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901Y1 - A Assembly side wall block - Google Patents
A Assembly side wall b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1901Y1 KR200431901Y1 KR2020060023181U KR20060023181U KR200431901Y1 KR 200431901 Y1 KR200431901 Y1 KR 200431901Y1 KR 2020060023181 U KR2020060023181 U KR 2020060023181U KR 20060023181 U KR20060023181 U KR 20060023181U KR 200431901 Y1 KR200431901 Y1 KR 20043190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wall
- coupling
- bottom portion
- bolt
- wall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의 제방이나 절개지 등을 정비하기 위한 측벽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측벽블록은 일정넓이를 갖는 판 형상의 일측에 소정높이 돌출된 결합측벽이 형성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결합측벽 상측에 결합되어지되, 각각 다른 높이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의 결합측벽 상단과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대하여 상호 결합 고정하도록 형성된 체결수단;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에 따라,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정비하기 위한 하천의 제방이나 절개지의 높낮이에 따라 측벽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측벽블록을 제공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wall block for maintaining a bank embankment or cutout, etc. Specifically, the side wall block is a bottom port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side of the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 side wall portion coupled to an upper side of a side wall of the bottom portion, the side wall portion being formed to have a different height and selectively coupled to each other; And fastening means form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bottom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side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so that the construction can be easily assembled and installed in the field, as well as a bank of rivers for maintenance or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ncis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efabricated side wall block for selectively constructing the height of the side wall por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립식 측벽블록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side wall bloc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립식 측벽블록을 도시한 분해도.Figure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side wall bloc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립식 측벽블록을 도시한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side wall bloc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립식 측벽블록을 도시한 시공상태도.Figure 4 is a construction state showing a prefabricated side wall bloc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Simple explana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바닥부 100a: 결합측벽100:
120: 위치결정돌기 140: 하부 결합편120: positioning projection 140: lower coupling piece
140a: 결합구 160a 160b: 연결단턱140a:
180: 볼트 결합공180: bolt coupling hole
200: 측벽부 220: 위치결정홈200: side wall portion 220: positioning groove
240: 상부 결합편 240a: 결합구240:
260: 배수구 280: 볼트 결합공260: drain 280: bolt coupling hole
300a: 체결볼트 300b: 체결너트300a: tightening
400: 연결철편 400: 결합볼트400: connecting iron 400: coupling bolt
본 고안은 하천의 제방이나 절개지 등을 정비하기 위한 측벽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바닥부의 일측에 형성된 측벽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정비하기 위한 하천의 제방이나 절개지의 높낮이에 따라 측벽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측벽블록에 과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wall block for repairing banks of dikes or cutouts, etc. Specifically, the side wall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can be easily assembled and installed in the field in a separated state, as well as for maintenance. Exposed to the prefabricated side wall block to selectively install the height of the side wall por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iver banks or incisions.
일반적으로 측벽블록은 하천과 같이 비교적 넓은 장소의 제방이나 절개지 등을 정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넓이를 갖는 바닥부의 일측에 일정높이를 갖는 측벽부가 기립 형성된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In general, the side wall block is to maintain a dike or cut in a relatively large place, such as a river, it is well known that the side wall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standing on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즉, 상기 측벽블록은 바닥부와 측벽부가 "L"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하천의 양측에 대하여 전후로 연속 연결한 후에 상기 연결된 측벽블록 사이를 바닥부의 두께만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시공한다.That is, the side wall block is formed in the form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side wall portion "L", and after the continuous connection back and forth to both sides of the river is constructed by placing the concrete between the connected side wall blocks by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ortion.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측벽블록은 보통 매우 큰 규모로 형성되기 때문에 성형이나 양생이 어려운 것은 물론이고, 이를 보관, 운반 또는 시공함에 있어서도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L" 형 측벽블록에 대하여 기립된 측벽부의 성형이나 양생에 많은 제약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이고, 이를 운반하거나 시공함에 있어서도 무게 중심이 편중되어 있으므로 원활한 운반이나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since the sidewall block of such a configuration is usually formed on a very large scale, it is difficult to mold or cure, and there is a very uncomfortable problem in storing, transporting or constructing it. In other words, not only a lot of constraints occur in forming or curing the side wall portion standing up with respect to the "L" -type side wall block, but also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moothly carry or construct because the center of gravity is concentrated in carrying or constructing it. do.
더구나, 앞서 설명된 측벽블록은 상기 측벽부 외측의 복토에 대한 하중이나 압력이 크게 작용함으로써 잦은 균열이 발생하는데, 이와 같이 측벽부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측벽블록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idewall block is frequently cracked due to the large load or pressure applied to the cover of the sidewall portion, and thus, when the crack occurs in the sidewall portion, the entire sidewall block needs to be replaced. do.
또한, 하천을 정비함에 있어서 그 제방이나 절개지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도 측벽부의 높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일부러 제방이나 절개지를 깎아내리거나 쌓아 올려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in the maintenance of rivers, even when the heights of the dikes and the cutouts are different, the height of the sidewall portions is the same, which causes a problem of deliberately cutting down or stacking the dikes and cuts.
본 고안은 종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하천을 정비하기 위한 측벽블록에 대하여 바닥의 일측에 형성된 측벽이 분리된 상태에서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측벽블록을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and drawbacks of the prior art, the main purpose is to enable easy assembly and construction in the field with the side wall formed on one side of the floor separated from the side wall block for maintenance of the river It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sidewall block.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정비하기 위한 하천의 제방이나 절개지의 높낮이에 따라 측벽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측벽블록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side wall block that can be install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ide wall por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iver bank or incision for the maintenan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립식 측벽블록은 하천의 제방이나 절개지 등을 정비하기 위한 측벽블록에 있어서,The prefabricated side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side wall block for repairing banks of dikes or cutouts, etc.,
상기 측벽블록은 일정넓이를 갖는 판 형상의 일측에 소정높이 돌출된 결합측벽이 형성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결합측벽 상측에 결합되어지되, 각각 다른 높이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의 결합측벽 상단과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대하여 상호 결합 고정하도록 형성된 체 결수단;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The side wall block is a bottom portion formed with a coupling side wall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side of the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 side wall portion coupled to an upper side of a side wall of the bottom portion, the side wall portion being formed to have a different height and selectively coupled to each other; And fastening means form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an upper end of the coupling side wall of the bottom part and a lower end of the side wall part.
이때,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바닥부의 결합측벽 상단과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대하여 상호 맞춤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호 대응되는 위치결정돌기 및 위치결정홈; 상기 위치결정돌기 및 위치결정홈의 양측에 소정폭 돌출되면서 상하로 결합구가 관통되는 상하부 결합편; 및 상기 상하부 결합편의 결합구를 통해 바닥부와 측벽부를 체결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 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means includes a positioning protrusion and a positioning groov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side wall and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Upper and lower coupling pieces which protrude a predetermined width on both sides of the positioning protrusion and the positioning groove, the coupling holes penetrating up and down; And a fastening bolt and a fastening nut for fastening and fixing a bottom part and a side wall part through a coupling hole of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pieces. Is made of.
이때, 상기 위치결정돌기 및 위치결정홈은 호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로 상호 대응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 결합편과 함께 전후 길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전후 길게 형성된 상하부 결합편에는 다수지점의 결합구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positioning projection and the positioning groove is formed long before and after together with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pieces in a state formed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an arc shape or trapezoidal shape, while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pieces formed long before and after the coupling holes of multiple points at equal intervals Formed.
또한, 상기 분리된 측벽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전단과 후단에는 상호 대응하는 연결단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In addition, at least one drain hole is formed through the separated side wall part, and a connection step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s form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bottom part.
한편, 상기 측벽부와 바닥부의 각 전단과 후단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과 상기 볼트 결합공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철편과 상기 연결철편을 통해 볼트 결합공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볼트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bolt coupling hole formed at each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and the connecting iron piece for connecting the bolt coupling hole and the coupling bolt for coupling to the bolt coupling hole through the connecting iron piece is further provid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oks at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립식 측벽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립식 측벽블록을 도시한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립식 측벽블록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립식 측벽블록을 도시한 시공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sidewall bloc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sidewall bloc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sidewall bloc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It is a construction state figure which shows this prefabricated side wall block applied.
본 고안의 조립식 측벽블록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바닥부(100)와 측벽부(200)로 구분되면서 상기 바닥부(100)와 측벽부(200)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구성된다.Prefabricated side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이에, 상기 바닥부(100)는 넓게 형성된 상태에서 그 일측에 소정높이 돌출된 결합측벽(100a)이 형성되는바, 상기 결합측벽(100a)의 상단에 상기 체결수단의 하부 구성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벽부(200)는 높낮이가 다른 다수 개가 구비되는 한편 그 각각의 하단에 상기 체결수단의 상부 구성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부(100)를 하천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그 일측의 결합측벽(100a) 상단에 상기 측벽부(200)를 올려놓고 체결수단을 통해 상호 결합 고정하게 된다.Thus, the
이와 같이 상기 바닥부(100)와 측벽부(200)를 상호 결합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은 상기 바닥부(100)의 일측 결합측벽(100a) 상단과 상기 측벽부(200)의 하단에 대하여 상호 맞춤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호 대응되는 위치결정돌기(120) 및 위치결정홈(220)과 상기 위치결정돌기(120) 및 위치결정홈(220)의 양측에 소정폭 돌출되면서 상하로 결합구(140a, 240a)가 관통되는 상하부 결합편(140, 240)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상하부 결합편(140, 240)의 결합구(140a, 240a)를 통해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볼트(300a)와 체결너트(300b)가 구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astening means for mutually fixing the
이때, 앞서 설명된 체결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결정돌기(120) 및 위치결정홈(220)은 호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로 상호 대응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 결합편(140, 240)과 함께 전후 길게 형성되 는 한편, 상기 전후 길게 형성된 상하부 결합편(140, 240)에는 다수지점의 결합구(140a, 240a)가 등 간격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each drawing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astening means described above, the
즉, 상기 체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위치결정돌기(120) 및 위치결정홈(220)이 호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로 상호 대응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100) 일측의 결합측벽(100a) 상단과 측벽부(200)의 하단에 대하여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결합구(140a, 240a)가 형성된 상하부 결합편(140, 240)이 상기 바닥부(100)의 결합측벽(100a) 상단과 측벽부(200)의 하단에 대하여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fastening means and the
아울러, 상기 분리된 측벽부(2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구(260)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00)의 전단과 후단에는 상호 대응하는 연결단턱(160a, 160b)이 형성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또한, 본 고안의 측벽부(200)와 바닥부(100)의 각 전단과 후단에는 볼트 결합공(180, 280)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측벽블록을 전후 연결하여 상호 이웃하는 각 볼트 결합공(180, 280)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각각의 연결철편(400)과 상기 각 연결철편(400)을 통해 볼트 결합공(180, 28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볼트(420)가 구비된다.Further,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바닥부(100)와 측벽부(200)를 각각 별도로 생산 및 보관하는 것은 물론이고, 현장으로 이송하는 경우에도 각각 별도로 이송하게 됨으로서, 생산, 양생 및 보관과 이송이 간편하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나아가 하천을 시공하는 현장에서는 상기 분리된 바닥부(100)와 측벽부(200) 가 상기 체결수단을 통해 간편하게 결합 고정됨으로써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측벽부(200)의 높낮이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하천의 제방이나 절개지의 높이에 따는 적절한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Furthermore, in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river, the separated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립식 측벽블록에 의하면 측벽블록을 구성하는 바닥부와 측벽부를 각각 별도로 생산 및 보관하는 것은 물론이고, 하천을 시공하는 현장으로 이송하는 경우에도 각각 별도로 이송함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고 취급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side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part and the sidewall part constituting the sidewall block are separately produced and stored, and in the case of transporting to the site where the river is constructed,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by the separate transport. And a very useful effect is exerted, which improves the convenience of handling.
나아가 하천을 시공하는 현장에서는 상기 분리된 바닥부와 측벽부가 상기 체결수단을 통해 간편하게 결합 고정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Furthermore, in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river, since the separated bottom portion and the side wall portion are easily coupled and fixed through the fastening means, a very useful effect of greatly improving work efficiency is exerted.
또한, 상기 정비하기 위한 하천의 제방이나 절개지의 높낮이에 따라 측벽부의 높이를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측벽블록의 높이에 맞게 하천의 제방이나 절개지를 깎아내거나 복토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side wall portion can be selected and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river bank or the incision for the maintenance, it is very useful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of cutting down or covering the river bank or the incis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ide wall block. The effect is exerted.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3181U KR200431901Y1 (en) | 2006-08-29 | 2006-08-29 | A Assembly side wall bl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3181U KR200431901Y1 (en) | 2006-08-29 | 2006-08-29 | A Assembly side wall block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1754A Division KR100803783B1 (en) | 2006-08-28 | 2006-08-28 | Prefabricated Sidewall Block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1901Y1 true KR200431901Y1 (en) | 2006-11-27 |
Family
ID=41780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3181U KR200431901Y1 (en) | 2006-08-29 | 2006-08-29 | A Assembly side wall blo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1901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4621Y1 (en) | 2008-09-29 | 2011-07-14 | 주식회사 대왕콘 | High Strength Prefab Concrete Panel Drains |
-
2006
- 2006-08-29 KR KR2020060023181U patent/KR200431901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4621Y1 (en) | 2008-09-29 | 2011-07-14 | 주식회사 대왕콘 | High Strength Prefab Concrete Panel Drain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31901Y1 (en) | A Assembly side wall block | |
KR101614833B1 (en) | Mol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oncrete structure | |
KR100803783B1 (en) | Prefabricated Sidewall Blocks | |
JP5731686B1 (en) | Large retaining wall block | |
JP2013238035A (en) | Formwork comprising multiple cylindrical materials, base concrete, and construction method of pile foundation | |
KR100970303B1 (en) | Revetment-block | |
JP5788615B1 (en) | Retaining wall block | |
KR102028602B1 (en) | Side reinforcement structure for retaining wall pane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sing the same | |
JPH0517961A (en) | Stone piling retaining wall structure | |
KR200482818Y1 (en) | Block assembly for retaining wall | |
CA2460359C (en) | Stud for concrete forms and forms using such studs | |
KR200272596Y1 (en) | A fabricated type duct block | |
JP2017053149A (en) | Block for retaining wall | |
KR100854435B1 (en) | Vertical Prefabricated Structures | |
KR101901844B1 (en) | Perforated concrete block manufacturing form and perforated concrete reinforced block | |
KR20120003532U (en) | Form panel | |
KR200415010Y1 (en) | Formwork | |
KR101123941B1 (en) | reinforced plastic euroform | |
EP2246483B1 (en) | Ground surface access assemblies | |
KR200198986Y1 (en) | A form for concrete work | |
JP2020023840A (en) | Wave dissipating block | |
KR200387565Y1 (en) | Switch fixing plate for switch box | |
KR200311038Y1 (en) | Side wallnblock for watercourse | |
JP3448763B2 (en) | Revetment block | |
KR100997639B1 (en) | Formwork that allows construction of recessed space on the wa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UA0107 |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9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11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830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508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112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Patent event date: 20080104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
|
G701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 ||
U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atent event date: 20080108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
|
EXTG | Ip right invalidated | ||
UC2102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