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31265Y1 -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265Y1
KR200431265Y1 KR2020060019584U KR20060019584U KR200431265Y1 KR 200431265 Y1 KR200431265 Y1 KR 200431265Y1 KR 2020060019584 U KR2020060019584 U KR 2020060019584U KR 20060019584 U KR20060019584 U KR 20060019584U KR 200431265 Y1 KR200431265 Y1 KR 2004312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loading
housing
sides
screw r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부건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부건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부건업
Priority to KR2020060019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2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2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26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를 운반하기 위한 화물차의 유리하역 작업시 인원을 감축시킬 수 있으며, 안전하고 편리하게 하역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각종 공구 및 장비를 보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화물차 적재함 위로 장착되며, 적재함의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수단과 결합된 나사봉체(38)를 가지는 이송장치(30)와, 상기 나사봉체(38)와 체결되어 화물차 적재함의 양측으로 이동하며, 상부가 점차 협소하도록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는 양측의 측판(16)이 있는 하우징(10)으로 구성된다.
화물차, 유리, 적재함, 레일, 이송장치, 모터

Description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Glass stacking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 적재장치에 있어서, 이송장치와 하판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 적재장치에 있어서, 일부 작동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가 다른 방법으로 사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리 10: 하우징
13: 레일 14: 체결구
20: 가이드 프레임 22: 브라켓
25: 제1 스톱퍼 27: 제2 스톱퍼
28: 조립핀 30: 이송장치
34: 롤러 38: 나사봉체
39: 모터 100: 적재장치
본 고안은 화물차용 유리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유리에 관련된 업으로써 유리를 운반하거나 하역하기에 편리하고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리가공업, 유리 설치업, 기타 실내장식업 등에서 유리 혹은 판넬, 도어, 간판 등을 운반하기 위한 수단을 적재함을 가지고 있는 화물차가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화물차의 적재함으로 다수의 유리 등을 안전하게 적재하기 위한 적재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적재수단으로는 화물차 적재함 중앙으로 양측 프레임이 "A" 형태가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양측 프레임의 경사면에 다수의 유리가 겹쳐지도록 올려놓은 다음 결속밴드,로우프, 밧줄 등으로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유리 적재장치는 비교적 큰 유리를 적재할 때에 다수의 작업자가 필요로 하고 많은 힘이 들며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즉, 양측의 작업자가 유리를 잡고 화물차까지 이동한 다음 화물차의 적재함에 올라가 있는 2명의 작업자가 상기 유리를 전달받아 적재함 중앙으로 설치된 재치대 위에 올려놓아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작업자가 상당히 신중히 하여야 하며, 적당한 기술이 없고 전달과정 중 작업자가 호흡이 맞지 않으면 유리를 놓치기 쉬우며 이는 안전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인원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사고시 발생되는 경제적 손실로 인해 사용자는 많은 부담을 가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유리를 운반하기 위한 화물차의 유리하역 작업시 인원을 감축시킬 수 있으며, 안전하고 편리하게 하역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각종 공구 및 장비를 보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하고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의 분해상태 및 조립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의 사용상태와 작동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 적재장치에 있어서, 이송장치와 하판의 조립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 적재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프레임의 동작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일부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도6에서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이 펼쳐지게 되면서 다르게 사용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따른 본 고안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는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 적재함 위로 장착되며, 적재함의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수단과 결합된 나사봉체(38)를 가지는 이송장치(30)와, 상기 나사봉체(38)와 체결되어 화물차 적재함의 양측으로 이동하며, 상부가 점차 협소하도록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는 양측의 측판(16)이 있는 하우징(1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30)는 일정한 간격으로 롤러(34)가 설치된 연결대(33)가 전/후방에 나란히 구비되며, 그 내부의 중간프레임 일측에 모터(39)가 설치되고 그 구동축에 나사봉체(38)가 체결되며, 상기 나사봉체(38)에는 하우징의 저면에 부착된 체결구(14)가 체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 양측에는 절첩되는 가이드 프레임(2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20)은 상부와 양측으로 펼쳐졌을 때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스톱퍼(25)와 제2 스톱퍼(27)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양측과 후방에는 측면도어(16a)와 후방도어(18a)가 구비되어 있다.
삭제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물차 적재함(200) 위로 장착되는 이송장치(30)는 기존의 화물차에 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양측으로 프레임(32)이 구비되어 적재함 상면으로 나사조립 혹은 용접으로 부착된다. 그리고 양측 프레임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나사봉체(38)와 회전수단(39)이 설치되어 있다. 즉, 양측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 프레임(36)이 구비되고 그 내측을 따라 나사봉체(38)가 조립되며 상기 나사봉체 일측 끝에 회전수단인 모터(39)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모터는 전기혹은 유압에 의해 회전력을 가지며 이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도면에 미도시)가 운전석 혹은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양측의 프레임(32) 사이 전방끝과 후방끝에는 가로방향으로 평형하게 연결되는 연결대(33)가 부착되고 상기 연결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롤러(34)들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나사봉체(38)에는 나사구멍(15)을 가지고 있는 체결구(14)가 서로 나사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구는 후술하는 하우징(10)의 저면으로 부착되어 나사봉체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을 양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하우징(10)은 상부가 점차 협소하도록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는 양측의 측판(16)으로 구성되면서 단면이 사다리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하판(12)이 구비되고 중앙으로 전술한 체결구(14)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방과 후방으로는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레일(13)이 구비되며 상기 레일은 전술한 이송장치의 각 롤러(34) 위로 안치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양측에는 가로대(21a)와 세로대(21)로 구성되어 위로 혹은 수평으로 절첩되는 가이드 프레임(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20)의 각 전방과 후방 끝에는 아래로 브라켓(22)이 구비되고 구멍(23)이 있으며 하우징의 각 상부 모서리 부분에 부착된 조립핀(28)과 체결되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20)은 상부와 양측으로 펼쳐졌을 때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스톱퍼(25)와 제2 스톱퍼(27)가 하우징의 앞판(17)과 뒷판(18) 상부에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스톱퍼(25)는 조립핀(28) 아래로 부착되어 돌출되게 되면서 가이드 프레임이 측판(16)과 동일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측의 세로대(21)에 연결된 브라켓(22)을 받쳐주게 된다. 이때 상기 세로대의 하부에 구비된 브라켓에는 제1 스톱퍼가 끼워질 수 있는 제1 요입홈(24)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톱퍼(27)는 조립핀(28)과 거의 평형한 위치의 내측방향에 설치되면서 가이드 레일이 외측으로 펼쳐졌을 때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브라켓(22)을 받쳐주게 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에는 제2 스톱퍼(27)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제2 요입홈(26)을 두고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는 각종 공구 및 장비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부로서 측판(16)과 뒷판(18)에 측면도어(16a)와 후방도어(18a)를 부착하고 소정의 잠금장치(도면에 미도시)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적재장치(100)에 유리(1)를 적재하기 위해서는 화물차 적재함(200)을 구성하는 일측의 측면 프레임을 개방시킨 다음, 운전석 혹은 외부의 컨트롤러에 있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모터(39)를 구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나사봉체(38)가 회전하게 되고 도 4에서와 같이 하우징(10)을 측면 끝까지 이동시킨다. 이후, 들고 온 유리(1)를 그대로 돌출된 하판(12)위로 올리고 측판(16)으로 기대게 하여 다수의 유리들을 적층시킨다.
다음, 모터를 역회전으로 구동하여 하우징(10)을 원위치 시키게 되면서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전술한 유리를 내릴 때 역시 하우징을 측면으로 이송시킨 다음, 작업자가 화물차에 올라가지 않고도 간단하게 유리를 내릴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양측의 가이드 프레임(20)을 수평상태로 펼치게 되면 대형의 유리뿐만 아니라 두께가 커서 측판으로 적재할 수 없는 다양한 물건들과 간판건축자재 등을 올리고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는 유리를 운반하기 위한 화물차의 유리하역 작업시, 유리를 들을 수 있는 최소의 인원으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적재장치에 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작업인원 감축에 의한 경제적인 이익과,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됨에 따른 인명보호 및 재산적 피해를 방지하게 된다.

Claims (6)

  1.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 적재함 위로 장착되며, 적재함의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수단과 결합된 나사봉체(38)를 가지는 이송장치(30)와,
    상기 나사봉체(38)와 체결되어 화물차 적재함의 양측으로 이동하며, 상부가 점차 협소하도록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는 양측의 측판(16)이 있는 하우징(1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30)는 일정한 간격으로 롤러(34)가 설치된 연결대(33)가 전/후방에 나란히 구비되며, 그 내부의 중간프레임 일측에 모터(39)가 설치되고 그 구동축에 나사봉체(38)가 체결되며, 상기 나사봉체(38)에는 하우징의 저면에 부착된 체결구(14)가 체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부 양측에는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는 조립핀(28)이 구비되고 상기 조립핀으로 조립되어 회동하는 가이드 프레임(20)이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20)은 상부와 양측으로 펼쳐졌을 때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스톱퍼(25)와 제2 스톱퍼(27)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양측과 후방에는 측면도어(16a)와 후방도어(18a)가 구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
  6. 삭제
KR2020060019584U 2006-07-14 2006-07-14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312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584U KR200431265Y1 (ko) 2006-07-14 2006-07-14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584U KR200431265Y1 (ko) 2006-07-14 2006-07-14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487A Division KR20070122117A (ko) 2006-06-23 2006-06-23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265Y1 true KR200431265Y1 (ko) 2006-11-23

Family

ID=4177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584U Expired - Fee Related KR200431265Y1 (ko) 2006-07-14 2006-07-14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2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9537A1 (it) * 2019-06-19 2020-12-19 Lk Lab Srl Telaio per la logistica di manufatti lastriform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9537A1 (it) * 2019-06-19 2020-12-19 Lk Lab Srl Telaio per la logistica di manufatti lastriformi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8488B2 (en) Foldabl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folding and unfolding the same
US11319713B2 (en) Elevating cage with pivotably attached panels having respective pivotable latches
TWI381959B (zh) Flap-shaped containers for the conveyance of plate-like goods and trailers carrying them
KR20140046393A (ko) 차량 운송용 컨테이너
KR20070122117A (ko)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
KR200431265Y1 (ko)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
KR102115230B1 (ko)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US6890020B2 (en) Trailer particularly suited to hauling crushed and flattened vehicles
US20090146450A1 (en) Deployable Pick-Up Truck Cargo Bed Cover
CN108076638A (zh) 用于船运集装箱的便携式升降装置
JP4837488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乗降用ステージ
JPH0972123A (ja)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及びエレベータ式自走縦重列立体駐車設備
KR200462024Y1 (ko) 코일 수송용 컨테이너
CN211338034U (zh) 仓库卸车平台
CN215854927U (zh) 一种带有可折叠防护架的托盘车
EP2042369B1 (en) Transport apparatus
CN210214484U (zh) 微机房电梯
CN209872261U (zh) 一种无爬坡式手动液压车上货提升机
JP3294970B2 (ja) 車両用荷崩れ防止装置
KR20210001359A (ko) 화물차의 슬라이딩 커튼 탑
CN215854527U (zh) 一种便于缓冲的载货电梯桥厢
JP2543006B2 (ja) 高層構築物工事用エレベ―タ
CN205932834U (zh) 一种新型淀粉筒仓升降机
KR102680073B1 (ko) 적재함 높이 가변형 탑차
KR100350898B1 (ko) 화물자동차의 적재함높이 증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4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72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5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2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10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