산, 산화물 등이 함께 혼합되어 오염되므로 새 식용유로 교체하지 아니하고 반복해서 사용하는 경우 인체에 매우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한 식용유를 폐기하지 않고 정제하여 재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실용신안등록 제0231418호에서는, 하부에 저장탱크를 설치하고, 다수의 구멍 외주연에 필터 고정돌기를 돌출시킨 본체의 하부에 다수의 백필터를 고정부재로 고정시켜 다량의 폐식용유를 정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구조적으로 백필터가 여러 개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많이 들고 교체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자연낙하시켜 정제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어, 단순히 동물성 유지와 식물성 식용유를 여과 분리시키는 것에 한정됨으로써, 특유의 냄새, 불순물, 현탁된 고체제, 지방산, 산화물 등은 그대로 잔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0203081호에서는, 정제필터의 하부 외측에 연결된 흡입압이 발생되는 부스터 펌프를 구동시켜 폐식용유를 강제 흡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부스터 펌프로 정제된 식용유가 함께 빠져나감으로써 부스터 펌프에 불순물이나 이물질 등이 누적되어 부스터 펌프의 흡입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제필터의 하부에 설치된 진공 탱크의 일면에 진공펌프를 설치하여 진공펌프가 탱크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식용유를 흡입하여 정제필터가 식용유를 정제하도록 하는 식용유 정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따른 식용유 정제 시스템은 사용한 식용유를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정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여과망이 내재되어 있어, 식용유를 여과시키는 여과필터,흡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식용유를 정제시키는 정제필터, 상기 정제필터의 하부에 설치되는 탱크, 및 상기 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정제부 및 상기 탱크의 일측에 설치된 관을 통하여 상기 탱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탱크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진공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정제부는, 상기 탱크가 진공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여과필터로부터 공급호스를 통하여 상기 식용유를 공급받아 상기 정제필터로 하여금 상기 식용유를 정제시킨다.
상기 정제필터는 상기 탱크 내부에 삽입되는 하우징 구조로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흡착제가 충진 되고 상기 하우징 하부는 상기 흡착제가 빠지지 않도록 멤브레인을 구비하며, 상기 흡착제 상부에는 상기 흡착제의 상부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눌러주는 누름판을 구비한다.
상기 누름판은 알루미늄 재질의 얇은 판으로서 판 내부에 복수개의 홀 들이 형성되어 상기 정제필터로 들어오는 식용유가 상기 흡착제 상부면으로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 충진된 상기 흡착제를 교체함으로써 상기 정제필터가 계속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제필터는 상기 탱크 내부에 삽입되는 하우징 구조로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흡착제가 충진 되고, 상기 하우징 하부는 상기 흡착제가 빠지지 않도록 제 1 멤브레인을 구비하며, 상기 흡착제 상부에는 상기 흡착제의 상부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눌러주는 스펀지 형상의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 위에 얹어지는 제 2 멤브레인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을 교체함으로써 상기 정제필터가 계속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탱크는 상기 식용유가 아래쪽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하면이 원뿔 형상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으며, 상기 탱크의 하면의 최저점에 설치되어, 상기 식용유가 일정한 양이상 저장되면 그 압력에 의해서 통로를 개방하여 상기 식용유를 상기 저장용기로 통과시키는 체크 밸브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식용유가 한 쪽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하면이 경사지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용기의 하면의 최저점 측면에 설치된 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식용유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펌프를 더 구비한다. 상기 흡착제는 다공질 입상형상의 규산마그네슘을 포함한다.
상기 정제필터의 온도와 압력 및 흡착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용유 정제 시스템의 내부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용유 정제 시스템의 내부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용유 정제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용유 정제 시스템의 구조 및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식용유 정제 시스템(100)의 내부에 정제부가 설치되고 정제부의 측면에 진공 펌프(130)와 배출펌프(140)가 설치된다. 진공펌프(130)와 배출펌프(140)의 뒤쪽으로 여과필터(110)가 설치된다.
여과필터(110)는 여과망(미도시)이 내재되어 있어 식용유를 1차적으로 여과시킨다. 여과필터(110)의 상측에는 외부로부터 사용한 식용유를 공급받는 공급구(112)가 설치되고, 공급구(112) 아래에 여과필터(110)의 뚜껑(113)이 설치된다. 뚜껑은 나사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서 여과필터(110)에 착탈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전기밥솥과 같이 일측이 고정된 채로 열고 닫는 구조일 수도 있다.
여과망은 스테인레스 강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 메쉬(mesh) 크기의 그물구조로 되어 있다. 여과망은 재질이 스테인레스 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여과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여과필터(110)의 하측에는 여과시킨 식용유를 배출하는 배출구(116)가 설치되어 있고 배출구(116)는 공급호스(118)에 연결된다.
정제부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여과필터(110)로부터 공급되는 식용유를 정제시키는 정제필터(120), 정제필터(120)의 하부에 설치되는 탱크(152) 및 탱크(152)의 하부에 설치되는 저장용기(154)를 구비한다.
정제부는 탱크(152)가 진공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여과필터(120)로부터 공급호스(118)를 통하여 식용유를 공급받아 정제필터(120)로 하여금 식용유를 정제시킨다.
정제필터(120)는 상측에 공급구(122)가 설치되어 있어, 여과필터(110)의 배출구(116)로부터 공급호스(118)를 통하여 식용유를 공급받는다.
도 4는 도 1의 정제필터의 구조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정제필터(120)의 구조 및 동작을 좀 더 설명한다. 정제필터(120)는 탱크(152) 내부에 삽입되는 하우징 구조이다. 하우징 내부에 흡착제(124)가 충진 되고 하우징 하부는 흡착제(124)가 빠지지 않도록 멤브레인(128)을 구비하며, 흡착제(124) 상부에는 흡착제(124)의 상부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눌러주는 누름판(126)을 구비한다.
정제필터(120)의 하우징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테인레스나 플라스틱 등 식품용 내화학성 특성과 무독성 및 내열성을 가진 재질이면 하우징의 재질로 이용될 수 있다.
하우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부가 옆으로 튀어나와 탱크(152)에 걸리도록 되어있다. 하우징이 탱크(152) 내부에 안착되면 탱크 내부의 빈 공간은 진공펌프(130)에 의해서 진공이 되고, 따라서 공급구(122)를 통해서 정제필터(120)로 들어오는 식용유가 흡착제(124)와 멤브레인(128)를 통해서 탱크(152)로 이동된다.
누름판(126)은 알루미늄 재질의 얇은 판으로서 판 내부에 복수개의 홀 들이 형성되어 정제필터(120)로 들어오는 식용유가 흡착제(124) 상부면으로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한다. 흡착제(124)는 가루로 되어 있어 정제필터(120)의 이동시에 흡착제(124)가 한쪽으로 쏠릴 수 있다. 이 경유 식용유가 적게 쌓여진 부분을 통과하게 된다면 그만큼 정제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흡착제(124)는 항상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급구(122)를 통해 정제필터(120)로 들어오는 식용유의 낙차로 인하여 식용유가 흡착제(124)에 부딪히는 부분은 움푹 파이게 된다. 누름판(126)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홀 들이 형성되어 정제필터(120)로 들어오는 식용유가 흡착제(124) 상부면으로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누름판(126)의 홀들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멤브레인(128)은 부직포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흡착제(124)가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멤브레인(128)은 선택 투과성을 가지는 막 구조로 이루어져 있 다. 도 4의 구조를 가시는 정제필터(120)는 흡착제(124)를 충진하는 방식으로서, 하우징 내부에 충진된 흡착제(124)를 교체함으로써 정제필터(120)가 계속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정제필터의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정제필터(120)는 탱크(152) 내부에 삽입되는 하우징 구조이다. 하우징 내부에 흡착제(124)가 충진 되고, 하우징 하부는 흡착제(124)가 빠지지 않도록 제 1 멤브레인(515)을 구비하며, 흡착제(124) 상부에는 흡착제(124)의 상부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눌러주는 스펀지 형상의 부직포(513)와 부직포 위에 얹어지는 제 2 멤브레인(510)을 구비한다.
이때,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다. 그리고, 하우징과 제 1멤브레인(515), 스펀지 형상의 부직포(513), 흡착제(124) 및 제 2 멤브레인(510)을 하나의 카트리지 방식으로 만들어서 하우징을 일정시기마다 교체할 수 있다. 그러면, 정제필터(120)가 계속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는 흡착제(124), 제1 및 제 2 멤브레인(515, 510) 및 스펀지 형상의 부직포(513)의 형상이 모두 원기둥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그 형상은 하우징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흡착제(124)는 규산마그네슘이 주성분으로서 몬모리올나이트계의 천연 규산마그네슘 광물질로 신생대에 살던 규조류 식물이 퇴적되어 암반층이 형성된 무기화학재료이다. 규산마그네슘은 제산효과가 뛰어나고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흡착제(124)는 다공질 입상형의 구조를 가진다.
식용유 정제 시스템(100)은 정제필터(120)의 외부에 정제필터(120)의 온도와 압력 및 흡착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정제필터(120)의 온도와 압력을 제어하고 흡착속도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는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등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구조나 동작의 설명을 생략한다.
탱크(152)의 일측에 설치된 관(132)이 진공펌프(130)로 연결된다. 진공펌프(130)는 탱크(152)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탱크(152)를 진공상태로 만든다. 탱크(152)가 진공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여과필터(110)로부터 공급호스(118)를 통하여 식용유를 정제필터(120)로 공급시킨다.
진공펌프(130)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진공을 발생시키는 콤프레서(compressor)로서, 이러한 콤프레서의 구성 및 동작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탱크(152)는 식용유가 아래쪽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하면이 원뿔 형상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식용유 정제시스템(100)은 탱크(152)의 하면의 최저점에 설치되어, 식용유가 일정한 양 이상 저장되면 그 압력에 의해서 통로를 개방하여 식용유를 저장용기(154)로 통과시키는 체크 밸브(156)를 더 구비한다.
체크 밸브(156)는 압력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것으로서 한쪽 방향으로만 물질이 흐르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물질이 흐르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체크 밸브(156)는 탱크(152)가 진공상태를 유지할 때에는 저장용기(154)로부터 탱크(152)로 식용유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저장용기(154)는 식용유가 한 쪽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하면이 경사지게 되어 있다. 저장용기(154)의 하면의 최저점 측면에 설치된 관(142)으로 연결되어 있는 배출 펌프(140)가 설치된다. 배출 펌프(140)는 정제된 식용유를 외부의 저장용기(미도시)로 배출구(144)를 통해 배출시킨다. 배출펌프(140)는 부스터 펌프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진공펌프(130)와 식용유를 배출하는 배출펌프(140)를 분리함으로써 진공펌프(130) 내로 식용유가 흘러 들어가지 않으므로, 종래기술에 비하여 진공펌프(130)의 흡입성능이 저하될 염려가 없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식용유 정제 시스템(100)은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좁은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고 업소용 뿐만 아니라 산업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동이 편리하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정제필터의 하부에 설치된 탱크의 측면에 진공펌프를 설치하고 정제된 식용유를 빼내는 배출펌프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진공펌프가 탱크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그 흡입력을 이용하여 정제필터를 통해 식용유를 정제시킬 때, 진공펌프 내로 식용유가 들어가지 않아 진공펌프의 흡입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식용유 정제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식용유 정제 시스템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좁은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고 업소용뿐만 아니라 가정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정제필터를 교체식으로 구성하여 일정기간 사용하면 새로운 것으로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사용한 식용유를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정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여과망이 내재되어 있어, 식용유를 여과시키는 여과필터;
    흡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식용유를 정제시키는 정제필터, 상기 정제필터의 하부에 설치되는 탱크, 및 상기 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정제부; 및
    상기 탱크의 일측에 설치된 관을 통하여 상기 탱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탱크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진공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정제부는, 상기 탱크가 진공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여과필터로부터 공급호스를 통하여 상기 식용유를 공급받아 상기 정제필터로 하여금 상기 식용유를 정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 정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필터는 상기 탱크 내부에 삽입되는 하우징 구조로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흡착제가 충진 되고 상기 하우징 하부는 상기 흡착제가 빠지지 않도록 멤브레인을 구비하며, 상기 흡착제 상부에는 상기 흡착제의 상부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눌러주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 정제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알루미늄 재질의 얇은 판으로서 판 내부에 복수개의 홀 들이 형성되어 상기 정제필터로 들어오는 식용유가 상기 흡착제 상부면으로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 정제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충진된 상기 흡착제를 교체함으로써 상기 정제필터가 계속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 정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필터는 상기 탱크 내부에 삽입되는 하우징 구조로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흡착제가 충진 되고, 상기 하우징 하부는 상기 흡착제가 빠지지 않도록 제 1 멤브레인을 구비하며, 상기 흡착제 상부에는 상기 흡착제의 상부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눌러주는 스펀지 형상의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 위에 얹어지는 제 2 멤브레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 정제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교체함으로써 상기 정제필터가 계속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 정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상기 식용유가 아래쪽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하면이 원뿔 형상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으며,
    상기 탱크의 하면의 최저점에 설치되어, 상기 식용유가 일정한 양 이상 저장되면 그 압력에 의해서 통로를 개방하여 상기 식용유를 상기 저장용기로 통과시키는 체크 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 정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식용유가 한 쪽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하면이 경사지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용기의 하면의 최저점 측면에 설치된 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식용유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펌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 정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다공질 입상형상의 규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 정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필터의 온도와 압력 및 흡착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 정제 시스템.
KR2020070003495U 2007-03-02 2007-03-02 식용유 정제 시스템 Expired - Lifetime KR200438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495U KR200438100Y1 (ko) 2007-03-02 2007-03-02 식용유 정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495U KR200438100Y1 (ko) 2007-03-02 2007-03-02 식용유 정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100Y1 true KR200438100Y1 (ko) 2008-01-21

Family

ID=41344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495U Expired - Lifetime KR200438100Y1 (ko) 2007-03-02 2007-03-02 식용유 정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100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0971A (zh) * 2016-05-31 2016-09-07 浙江智海化工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吸附器填料自动化填装系统
KR20210035930A (ko) 2019-09-24 2021-04-02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일 정제 장치
KR20210035931A (ko) 2019-09-24 2021-04-02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형체 고속 수세 장치 및 고형체 고속 수세 방법
CN113845973A (zh) * 2021-07-05 2021-12-28 张运峰 一种冰洁式杂质快速分离的食用油除杂工艺
WO2022082270A1 (en) * 2020-10-21 2022-04-28 Intreft Pty Ltd A waste oil recovery unit
KR20220064515A (ko) 2020-11-12 2022-05-19 주식회사 자이언트케미칼 폐유 정제 장치
KR20220080367A (ko) * 2020-12-07 2022-06-14 (주)청양식품 튀김용 압착 참기름의 제조 방법
WO2024020651A1 (en) * 2022-07-29 2024-02-01 Intreft Pty Ltd A waste oil recovery unit
AU2018211243B2 (en) * 2017-09-06 2024-10-10 Trojan Oils Asset Holdings Pty Ltd An Improved Liquid Waste Disposal Apparatu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0971A (zh) * 2016-05-31 2016-09-07 浙江智海化工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吸附器填料自动化填装系统
AU2018211243B2 (en) * 2017-09-06 2024-10-10 Trojan Oils Asset Holdings Pty Ltd An Improved Liquid Waste Disposal Apparatus
KR20210035930A (ko) 2019-09-24 2021-04-02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일 정제 장치
KR20210035931A (ko) 2019-09-24 2021-04-02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형체 고속 수세 장치 및 고형체 고속 수세 방법
WO2022082270A1 (en) * 2020-10-21 2022-04-28 Intreft Pty Ltd A waste oil recovery unit
KR20220064515A (ko) 2020-11-12 2022-05-19 주식회사 자이언트케미칼 폐유 정제 장치
KR20220080367A (ko) * 2020-12-07 2022-06-14 (주)청양식품 튀김용 압착 참기름의 제조 방법
KR102520043B1 (ko) * 2020-12-07 2023-04-11 (주)청양식품 튀김용 압착 참기름의 제조 방법
CN113845973A (zh) * 2021-07-05 2021-12-28 张运峰 一种冰洁式杂质快速分离的食用油除杂工艺
CN113845973B (zh) * 2021-07-05 2024-03-12 内蒙古天赋南仁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冰洁式杂质快速分离的食用油除杂工艺
WO2024020651A1 (en) * 2022-07-29 2024-02-01 Intreft Pty Ltd A waste oil recovery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100Y1 (ko) 식용유 정제 시스템
KR101761093B1 (ko) 연기 정화장치
CN102770518B (zh) 油/水过滤装置
AU2008362231A1 (en) Water separator
US20090211963A1 (en) Particle Interceptor
CN105417755A (zh) 家用净水器
CN109867371A (zh) 一种家庭用生活污水过滤装置
CN207862054U (zh) 一种废水过滤装置
CN200945392Y (zh) 一种新型微孔陶瓷管滤池
KR101011701B1 (ko) 폐식용유 재활용 장치
CN208695186U (zh) 一种畜类大肠肠渣过滤机
CN210311854U (zh) 一种带有定量除油的食用油存储罐
JP2010184205A (ja) グリストラップの排液処理方法とその排液処理装置
CN207253862U (zh) 一种新型过滤装置
CN206526560U (zh) 一种生活中用的饮用水过滤装置
CN208161258U (zh) 一种水空气净化器
CN215756811U (zh) 一种化工废水处理装置
KR200404604Y1 (ko) 식용유 정제기
KR101104421B1 (ko) 섬유막 여과장치
KR101136030B1 (ko) 식용유 정제장치
KR100767750B1 (ko) 순환식 식용유 정제기
CN209612457U (zh) 一种玻璃钢废气吸收装置
CN217854689U (zh) 一种餐厨垃圾油水分离装置
CN216703825U (zh) 一种除尘机构
US20030178376A1 (en) Filt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30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1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7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