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153Y1 - Drive Mechanism of Drive Bracket for Roll Blind - Google Patents
Drive Mechanism of Drive Bracket for Roll Bli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4153Y1 KR200434153Y1 KR2020060026683U KR20060026683U KR200434153Y1 KR 200434153 Y1 KR200434153 Y1 KR 200434153Y1 KR 2020060026683 U KR2020060026683 U KR 2020060026683U KR 20060026683 U KR20060026683 U KR 20060026683U KR 200434153 Y1 KR200434153 Y1 KR 20043415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e
- driving
- bracket
- piece
- whe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44—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blinds to roll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50—Bear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롤블라인드의 드럼과 구동브라켓에 사이에 설치되어 블라인드를 승하강시키는 구동기구에 관련되며, 구동브라켓(30), 구동휘일(40), 작동구(50), 결합구(6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구동브라켓(30)은 일면이 돌출되게 돌부(31)와 결착홈(32) 및 이를 관통하는 관통공(33)을 구비하고, 고정돌부(31)와 결착홈(32)에 의해 스프링(36)이 탄지된 연결구(35)를 맞물려 장착한다. 구동휘일(40)은 연결구(35)의 외주면에 개재하여 안착하고, 스프링(35)에 접하게 구동편(41a)을 구비한 휘일(41)과 맞물린 볼체인(42)을 구비한다. 작동구(50)는 구동휘일(40)의 구동편(41a)에 접하게 작동편(51)을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에 드럼(5)과 연결되는 장착구(55)에 맞물리는 작동돌편(52)을 구비한다. 결합구(60)는 구동브라켓(30)의 관통공(33)에 의해 연결구(35), 구동휘일(40)을 삽착하고, 작동구(50)의 단턱(50a)에 결착되는 결합편(61)을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 mechanism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drum and the driving bracket of the roll blind to raise and lower the blind, drive bracket 30, the drive wheel 40, the operating port 50, the coupling sphere 60 It is a main constitution. The driving bracket 30 has a protrusion 31, a binding groove 32, and a through hole 33 penetrating the one surface thereof so that one surface thereof protrudes, and the spring 36 is fixed by the fixing protrusion 31 and the binding groove 32. Engage and mount this burnt-out connector 35. The drive wheel 40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35 and has a ball chain 42 engaged with the wheel 41 having the drive piece 41a in contact with the spring 35. The actuating tool 50 has an actuating piece 51 at one end thereof in contact with the driving piece 41a of the driving wheel 40, and an actuating stone piece engaged with the mounting hole 55 connected to the drum 5 at the other end ( 52). Coupling member 6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35, the drive wheel 40 by the through hole 33 of the drive bracket 30, the coupling piece 61 is fastened to the step (50a) of the operating tool (50) ).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기존 롤블라인드에서 구동브라켓의 구동기구를 보다 개선하여, 이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품들을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여 조립성과 시공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구동브라켓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작동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mproves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driving bracket in the existing roll blind, and i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main components constituting it, thereby providing excellent assemblability and constructability, and stably supported from the driving bracket to ensure operation. Stability is improved.
롤블라인드, 구동브라켓, 구동기구, 분해, 조립, 조립성, 시공성 Roll blinds, drive brackets, drive mechanisms, disassembly, assembly, assembly, construction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롤블라인드의 구조와 함께 구동브라켓의 구동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drive mechanism of the drive bracket with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roll blind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브라켓의 구동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drive mechanism of the driv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동브라켓의 구동기구를 장착된 상태와 함께 이를 단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with a driving mechanism of the driv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
20: 구동기구 30: 구동브라켓20: drive mechanism 30: drive bracket
31: 돌부 32: 결착홈31: protrusion 32: binding groove
33: 관통공 35: 연결구33: through hole 35: connector
36: 스프링 40: 구동휘일36: spring 40: drive wheel
50: 작동구 55: 장착구50: operating port 55: mounting hole
60: 결합구60: splice
본 고안은 롤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롤블라인드에서 구동브라켓의 구동기구를 보다 개선하여, 이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품들을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여 조립성과 시공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구동브라켓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작동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롤블라인드용 구동브라켓의 구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 blind, and more specifically, to improve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driving bracket in the existing roll blind, i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main components constituting it, as well as excellent assembly and construction, as well as the driving brack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 mechanism of a drive bracket for roll blinds that is stably supported from and improved in stability of operation.
통상적으로, 블라인드(Blind)는 커튼의 대용으로, 각종 건축물의 외벽이나 내벽에 구비되는 창문에 설치되어 차광이나 실내의 조명조절 및 실내의 사생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이외에도 이러한 실용성 및 벽이나 유리의 딱딱함을 부드럽게 하고 색채의 배합에 따라 실내 미관을 향상시키는 실내장식의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블라인드는 수평 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차양 즉, 블라인드를 펼치거나 말아 올리는 형태의 롤블라인드 또는 라인블라인드와,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열된 각각의 블라인드를 로프로서 연결한 버티컬블라인드 등이 알려져 있다.In general, blinds are used as a substitute for curtains and installed on windows provided on the outer walls and inner walls of various buildings, and are used as a means for controlling light blocking or indoor lighting and preventing invasion of privacy in the room. In addition, it is emerging as an important element of interior decoration that softens the hardness of glass and improves the aesthetic appearance according to the color combination. Such blinds are known as roll blinds or line blinds in the form of one or a plurality of sha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blinds are spread or rolled up, and vertical blinds in which a plurality of the blinds are arranged as ropes in the vertical direction. .
도 1은 종래의 롤블라인드의 구조와 함께 구동브라켓의 구동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sassembled drive mechanism of the drive bracket with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roll blind is shown.
통상의 블라인드(1)는 벽체 등에 고정되는 고정용 프레임(2)의 양측에 구동ㆍ종동브라켓(3,4)이 설치되고, 브라켓(3)(4)의 사이에는 무게봉(8)이 고정된 블라인드(7)가 외주면을 따라 감겨지는 파이프 형태의 드럼(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구동브라켓(3)의 내부에는 드럼(5)을 회전시켜 블라인드(7)를 펼치거나 감아 들일 수 있도록 하는 구동기구(10)가 볼체인(11)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종동 브라켓(4)의 내부에는 볼체인(11)을 사용하여 블라인드(7)를 펼치거나 감아 들일 경우 무게봉(8)의 자중에 의하여 블라인드(7)가 스스로 내려가지 않도록 안내하는 지지기구(미도시)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normal blind 1 is provided with driving and driven
이러한 종래의 구동기구(10)는 도 1처럼 볼체인(11)에 맞물린 휘일(12)상에 관통되고 스프링(13)을 탄지한 구동축(14)이 일체로 결합된 구동체(15)와, 구동체(15)의 선단을 수용하면서 구동축(14)의 걸림턱(14a)에 결착되어 드럼(5)에 연결하기 위한 커버(17)로 구성된다. 이때, 구동체(15)는 구동축(14)의 통공을 통하여 구동브라켓(3)의 안착판(3a)이 안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그런데 이와 같은 구동기구(10)는 이를 구성하는 주요부품을 분해하여 일부를 점검 또는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구동체(15)를 완전히 분해할 수 없음으로 인해, 즉 이는 구동체(15)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볼체인(11), 휘일(12), 스프링(13), 구동축(14)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분해가 쉽지 않고 매우 번거롭고, 분해 후 재조립도 비교적 까다로워 조립성과 시공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By the way, such a
이외에도, 구동체(15)가 구동브라켓(3)의 안착편(3a)에 단순히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구동브라켓(3)과 구동체(15)간에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지 못해 그 작동성과 결합성이 극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 롤블라인드에서 구동브라켓의 구동기구를 보다 개선하여, 이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품들을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여 조립성과 시공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구동브라켓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작동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롤블라인드용 구동브라켓의 구동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ndamentally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further improving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driving bracket in the existing roll blind, and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major components constituting it, excellent assembly and construction properties In addition, to provide a drive mechanism of the drive bracket for the roll blind that is stably supported from the drive bracket to improve the operation stability of the purpose is to.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롤블라인드의 드럼과 구동브라켓에 사이에 설치되어 블라인드를 승하강시키는 구동기구에 있어서: 일면이 돌출되게 돌부(31)와 결착홈(32) 및 이를 관통하는 관통공(33)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돌부(31)와 결착홈(32)에 의해 스프링(36)이 탄지된 연결구(35)를 맞물려 장착하는 구동브라켓(30); 상기 연결구(35)의 외주면에 개재하여 안착하고, 스프링(35)에 접하게 구동편(41a)을 구비한 휘일(41)과 맞물린 볼체인(42)을 구비하는 구동휘일(40); 상기 구동휘일(40)의 구동편(41a)에 접하게 작동편(51)을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에 드럼(5)과 연결되는 장착구(55)에 맞물리는 작동돌편(52)을 구비하는 작동구(50); 및 상기 구동브라켓(30)의 관통공(33)에 의해 연결구(35), 구동휘일(40)을 삽착하고, 작동구(50)의 단턱(50a)에 결착되는 결합편(61)을 구비하는 결합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ve mechanism installed between a drum and a driving bracket of a roll blind to raise and lower the blind: a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Meanwhile,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may use the terminology to explain their own ideas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can be properly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alternatives may be substitut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브라켓의 구동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동브라켓의 구동기구를 장착된 상태와 함께 이를 단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drive mechanism of the driv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with the drive mechanism of the driv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롤블라인드의 드럼과 구동브라켓에 사이에 설치되어 블라인드를 승하강시키는 구동기구에 관련되며, 구동브라켓(30), 구동휘일(40), 작동구(50), 결합구(6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 mechanism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drum and the driving bracket of the roll blind to raise and lower the blind, drive
이러한, 본 고안의 롤블라인드(1)는 도 2 내지 도 3에서 종래의 롤블라인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부호를 개재하였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가능한 생략하였다. 즉 본 고안의 롤블라인드(1)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벽체 등에 고정되는 고정용 프레임(2)의 양측에 구동브라켓과 종동브라켓(4)이 설치되고, 브라켓의 사이에는 무게봉(8)이 고정된 블라인드(7)가 외주면을 따라 감겨지는 파이프 형태의 드럼(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외부적인 구성은 종래의 롤블라인드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본 고안에 따른 구동브라켓(30)은 일면이 돌출되게 돌부(31)와 결착홈(32) 및 이를 관통하는 관통공(33)을 구비하고, 고정돌부(31)와 결착홈(32)에 의해 스프링(36)이 탄지된 연결구(35)를 맞물려 장착한다. 구동브라켓(30)은 도 2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구동브라켓과는 달리 일면에 돌부(31)와 결착홈(32) 및 이를 관통하는 관통공(33)을 구비한다. 이러한 돌부(31)에는 도 3처럼 스프링(36)이 탄지된 연결구(35)가 맞물리도록 끼워짐과 함께 연결구(35)의 돌기(도면부호 미부여)가 결착홈(32)에 끼워지면서 장착된다. 이때, 연결구(35)는 외주면에 스프링(36)이 탄지되고, 타단에 돌기를 다수개 구비된다.The
또, 본 고안에 따른 구동휘일(40)은 연결구(35)의 외주면에 개재하여 안착하고, 스프링(35)에 접하게 구동편(41a)을 구비한 휘일(41)과 맞물린 볼체인(42)을 구비한다. 구동휘일(4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싱(도면부호 미부여)과 휘일(41) 및 볼체인(42)으로 이루어지는 바, 케이싱은 일면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하면에 볼체인(42)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다. 이러한 케이싱에는 휘일(41)과 맞물린 볼체인(42)이 안착하여 장착되는 바, 이때 휘일(41)은 내주면에 구동편(41a)이 형성되어 스프링(35)의 단부와 접하여 연계 작동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작동구(50)는 구동휘일(40)의 구동편(41a)에 접하게 작동편(51)을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에 드럼(5)과 연결되는 장착구(55)에 맞물리는 작동돌편(52)을 구비한다. 작동구(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편(51)과 작동돌편(52)이 구비되는 바, 작동편(51)은 작동구(50)의 일단에 한쌍으로 형성되어 구동휘일(40)의 구동편(41a)에 접하여 연계 작동한다. 그리고 작동돌편(52)은 작동구(50)의 타단에 돌출되어 외형이 육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작동돌편(52)은 도 3처럼 드럼(5)에 연결되는 장착구(55)에 맞물려 연계 작동한다. 이때 장착구(55)는 외주면에 다수의 고정날개(도면번호 미부여)가 형성되어 드럼(5)에 삽입되어 장착 되는 바, 즉 장착구(55)의 고정날개는 도시된 것처럼 외주면에 4개를 형성됨에 따라 어느 위치에서도 고정날개에 의해 드럼(5)에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60)는 구동브라켓(30)의 관통공(33)에 의해 연결구(35), 구동휘일(40)을 삽착하고, 작동구(50)의 단턱(50a)에 결착되는 결합편(61)을 구비한다. 결합구(6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일단에 결합편(61)과 타단에 머리부(도면번호 미부여)가 형성되는 바, 결합편(61)은 도 3처럼 작동구(50)의 단턱(50a)에 결착되도록 한쌍으로 형성되고, 구동브라켓(30)의 관통공(33)을 통해 연결구(35), 구동휘일(40), 작동구(50)를 안착하여 작동구(50)의 단턱(50a)에 결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결합구(60)의 머리부는 도 3처럼 구동브라켓(30)의 관통공(33)상에 단턱(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되어 결합구(60)의 머리부가 단턱에 수용되어 장착된다. 이러한 결합구(60)는 구동브라켓(30)의 관통공(33)에 삽착되면서 연결구(35), 구동휘일(40), 작동구(50)와 일체로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도 2 내지 도 3을 통해 조립과 분해에 있어서, 우선 구동브라켓(30)의 돌부(31)에 스프링(36)이 탄지된 연결구(35)가 맞물리게 끼우는 동시에 연결구(35)의 돌기를 결착홈(32)에 끼워지면서 장착된다. 이어서 구동브라켓(30)의 관통공(33)에 결합구(60)를 장착한 다음 구동휘일(40)과 작동구(50)를 순서대로 안착하여 장착하되, 이때 휘일(41)은 내주면에 구동편(41a)이 스프링(35)의 단부와 접하도록 장착한다. In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through FIGS. 2 to 3, first, the
이어서, 위와 같이 가조립된 상태에서 작동구(50)를 구동휘일(40)의 휘일(41)상에 안착하여 장착하되, 이때 작동구(50)의 작동편(51)이 구동휘일(40)의 구동편(41a)에 접하게 장착한 다음 작동구(50)를 가압하여 결합구(60)의 결합편(61)이 작동구(50)의 단턱(50a)에 결착 고정되어 구동기구(20)의 조립이 완료되고, 이후에 장착구(55)를 작동구(50)의 작동돌편(52)에 결착하고, 장착구(55)는 다수의 고정날개를 통하여 드럼(5)에 삽입되어 장착한다. 이에 따라 구동기구(20)는 드럼(5)의 일단을 지지하면서 드럼(5)을 회전시켜 블라인드(7)를 펼치거나 감아 들일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the
그리고 구동기구(20)가 도 3처럼 조립된 상태에서 종래와는 달리 드럼(5)에서 장착구(55)를 이탈시킨 다음 작동구(50)의 단턱(50a)으로부터 결합구(60)의 결합편(61)을 공구로(예를 들면 핀셋) 압착하여 누르기만 하면 결합구(60)가 이탈됨에 따라 구동브라켓(30)으로부터 연결구(35), 구동휘일(40), 작동구(50)의 분해가 용이하고 이를 역방향으로 다시 시행하면 조립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 조립성과 시공성이 우수하다. 일방향으로만 가압하기 때문에 공구를 사용할 때 다칠 우려도 없다.And unlike the conventional state in the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구동기구(20)는 이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품들을, 즉 구동브라켓(30)으로부터 결합구(60)에 의해 연결구(35), 구동휘일(40), 작동구(50), 장착구(55)를 분해 및 조립됨에 따라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여 이루어짐으로 조립성과 시공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구동브라켓(30)상에 구동기구(2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작동의 안정성이 향상된다.As such, the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modific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 롤블라인드에서 구동브라켓의 구동기구를 보다 개선하여, 이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품들을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여 조립성과 시공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구동브라켓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작동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mproves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driving bracket in the existing roll blind, and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main components constituting it, as well as excellent assembly and construction, and from the driving bracket It is stably supported,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operation.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6683U KR200434153Y1 (en) | 2006-09-29 | 2006-09-29 | Drive Mechanism of Drive Bracket for Roll Bli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6683U KR200434153Y1 (en) | 2006-09-29 | 2006-09-29 | Drive Mechanism of Drive Bracket for Roll Blin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4153Y1 true KR200434153Y1 (en) | 2006-12-18 |
Family
ID=41782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6683U Expired - Lifetime KR200434153Y1 (en) | 2006-09-29 | 2006-09-29 | Drive Mechanism of Drive Bracket for Roll Blin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4153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8090B1 (en) | 2010-11-15 | 2013-02-27 | 박준엽 | Upper frame and side fixation bracket between combination structure of roll curtain. |
-
2006
- 2006-09-29 KR KR2020060026683U patent/KR200434153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8090B1 (en) | 2010-11-15 | 2013-02-27 | 박준엽 | Upper frame and side fixation bracket between combination structure of roll curtai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6344B1 (en) | Roll blinds | |
CN101300399B (en) | Selective tilting arrangement for a blind system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 |
KR102109276B1 (en) | Dual semi-automatic blinds | |
KR200434153Y1 (en) | Drive Mechanism of Drive Bracket for Roll Blind | |
KR101153992B1 (en) | Apparatus for limiting a winding of roll blind | |
CN212271988U (en) | Hollow glass built-in shutter | |
KR100805185B1 (en) | One side upward folding door structure | |
KR20190035360A (en) | Window blind connection device | |
TWI402414B (en) | Blinds device | |
KR200446420Y1 (en) | Venetian blind fixture | |
KR200434152Y1 (en) | Support mechanism for driven bracket for roll blind | |
CN105019797A (en) | Expanding-type frictional overturning wheel structure for louver with built-in double-layer hollow glass | |
KR20190124220A (en) | Roll-up screens and their screen positioning devices | |
CN104975802A (en) | Shutter blind piece overturning device of double-layer hollow glass built-in window blind | |
KR200310930Y1 (en) | Device for lifting or lowering curtain up and down | |
JP2010222928A (en) | Power transmission device with built-in blind type multiple glass sash | |
CN115075717B (en) | Control Mechanism of Energy-saving Hollow Louvered Glass Window | |
KR200339981Y1 (en) | Shading device that works in both up and down directions | |
KR200413444Y1 (en) | Electric lifter | |
KR102702279B1 (en) | Window blind connection device | |
KR20120033764A (en) | Window having the blind | |
KR20210067347A (en) | Roll mosquito net with adjustable spring tension | |
CN218246023U (en) | Outdoor hanging umbrella with independent rope winding mechanism | |
KR200323752Y1 (en) | Awning device | |
CN214196107U (en) | Manual magnetic drive's built-in shutter of cavity glas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929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12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100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52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9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U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20810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508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08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9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U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50810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10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7032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8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