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120Y1 - Pile reinforcement cap - Google Patents
Pile reinforcement ca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2120Y1 KR200432120Y1 KR2020060024697U KR20060024697U KR200432120Y1 KR 200432120 Y1 KR200432120 Y1 KR 200432120Y1 KR 2020060024697 U KR2020060024697 U KR 2020060024697U KR 20060024697 U KR20060024697 U KR 20060024697U KR 200432120 Y1 KR200432120 Y1 KR 20043212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e
- cap
- steel wire
- foundation
- circular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380131 Ammophila aren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0—Piles with protecting c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일보강캡에 관한 것으로서, 기초공사시 연약지반의 강화를 위해 지반에 박아넣는 기초파일의 중공부 내경에 따라 가변되면서 긴밀하게 밀착되어 콘크리트를 타설시 그 타설물이 기초파일의 중공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보강캡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reinforcing cap, which is changed closely accor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part of the foundation pile to be embedded in the ground for reinforcement of the soft ground during foundation work. It relates to a pile reinforcement cap to prevent it from flowing down.
본 고안의 구성은 콘크리트 타설물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파일 위에 씌워지는 파일보강캡에 있어서, 상기 파일보강캡은 기초파일의 중공부 상단에 끼워져 소정 깊이의 위치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판과, 상기 원형판 외주면에 상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상부에 다수의 절개홈을 가진 경사판을 갖는 접시형 본체와, 상기 원형판의 상부면에는 원주를 중심으로 다수의 삽입구가 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삽입구를 통해 소정 길이만큼 수직으로 보조강선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강선 중간부에 “ㄴ”형상의 원형링구조를 가지며 내주면에 보조강선을 부착하는 파일받침대가 구비되는 파일보강캡을 제공한다.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le reinforcement cap which is overlaid on the pile to prevent the pouring of concrete, the pile reinforcement cap is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llow portion of the foundation pile and the circular plate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at a predetermined depth position A plate-shaped body having a slanted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upwar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cutout grooves at the top thereof,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lar plate. The auxiliary steel wire is provided vertically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pile reinforcing cap has a circular ring structure having a “b” shape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auxiliary steel wire and is provided with a pile support for attaching the auxiliary steel wire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파일캡, 기초파일 Pile cap, foundation pile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파일캡 사시도1 is a conventional pile cap perspective view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보강캡 사시도Figure 2 is a pile reinforcing cap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보강캡 분리도Figure 3 is a pile reinforcement cap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보강캡을 기초파일에 설치전 상태도Figure 4 is a state diagram before the installation of the pile reinforcement cap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보강캡을 기초파일에 설치된 상태도Figure 5 is a state diagram installed on the pile pile reinforcing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보강캡을 기초파일에 설치전 상태단면도Figure 6 is a state cross-sectional view before installing the pile reinforcement cap in th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보강캡을 기초파일에 설치된 상태단면도Figure 7 is a state sectional view of the pile reinforcing cap installed in th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파일보강캡 100
접시형 본체 200Dish Type Body 200
원형판 210Circle 210
돌출원형 211Extrude Circle 211
삽입구 215
경사판 220Inclined
절개홈 225
보조강선 300
파일받침대 400Pile
기초파일 500
중공부 510
강선 520Liner 520
본 고안은 파일보강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초공사시 연약지반의 강화를 위해 지반에 박아넣는 기초파일의 중공부 내경에 따라 가변되면서 긴밀하게 밀착되어 콘크리트를 타설시 그 타설물이 기초파일의 중공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보강캡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reinforcing cap, and more particularly, it depends o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part of the foundation pile to be embedded in the ground for reinforcement of the soft ground during the foundation construction, and is closely adhered to when the concrete is pour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reinforcing cap that prevents the flow of the pile into the hollow part of the pile.
일반적으로 토목 및 건축구조물의 시공시에는 연약한 지반이 함몰되지 않도록 하고 각종 공사장비나 건축구조물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지반을 강화하는 지반 보강공사를 필요로 한다.In general, when constructing civil and building structures,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ground to reinforce the ground so that the soft ground does not sink and support various construction equipment or building structures.
이러한 연약지반의 강화를 위해서는 중공의 파일을 항타기를 이용, 박아 넣거나, 장비를 이용하여 파일이 박힐 구멍을 뚫은 후 매설하며, 대규모 공사일 경우에는 현장에서 파일을 타설하여 시공하는 등, 여러가지 방법의 공법이 시행되고 있으나, 현재에는 시공이 용이하고 각개의 지지력의 확인이 가능하며, 직경당 지지력이 큰 직항타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reinforce the soft ground, the hollow pile is driven and embedded, or the equipment is drilled and drilled through the holes, and in the case of large-scale construction, the pile is piled and installed in the field. Although the construction method is being implemented, it is easy to construct and can confirm the bearing capacity of each, and the non-stop drilling method with large bearing capacity per diameter is mainly used.
직항타공법은 먼저 터파기한 지면을 평탄하게 다지고 항타지점에 중공의 파일을 세 운 후, 항타기로 파일헤드를 항타하여 박는데. 박기가 완료되면 지면위로 1∼2 미터정도 올라온 파일의 맨 윗부분, 즉 파일헤드를 두부(頭部) 절단기를 이용, 소정 높이까지 절단하여 기초 위로 파일이 올라오지 않도록 한다.The direct punching method first flattens the ground, sets a hollow pile at the driving point, and then drives the pile head with the helm. When the filling is completed, the top part of the pile, which is about 1 to 2 meters above the ground, that is, the pile head, is cut to a predetermined height by using a head cutter to prevent the pile from rising on the foundation.
파일의 두부 정리가 끝나면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 때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가 파일의 중공부에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일의 중공부에 파일캡을 설치하여 중공부를 막은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After finishing the head of pile, the foundation concrete is poured.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foundation concrete from being poured into the hollow of the pile, the pile cap is installed at the hollow of the pile to block the hollow and then the concrete is poured. .
등록실용 제20-0398417호에서 도시된 도 1은 이러한 파일캡의 종래 기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ior art of such a pile cap shown in the registration room No. 20-0398417.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캡(30)은 기초파일(40)의 중공부(42) 상단에 끼워져 소정 깊이의 위치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판(11)과 가변날개(12)를 갖는 접시형 본체(10)와, 상기 접시형 본체(10)를 기초파일(40)의 상단부에 노출된 강선(43)에 각각 걸어서 콘크리트 타설시에도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홀더암(20)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상기 원형판(11)은 기초파일(40)의 중공부(42) 내측에 끼워져서 콘크리트 타설물을 정위치에 떠받쳐 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원형판(11)은 소정의 두께와 원주를 가지는 원판체의 형상으로 기초파일(40)의 중공부(42)에 충진되는 콘크리트 타설물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그리고 상기 원형판(11)의 표면에는 그 원주 중심으로부터 외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돌출부(11-2)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가변날개(12)는 기초파일(40)의 중공 부(42) 내경에 대해 융통성 가지며 긴밀하게 밀착되어 콘크리트 타설물이 유실됨 없이 충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가변날개(12)는 상기 원형판(11)의 테두리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절곡되고, 그 경사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절개부(12-2)에 의해 분할되며, 내측으로 꺾임될 수 있도록 그 경사면에 절첩홈(12-4)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홀더암(20)은 기초파일(40)의 중공부(42) 내에 끼워지는 상기 접시형 본체(10)를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홀더암(20)은 상기 원형판(11)의 원주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다수가 배치되고, 상기 접시형 본체(10) 각각의 가변날개(12) 사이를 통해 상기 원형판(11)의 테두리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이 걸림장홀(21)을 가지며 절곡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파일캡을 구성하고 있다.And, the
이러한 종래의 파일캡(30)의 구성중 걸림장홀(21)을 기초파일에 고정하기 위해 기초파일의 둘레에 콘크리트 속에 삽입된 강선을 노출시켜 파일캡(30)의 걸림장홀(21)을 상기 기초파일 상단부의 강선에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In order to fix the
이때 기초파일 상단부를 사용할만큼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한 다음, 망치등 콘크리트 파쇄도구를 이용하여 강선을 노출하는 작업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cutter is cut enough to use the upper end of the foundation pile, and then the steel wire is exposed using a concrete crushing tool such as a hammer.
이때 강선을 노출시키기 위해 콘크리트 이물질 등이 기초파일의 중공부로 흘러들어가게 되며, 또한 강선을 노출시켜야 하는 이중적인 작업이 수행하게 됨으로 작업성에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At this time, foreign matter such as concrete flows into the hollow part of the foundation pile to expose the steel wire, and also causes a problem in workability because the dual work to expose the steel wire is performed.
또한, 종래의 파일캡(30)에 구비된 걸림장홀(21)이 합성수지로 제작되기 때문에 파일캡(30) 상부로 콘크리트가 유입시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걸림장홀(21)이 절개되어 강선을 이탈하게 됨으로서 콘크리트가 기초파일 중공부 하부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기초파일의 상부를 파괴하여 강선을 강제로 노출시켜야 하는 종래의 파일캡(30) 설치방법에서 상기 노출된 강선에 종래의 파일캡(30)에 구비된 걸림장홀(21)을 걸기 위한 목적과 상기 기초파일 상부로 또다른 강선을 연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초파일 상부를 파괴하여 강제로 강선을 노출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일의 중공부를 막아줌에 있어서, 기초파일의 강선을 노출시키지 않고 기초파일 상단부에 본 고안의 파일보강캡에 구비된 파일받침대를 안착함으로서 보다 쉽게 기초파일의 중공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파일보강캡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hollow portion of the pile, the pile provided in the pile reinforcement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pper end of the foundation pile without exposing the steel wire of the foundation pile The 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le reinforcing cap that can more easily seal the hollow portion of the foundation pi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 2와 도 3과 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물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파일 위에 씌워지는 파일보강캡(100)에 있어서, 상기 파일보강캡(100)은 기초파일(500)의 중공부(510) 상단에 끼워져 소정 깊이의 위치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판(210)과,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상기 원형판(210) 외주면에 상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상부에 다수의 절개홈(225)을 가진 경사판(220)을 갖는 접시형 본체(200)와, A dish-
상기 원형판(210)의 상부면에는 원주를 중심으로 다수의 삽입구(215)가 원형으로 구비되고,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삽입구(215)를 통해 소정 길이만큼 수직으로 보조강선(300)이 구비되고,The
상기 보조강선(300) 중간부에 “ㄴ”형상의 원형링구조를 가지며 내주면에 보조강선(300)을 부착하는 파일받침대(400)가 구비되는 파일보강캡(100)을 제공한다.The
도 4와 도 5의 상태도를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원형판(210)은 기초파일(500)의 중공부(510) 내측에 끼워져서 콘크리트 타설물을 정위치에 떠받쳐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원형판(210)은 소정의 두께와 원주를 가지는 원판체의 형상으로 기초파일(500)의 중공부(510)에 충진되는 콘크리트 타설물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state diagrams of Figures 4 and 5 the
그리고 상기 원형판(210)의 상부표면에는 그 원형판(210)보다 작은 원형의 돌출원형(211)이 구비되어 원형판(210)의 강도를 더욱 증대시켜 콘크리트 타설물의 하중을 더욱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nd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5와 도 7의 상태도와 같이 상기 경사판(220)은 기초파일(500)의 중공부(510) 내경에 대해 융통성 가지며 긴밀하게 밀착되어 콘크리트 타설물이 유실됨 없이 충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사판(220)은 상기 원형판(210)의 테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220) 상부에 절개된 형태의 일정공간을 갖는 홈이 형성된 절개홈(225)이 구비되어 있다.5 and 7, the
이에 따라 도 3의 분리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판(220)은 외향으로 지속적인 탄지력을 발생함과 함께 기초파일(500)의 중공부(510) 내경에 맞추어 가변적으로 꺾여지면서 밀착되고, 동시에 상기 경사판(220) 상부에 형성된 절개홈(225)의 공간이 좁아지면서 상기 절개홈(225)의 공간이 밀폐되어 기초파일(500)의 중공부(510)와 파일보강캡(10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the separation diagram of FIG. 3, the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보강캡(100)이 설치된 기초파일(500) 중공부(510)에 콘크리트를 유입하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의 균열를 방지하고,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원형판(210) 상부면에 원주를 중심으로 다수개의 삽입구(215)가 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삽입구(215)를 통해 소정의 길이만큼 수직으로 보조강선(300)을 설치하여 기초파일(500)의 중공부(510)에 설치된 접시형 본체(200) 상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됨으로서 상기 원형판(210) 상부로 수직으로 보조강선(300)이 설치되어 있어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여주는 효과를 가져온다.And, as shown in FIG. 3, the concrete is introduced into the
또한, 보조강선(300)이 기초파일(500) 상부로 노출되어 있어, 종래의 파일캡을 설치시 기초파일(500)의 상단부를 파괴하여 강제로 강선(520)을 노출시키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보조강선(300)이 기초파일(500) 상부로 노출됨으로서 다른 강선과 연결할 수 있는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그리고, 도 3의 분리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파일(500)의 중공부(510)에 삽입된 접시형 본체(200) 상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콘크리트 하중에 의해 접시형 본체(200)가 기초파일(500)의 중공부(510)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조강선(300) 중간부에 “ㄴ”형상의 원형링구조를 가진 파일받침대(400)가 구 비되고, 상기 파일받침대(400) 내주면에 보조강선(300)이 부착되어 있다.3, concrete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dish-shap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파일보강캡(100)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al state of the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부 정리가 끝난 기초파일(500)의 중공부(510)에 상기 접시형 본체(200)를 위치시킨 후 보조강선(300)에 힘을 주어 눌러주면 경사판(220)의 외측 둘레가 탄력적으로 기초파일(500)의 중공부(510)에 밀착되면서 하향으로 이동하여 파일받침대(400)로 인해 기초파일(500) 상단부에 안착하면서 더 이상 기초파일(500)의 중공부(510) 하부로 이동을 않게 된다.As shown in FIGS. 4 to 7 after placing the dish-shaped
이때 기초파일(500)의 중공부(510) 내주면이 고르지 않아 발생되는 틈새에 대응하여 경사판(220) 상부로 일정공간을 가진 홈을 가진 절개홈(225)이 형성되어 있어 경사판(220)이 탄지력을 가지게 되면서 기초파일(500)의 중공부(510)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절개홈(225)의 공간이 점점 좁아지면서 밀폐되어 틈새가 완벽하게 차단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로써 콘크리트 타설물이 기초파일(500)의 중공부(510)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can be changed to other embodiments equivalent to substitution, modification and equivalent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일보강캡은 기초파일의 중공부를 막아줌에 있어서, 파일보강캡에 구비된 보조강선으로 인해 기초파일에 구비된 강선을 강제로 노출시키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며, 콘크리트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파일보강캡에 구비된 기초파일 상단부에 안착되는 파일받침대로 인해 파일보강캡의 견고함을 더욱 보강하였으며,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파일의 중공부로 흘러내림을 차단하여 지반시공의 품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콘크리트의 허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ile reinforcement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hollow portion of the foundation pile, and forcibly exposing the steel wire provided in the foundation pile due to the auxiliary steel provided in the pile reinforcement cap. There is no need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pile reinforcement cap by the pile support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oundation pile provided in the pile reinforcement cap to withstand the load of concrete. It improves the quality of ground construction and prevents the loss of concrete.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4697U KR200432120Y1 (en) | 2006-09-14 | 2006-09-14 | Pile reinforcement ca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4697U KR200432120Y1 (en) | 2006-09-14 | 2006-09-14 | Pile reinforcement ca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2120Y1 true KR200432120Y1 (en) | 2006-11-29 |
Family
ID=4178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4697U Ceased KR200432120Y1 (en) | 2006-09-14 | 2006-09-14 | Pile reinforcement ca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2120Y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1291B1 (en) * | 2008-10-10 | 2009-06-09 | 장병성 | Head reinforcement assembly of concrete pile |
KR100922645B1 (en) * | 2007-08-27 | 2009-10-19 | 박진화 | Cap assembly of pile |
KR200446968Y1 (en) * | 2009-02-27 | 2009-12-11 | 백호현 | Rebar cap for reinforcement of concrete pile |
KR100946879B1 (en) | 2009-11-09 | 2010-03-09 | 장정환 | Assembly for connection of steel pipe pile and precast concrete pier structure, connection structure of steel pipe pile and precast concrete pier structure using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0950666B1 (en) | 2007-10-24 | 2010-04-02 | 장정환 | Assembly for pile head connection, connection structure of pile and precast concrete pier structure using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
-
2006
- 2006-09-14 KR KR2020060024697U patent/KR200432120Y1/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2645B1 (en) * | 2007-08-27 | 2009-10-19 | 박진화 | Cap assembly of pile |
KR100950666B1 (en) | 2007-10-24 | 2010-04-02 | 장정환 | Assembly for pile head connection, connection structure of pile and precast concrete pier structure using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0901291B1 (en) * | 2008-10-10 | 2009-06-09 | 장병성 | Head reinforcement assembly of concrete pile |
KR200446968Y1 (en) * | 2009-02-27 | 2009-12-11 | 백호현 | Rebar cap for reinforcement of concrete pile |
KR100946879B1 (en) | 2009-11-09 | 2010-03-09 | 장정환 | Assembly for connection of steel pipe pile and precast concrete pier structure, connection structure of steel pipe pile and precast concrete pier structure using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32120Y1 (en) | Pile reinforcement cap | |
KR100866419B1 (en) | Iron Rod Cap Assembly for reinforcing concrete pile | |
KR101720744B1 (en) | Pile anchoring apparatus attached sheet and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therewith | |
KR20130055142A (en) | The method for head reinforcement of steel pile | |
JP5919675B2 (en) | Composite foundation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foundation pile | |
JP4623574B2 (en) | How to build a pile | |
KR101773823B1 (en) | Spin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50079070A (en) | Method for reinforcing soil and device to perform the method | |
JP5959980B2 (en) | Method of burying ready-made piles | |
KR100685442B1 (en) | Antihead blocker | |
KR200449148Y1 (en) | Pile cap | |
KR101021466B1 (en) | Basic public pile cap | |
JP6570435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pipe pile with reinforced pile head | |
JP6667277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foundation pile reinforced with pile head | |
KR200426641Y1 (en) | Pile cap | |
KR102177844B1 (en) | guide anchor for constructing file and construction method | |
JP2003096918A (en) | Composite anchor bolt and its execution method | |
KR200398417Y1 (en) | A pile-cap | |
JP3203689U (en) | Architectural pile | |
JP4437234B2 (en) | Method of burying ready-made piles | |
JP6873613B2 (en) | How to build foundation piles, foundation pile structure and double ready-made piles | |
JP3887248B2 (en) | Support structure for concrete foundation | |
JP5745231B2 (en) | Foundation pile structure | |
JP7699035B2 (en) | Pile head semi-rigid joint structure | |
CN216381222U (en) | Drilling bit suitable for soft and hard uneven strat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914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11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91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515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90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J210 |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 ||
UJ0210 |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vocation Patent event code: UJ02102R02D Patent event date: 20080319 Request date: 20080319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Appeal identifier: 2008103000047 Decision date: 20080916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80319 Effective date: 20080916 |
|
U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date: 20080916 Patent event code: UJ13011S10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Appeal identifier: 2008103000047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Decision date: 20080916 Request date: 20080319 |
|
EXTG | Ip right invalidated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 ||
UC2102 | Extinguishment | ||
UT0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1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902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9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