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943Y1 - Frame assembly - Google Patents
Frame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5943Y1 KR200435943Y1 KR2020060030924U KR20060030924U KR200435943Y1 KR 200435943 Y1 KR200435943 Y1 KR 200435943Y1 KR 2020060030924 U KR2020060030924 U KR 2020060030924U KR 20060030924 U KR20060030924 U KR 20060030924U KR 200435943 Y1 KR200435943 Y1 KR 20043594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ard
- back plate
- adhesive layer
- frame
- pic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7—Picture frames having means for fixing the picture or backing to the frame, e.g. clips, nails or the lik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시간이 경과하여도 배면판의 형상이 보존되는 액자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액자 조립체는 전시물틀과 배면판을 포함하며, 배면판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보드, 보드의 전면에 형성된 점착층, 점착층 상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이형지, 보드의 후면에 형성된 접착층, 및 접착층 상에 고정 부착된 보드지로 구성된다. 보드는 MDF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액자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보드의 양면의 장력이 균형을 이루어 휘어지는 형상을 발생하지 않는다.Disclosed is a frame assembly in which the shape of the back plate is preserved even over time. The fram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hibition frame and a back plate, and the back plate includes a boar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ard, a release paper detachably attached on the adhesive layer, and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back of the board. And cardboard fixedly attached on the adhesive layer. The board can be used as an MDF, and even if the size of the frame increases, the tension on both sides of the board is balanced and does not cause a curved shape.
액자, 배면판, 보드, MDF Picture frame, back plate, board, MDF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 조립체의 배면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back plate of th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배면판 110 : 이형지100: back plate 110: release paper
120 : 점착층 130 : 보드120: adhesive layer 130: board
140 : 접착층 150 : 보드지140: adhesive layer 150: cardboard
200 : 전시물 300 : 전시물틀200: Exhibit 300: Exhibit Frame
본 고안은 액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시간이 경과하여도 배면판의 형상이 보존되는 액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ame assembly in which the shape of the back plate is preserved over time.
일반적으로 각종 전시물 또는 그림 등을 책상 위에 놓거나 벽에 부착하고자 할 때에는 전시물이 수용되는 액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액자는 책상의 상부에 안착되는 탁상형 또는 벽에 부착할 수 있도록 걸이홈이 형성된 벽걸이형이 있다.In general, when placing various exhibitions or pictures on a desk or attaching them to a wall, a picture frame is used to accommodate the exhibits. The picture frames are wall-mounted with a hanging groove so that they can be attached to a table or a wall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desk. There is a brother.
액자의 구성요소로는 전시물틀, 투명유리, 배면판 등의 요소로 이루어져 있는데, 전시물틀에 투명유리를 끼운 후 그 투명유리 배면에 사진을 넣고 사진 뒤에 배면판을 맞대어 사진이나 그림을 액자에 삽입시켜 왔다.The frame consists of elements such as exhibition frame, transparent glass, and back plate. After inserting the transparent glass into the display frame, insert the photo on the back of the transparent glass, put the photo on the back of the photo, and insert the picture or picture into the frame. Has been made.
이러한 액자는 눈에 잘 띄는 벽면이나 장식대 등에 올려놓고 수시로 볼 수 있도록 하였는데 투명유리를 통하여 사진 및 그림을 볼 수 있다.These picture frames are placed on a prominent wall or decorative stand so that they can be viewed from time to time. You can view pictures and pictures through transparent glass.
최근에는 투명유리의 중량이 무거워 취급의 어려움과 파손시 부상 등의 위험성으로 인해 사진이나 그림의 표면에 직접 수지필름막을 코팅하여 투명유리 없이도 사진이나 그림의 오염 및 변질을 방지, 경량화 및 취급이 용이해졌고 사진이나 그림의 질감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사진이나 그림을 액자의 배면에 위치하는 배면판와 사진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접착제 표면에 사진이나 그림을 접착시켜 사진 등이 배면판 표면에 균일하게 밀착되도록 하였다.Recently, due to the heavy weight of the transparent glass, the resin film is coated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picture or picture due to the difficulty of handling and the risk of injury in case of damage. The effect was to improve the texture of the photo or picture. That is, an adhesive is applied between the back plate located on the back of the picture frame and the picture and the picture, and the picture or picture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adhesive so that the picture and the like are closely adhered to the back plate surface.
그런데, 대개 사진이나 그림은 장시간 벽면이나 장식장 위에 놓여지게 되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면판과 접착제가 습기에 노출되면서 배면판이 장력에 의하여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배면판의 재질로는 MDF(Medium Density Board)를 사용하는데 MDF는 습기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However, since a photograph or a picture is usually placed on a wall or a cabinet for a long time, the back plate and the adhesive are exposed to moisture as time passes, causing the back plate to bend due to tension. In particular, the material of the back plate uses MDF (Medium Density Board), MDF is known to be vulnerable to moisture.
배면판이 시간에 경과함에 따라 휘어지는 현상은 액자의 크기가 큰 경우에 더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시물틀을 특수하게 변형하여 배면판의 휨 현상을 방지하려고 시도하고 있지만 완전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The phenomenon that the back plate bends over time becomes more problematic when the size of the frame is larg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attempt has been made to prevent warpage of the back plate by specially modifying the exhibition frame, but it does not provide a complete solution. I can't.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장기간 사용 또는 보관하여도 배면판의 형상이 보존되는 액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ame assembly that preserves the shape of the back plate even after long-term use or storag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액자 조립체는 전시물틀과 배면판을 포함하며, 배면판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보드, 보드의 전면에 형성된 점착층, 점착층 상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이형지, 보드의 후면에 형성된 접착층, 및 접착층 상에 고정 부착된 보드지로 구성된다. 보드는 MDF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액자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보드의 양면의 장력이 균형을 이루어 휘어지는 형상을 발생하지 않는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ram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hibition frame and a back plate, and the back plate is a boar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front of the board, and a release paper detachably attached on the adhesive layer. It consists of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back of the board, and a board fixedly attached on the adhesive layer. The board can be used as an MDF, and even if the size of the frame increases, the tension on both sides of the board is balanced and does not cause a curved shape.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nd clear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 조립체의 배면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back plate of th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배면판(1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보드(130), 보드의 전면에 형성된 점착층(120), 점착층 상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이형지(110), 보드(130)의 후면에 형성된 접착층(140) 및 접착층 상에 고정 부착된 보드지(150)를 포함한다. 이형지(110)로는 폴리에스테르(PET), 유포지, 종이, 합성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드(130)로는 MDF(Medium Density Board)를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사각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 전시물틀(300)과 배면판(100)이 결합하여 액자조립체를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상기 점착물질이 도포된 점착층(120)은 사진이나 그림 등의 전시물(200)을 부착하지 않았을 때에는 이물질이 달라붙지 않도록 이형지(110)로 덮여지며 사용시에는 이형지(110)를 제거하여 사진이나 그림 등의 전시물(200)을 부착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액자조립체에서 전시물(200)을 전시하기 위하여는 배면판(100) 상의 이형지(110)를 분리하여 노출된 점착층(120) 상에 전시물(200)을 부착한 상태에서 배면판(100)과 전시물틀(300)을 결합하게 된다.The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시물틀(300)의 배면에는 배면판(100)을 고정하기 위한 통상의 별도의 고정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배면판(100)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고리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거나 또는 별도의 수용부가 마련되어 배면판(100)을 삽입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conventional separate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본 고안의 배면판(100)은 보드(130)를 중심으로 전면과 후면은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형지(110)와 결합된 액자 조립체를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그 형상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전면에 이형지(110)를 분리하고 사진이나 그림의 전시물(200)을 부착하여 액자를 사용하더라도 보드(130)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상술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액자 조립체를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배면판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frame assembly is stored for a long time, the deformation of the back plate does not occur.
또한, 배면판에 사진 또는 그림 등의 전시물을 부착하더라도 양 측면의 장력이 균형을 이루어 배면판이 변형되지 않는 액자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a display such as a picture or a picture is attached to the back pla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rame in which the tension of both sides is balanced so that the back plate is not deformed.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30924U KR200435943Y1 (en) | 2006-12-04 | 2006-12-04 | Frame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30924U KR200435943Y1 (en) | 2006-12-04 | 2006-12-04 | Frame assembl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5943Y1 true KR200435943Y1 (en) | 2007-03-26 |
Family
ID=41565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30924U Expired - Fee Related KR200435943Y1 (en) | 2006-12-04 | 2006-12-04 | Frame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5943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0063A (en) | 2018-10-08 | 2020-04-17 | 주식회사 오티이 | One-touch removable frame rear closure |
KR20240000026U (en) | 2022-06-29 | 2024-01-05 |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 Three-dimensional decoration for interior using high-frequency adhesive method |
-
2006
- 2006-12-04 KR KR2020060030924U patent/KR200435943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0063A (en) | 2018-10-08 | 2020-04-17 | 주식회사 오티이 | One-touch removable frame rear closure |
KR20240000026U (en) | 2022-06-29 | 2024-01-05 |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 Three-dimensional decoration for interior using high-frequency adhesive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160340A1 (en) | Device for and method of holding and displaying sheet articles | |
US5619816A (en) | Free-standing display frame | |
US6889458B2 (en) | Flexible artwork display system | |
US20070289182A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ame | |
US10720085B2 (en) | Sign and display systems | |
US6282828B1 (en) | Picture frame | |
US20070234621A1 (en) | Display apparatus | |
US20050193613A1 (en) |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s in a collage | |
US20150230633A1 (en) | Display frame for collectables | |
KR200435943Y1 (en) | Frame assembly | |
US2006007028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ing Greeting Cards | |
US20070256343A1 (en) | Frame for holding pictures or prints | |
KR20130003354U (en) | Double-faced Picture Frame Assembly for not having pictureframe | |
KR100992152B1 (en) | Display frames | |
KR20160002536U (en) | Acrylic photo frame | |
KR200420998Y1 (en) | Lightweight frame | |
KR200477945Y1 (en) | Frame for keeping puzzle | |
US20080204363A1 (en) | Display Device | |
JP2009125198A (en) | Photograph frame | |
KR101063338B1 (en) | Double-sided high gloss photo frame manufacturing method and double-sided high gloss photo frame | |
KR20150127010A (en) | Picture frame warp resistant and lightweight | |
JPH10222115A (en) | Display tool for sheet type display body | |
GB2480055A (en) | Adhesive mount for a display item | |
JP6722978B2 (en) | Stand hanging scroll | |
JP3489733B2 (en) | Photo Frame, Photo Frame Back Plate, Photo Frame Back Plate Bracket and Photo Frame with Clas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120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3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4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3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703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70315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10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