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345Y1 - Vegetation Block Frame & Vegetation Block - Google Patents
Vegetation Block Frame & Vegetation B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2345Y1 KR200432345Y1 KR2020060018839U KR20060018839U KR200432345Y1 KR 200432345 Y1 KR200432345 Y1 KR 200432345Y1 KR 2020060018839 U KR2020060018839 U KR 2020060018839U KR 20060018839 U KR20060018839 U KR 20060018839U KR 200432345 Y1 KR200432345 Y1 KR 20043234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getation
- wall
- block
- block frame
- vegetation b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생블럭 프레임 및 식생블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block frame and a vegetation block.
본 고안은 다기능 식생블럭의 블럭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블럭 프레임은 바닥판과 외측벽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부에 다수개의 간벽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단위 식생공간부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바닥판과 간벽에는 수개의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에는 상기 외측벽 높이의 반을 경계선으로 하여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외측벽의 길이 방향으로도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식생블럭 프레임의 단위 식생공간부에 스텝블럭을 선택적으로 삽입한 식생블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 frame of a multi-function vegetation block, the block frame is formed in the interior space consisting of a bottom plate and the outer wall a plurality of interwall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 plurality of unit vegetation space portion, the bottom plate The through wall is formed with several through grooves, and the outer wall is formed with the recessed portions and the convex portions alternately formed at half the height of the outer wall, and the concave portions and the convex portions are alternate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wall. do.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vegetation block in which the step block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unit vegetation space portion of the vegetation block frame.
따라서 본 고안은 내부공간부에 관통홈이 형성된 간벽으로 구획되어지는 다수개의 단위 식생공간부가 형성되어짐으로써 풀이나 초목 등이 용이하게 뿌리를 내려 서식할 수 있도록 하고, 외측판에 철부와 요부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맞물려지도록 시공함으로써 시공 후 식생블럭이 틀어지는 것과 지면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grass or vegetation to be easily rooted and inhabited by the formation of a plurality of unit vegetation space parts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having a through groove formed in the inner space, and the length of the convex part and the recess in the outer plate. Formed in the direction to be interlocked to prevent the vegetation block is twisted and lifted off the ground after construction.
식생블럭, 블럭 프레임, 단위 식생공간부, 간벽, 관통홈 Vegetation block, block frame, unit vegetation space part, partition wall, through groove
Description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럭 프레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getation block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럭 프레임을 도시한 요부 절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incision showing the vegetation block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럭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vegetation block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럭을 도시한 단면도.Figure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럭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getation block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럭이 볼트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Figure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getation block is coupled by a bo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럭에 스페이서와 스텝블럭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acer and a step block are inserted into a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a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럭 프레임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8a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vegetation block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b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럭 프레임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8b is a plan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vegetation block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c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럭 프레임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8c is a plan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vegetation block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d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럭 프레임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8d is a plan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vegetation block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e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럭 프레임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8e is a plan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vegetation block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f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럭 프레임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8f is a plan view showing a seventh embodiment of the vegetation block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g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럭 프레임의 제8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8g is a plan view showing an eighth embodiment of the vegetation block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h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럭 프레임의 제9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8h is a plan view showing a ninth embodiment of the vegetation block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i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럭 프레임의 제10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8i is a plan view showing a tenth embodiment of the vegetation block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j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럭 프레임의 제1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8j is a plan view showing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vegetation block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k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럭 프레임의 제12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8k is a plan view showing a twelfth embodiment of the vegetation block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Simple explana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main part of drawing>
a:관통홈 b:요부a: Through hole b: Main part
c:철부 H:높이c: iron H: height
100:블럭 프레임 110:바닥판100: block frame 110: bottom plate
120:외측벽 130:간벽120: outer wall 130: partition wall
140:단위 식생공간부 200:스페이서140: unit vegetation space part 200: spacer
400:스텝블럭400: step block
본 고안은 식생블럭 프레임 및 식생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닥판 상부의 외측벽 내부로 제공되어지는 내부공간부에 관통홈이 형성된 간벽으로 구획되어지는 다수개의 단위 식생공간부가 형성되어짐으로써 풀이나 초목 등이 용이하게 뿌리를 내려 서식할 수 있도록 하고, 블럭 프레임을 구성하는 외측벽에 철부와 요부를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 서로 맞물려지도록 시공함으로써 시공 후 식생블럭이 틀어지는 것과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block frame and a vegetation block, and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unit vegetation space parts are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formed with the through groove formed in the inner space that is provided inside the outer wall of the top plate of the grass plate or vegetation, etc. The roots can be easily inhabited, and the convex and recessed part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wall constituting the block frame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o prevent the vegetation block from twisting and lifting after construction.
일반적으로 식생블럭은 중앙에 통공을 가지며 전,후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지며 이를 상,하부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엊갈리게 적층시킨 뒤 몰드를 유입하여 상호 결속되어지게 된다.In general, the vegetation block has a hole in the center and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in a planar manner,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vegetation block are stacked alternately to form a constant space, and the mold is introduced into and bound to each other.
이 같은 식생블럭은 전면과 후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토사를 수용할 수 없기 때문에 미관이 우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식물 등의 식생이 불가능하여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나아가 생태계가 파괴되는 원인이 있었다.These vegetation blocks ar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planes to accommodate the earth and sand not only have a good aesthetic appearance, but also can not be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ecause the vegetation, such as plants are impossible, and the ecosystem was destroyed.
최근에는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친환경적인 제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여 식생블럭이 단순히 토사의 침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식물 등의 식생이 가능하여 외관상으로 우수하고 친환경적인 식생블럭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Recently, as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tection increases, the demand for eco-friendly products increases, so that the vegetation blocks not only prevent sedimentation of soil, but also allow vegetation such as plants. It is increasing.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식생블럭은 전면 및 후면이 모두 평면으로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vegetation block has a problem that cannot meet this demand because the front and rear surfaces cannot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vegetation can be planted in a plane.
또한, 식생블럭이 하천의 제방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 축조된 식생블럭의 전면과 하천수와의 마찰이 전혀 일어나지 않아 유속 및 유량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지반침하가 가속화되는 동시에 식물의 식생이 더욱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vegetation block is used as a river bank, friction between the front of the constructed vegetation block and the river water does not occur at all, thereby increasing the flow velocity and flow rate, thereby accelerating ground subsidence and making plant vegetation more difficult. There is this.
그리고 식생블럭의 시공이 상,하부로 단순히 엊갈리도록 적층되어 있음으로써하나의 식생블럭이 유실되었을 경우 그 이웃한 다른 식생블럭이 연이어 유실되고, 하나의 식생블럭의 측면에 다른 식생블럭의 측면이 맞닿아 있는 상태로 유지 또는 시공되어짐으로써 전체적으로 식생블럭이 틀어진 형태로 시공되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And since the construction of vegetation blocks is simply stacked between the top and bottom, when one vegetation block is lost, the other vegetation blocks adjacent to it are lost in succession, and the side of the other vegetation block is on the side of one vegetation block. There is another problem that the vegetation block is constructed in a distorted shape as a whole by being maintained or constructed in contact.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바닥판의 상부에 외측벽의 내부로 제공되어지는 내부공간부에 관통홈이 형성된 간벽으로 구획되어지는 다수개의 단위 식생공간부가 형성되어짐으로써 풀이나 초목 등이 용이하게 뿌리를 내려 서식할 수 있는 식생블럭 프레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 plurality of unit vegetation space parts are formed in the inner space that is provid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wall on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plate and partitioned into the interwalls formed with the through-grooves. The object is achieved by providing a vegetation block frame that can be easily rooted and inhabited.
또한, 본 고안은 블럭 프레임을 구성하는 외측판에 철부와 요부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맞물려지도록 시공됨으로써 시공 후 틀어지는 것과 들뜨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생블럭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달성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getation block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and floated after construction by being constructed to be engaged with the outer plate constituting the block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cessed por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기능 식생블럭의 블럭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블럭 프레임(100)은 바닥판(110)과 외측벽(120)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부에 다수개의 간벽(130)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단위 식생공간부(14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바닥판(110)과 간벽(130)에는 수개의 관통홈(a)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120)에는 상기 외측벽(120) 높이(H)의 반을 경계선으로 하여 요부(b)와 철부(c)가 교대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외측벽(120)의 길이 방향으로도 요부(b)와 철부(c)가 교대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block frame of the multi-function vegetation block, the
또한, 상기 블럭 프레임(100)의 외측벽(120)에는 수개의 관통홈(a)이 형성되 고, 상기 외측벽(120)의 모서리 상부에 단턱진 섹터형태를 갖는 볼트안내홈(125)이 수직되게 형성되어지되, 상기 볼트안내홈(125)은 다른 블럭 프레임(100')의 외측벽(120') 모서리에 형성된 다른 볼트안내홈(125')에 맞닿아 하나의 관통된 원통형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 are formed in the
또한, 상기 단위 식생공간부(140)에 십자형태의 스페이서(200)가 삽입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블럭 프레임(100)은 상기 블럭 프레임(100) 하부에 놓여진 네트(300)에 걸고리 너트(310)가 걸려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고리 너트(310)에 와셔(321)가 끼워진 볼트(320)가 나사결합되어 바닥에 밀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프레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In addition, the
다기능 식생블럭의 블럭 프레임(100)에 스텝블럭이 삽입된 식생블럭에 있어서, 상기 블럭 프레임(100)은 바닥판(110)과 외측벽(120)로 이루어진 내부공간부에 다수개의 간벽(130)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단위 식생공간부(14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바닥판(110)과 간벽(130)에는 수개의 관통홈(a)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120)에는 상기 외측벽(120) 높이(H)의 반을 경계선으로 하여 요부(b)와 철부(c)가 교대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외측벽(120)의 길이 방향으로도 요부(b)와 철부(c)가 교대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단위 식생공간부(140)에 스텝블럭(400)이 선택적으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egetation block in which the step block is inserted into the
그리고 상기 단위 식생공간부(140)에 십자형태의 스페이서(200)가 삽입되어지며 상기 스페이서(200)의 상부에 스텝블럭(400)이 선택적으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And the purpose of providing a vegetation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에 따른 블럭 프레임(100)은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와 넓이를 갖는 바닥판(110)의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을 갖는 외측벽(120)의 하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바닥판(110)의 상부면과 외측벽(120)의 내측면 사이로 내부공간부가 제공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부에는 다수개의 간벽(130)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진 다수개의 단위 식생공간부(140)가 제공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In the
상기 단위 식생공간부(140)를 이루는 바닥판(110)과 간벽(130)에는 다수개의 관통홈(a)이 형성되어 풀이나 초목이 용이하게 뿌리를 내려 자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내부공간부가 제공되어지는 외측벽(120)에는 외측벽(120) 높이(H)의 절반을 경계선으로 하여 요부(b)와 철부(c)가 교대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다른 식생블럭 프레임(100')에 맞닿도록 결합시킬 경우 상,하부로 들뜨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e
상기 요부(b)와 철부(c)가 외측벽(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다른 블럭 프레임(100')에 결합될 경우 외측벽(120)의 길이방향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concave portion (b) and the convex portion (c) are alternate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상기 요부(b)와 철부(c)가 교대로 형성된 외측벽(120)에는 다수개의 관통홈(a)이 별도로 형성되어지도록 함으로써 풀이나 초목이 단위 식생공간부(140)에서 뿌리를 내리는 과정 중 뿌리가 관통홈(a)을 통해 측방향으로 뻗어나감에 따라 블럭 프레임(100)(100') 끼리의 결합력이 더 높여질 수 있게 된다.Roots and vegetation are rooted in the process of taking root in the unit
이러한 식생블럭 프레임(100)은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성형 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상기 외측벽(120)이 만나는 모서리의 상부에는 단턱진 섹터형태 즉, 원의 1/4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볼트안내홈(125)이 수직되도록 형성되어짐으로써 다른 여러개의 블럭 프레임(100')의 외측벽(120') 모서리에 형성된 다른 볼트안내홈(125')에 맞닿아 하나의 관통된 원통형태가 유지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upper part of the corner where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블럭 프레임(100)에 형성된 단위 식생공간부(140)에 황토, 석재, 목재 및 시멘트 등으로 제조되어진 스텝블럭(400)이 삽입되어 하나의 식생블럭이 제공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이러한 스텝블럭(400)은 하나의 블럭 프레임(100)에 형성된 다수개의 단위 식생공간부(140)에 모두 삽입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이나 초목이 자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텝블럭(400)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상기 스텝블럭(400)의 하부가 블럭 프레임(100)의 하부로 제공되어지는 관통홈(a)이 형성된 바닥판(110) 상부에 맞닿을 경우 그 만큼의 식생공간이 좁아져 식생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식생공간부(140)의 하부에 스페이서(200)가 삽입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스페이서(200)의 상부에 스텝블럭(400)의 하부가 얹혀지도록 결합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이때 사용되어지는 스페이서(200)는 십자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십자형태 이외에 원통형이나 다각형 등의 것으로 대체시켜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이러한 구조를 갖는 블럭 프레임(100) 또는 식생블럭은 도1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또는 바닥에 놓여진 네트(300)에 후크형태를 갖는 걸고리 너트(310)가 걸려지도록 하고, 상기 네트(300)에 걸려진 걸고리 너트(310)에 와셔(321)가 끼워진 볼트(320)가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바닥으로 부터 블럭 프레임(100)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블럭 프레임(100)을 이용하여 식생블럭이 시공되어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vegetation block using the
먼저, 식생블럭이 시공되어질 바닥이나 지면을 평탄화시킨 후 평탄화된 지면에 네트(300)가 올려지도록 한다. 이때 네트(300)는 다수의 곳에 미도시한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after flattening the floor or ground to be installed vegetation block is to be placed net 300 on the flattened ground. At this time, the net 300 is preferably to be fixed using a plurality of anchor bolts, not shown.
다음, 네트(300)에 걸고리 너트(310)가 걸려지도록 한 후 걸고리 너트(310)의 상부에 블럭 프레임(100)의 모서리 하부가 위치도록 한다. 이때 볼트안내홈(125)의 하부가 걸고리 너트(310)에 형성된 너트홈에 그 중심이 일치되도록 하며 다른 블럭 프레임(100')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원통형태를 갖는 볼트안내홈이 유지되도록 한다.Next, the
다음, 원통형태를 갖도록 유지된 볼트안내홈(125)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321)가 끼워진 볼트(320)를 삽입하여 조이는 것으로 하나의 블럭 프레임(100)이 지면 또는 바닥에 밀착되도록 시공되어지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시공된 블 럭 프레임(100)의 단위 식생공간부(140)에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블럭(400)을 선택적으로 삽입하는 것으로 식생블럭의 시공작업이 마무리된다.Next, one
이때 블럭 프레임(100)의 외측벽(120)에 형성된 요부(b)와 철부(c)가 이웃한 다른 블럭 프레임(100')의 철부와 요부에 각각 결합되어짐으로써 시공 후 블럭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틀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며 지면에서 높이 방향으로 들뜨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recessed part (b) and the convex part (c) formed on the
또한, 블럭 프레임(100)의 단위 식생공간부(140)에는 식물의 활착에 필요한 양분이 혼합된 흙이나 기타 씨앗 등을 넣어 공장에서 출하되도록 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블럭 프레임(100)(100')이 시공된 후 그 위에 흙이나 씨앗을 뿌려주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it
한편, 식물의 활착공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 프레임(100)에 형성된 단위 식생공간부(140)에 십자형태를 갖는 스페이서(200)를 선택적으로 삽입한 후 삽입된 스페이서(200)의 상부에 스텝블럭(400)의 하단이 맞닿도록 삽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crease the slid space ratio of the plant, as shown in Figure 7, the
본 고안에서는 블럭 프레임(100)을 정사각형태를 가지며 그 내부로 제공되어지는 단위 식생공간부(140) 역시 동이한 형태를 갖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구성 이외에 도8a~8l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 프레임(100")을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블럭 프레임(100")는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니콤 모양인 벌집형태를 갖도록 사용할 수 있으며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패널을 갖는 마루판 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도8c,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태 및 원통형태를 갖도록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This
도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꼴의 형태를 갖도록 사용할 수 있으며 도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웨이브 형태를 갖도록 사용할 수 있고, 도8g, 도8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테두리에 원통형태가 반복되어지거나 사각의 테두리에 대각선으로 구분되어진 내측으로 원통형태가 반복되어지도록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E, it may be used to have a rhombic shape, and as shown in Fig. 8F, it may be used to have a rectangular wave shape. As shown in Figs. 8G and 8H, a cylindrical shape is repeated on a rectangular border. It can be used to repeat the cylindrical shape inside or divided diagonally on the edge of the square.
도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테두리 내부에 육각형태를 갖는 단위 식생공간부가 제공되어지도록 사용할 수 있으며 도8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개비의 형태를 갖도록 사용할 수 있고, 도8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로 만곡형 아아치 형태를 갖도록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I, a unit vegetation space part having a hexagonal shape may be provided inside a rectangular frame, and may be used to have a pinwheel shape as shown in FIG. 8J, and as shown in FIG. 8K. It can be used to have a curved arch shape in length.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바닥판 상부의 외측벽 내부로 제공되어지는 내부공간부에 관통홈이 형성된 간벽으로 구획되어지는 다수개의 단위 식생공간부가 형성되어짐으로써 풀이나 초목 등이 용이하게 뿌리를 내려 서식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블럭 프레임을 구성하는 외측벽에 철부와 요부를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 서로 맞물려지도록 시공함으로써 시공 후 식생블럭이 틀어짐과 동시에 지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식생블럭에 다수개의 스텝블록을 글씨나 그림의 형태를 갖도록 삽입할 경우 멀리서 보아 광고의 효과도 더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 plurality of unit vegetation space portion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formed with the through groove in the inner space that is provided inside the outer wall of the bottom plate can be easily rooted grass or vegetation, etc. You can get the effect. In addition, by forming the convex portion and the recesse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wall constituting the block frame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 vegetation block is twisted after construction,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fting from the ground. In addition, when inserting a plurality of step blocks into the vegetation block to have the form of letters or pictures, the effect of advertisement can be obtained from a distance.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8839U KR200432345Y1 (en) | 2006-07-12 | 2006-07-12 | Vegetation Block Frame & Vegetation Bl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8839U KR200432345Y1 (en) | 2006-07-12 | 2006-07-12 | Vegetation Block Frame & Vegetation Block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3097A Division KR100710050B1 (en) | 2006-07-05 | 2006-07-05 | Vegetation Block Frame & Vegetation Blo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2345Y1 true KR200432345Y1 (en) | 2006-12-04 |
Family
ID=4178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8839U Ceased KR200432345Y1 (en) | 2006-07-12 | 2006-07-12 | Vegetation Block Frame & Vegetation Blo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2345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3728B1 (en) | 2006-10-02 | 2008-08-22 |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 Prefabricated Wall Recording Equipment |
-
2006
- 2006-07-12 KR KR2020060018839U patent/KR200432345Y1/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3728B1 (en) | 2006-10-02 | 2008-08-22 |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 Prefabricated Wall Recording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10050B1 (en) | Vegetation Block Frame & Vegetation Block | |
US6625925B1 (en) | Landscape edging | |
US10995491B2 (en) | Planter block | |
US6874293B2 (en) | Protruding planter block for retaining wall | |
KR200432345Y1 (en) | Vegetation Block Frame & Vegetation Block | |
KR100864813B1 (en) | Vegetation-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by enclosure type perforated steel sheet uni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636085B1 (en)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 |
CA2126155C (en) | Hollow block system | |
KR20110017614A (en) | Natural stone patch stacking method for plant vegetation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DE202017102361U1 (en) | Habitats for microbes generating bricks, walls and embankments | |
KR100827783B1 (en) | Wall using blocks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0389264Y1 (en) | Ecology Retaining Wall Block | |
KR100754977B1 (en) | Prefabricated Stone Fixed Structure | |
KR200236283Y1 (en) | A stake-support type planter | |
KR200420360Y1 (en) | Retaining Wall Block for Vegetation | |
KR101819836B1 (en) | Block for earthwall | |
KR102333349B1 (en) | Eco-friendly growing of plants Revetment block with integrated block | |
US11457570B2 (en) | Planter block | |
KR100593181B1 (en) | Axis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0366904Y1 (en) | Vegetation revetment block | |
KR200327408Y1 (en) | bank vegetation block | |
KR101822473B1 (en) | An eco-friendly grass block with wide planted area | |
KR101070304B1 (en) | Vegetation Construction Block for Retaining Wall | |
KR101041683B1 (en) | Vegetation Construction Block for Retaining Wall | |
KR100552344B1 (en) | Bank Vegetation Bloc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UA0107 |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2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11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71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Patent event date: 20061207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Patent event date: 20070320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
|
EXTG | Ip right invalidated | ||
UC2102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