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495Y1 - Sole Unit - Google Patents
Sole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7495Y1 KR200437495Y1 KR2020070011712U KR20070011712U KR200437495Y1 KR 200437495 Y1 KR200437495 Y1 KR 200437495Y1 KR 2020070011712 U KR2020070011712 U KR 2020070011712U KR 20070011712 U KR20070011712 U KR 20070011712U KR 200437495 Y1 KR200437495 Y1 KR 20043749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nt
- sole
- groove
- ventilation
- shoe so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01000004624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10668 atopic ecz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BWMISRWJRUSYEX-SZKNIZGXSA-N terbinaf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1=CC=C2C(CN(C\C=C\C#CC(C)(C)C)C)=CC=CC2=C1 BWMISRWJRUSYEX-SZKNIZGXSA-N 0.000 description 4
- 201000004647 tinea pedi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022 ve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44 Gore-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00 swe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바닥을 지지하는 신발창(10)과, 신발창(10)의 상부에 안착되는 깔창(20)을 포함하는 신발창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이중 신발창(10)은, 발의 앞축을 지지하는 앞닫이(11)와, 발의 뒤꿈치를 지지하는 뒤닫이(13)와, 앞닫이(11)와 뒤닫이(13)의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닫이(12)로 구성된다. 앞닫이(11)에는 신발창(10)을 관통하는 다수의 제1홈통기공(14a)이 형성된 제1홈부(14)가 형성된다. 중간닫이(12)에는 신발창(10)을 관통하는 제2홈통기공(15a)이 형성된 제2홈부(15)가 형성된다. 홈부(14)와 제2홈부(15) 사이에는 공기가 흐르는 다수의 유로(16a)를 가지는 통기부(16)가 형성된다. 제1홈부(14)에는 통기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외부의 흙이나 이물질들이 신발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통기체(17)가 설치된다. 제2홈부(15)에는 통기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외부의 흙이나 이물질들이 신발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통기체(18)가 설치된다. 깔창(20)에는, 통기부(16)의 상부에 해당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통기부(16)를 흐르는 공기가 유동되는 다수의 통기공(21)과, 제2통기체(18)의 상부에 해당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발바닥의 중간부분에 의하여 눌리어지는 펌프부(22)가 형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e unit including a sole 10 for supporting a sole, and an insole 20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ole 10. The dual sole 10 has a front lid 11 supporting the front axle of the foot, a rear lid 13 supporting the heel of the foot, and a middle lid 12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lid 11 and the rear lid 13. It is composed of The front cover 11 is formed with a first groove portion 14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groove holes 14a penetrating the shoe sole 10. The middle cover 12 is formed with a second groove portion 15 having a second groove hole 15a penetrating the shoe sole 10. An air vent 16 having a plurality of flow paths 16a through which air flows is formed between the groove 14 and the second groove 15. The first groove 14 is provided with a first ventilation body 17 that enables ventilation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external soil or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shoe sole. The second groove 15 is provided with a second ventilation body 18 to allow ventilation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the external soil or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shoe sole. The insole 20 is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nt 16, the plurality of vent holes 21 and the second vent body 18 through which air flowing through the vent 16 flows. It is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is formed by the pump portion 22 which is pressed by the middle portion of the sole.
신발창, 통풍, 통기, 통기체 Sole, Ventilation, Aeration, Ventilation
Description
본 고안은 신발을 제조하는데 적용되는 신발창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발에 쾌적함을 제공하는 신발창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unit that is applied to manufacture a sho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unit that provides comfort to the wearer's feet.
신발은 모든 일상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착용하는 것으로서, 바닥을 지지하는 신발창과, 신발창의 상부에 마련되어 발등을 감싸는 신발갑피와, 신발갑피 내부의 신발창에 안착되는 깔창으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신발갑피는 가죽이나 천등으로 되어 있고, 신발창은 우레탄 재질의 성형재로 되어 있다. 이러한 신발은 발을 감싸줌으로써, 걷거나 뛸 때 발에 쿠션을 제공한다.Shoes are worn by people of all daily life, and consists of a shoe sole supporting the floor, a shoe uppe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hoe sole to cover the instep, and an insole seated on the shoe sole inside the shoe upper. Typically, the shoe upper is made of leather or cloth, and the shoe sole is made of a urethane material. These shoes wrap the foot, providing a cushion to the foot when walking or running.
그런데 신발은 통풍이 잘 되지 않으므로, 오랜 시간동안 신발을 싣고 활동하다보면 신발 내부의 온도가 높아진다. 이에 따라 발에서 땀이 발생되고, 이러한 땀은 무좀균이나 습진균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발냄새가 발생하는 원인이 되었다.By the way, the shoes are not well ventilated, so if you put them on for a long time, the temperature inside the shoes increases. As a result, sweat is generated from the feet, and this sweat creates an environment in which athlete's foot or eczema grows well, and causes foot odor.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걸을때마다 신발 내부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땀의 발생을 억제하고, 이에 따라 무좀, 습진, 발냄새가 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신발창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hoe unit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sweat by allowing the ventilation inside the shoe every time you walk, according to the foot athletes foot, eczema, foot odor can be minimized accordingly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신발창 유니트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o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발바닥을 지지하는 신발창(10)과, 상기 신발창(10)의 상부에 안착되는 깔창(20)을 포함하는 신발창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10)은, 발의 앞축을 지지하는 앞닫이(11)와, 발의 뒤꿈치를 지지하는 뒤닫이(13)와, 앞닫이(11)와 뒤닫이(13)의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닫이(12)로 구성되고; 상기 앞닫이(11)에는 상기 신발창(10)을 관통하는 다수의 제1홈통기공(14a)이 형성된 제1홈부(14)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닫이(12)에는 상기 신발창(10)을 관통하는 제2홈통기공(15a)이 형성된 제2홈부(15)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14)와 제2홈부(15) 사이에는 공기가 흐르는 다수의 유로(16a)를 가지는 통기부(16)가 형성되며; 상기 제1홈부(14)에는 통기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외부의 흙이나 이물질들이 신발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통기체(17)가 설치되고; 상기 제2홈부(15)에는, 통기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외부의 흙이나 이물질들이 신발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통기체(18)가 설치되며; 상기 깔창(20)에는, 상기 통기부(16)의 상부에 해당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통기부(16)를 흐르는 공기가 유동되는 다수의 통기공(21)과, 상기 제2통기체(18)의 상부에 해당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발바닥의 중간부분에 의하여 눌리어지는 펌프부(22)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ole unit comprising a sole 10 for supporting the sole, and an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통기체(17)는, 상기 제1홈부(14)에 끼어져 결합되는 것으로서 구멍이 형성된 통기체몸체(17a)와, 상기 통기체몸체(17a)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흙이나 이물질들이 신발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망사체(17b)와, 통기체몸체(17a)와 망사체(17b)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원단(17c)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2통기체(18)는 제2홈부(15)에 끼어져 결합되는 것으로서 구멍이 형성된 상부통기체(18a)와, 상기 상부통기체(18a)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구멍이 형성된 하부통기체(18b)와, 상기 상부통기체(18a)와 하부통기체(18b) 사이에 위치되어 외부의 흙이나 이물질들이 신발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망사체(18c)와, 상부통기체(18a)와 망사체(18c)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원단(18d)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원에 따른 신발창 유니트에 따르면, 신발을 착용한 상태로 걸을 경우 펌프부에 의하여 펌핑과정이 반복되고, 펌핑과정에 의하여 제2통기체를 통하여 통기부로 흐르는 공기는 깔창의 통기공을 통하여 발바닥으로 전달되므로, 발바닥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발생된 땀을 말리게 되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신발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발바닥에서 땀이 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장시간동안 착용하더라도 무좀, 습진, 발냄새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쾌적하고 좋은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so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mping process is repeated by the pump unit when walking while wearing the shoes, the air flowing into the vent through the second vent by the pumping process to the sole through the vent of the insole to the sole Since it is transmitted, it prevents the temperature of the sole of the foot and increases the dry sweat generated at the same time to maintain a comfortable state. Therefo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sho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aised to minimize sweating on the sole of the foot, and even when worn for a long time, the occurrence of athlete's foot, eczema, and foot odor can be minimized while maintaining a comfortable and good fit. Can work, have an effect.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신발창 유니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shoe so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창 유니트가 적용되는 신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신발창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있어서 깔창을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신발창에 도 3의 깔창을 안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 도 5는 도 2의 제1통기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제2통기체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1의 신발창 유니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oe to which the so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ole in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ole in Figure 1, Figure 4 is a Figure 2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seating the insole of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ventilator of FIG. 2,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ventilator of FIG. 2.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ole unit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신발창 유니트는, 발바닥을 지지하는 신발창(10)과, 신발창(10)의 상부에 안착되는 깔창(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신발창 유니트는 착용자의 발등을 감싸는 신발갑피(30)와 결합되어 신발을 이루게 된다.As shown, the so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e 10 for supporting the sole, and the
신발창(10)은, 발의 앞축을 지지하는 앞닫이(11)와, 발의 뒤꿈치를 지지하는 뒤닫이(13)와, 앞닫이(11)와 뒤닫이(13)의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닫이(12)로 구성된다.The sole 10 includes a
앞닫이(11)에는 신발창(10)을 관통하는 다수의 제1홈통기공(14a)이 형성된 제1홈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닫이(12)에는 신발창(10)을 관통하는 제2홈통기공(15a)이 형성된 제2홈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홈부(14)와 제2홈부(15) 사이에는 공기가 흐르는 다수의 유로(16a)를 가지는 통기부(16)가 형성되어 있다. The
제1홈부(14)는, 통기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외부의 흙이나 이물질들이 신 발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통기체(17)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제1홈통기공(14a)이 형성되어 있다.The
제2홈부(15)는 통기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외부의 흙이나 이물질들이 신발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통기체(18)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제2홈통기공(15a)이 형성되어 있다. The
통기부(16)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부(16b)가 형성됨으로써, 돌부들 사이로 자연스럽게 유로(16a)가 형성되어 구현된다. The
제1통기체(17)는, 제1홈부(14)에 끼어져 결합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통기체몸체(17a)와, 통기체몸체(17a)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흙이나 이물질들이 신발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망사체(17b)와, 통기체몸체(17a)와 망사체(17b)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원단(17c)을 포함한다. 이때 방수원단(17c)은 공지의 고어텍스와 같은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제2통기체(18)는 제2홈부(15)에 끼어져 결합되는 것으로서 구멍이 형성된 상부통기체(18a)와, 상부통기체(18a)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구멍이 형성된 하부통기체(18b)와, 상부통기체(18a)와 하부통기체(18b) 사이에 위치되어 외부의 흙이나 이물질들이 신발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망사체(18c)와, 상부통기체(18a)와 망사체(18c)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원단(18d)을 포함한다. 이때 방수천(18d)은 공지의 고어텍스와 같은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깔창(20)은, 통기부(16)의 상부에 해당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통기부(16)를 흐르는 공기가 유동되는 다수의 통기공(21)과, 제2통기체(18)의 상부에 해당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발바닥의 중간부분에 의하여 눌리어지는 펌프부(22)를 포함한다. 상기한 깔창(20)은 자체 탄성이 있는 우레탄이나 합성수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펌프부(22)는 눌리어진 후 다시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러한 깔창(20)의 상부에는 발바닥과 밀착되는 밀착층이 부착되는데, 이러한 밀착층은 발바닥에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공기가 잘 통하는 편직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신발을 착용한 상태로 걷는 과정에서, 신발이 지면에 맞닿게 될 때 발바닥의 중간부분이 펌프부(22)를 누르게 되고 이후에 신발이 지면에서 분리될때 펌프부(22)는 원상태로 복원되는 펌핑과정이 반복되는데, 이러한 펌핑과정에서 펌프부(22)에는 음압이 반복적으로 발생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음압은 제2통기체(18)를 통하여 공기를 신발 내부로 유입시키게 하고, 이후 공기는 통기부(16)를 지나 제1통기체(17)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통기부(16)를 지나는 공기는 깔창(20)의 통기공(21)을 통하여 발바닥으로 전달되므로, 발바닥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발생된 땀을 말리게 되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더 나아가, 땀이 제거되므로, 무좀, 습진, 발냄새가 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By the above structure, in the process of walking with the shoes worn, the middle portion of the sole presses the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창 유니트가 적용되는 신발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oe to which the so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신발창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ole in Figure 1,
도 3은 도 1에 있어서 깔창을 배면에서 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ole from the back in Figure 1,
도 4는 도 2의 신발창에 도 3의 깔창을 안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ole of Figure 3 seated on the sole of Figure 2,
도 5는 도 2의 제1통기체의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vent of FIG. 2;
도 6은 도 2의 제2통기체의 분해사시도,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vent of FIG. 2;
도 7은 도 1의 신발창 유니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ole unit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 ... 신발창 11 ... 앞닫이10 ... Sole 11 ... Front
12 ... 중간닫이 13 ... 뒤닫이12 ... middle door 13 ... rear door
14 ... 제1홈부 14a ... 제1홈통기공14 ...
15 ... 제2홈부 15a ... 제2홈통기공15 ...
16 ... 통기부 16a ... 유로16
16b ... 돌부 17 ... 제1통기체
17a ... 통기체몸체 17b ... 망사체17a
17c ... 방수원단 18 ... 제2통기체17c ...
18a ... 상부통기체 18b ... 하부통기체18a ...
18c ... 망사체 18d ... 방수원단
20 ... 깔창 21 ... 통기공20 ...
22 ... 펌프부 30 ... 신발갑피22 ...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1712U KR200437495Y1 (en) | 2007-07-16 | 2007-07-16 | Sole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1712U KR200437495Y1 (en) | 2007-07-16 | 2007-07-16 | Sole Un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7495Y1 true KR200437495Y1 (en) | 2007-12-07 |
Family
ID=41628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1712U KR200437495Y1 (en) | 2007-07-16 | 2007-07-16 | Sole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7495Y1 (en) |
-
2007
- 2007-07-16 KR KR2020070011712U patent/KR200437495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53690B2 (en) | Ventilated footwear | |
KR100933527B1 (en) | Shoe Insole | |
KR100869451B1 (en) | Toe shoes | |
US20060283043A1 (en) | Article of footwear | |
KR20150000306U (en) | With improved breathability and waterproof footwear | |
KR20170122645A (en) | Breathable shoes having dual structure at Upper part | |
KR100566753B1 (en) | Gout combined health shoes | |
JP3160716U (en) | Footwear with breathable sole | |
KR100470751B1 (en) | Shoes having a good air circulation | |
EP2636325B1 (en) | Footwear with air circulation system | |
KR200437495Y1 (en) | Sole Unit | |
KR100564792B1 (en) | Shoe soles with vents at the bottom and outer periphery | |
KR101130975B1 (en) | A footwear slipsole | |
CN210672288U (en) | Vamp with integrally-formed shoelace holes | |
KR200416258Y1 (en) | Breathable shoes | |
CN220734551U (en) | Breathable sports shoes | |
KR200297996Y1 (en) | Shoes having a good air circulation | |
JP2006081580A (en) | Ventilation structure of footwear | |
KR200318279Y1 (en) | Shoes Having Heat Exchanging System | |
KR200365768Y1 (en) | Air-circulation type foot comfort for shoes | |
KR100510087B1 (en) | Shoes Having Heat Exchanging System | |
JP3161164U (en) | Foot dampening shoes | |
KR20240174005A (en) | Boots equipped with ventilation means | |
JP2004283454A (en) | Permeable shoe | |
KR200278149Y1 (en) | A Sports Shoes For Ai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71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6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711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71129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110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