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37197Y1 - 구강세척기 - Google Patents

구강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197Y1
KR200437197Y1 KR2020070000078U KR20070000078U KR200437197Y1 KR 200437197 Y1 KR200437197 Y1 KR 200437197Y1 KR 2020070000078 U KR2020070000078 U KR 2020070000078U KR 20070000078 U KR20070000078 U KR 20070000078U KR 200437197 Y1 KR200437197 Y1 KR 2004371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piece
water supply
storage portion
tooth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0109U (ko
Inventor
이창용
Original Assignee
이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용 filed Critical 이창용
Priority to KR2020070000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197Y1/ko
Publication of KR200700001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1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1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1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3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using pressurised tap-water, e.g. rin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connected to the main wat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84Supply units, e.g. reservoi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pumps
    • A61C1/0092Pump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강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구강 내에 착용되는 것으로서, 윗니와 아랫니가 각각 안착되는 상치안착홈과 하치안착홈이 상단과 하단에 상호 대칭적으로 요입 형성된 “U”자 형상의 중공체이며, 내부와 연통된 관연결구를 갖는 손잡이가 중앙 전단에 구비되는 치아수납부와, 상기 치아수납부의 안쪽면 원주를 따라 연결되며, 상기 치아수납부의 내부와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수평연장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치아수납부와 수평연장부의 전체 면을 따라서 다수의 분사공이 천공 배열되는 마우스피스와, 상기 마우스피스의 관연결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마우스피스의 분사공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상기 급수관을 통해 상기 마우스피스 내부에 세척수를 소정 압력으로 공급하는 급수펌프가 구비되는 펌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치아뿐만 아니라 구강 전체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어 충치를 예방함은 물론 치아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강, 치아, 세척

Description

구강세척기{omitt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강세척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평면도,
도 3b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c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구강세척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구강세척기
100 : 마우스피스 110 : 치아수납부
111 : 상치안착홈 112 : 하치안착홈
120 : 수평연장부 130 : 손잡이부
131 : 관연결구 132 : 요철면
200 : 급수관 300 : 펌핑장치
310 : 급수펌프 320 : 배수펌프
330 : 작동스위치 340 : 타이머
400 : 배수관
본 고안은 구강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강 내에 착용하여 강한 수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치아는 물론 잇몸, 혀 등 구강 내부 전체를 빠르고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구강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충치 질환으로 고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충치 질환의 치료에 막대한 비용이 지불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충치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식후 3분 이내에 양치질을 하는 것 외에는 별 뽀족한 대안이 없는 게 사실이다.
그러나 칫솔을 이용하여 양치질을 하는 것은 매우 귀찮고 번거로운 일이라 특히 어린이나 바쁜 직장인 같은 경우 제대로 양치질을 하는 것이 곤란할 때가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칫솔을 이용한 양치질은 주로 음식물이 끼어있는 치아만을 세척하게 되는 바, 치아 외의 구강 내에는 여전히 충치를 일으키는 음식물이 잔존하게 되어 충치의 예방에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칫솔을 이용하여 양치질을 하는 경우 올바른 칫솔질을 하지 않으면 치아가 제대로 세척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칫솔모에 의해 잇몸에 상처가 발생하여 출혈이나 염증을 유발함으로써 또 다른 질병을 야기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되어 구강 내에 착용되는 마우스피스와 상기 마우스피스에 세척수를 강한 압력으로 공급하는 펌핑장치로 구성되어 치아 뿐만 아니라 구강 내부 전체를 빠르고 간편하게 세척 및 건조시킴으로써 충치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강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구강 내에 착용되는 것으로서, 윗니와 아랫니가 각각 안착되는 상치안착홈과 하치안착홈이 상단과 하단에 상호 대칭적으로 요입 형성된 “U”자 형상의 중공체이며, 내부와 연통된 관연결구를 갖는 손잡이가 중앙 전단에 구비되는 치아수납부와, 상기 치아수납부의 안쪽면 원주를 따라 연결되며, 상기 치아수납부의 내부와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수평연장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치아수납부와 수평연장부의 전체 면을 따라서 다수의 분사공이 천공 배열되는 마우스피스와, 상기 마우스피스의 관연결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마우스피스의 분사공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상기 급수관을 통해 상기 마우스피스 내부에 세척수를 소정 압력으로 공급하는 급수펌프가 구비되는 펌핑장치를 포함하는 구강세척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구강세척기는 상기 마우스피스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구강 내에 삽입될 수 있는 배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에 연 결되어 상기 마우스피스의 분사공에서 분사된 구강 내의 세척수를 상기 배수관을 통해 흡입 배출시키는 배수펌프가 상기 펌핑장치에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급수펌프와 배수펌프의 가동 시간을 자동 조절할 수 있는 타이머가 상기 펌핑장치에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강세척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피스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의 평면도, 도 3b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c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강세척기(10)는 사용자의 구강 내에 착용될 수 있는 마우스피스(1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마우스피스(100)는 치아가 수납되는 치아수납부(110)와, 상기 치아수납부(110)의 안쪽면에 연결되는 수평연장부(120)와, 손잡이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치아수납부(110)는 그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는 중공체로서, 치아가 수납될 수 있도록 치열에 대응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U”자 형태를 취하게 된다.
상기 치아수납부(110)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치안착홈(111)과 하치안착홈(112)이 상호 대칭적으로 요입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상치안착홈(111)에는 치아 중 윗니가 안착되고, 상기 하치안착홈(112)에는 아랫니가 안착된다.
상기 상치안착홈(111)과 하치안착홈(112)도 전체적으로“U”자 형태를 취하 게 된다.
상기 수평연장부(120)는 “U”자 형상을 갖는 상기 치아수납부(110)의 안쪽면에 연결되며, 그 내부에도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수평연장부(120)는 상기 치아수납부(110)의 안쪽 원주를 따라 그 내부 공간이 치아수납부(110)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따라서, 그 형상은 혀의 형상과 유사한 형태를 취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의 치아수납부(110)와 수평연장부(120)에는 전체 면을 따라서 다수의 분사공(110a, 120a)이 천공되어 배열된다.
상기 손잡이부(130)는 상기 치아수납부(110)의 중앙 전단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130)의 내부에는 관연결구(131)가 마련되는데, 상기 관연결구(131)는 상기 치아수납부(110)의 내부 공간과 연통이 되어 외부에서 마우스피스(100)에 관을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로서 기능한다.
상기 손잡이부(130)의 외면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가락 형상에 대응하는 유선형의 요철면(13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마우스피스(100)는 급수관(200)을 통해 펌핑장치(300)와 연결된다.
상기 급수관(200)은 일반적인 연결호스로서, 그 일단은 상기 마우스피스(100)의 관연결구(131)에 착탈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펌핑장치(300)에 역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마우스피스(100)에 대한 세척수의 공급 통로로 서 기능하게 된다.
상기 펌핑장치(300)는 세척수를 펌핑시켜 상기 마우스피스(100)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상기 급수관(131)에 연결되며 전원의 인가에 의해 작동되어 세척수를 소정 압력으로 상기 마우스피스(100)로 공급시키는 급수펌프(310)가 구비된다.
상기 펌핑장치(300)는 상기 급수펌프(310)와 함께 임펠러의 방향이 반대로서 상기 급수펌프(310)와는 역방향의 펌핑을 하는 배수펌프(32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펌프(320)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작동되어 구강 내의 세척수를 흡입 배출시키기 위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배수펌프(320)에는 배수관(400)이 연결된다.
상기 배수관(400)은 상기 급수관(200)과 동일한 연결호스로서, 그 일단은 상기 배수펌프(320)에 연결되고, 타단은 구강 내에 상기 마우스피스(100)와는 독립적으로 삽입되어, 마우스피스(100)에서 분사된 후 구강 내에 고인 세척수의 배출 통로로서 기능하게 된다.
상기한 펌핑장치(300)에는 상기 급수펌프(310)와 배수펌프(320)의 전원인가를 위한 작동스위치(330)이 구비되며, 또한 상기 작동버튼과 상기 급수펌프(310) 및 배수펌프(320)의 전원공급 회로 상에는 타이머(34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이머(340)는 설정된 시간이 되면 상기 급수펌프(310)와 배수펌프(32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가동시간을 자동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1분, 2분 등 본 고안에 따른 구강세척기의 사용시간을 임의대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구강세척기의 작동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구강세척기(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먼저, 급수관(200)의 일단을 마우스피스(100)의 관연결구(131)에 결합하고 타단을 펌핑장치(300)의 급수펌프(310)에 결합시켜 마우스피스(100)와 펌핑장치(300)를 연결시킨다. 물론 이 때 상기 급수펌프(310)의 흡입구는 세척수가 저장된 저장조(도면 미도시)에 연결된 상태이다.
그리고 배수관(400)을 배수펌프(320)에 결합시킨 후, 상기 마우스피스(100)를 구강 내에 착용하고 상기 배수관(400)도 구강 내로 삽입시킨다.
상기 마우스피스(100)를 구강 내에 착용하면, 윗니는 상치안착홈(111)에 안착되고 아랫니는 하치안착홈(112)에 안착되어 치아수납부(110)에 수납이 되고, 혀는 수평연장부(12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우스피스(100)와 배수관(400)이 구강에 착용된 상태에서, 펌핑장치(300)의 작동스위치(330)를 온(On)시키면 상기 급수펌프(310)가 작동되면서 세척수를 강한 압력으로 마우스피스(100)에 공급하게 되고, 공급된 세척수는 마우스피스(100)에 형성된 다수의 분사공(110a, 120a)들을 통해 강한 압력으로 분사된다.
상기 상치안착홈(111)과 하치안착홈(112)에 형성된 분사공(110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윗니와 아랫니에 낀 음식물 등을 제거하게 되고, 수평연장부(120)의 분사공(120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주로 혀와 입천장 등에 붙어있는 음식물, 세균 등을 제거하게 되며, 기타 치아수납부(110)의 분사공(110a)들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그 외의 구강 내부 측면 등을 세척하게 되는 바, 치아와 혀를 포함해 구강 내부 전체를 세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분사되어 구강 내부를 세척한 세척수는 구강 내에 고이게 되는바, 이러한 세척 후의 세척수는 상기 배수펌프(320)의 작동에 의해 배수관(400)을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세척과정에서 세척수가 전부 소진된 후에는 급수관(200)을 통해 공기가 강한 압력으로 공급되어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므로 구강 내에 남아있는 수분을 증발시켜 구강 내부를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펌핑장치(300)를 가동시키기 전에 타이머(340)의 세팅시간을 미리 설정해 놓으면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설정된 시간에 펌핑장치(300)의 가동이 자동으로 중단되므로 사용자는 편리하게 세척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구강세척기(10)에서 사용되는 세척수로는 일반적인 물을 사용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천연밀가루, 불소가 들어있는 치약 등 구강의 청결에 이로운 물질을 미리 물에 희석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물질을 미리 입에 넣고 세척수를 투입시키면 세척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강세척기는,
구강 내에 착용한 마우스피스에서 강한 압력으로 세척수를 분사시켜 세척을 하게 되므로 치아뿐만 아니라 구강 전체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어 충치를 예방함은 물론 치아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만을 착용한 상태에서 펌핑장치만을 가동시키면 되므로 그 사용이 매우 간편하여 양치질이 어려운 어린이나 손의 사용이 불편한 장애인, 환자 등이 용이하게 구강을 세척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짧은 시간에도 세척효과가 뛰어나므로 바쁜 직장인 등이 신속한 세척을 위해 사용하기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용자의 구강 내에 착용되는 것으로서, 윗니와 아랫니가 각각 안착되는 상치안착홈과 하치안착홈이 상단과 하단에 상호 대칭적으로 요입 형성된 “U”자 형상의 중공체이며, 내부와 연통된 관연결구를 갖는 손잡이가 중앙 전단에 구비되는 치아수납부와; 상기 치아수납부의 안쪽면 원주를 따라 연결되며, 상기 치아수납부의 내부와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수평연장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치아수납부와 수평연장부의 전체 면을 따라서 다수의 분사공이 천공 배열되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의 관연결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마우스피스의 분사공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상기 급수관을 통해 상기 마우스피스 내부에 세척수를 소정 압력으로 공급하는 급수펌프가 구비되는 펌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구강 내에 삽입될 수 있는 배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마우스피스의 분사공에서 분사된 구강 내의 세척수를 상기 배수관을 통해 흡입 배출시키는 배수펌프가 상기 펌핑장치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척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펌프와 배수펌프의 가동 시간을 자동 조절할 수 있는 타이머가 상기 펌핑장치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척기.
KR2020070000078U 2006-12-28 2006-12-28 구강세척기 KR2004371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078U KR200437197Y1 (ko) 2006-12-28 2006-12-28 구강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078U KR200437197Y1 (ko) 2006-12-28 2006-12-28 구강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109U KR20070000109U (ko) 2007-01-22
KR200437197Y1 true KR200437197Y1 (ko) 2007-11-12

Family

ID=4163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078U KR200437197Y1 (ko) 2006-12-28 2006-12-28 구강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1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491B1 (ko) * 2011-12-05 2013-08-21 이중우 구강세척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490317B1 (ko) 2013-05-07 2015-02-04 김용현 구강 청결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33Y1 (ko) * 2008-04-16 2010-03-11 이창용 급수 및 배수 일체형 구강세척기
CN107802364A (zh) * 2017-11-20 2018-03-16 北京盈生创新科技有限责任公司 牙套式牙齿智能清洗和诊断系统
CN114869519B (zh) * 2022-06-20 2023-10-20 遵义医科大学 一种基于物联网跟踪的口腔疾病智能理疗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491B1 (ko) * 2011-12-05 2013-08-21 이중우 구강세척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490317B1 (ko) 2013-05-07 2015-02-04 김용현 구강 청결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109U (ko) 2007-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033Y1 (ko) 급수 및 배수 일체형 구강세척기
CA2403134C (en) Oral irrigator and brush assembly
KR101449724B1 (ko) 구강세정장치
CN210077913U (zh) 冲牙器及牙齿清洗装置
KR200437197Y1 (ko) 구강세척기
CN108135681A (zh) 使用臭氧水的牙齿清洁装置
CN114129292A (zh) 一种预防牙周病的齿形口腔冲洗器
JP2002045378A (ja) 口腔洗浄装置
CN211750201U (zh) 紧凑型口腔保健器
KR101069640B1 (ko) 가정용 치아세척기
KR101298491B1 (ko) 구강세척기 및 그 제조방법
CN203075180U (zh) 一种牙蓬与鼻腔冲洗器
CN210228368U (zh) 一种带冲洗功能的电动牙刷
JPH08112143A (ja) 口腔洗浄用ブラシ
CN211211858U (zh) 一种口腔护理清洗器
JP3218645U (ja) 口腔ケア具
JPH08182538A (ja) 水噴射孔とバキューム付き歯ブラシ
JPH09238961A (ja) 口腔洗浄器
CN205459165U (zh) 冲洗式电动口腔护理器
KR20180118323A (ko) 구강세정장치
KR200474791Y1 (ko) 구강 세정기
CN219230213U (zh) 一种超声波洁牙用冲洗枪头
JP2001299784A (ja) 口腔洗浄清掃器具
CN216358600U (zh) 一种洗牙喷头及洗牙器
KR20120006889U (ko) 휴대용 구강 세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122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711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410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