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35380Y1 -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380Y1
KR200435380Y1 KR2020060027151U KR20060027151U KR200435380Y1 KR 200435380 Y1 KR200435380 Y1 KR 200435380Y1 KR 2020060027151 U KR2020060027151 U KR 2020060027151U KR 20060027151 U KR20060027151 U KR 20060027151U KR 200435380 Y1 KR200435380 Y1 KR 200435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lasses
frame
guide
protrusion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1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문
Original Assignee
김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문 filed Critical 김상문
Priority to KR20200600271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3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38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10Special mounting grooves in the rim or on the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과 관련된다. 구성적 특징으로는, 양측 렌즈테의 상단프레임(101)과 하단프레임(102)의 내부에는 각각 상단돌출가이드(101a)와 하단돌출가이드(101b)를 형성하고, 렌즈테의 양측에는 돌출가이드의 형성 없이 얇게 측면프레임(103)을 형성하여, 안경렌즈(104)의 상단과 하단에 소정 깊이의 가이드홈(105)을 형성하여, 상기 안경렌즈(104)의 가이드홈(105)에 상단돌출가이드(101a)와 하단돌출가이드(101b)가 결합되도록 하여 안경렌즈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안경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고안은, 안경의 상단과 하단에 돌출가이드를 형성하여 렌즈의 상부와 하부에 체결되도록 하고, 측면은 얇게 형성하여 무테 내지 반무테 느낌의 안경을 형성하므로서, 전체적으로 깔끔하고 가벼워 착용감이 우수하고, 렌즈가 유동되어 빠질 염려가 없으며, 한 번의 공정으로 형성가능하여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고품격의 안경생산이 가능하다.
안경, 상부프레임, 상부돌출가이드, 하부프레임, 하부돌출가이드, 측면프레임. 가이드홈

Description

안경{GLASSE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 - A'선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B - B'선 확대 단면도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안경 101 : 상단프레임
101a : 상단돌출가이드 102 : 하단프레임
102a : 하부돌출가이드 103 : 측면프레임
104 : 안경렌즈 105 : 가이드홈
본 고안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의 상단과 하단에 돌출가이드를 형성하여 렌즈의 상부와 하부에 체결되도록 하고, 측면은 얇게 형성하여 무테 내지 반무테 느낌의 안경을 형성하므로서, 전체적으로 깔끔하고 가벼워 착용감이 우수하고, 렌즈가 유동되어 빠질 염려가 없으며, 한 번의 공정으로 형성가능하여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고품격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렌즈를 감싸서 지지하는 형태에 따라 렌즈의 전체를 감싸는 온테안경은 견실하고 안정적인 반면 투박해 보이고 무거운 단점이 있고, 렌즈의 상부 등을 감싸는 반테안경과 테가 없이 안경다리와 코받침을 렌즈에 결합하는 무테안경은 심플하고 가벼운 반면, 렌즈의 고정력이 약해 렌즈가 쉽게 빠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반테안경은 반테의 골격 양단을 성형작업을 통하여 절곡하여야 하므로 공정의 난이도가 어렵고 그에 따른 제작공정이 복잡하여 가공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떨어지는 폐단이 따른다.
또한, 반테안경에서는 하나의 반테 골격모델로 획일화된 렌즈만을 장착하는 바, 즉 다양한 렌즈의 형상에 따라 반테의 골격형상을 달리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하나의 반테골격으로 다양한 형상의 렌즈를 장착하지 못하는 폐단이 따랐으며, 반테의 골격을 제작하는 제작경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무테 안경은 렌즈의 외측에 안경다리 연결부를 만들고 양측 렌즈 중간부에 코걸이용 연결자를 체결하여 렌즈의 가장자리에 안경테가 없는 무테 안경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무테안경은 안경다리를 렌즈에 체결하기 위해 체결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렌즈와 다리의 연결부를 비롯하여 코걸이 연결부와 같은 체결부에 이완이 발생하여 흔들림이 생기고 체결구가 렌즈와 마찰하면서 렌즈가 충격을 받아 파손이 생기는 등의 폐단이 따른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경의 상단과 하단에 돌출가이드를 형성하여 렌즈의 상부와 하부에 체결되도록 하고, 측면은 얇게 형성하여 무테 내지 반무테 느낌의 안경을 형성하므로서, 전체적으로 깔끔하고 가벼워 착용감이 우수하고, 렌즈가 유동되어 빠질 염려가 없으며, 한 번의 공정으로 형성가능하여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고품격의 안경을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안경에 있어서 :
양측 렌즈테의 상단프레임(101)과 하단프레임(102)의 내부에는 각각 상단돌출가이드(101a)와 하단돌출가이드(101b)를 형성하고,
렌즈테의 양측에는 돌출가이드의 형성 없이 얇게 측면프레임(103)을 형성하여,
안경렌즈(104)의 상단과 하단에 소정 깊이의 가이드홈(105)을 형성하며,
상기 안경렌즈(104)의 가이드홈(105)에 상단돌출가이드(101a)와 하단돌출가이드(101b)가 결합되도록 하여 안경렌즈의 유동을 방지하는 안경(100)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 - A'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B - B'선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안경과 관련된다.
먼저, 렌즈테의 양측의 측면프레임(103)은 얇은 두께로 형성하고,
양측 렌즈테의 상단프레임(101)의 내부에는 돌출턱이 형성된 상단돌출가이드(101a)를 형성하고, 하단프레임(102)의 내부에는 하단돌출가이드(101b)를 형성한다.
상기 상단돌출가이드(101a)와 하단돌출가이드(101b)는 렌즈테의 상부와 하부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측면에는 돌출턱없이 얇은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후, 안경렌즈(104)의 상단과 하단에 소정 깊이의 가이드홈(105)을 형성하고, 상기 안경렌즈(104)의 가이드홈(105)에 상단돌출가이드(101a)와 하단돌출가이드(101b)가 결합되도록 하여 안경렌즈(104)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무테안경이 렌즈테의 상부에만 테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테를 형성하지 않고 낚시줄 등으로 안경렌즈(104)의 측면과 하부를 고정시켜 렌즈가 유동되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라나 이에 반해, 본 고안의 안경(100)운 상부와 하부 및 측면에 상부프레임(101), 하부프레임(102), 측면프레임(103)으로 렌즈테가 형성되고, 렌즈테와 안경렌즈(104)가 돌출가이드(101a)(102a) 및 가이드홈(105)의 결합과 더불어 측면프레임(103)이 안경렌즈의 측면을 감싸 렌즈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렌즈의 유동이나 렌즈가빠지는 것으로 근본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안경(100)은 온테 안경과 같이 렌즈테가 안경렌즈의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고 있으나, 온테안경의 무겁고 답답한 느낌과 달리, 측면프 레임(103)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안경의 중량을 줄일 수 있어 가벼운 안경으로 착용감이 뛰어남은 물론, 깔끔한 디자인으로 고품격의 안경생산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이 측면프레임(103)을 얇게 형성하였을 지라도 상부프레임(101)과 하부프레임(102)이 안경렌즈(104)와 돌출가이드(101a)(102a) 및 가이드홈(105)으로 밀착되어 결합되므로 렌즈의 유동이 더더욱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안경(100)은 반테안경의 상형작업에 비해 작업공정의 단축으로 생산성이 뛰어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안경렌즈(104)의 조립이 용이하여 손쉽게 안경렌즈를 체결하여 안경렌즈의 조립시간이 단축되는 결과를 가져 온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안경의 상단과 하단에 돌출가이드를 형성하여 렌즈의 상부와 하부에 체결되도록 하고, 측면은 얇게 형성하여 무테 내지 반무테 느낌의 안경을 형성하므로서, 전체적으로 깔끔하고 가벼워 착용감이 우수하고, 렌즈가 유동되어 빠질 염려가 없으며, 한 번의 공정으로 형성가능하여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고품격의 안경생산이 가능하다.

Claims (1)

  1. 안경에 있어서 :
    양측 렌즈테의 상단프레임(101)과 하단프레임(102)의 내부에는 각각 상단돌출가이드(101a)와 하단돌출가이드(101b)를 형성하고,
    렌즈테의 양측에는 돌출가이드의 형성 없이 얇게 측면프레임(103)을 형성하여,
    안경렌즈(104)의 상단과 하단에 소정 깊이의 가이드홈(105)을 형성하며,
    상기 안경렌즈(104)의 가이드홈(105)에 상단돌출가이드(101a)와 하단돌출가이드(101b)를 결합하여 안경렌즈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100).
KR2020060027151U 2006-09-30 2006-09-30 안경 Ceased KR200435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151U KR200435380Y1 (ko) 2006-09-30 2006-09-30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151U KR200435380Y1 (ko) 2006-09-30 2006-09-30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380Y1 true KR200435380Y1 (ko) 2007-01-18

Family

ID=41557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151U Ceased KR200435380Y1 (ko) 2006-09-30 2006-09-30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38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525B1 (ko) * 2011-09-22 2012-03-22 이상범 일체형 반테안경
KR101192887B1 (ko) 2012-01-16 2012-10-18 고재호 합성수지재 반테형 안경 및 그 제조방법
CN108776393A (zh) * 2018-08-24 2018-11-0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眼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525B1 (ko) * 2011-09-22 2012-03-22 이상범 일체형 반테안경
KR101192887B1 (ko) 2012-01-16 2012-10-18 고재호 합성수지재 반테형 안경 및 그 제조방법
CN108776393A (zh) * 2018-08-24 2018-11-0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眼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209B1 (ko) 렌즈교체형 안경
KR102334088B1 (ko) 자석을 이용한 선글라스 착탈 안경
KR20120000933U (ko) 금속박판소재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분할부를 갖는 무경첩 안경테
KR200435380Y1 (ko) 안경
KR200459902Y1 (ko) 합성수지제 안경커버가 결합된 반테 안경
KR101397357B1 (ko) 교체 가능한 안경테
KR20090092948A (ko) 안경 조립체
KR20170115721A (ko) 안경의 템플 힌지장치
KR20200116614A (ko) 합성수지소재와 금속소재 겸용 조립식 안경테
JP2014002386A (ja) 非定形の眼鏡フレーム
KR102056754B1 (ko) 조립식 안경
WO2005006061A1 (en) Eyeglasses assembly including main eyeglasses and auxiliary eyeglasses combined with each other via connection bar
KR200467559Y1 (ko) 안경
KR200385176Y1 (ko) 무테안경
KR200466884Y1 (ko) 다리교환이 용이한 안경다리 연결장치
CN220752430U (zh) 一种镜架结构、眼镜框架及眼镜
KR20200102202A (ko) 착용이 편리하고 심미감을 가지는 안경 조립체
ITMO20130006U1 (it) Occhiale perfezionato
KR20150007043A (ko) 안경다리 교환이 용이한 안경테
KR100916692B1 (ko) 안경테 제작방법
KR20110049534A (ko) 보조안경테
JP3880988B2 (ja) 眼鏡
KR200459668Y1 (ko) 안경렌즈고정용 실링부재
KR101757188B1 (ko) 콤비네이션 안경테
CN201170818Y (zh) 一种眼镜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93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10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2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C2102 Extinguishment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04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