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37253Y1 - 지주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지주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253Y1
KR200437253Y1 KR2020070014959U KR20070014959U KR200437253Y1 KR 200437253 Y1 KR200437253 Y1 KR 200437253Y1 KR 2020070014959 U KR2020070014959 U KR 2020070014959U KR 20070014959 U KR20070014959 U KR 20070014959U KR 200437253 Y1 KR200437253 Y1 KR 200437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concrete foundation
fastening means
ground
fixing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일균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한국교통장애인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한국교통장애인협회 filed Critical 사단법인 한국교통장애인협회
Priority to KR2020070014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2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25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주를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구조에 있어서, 지면 아래에 일정 깊이 매몰되도록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초부와; 하면이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의 상면과 접촉하며, 상기 지주의 하단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의 상부측에 해당되는 지중에 위치되되, 상기 고정판의 상면과 상기 지주의 하단 외면에 일체로 부착 설치되는 다수의 보강리브와; 하단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내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상단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판을 관통한 후 상기 보강리브 사이로 돌출되는 다수의 앙카볼트와, 상기 고정판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기 앙카볼트의 돌출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수단과; 상단부는 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지주의 외면과 접촉되도록 감싸고, 나머지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의 상부측에 해당되는 지중에 위치되어 상기 보강리브들 사이 공간으로 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판과 보강리브 및 체결수단을 함께 감싸는 체결수단 보호커버와; 상기 체결수단 보호커버의 상단부의 내면과 이에 대응되는 지주의 외면 사이에 설치되는 빗물 유입 방지링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수단 보호커버는, 좌우 대칭되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힌지를 매개로 하여 회동되면서 좌우로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좌측 보호커버와 우측 보호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의 반대편측의 상기 좌측 보호커버와 우측 보호커버에는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주, 보강리브, 보호커버, 콘크리트 기초부, 앙카볼트, 너트

Description

지주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post}
본 고안은 도로 표지판 또는 가로등용 지주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도로 안내표지판, 가로등 등의 교통안전시설이 설치되는데, 이 교통안전시설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의 상부에 도로 표지판 또는 가로등을 설치하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지주설치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 설치구조는, 일부는 인도(人道)측의 지면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됨과 아울러 나머지는 인도측의 지면 아래로 매몰되게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초부(6)와, 일부는 콘크리트 기초부(6)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됨과 아울러 나머지는 콘크리트 기초부(6)에 내장되도록 콘크리트 기초부(6)의 타설시 함께 설치되는 다수의 앙카볼트(6a)와, 콘크리트 기초부(6)의 상면으로 돌출된 앙카볼트(6a)가 삽입되어 돌출됨과 아울러 콘크리트 기초부(6)의 상면과 접촉하는 고정판(2)을 하단부에 일체로 구비한 지주(1)와, 고정판(2)의 상면으로 돌출된 앙카볼트(6a)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판(2)이 콘크리트 기초부(6)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너트(6b)와, 고정판(2)의 상면과 지주(1)의 하단 외면에 동시에 일체로 부착 설치됨과 아울 러 지주(1)의 외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는 삼각형 형상의 보강리브(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보강리브(3)는 고정판(2)과 지주(1)의 결합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지주(1)가 세워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보강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지주(1)의 상부에는 도로표지판(5)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주설치구조에서는, 보강판(2)과 보강리브(3) 및 콘크리트 기초부(6)가 지면 상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행자가 인도를 보행하던중 보강리브(3)에 걸려서 넘어지거나, 특히 보행자가 유아인 경우에는 특히 보강리브(3)에 잘 걸려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보강판(2)과 보강리브(3) 및 콘크리트 기초부(6)가 지면 상부로 돌출된 구조이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실안공보 제20-0413200호가 있는데, 이 기술에는 콘크리트 기초부의 상면에 베이스가 장착되는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의 지주의 하측, 베이스 및 콘크리트 기초부의 일측면을 동시에 커버하는 좌측 커버부와; 상기 좌측 커버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좌측 커버부와 체결되는 우측 커버부로 이루어진 베이스 커버가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실안공보 제20-0413200호의 기술은 베이스 커버에 의해 지면 상부로 돌출된 보강판과 보강리브 및 콘크리트 기초부를 보이지 않게 되어 미감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 있었다.
첫째, 베이스 커버로 지면 상부로 돌출된 보강판과 보강리브 및 콘크리트 기초부가 보이지 않도록 가리더라도, 지면 상부에 새로운 구조물인 베이스 커버가 여전히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보행자가 보행시 콘크리트 기초부 또는 보강리브가 아닌 베이스 커버에 의해 걸려 넘어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둘째, 베이스 커버의 장착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콘크리트 기초부에 가로등의 베이스를 설치한 후에, 좌측 커버부와 우측 커버부로 가로등 지부의 하측과 베이스 및 콘크리트 기초부를 동시에 감싼 다음, 좌측 커버부와 우측 커버부를 서로 일부 겹쳐지게 가결합 한 후, 이들의 일부 겹쳐진 부분에 복수개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가결합 상태를 완전 결합 상태가 되도록 하는데, 좌측 커버부와 우측 커버부를 상호 맞대어 결합하기 위해서는 스크류의 개수를 복수개 사용하는 관계로 설치 시공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다른 종래 기술로, 보강판과 보강리브 및 콘크리트 기초부가 지면 상부로 돌출된 구조이기 때문에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88445호에는 지면 아래로 일정 크기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의 바닥에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을 앵커볼트가 구비되도록 타설하며, 전주의 하단부에 고정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를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에 위치시켜 너트를 매개로 앵커볼트에 고정한 다음, 이 상부 플레이트와 앵커볼트와 너트 및 공간부내에 있는 전주를 에워싸도록 주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한 후, 마지막으로, 공간부를 흙으로 메우도록 하여 전주를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88445호는, 지면 아래에 전주를 매설하여 지면 상부로는 전주만 보이도록 하여 미관을 좋게 한다는 점은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차도 확장시 인도의 일부를 차도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인도에 설치된 전주의 위치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는 데, 우선 공간부에 매워진 흙을 모두 파헤친 후, 이 상부 플레이트와 앵커볼트와 너트 및 공간부내에 있는 전주를 에워싸는 주 콘크리트 구조물을 파쇄하여 해체한 다음, 너트를 풀어 앵커볼트로부터 상부 플레이트를 분리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그러나, 주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이 상부 플레이트와 앵커볼트와 너트 및 공간부내에 있는 전주가 에워싸여져 있기 때문에 주 콘크리트 구조물의 특성상 너트와 앵커볼트의 접속 부분에 있는 콘크리트를 모두 제거할 수 없어, 너트를 앵커볼트로부터 제거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강제적으로 상부 플레이트 근방에서 전주를 절단하여 전주 부분만을 일단 분리한 다음, 나머지 상부 플레이트와 앵커볼트와 너트를 공간부로부터 인출하기 위해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을 강제로 파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종래 기술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88445호에 개시된 기술은 차도 확장시 인도의 일부를 차도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 인도에 설치된 전주의 위치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이동시키고자 할 전주를 재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비록 전주를 재사용하지 않을 목적이라도 전주를 설 치하기 위한 구성 부재를 제거하는 작업이 난해할 뿐만 아니라 제거 시간도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고정판과 보강리브 및 앙카볼트/너트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으로 빗물 유입 방지링에 의해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됨과 아울러 흙을 메워 지면을 형성할 경우에 체결수단 보호커버에 의해 흙이 고정판과 보강리브 및 앙카볼트/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측으로 유입되지 않게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 고정판과 보강리브 및 앙카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의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너트를 푸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지주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체결수단 보호커버가 좌우 대칭되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힌지를 매개로 하여 회동되면서 좌우로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좌측 보호커버와 우측 보호커버로 이루어지며, 힌지의 반대편측의 좌측 보호커버와 우측 보호커버에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편이 형성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이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지주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최종적으로 흙으로 메워 지면을 형성한 후, 보도블록을 설치한 상태에서 체결수단 보호커버의 상단부가 노출되어 있기는 하나, 상단부 일부분만 노출되어 있는 구조가 되어, 보행자의 보행시 방해 요소가 되지 않게 되어, 보강리브에 걸려 넘어지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미적 감 각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체결수단 보호커버의 상단부에 부가적으로 빗물 유입 방지링의 외면에 설치된 야광 표시부에 의해 야간에 통행하는 사용자(보행자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지주가 설치된 위치를 확인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지주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주를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구조에 있어서, 지면 아래에 일정 깊이 매몰되도록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초부와; 하면이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의 상면과 접촉하며, 상기 지주의 하단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의 상부측에 해당되는 지중에 위치되되, 상기 고정판의 상면과 상기 지주의 하단 외면에 일체로 부착 설치되는 다수의 보강리브와; 하단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내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상단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판을 관통한 후 상기 보강리브 사이로 돌출되는 다수의 앙카볼트와, 상기 고정판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기 앙카볼트의 돌출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수단과; 상단부는 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지주의 외면과 접촉되도록 감싸고, 나머지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의 상부측에 해당되는 지중에 위치되어 상기 보강리브들 사이 공간으로 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판과 보강리브 및 체결수단을 함께 감싸는 체결수단 보호커버와; 상기 체결수단 보호커버의 상단부의 내면과 이에 대응되는 지주의 외면 사이에 설치되는 빗물 유입 방지링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수단 보호커버는, 좌우 대칭되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힌지를 매개로 하여 회동되면서 좌우로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좌측 보호커버와 우측 보호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의 반대편측의 상기 좌측 보호커버와 우측 보호커버에는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주설치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첫째, 본 고안은 고정판과 보강리브 및 앙카볼트/너트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으로 빗물 유입 방지링에 의해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됨과 아울러 흙을 메워 지면을 형성할 경우에 체결수단 보호커버에 의해 흙이 고정판과 보강리브 및 앙카볼트/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측으로 유입되지 않게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 고정판과 보강리브 및 앙카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의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너트를 푸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은 체결수단 보호커버가 좌우 대칭되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힌지를 매개로 하여 회동되면서 좌우로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좌측 보호커버와 우측 보호커버로 이루어지며, 힌지의 반대편측의 좌측 보호커버와 우측 보호커버에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편이 형성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이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셋째, 콘크리트 기초부의 상면의 위치를 차도보다 낮게 형성함으로써, 차도 확장시, 별도로 이 콘크리트 기초부를 파쇄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잇점도 있으며, 더 나아가 차도 확장시 지주를 다른 위치로 이동하게 되 면, 앙카볼트와 콘크리트 기초부만 남게 되는데, 이 위에 차도 확장용 아스팔트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지주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지주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체결수단 보호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주(10)를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초부(60)와, 고정판(20)과, 보강리브(30)와, 체결수단과, 체결수단 보호커버(40)와, 빗물 유입 방지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콘크리트 기초부(60)는 지면 아래에 일정 깊이 매몰되도록 설치된다.
고정판(20)은, 하면이 콘크리트 기초부(60)의 상면과 접촉하며, 지주(10)의 하단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다.
보강리브(30)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 기초부(60)의 상부측에 해당되는 지중에 위치되되, 고정판(20)의 상면과 지주(10)의 하단 외면에 일체로 부착 설치되는데, 일례로 용접의 방법에 의해 설치되는 것으로, 지주(10)가 세워져 있을때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체결수단은, 다수의 앙카볼트(61)와, 너트(62)로 구성되는 바, 앙카볼트(61)의 하단부는 콘크리트 기초부(60)내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앙카볼트(61)의 상단부 는 콘크리트 기초부(6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고정판(20)을 관통한 후 보강리브(30) 사이로 돌출된다.
그리고, 너트(62)는 고정판(20)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기 앙카볼트(61)의 돌출부(61a)에 나사 결합된다.
다음으로, 체결수단 보호커버(40)는, 상단부는 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지주(10)의 외면과 접촉되도록 감싸고, 나머지는 콘크리트 기초부(60)의 상부측에 해당되는 지중에 위치되어 보강리브(30)들 사이 공간으로 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판(20)과 보강리브(30) 및 체결수단을 함께 감싸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 보호커버(40)는, 좌우 대칭되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힌지(41)를 매개로 하여 회동되면서 좌우로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좌측 보호커버(40a)와 우측 보호커버(40b)로 이루어지며, 힌지(41)의 반대편측의 좌측 보호커버(40a)와 우측 보호커버(40b)에는 체결볼트(44)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편(42)(4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다른 체결수단 보호커버(40)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차도 확장시 인도의 일부를 차도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 지주(10)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때 체결볼트(44) 하나만을 분리함으로써 힌지(41)를 중심으로회동시켜 좌측 보호커버(40a)와 우측 보호커버(40b)를 벌려 지주(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함과 아울러 분리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체결수단 보호커버(40)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힌지(41)를 중심 으로 하여 회동시켜 좌측 보호커버(40a)와 우측 보호커버(40b)를 서로 마주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볼트(44) 하나만으로 체결함으로써, 체결수단 보호커버(40)를 용이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그 설치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빗물 유입 방지링(50)은 체결수단 보호커버(40)의 상단부의 내면과 이에 대응되는 지주(10)의 외면 사이에 설치되어 빗물이 체결수단 보호커버(40)의 상단부의 내면과 이에 대응되는 지주(10)의 외면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재질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일례로 고무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빗물 유입 방지링(50)의 구조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보호커버용 빗물 유입방지링(51)과, 우측 보호커버용 빗물 유입방지링(52)으로 이루어진다.
좌측 보호커버용 빗물 유입방지링(51)은, 하단이 개구되어 좌측 보호커버(40a)의 상단부가 삽입되게 삽입부(51d)가 형성되도록 이격된 한쌍의 외측 수직부(51a)/내측 수직부(51b)와, 상기 외측 수직부(51a)와 내측 수직부(51b) 각각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51c)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우측 보호커버용 빗물 유입방지링(52)은, 하단이 개구되어 상기 우측 보호커버(40b)의 상단부가 삽입되게 삽입부(52d)가 형성되도록 이격된 한쌍의 외측 수직부(52a)/내측 수직부(52b)와, 상기 외측 수직부(52a)와 내측 수직부(52b) 각각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52c)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본 고안의 빗물 유입 방지링(50)을 좌측 보호커버용 빗물 유입방지 링(51)과, 우측 보호커버용 빗물 유입방지링(52)으로 구성하되, 이들 구성이 "∩"자 형상으로 삽입부(51d)(52d)를 가진 구성으로 형성함으로써, 빗물 유입방지 기능도 수행함과 아울러 좌측 보호커버(40a)와 우측 보호커버(40b) 각각의 상단부와 상호 조립 및 분리성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후술하는 야광표시부(53)를 부착시킬 수 있는 기능도 부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빗물 유입 방지링(50)을 구성하는 좌측 보호커버용 빗물 유입 방지링(52)과 우측 보호커버용 빗물 유입 방지링(52)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 수직부(51a)(52a)의 외면에는 야간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야광 표시부(53)가 구비되는 바, 이 야광 표시부(53)는 야광 기능을 갖는 야광 도료 또는 테이프 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테이프 타입인 경우에는 외측 수직부(51a)(52a)의 외면에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부착한다.
이와 같이, 빗물 유입 방지링(50)에 야광 표시부(53)를 부착함에 따라 야간에 통행하는 사용자(보행자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지주(10)가 설치된 위치를 확인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0은 지주(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로표지판(5)이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로 표지판 대시에 가로등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지주를 설치하는 순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지면 아래에 일정 깊이 매몰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기초부(60)를 형성한다.
이때, 콘크리트 기초부(60)의 타설시 하단부는 콘크리트 기초부(60)내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상단부는 콘크리트 기초부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도록 다수의 앙카볼트(61)가 함께 설치되도록 한다.
한편, 지주(10)의 하단부에는 가장자리부에 앙카볼트(61)의 개수에 대응하여 다수의 앙카볼트 삽입공(20a)이 관통 형성된 고정판(20)을 용접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고정 부착한다.
다음으로, 고정판(20)의 상면과 지주(10)의 하단 외면에 용접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보강리브(30)를 고정 부착한다.
이때, 보강리브(30)를 고정판(20)에 형성된 삽입공(20a)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부착하여, 앙카볼트(61)가 삽입공(20a)으로 삽입되어 돌출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모두 준비한 상태에서, 지주(10)를 수직으로 세워 고정판(20)을 콘크리트 기초부(60)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하되, 콘크리트 기초부(60)의 상면으로 돌출된 앙카볼트(61)의 돌출부(61a)가 고정판(20)에 형성된 앙카볼트 삽입공(20a)을 통해 고정판(20)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후, 너트(62)를 이용하여, 고정판(20)의 상면으로 돌출된 앙카볼트(61)의 돌출부(61a)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판(20)을 콘크리트 기초부(60)의 상면에 고정시켜 지주(10)를 수직 설치 과정을 완료한다.
이후 과정은 마무리 과정으로, 체결수단 보호커버(40)를 이용하여, 체결수단 보호커버(40)의 상단부는 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지주(10)의 외면과 접촉되도록 감싸고, 나머지는 콘크리트 기초부(60)의 상부측에 해당되는 지중에 위치되어 보강리브(30)들 사이 공간으로 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판(20)과 보강리브(30) 및 체결수단을 함께 감싸는 과정을 실시한다.
여기서, 체결수단 보호커버(40)를 설치하는 경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힌지(41)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켜 좌측 보호커버(40a)와 우측 보호커버(40b)를 서로 마주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볼트(44) 하나만으로 체결하게 되면, 좌측 보호커버(40a)와 우측 보호커버(40b) 각각의 상단부는 지주(10)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를 감싸게 되고, 나머지는 고정판(20)과 보강리브(30) 및 체결수단을 함께 감싸게 된다.
따라서, 체결수단 보호커버(40)를 용이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그 설치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 보호커버(40)를 설치할 때, 빗물 유입 방지링(50)도 함께 개재한 후, 병행하게 된다.
즉, 좌측 보호커버용 빗물 유입 방지링(51)의 삽입부(51d)내로 좌측 보호커버(40a)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하고, 우측 보호커버용 빗물 유입 방지링(52)의 삽입부(52d)내로 우측 보호커버(40b)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좌측 보호커버(40a)와 우측 보호커버(40b) 각각의 상단부에 빗물 유입방지링(51)(52)을 각각 개재하여, 체결수단 보호커버(40)를 장착하게 되면, 이들 빗물 유입방지링(51)(52)의 내측 수직부(51b)(52b)는 압착되면서 지주(10)의 외면 에 밀착되어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후, 좌측 보호커버용 빗물 유입 방지링(52)과 우측 보호커버용 빗물 유입 방지링(52)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 수직부(51a)(52a)의 외면에는 야간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야광 표시부(53)를 부착하는 작업을 실시하는데, 이 야광 표시부(53)는 빗물 유입 방지링(50)의 외면에 사전에 부착될 수도 있고, 테이프 타입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지막 공정으로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콘크리트 기초부(60)의 상면에 일정 높이로 흙을 메워 지면을 형성하게 되며, 지면에는 보도블록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흙을 메워 지면을 형성하는 경우, 보도블록을 설치할 여유 공간을 고려하여 체결수단 보호커버(40)의 상단부에 설치된 빗물 유입 방지링(50)은 흙으로 메워지지 않도록 남겨둔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기초부(60)의 상면에 흙을 메워 지면을 형성하더라고 본 고안에 의한 체결수단 보호커버(40)에 의해 상기 보강리브(30)들 사이 공간으로 흙이 유입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지주(10)를 이동시키기 위해 너트(62)를 푸는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만약, 본 고안에서와 같이, 체결수단 보호커버(40)를 설치하지 않고 흙을 메워 지면을 형성하게 되면, 흙이 너트(62)와 앙카볼트(61) 사이의 틈새로 끼여들어가 부식을 일으키며, 시간이 오래 경과할수록 너트(62)를 풀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차도 확장시 인도의 일부를 차도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 지주(10)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때 체결볼트(44) 하나만을 분리함으로써 힌지(41)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좌측 보호커버(40a)와 우측 보호커버(40b)를 벌려 지주(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함과 아울러 분리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고정판(20)과 보강리브(30) 및 앙카볼트(61)와 너트(62)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으로 빗물 유입 방지링(50)에 의해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됨과 아울러 흙을 메워 지면을 형성할 경우에 체결수단 보호커버(40)에 의해 흙이 고정판(20)과 보강리브(30) 및 앙카볼트(61)와 너트(62)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측으로 유입되지 않게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 고정판(20)과 보강리브(30) 및 앙카볼트(61)와 너트(62)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의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기초부(60)의 상면의 위치를 차도보다 낮게 형성함으로써, 차도 확장시, 별도로 이 콘크리트 기초부(60)를 파쇄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잇점도 있다.
즉, 차도 확장시 지주(10)를 다른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앙카볼트(61)와 콘크리트 기초부(60)만 남게 되는데, 이 위에 차도 확장용 아스팔트를 시공하면 된다. 만약,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기초부(60)를 차도보다 약간 높게 형성하더도 차도 확장시 외부로 노출된 앙카볼트(61)와 콘크리트 기초부(60)위에 차도 확장용 아스팔트의 시공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최종적으로 흙으로 메워 지면을 형성한 후, 보도 블록을 설치한 상태에서 체결수단 보호커버의 상단부가 노출되어 있기는 하나, 상단부 일부분만 노출되어 있는 구조가 되어, 보행자의 보행시 방해 요소가 되지 않게 되어, 종래와 같이 보강리브에 걸려 넘어지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미적 감각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체결수단 보호커버의 상단부에 부가적으로 빗물 유입 방지링의 외면에 설치된 야광 표시부에 의해 야간에 통행하는 사용자(보행자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지주가 설치된 위치를 확인시켜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차도 확장시 지주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콘크리트 기초부로부터 지주를 분리한 경우에, 이 분리된 지주를 그대로 재활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주설치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지주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체결수단 보호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주
20 : 고정판
30 : 보강리브
40 : 체결수단 보호커버
40a : 좌측 보호커버
40b : 우측 보호커버
50 : 빗물 유입 방지링
53 : 야광표시부
60 : 콘크리트 기초부
61 : 앙카볼트
62 : 너트

Claims (2)

  1. 지주(10)를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구조에 있어서,
    지면 아래에 일정 깊이 매몰되도록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초부(60)와;
    하면이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60)의 상면과 접촉하며, 상기 지주(10)의 하단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20)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60)의 상부측에 해당되는 지중에 위치되되, 상기 고정판(20)의 상면과 상기 지주(10)의 하단 외면에 일체로 부착 설치되는 다수의 보강리브(30)와;
    하단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60)내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상단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6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판(20)을 관통한 후 상기 보강리브(30) 사이로 돌출되는 다수의 앙카볼트(61)와, 상기 고정판(20)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기 앙카볼트(61)의 돌출부(61a)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62)로 이루어진 체결수단과;
    상단부는 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지주(10)의 외면과 접촉되도록 감싸고, 나머지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60)의 상부측에 해당되는 지중에 위치되어 상기 보강리브(30)들 사이 공간으로 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판(20)과 보강리브(30) 및 체결수단을 함께 감싸는 체결수단 보호커버(40)와;
    상기 체결수단 보호커버(40)의 상단부의 내면과 이에 대응되는 지주(10)의 외면 사이에 설치되는 빗물 유입 방지링(50)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수단 보호커버(40)는, 좌우 대칭되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힌지(41)를 매개로 하여 회동되면서 좌우로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좌측 보호커버(40a)와 우측 보호커버(40b)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41)의 반대편측의 상기 좌측 보호커버(40a)와 우측 보호커버(40b)에는 체결볼트(44)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편(42)(4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유입 방지링(50)은,
    하단이 개구되어 상기 좌측 보호커버(40a)의 상단부가 삽입되게 삽입부(51d)가 형성되도록 이격된 한쌍의 외측 수직부(51a)/내측 수직부(51b)와, 상기 외측 수직부(51a)와 내측 수직부(51b) 각각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51c)로 이루어진 좌측 보호커버용 빗물 유입 방지링(51)과;
    하단이 개구되어 상기 우측 보호커버(40b)의 상단부가 삽입되게 삽입부(52d)가 형성되도록 이격된 한쌍의 외측 수직부(52a)/내측 수직부(52b)와, 상기 외측 수직부(52a)와 내측 수직부(52b) 각각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52c)로 이루어진 우측 보호커버용 빗물 유입 방지링(52)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보호커버용 빗물 유입 방지링(52)과 우측 보호커버용 빗물 유입 방지링(52)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 수직부(51a)(52a)의 외면에는 야간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야광 표시부(5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설치구조.
KR2020070014959U 2007-01-24 2007-09-07 지주설치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4372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959U KR200437253Y1 (ko) 2007-01-24 2007-09-07 지주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312 2007-01-24
KR2020070014959U KR200437253Y1 (ko) 2007-01-24 2007-09-07 지주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253Y1 true KR200437253Y1 (ko) 2007-11-16

Family

ID=4163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95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37253Y1 (ko) 2007-01-24 2007-09-07 지주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2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799B1 (ko) 2008-01-25 2008-08-07 (주)디엔테크 교통 표지판의 지주 설치구조
KR102036688B1 (ko) * 2019-05-16 2019-11-26 조광섭 지주대 기초 구조체 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799B1 (ko) 2008-01-25 2008-08-07 (주)디엔테크 교통 표지판의 지주 설치구조
KR102036688B1 (ko) * 2019-05-16 2019-11-26 조광섭 지주대 기초 구조체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030B1 (ko)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지주 및 핸드홀 커버 장치
KR101295890B1 (ko)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
KR100947852B1 (ko) 가로등 등주와 기초의 결합구조
JP2013040467A (ja) 縁石併用型防護柵の支柱基礎ブロック
KR200437253Y1 (ko) 지주설치구조
KR101179252B1 (ko) 상하 조절이 용이한 지주 커버 장치
KR100935790B1 (ko) 매립형 가로등기초대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설치방법
KR20090102355A (ko) 지주형 시설물의 하부보호구조
KR100908802B1 (ko) 지주의 기초구조물과 이로 제조된 지주기초 및 지주
KR100920128B1 (ko)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KR100920127B1 (ko) 강성을 보강한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20110137644A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40042A (ko)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JP3012551B2 (ja) 張り出し歩道構造
KR101095957B1 (ko) 문형 도로표지판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90050833A (ko) 다목적설치대
JPH0258610A (ja) 中央分離帯の改修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防護壁ブロック
KR20090105887A (ko) 기둥 시공 방법
KR100961987B1 (ko) 지주커버
KR20090084038A (ko) 지주 구조물 및 지주 시공방법
KR20060026832A (ko) 도로 안내표지판과 교통 신호등 및 가로등에 사용되는 지주 구조물
KR20100042446A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37687A (ko) 도로시설물의 지주 고정용 베이스 구조와 이의 설치방법
KR100939968B1 (ko) 표지판 및 가로시설물의 매립식지주 덮개
JP3531862B2 (ja) ポール式標識取付け型側溝用コンクリート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90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3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07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711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3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10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