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29405Y1 - 고체연료 보일러의 연료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고체연료 보일러의 연료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405Y1
KR200429405Y1 KR2020060020545U KR20060020545U KR200429405Y1 KR 200429405 Y1 KR200429405 Y1 KR 200429405Y1 KR 2020060020545 U KR2020060020545 U KR 2020060020545U KR 20060020545 U KR20060020545 U KR 20060020545U KR 200429405 Y1 KR200429405 Y1 KR 2004294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ombustion furnace
boiler
hopper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원
Original Assignee
문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원 filed Critical 문상원
Priority to KR2020060020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4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4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40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16Over-feed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203/00Feeding arrangements
    • F23K2203/20Feeding/conveying devices
    • F23K2203/203Feeding/conveying devices using pistons or 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체연료 보일러의 연료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연소로와 연소로 상부에 수관이 여러 개로 구성된 외벽에 수조를 형성하고, 연소로 하부에 재를 떨어주는 로스톨을 회동시키는 장치와 고체연료를 점화시키는 버너가 장착된 하부에 재받이가 형성된 보일러 몸체와, 보일러 몸체의 일측에 설치된 연료통과 연료통의 하부에 설치된 연료 공급판에 의하여 연료를 이송하는 연료자동공급장치와, 또한 연료통의 일측 저면을 평면이 되게하여 많은 양의 연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평면인 저면에 있는 연료를 호퍼 쪽으로 이송시키는 꺾임판으로 구성된 고체연료 보일러의 연료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체연료 보일러의 연료자동공급장치는 스크류나 컨베어 시스템을 적용한 것 들로서 센서나 타이머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센서의 감지기능 저하 등으로 연료의 과잉공급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타이머는 연료를 연소시간과 병행하여 연료의 적정량을 투입하는 데에 시간 조절의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수관, 수조, 로스톨, 호퍼. 스크류, 컨베어

Description

고체연료 보일러의 연료자동공급장치{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측 단면도
도 2는 도1의 A 의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몸체 110:수조 120:출수구 130:입수구 140:수관
200:연료통 210:뚜껑 220:연료 230:호퍼 240:터널 250:저면
300:공급판 310:캠 320:모터
400:꺾임판 410:스프링
500:연소로 510:청소구 520:연통 530:재받이
600:로스톨 610:기어 620:모터 630:버너
본 고안은 고체연료 보일러의 연료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연소로와 연소로 상부에 수관이 여러개로 구성된 외벽에 수조를 형성하고, 연소로 하부에 재를 떨어주는 로스톨을 회동시키는 장치와 고체연료를 점화시키는 버너가 장착된 하부에 재받이가 형성된 보일러 몸체와, 보일러 몸체의 일측에 설치된 연료통과 연료통의 하부에 설치된 연료공급판에 의하여 연소로에 연료를 이송하는 연료자동공급장치와, 또한 연료통의 일측 저면을 평면이 되게 형성하여 연료를 많이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평면인 저면의 연료를 호퍼 쪽으로 이송시키는 꺾임판으로 구성된 고체연료 보일러의 연료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체연료 보일러의 연료자동공급장치는 스크류나 컨베어 시스템을 적용한 것들로서, 센서나 타이머에 의하여 제어되기 때문에 센서의 감지기능 저하 등으로 인하여 연료의 과잉공급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타이머는 연료의 연소 시간과 병행하여 연료의 적정량을 투입하는 데에 시간 조절의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보일러 몸체의 일측에 연료를 저장 공급하는 연료통을 배치하여, 보일러 몸체의 연소로에서 연소되는 연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료통의 하부 일측에 호퍼를 형성하고, 호퍼 전면에 터널을 형성하여 보일러 몸체의 연소로와 연결되게하며, 호퍼 저면에는 연료 이송 수단인 공급판이 형성된 고체연료 보일러의 연료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일 목적은 연료통의 일측에 평면인 저면을 형성하여 많은 양의 연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저면의 연료를 호퍼 쪽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꺾임판이 형성된 고체연료 보일러의 연료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연료통에 있어서, 연료통의 하부 일 측에 호퍼를 형성하고, 호퍼 전면에 터널을 형성하여 터널 끝이 보일러 몸체의 연소로 일 측과 연결되고, 호퍼 저면에는 연소로에 연료를 이송하는 공급판이 형성되는 데, 앞 끝이 칼날처럼 된 공급판은 캠과 모터에 연결되어 피스톤 운동으로 연소로에 연료를 공급하게 되며, 연소로에 연료가 적정량 공급되면: 터널 앞에 연료가 쌓이게 되면 공급판은 연료를 밀지 못 하고 연료 밑을 왕복 운동만 하게 되어서 더 이상 연료를 공급할 수 없게 되지만, 연소로의 연료가 연소되어 터널보다 연료가 밑으로 내려가면 터널 앞에 쌓인 연료를 공급판이 연소로에 밀어 넣어서 연소로에는 항상 연료가 적정량이 유지되는 데, 공급판과 연결된 모터는 보일러 몸체의 로스톨 구동 모터와 연계되어 로스톨이 구동할 때에 동시에 공급판도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있다.
또 다른 본 고안의 일 특징은, 연료통의 하부의 평면인 저면과 호퍼의 경계에 L 형으로 꺾일 수 있는 꺾임판을 형성하고, 꺾임판의 중앙부에 스프링을 끼워서 꺾임판이 펴지면 경사면이 되도록 구성되는 바, 연료통에 연료를 투입하면 연료의 무게에 의하여 경사면인 꺾임판이 L 형으로 꺾여서 연료를 많이 저장하게 되며, 연소로의 연료가 연소되어 연료통의 연료가 줄어들면 꺾임판을 눌렀던 연료의 무게가 꺾임판의 스프링의 탄력 이하가 되어 꺾임판은 펴지면서 경사면으로 변형되면서 연료를 호퍼 쪽으로 이송하게 구성되는 것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연소로(500)와 연소로(500) 상부에 수관 (140)이 여러개로 구성된 외벽에 수조(110)를 형성하고, 연소로(500) 저면에 연료(220)가 연소되어 재가 생성된 것을 떨어주는 로스톨(600)이 구동 수단인 기어(610)와 모터(620)가 연결되어 형성되며, 연료(220)를 점화시키는 버너(630)가 설치된 하부에 로스톨(600)에서 떨어지는 재를 받아 모으는 재받이(530)가 형성된 보일러 몸체(100)의 외부에 수조(110)를 관통하여 연소로(500)의 분진을 청소하는 청소구(510)가 형성되며, 연소로(500)에서 생성되는 가스와 분진이 배기되는 연통(520)이 형성되고, 연소로(500)에서 수관(140)과 수조(110)의 물이 가열된 후 유입구(130)와 배수구(120)를 통하여 공급되고 회수되도록 구성된 보일러 몸체(100)와, 보일러 몸체(100)의 일측에 설치된 연료통(200)과 연료통(200)은 하부 일측에 호퍼(230)를 형성하고, 호퍼(230)의 전면에 터널(240)을 형성하여 보일러 몸체(100)의 연소로(500)와 연결되며, 호퍼(230)의 저면에는 연료(220) 이송수단인 앞 끝이 칼날인 공급판(300)이 캠(310)과 모터(320)에 연결되어 구성되며, 또한 연료통(200) 하부 일측에는 평면인 저면(250)이 형성되어 호퍼(230)와 저면(250)의 경계에 L 형으로 꺾이는 꺾임판(400)이 중앙부에 스프링(410)을 끼워서 형성되고, 꺾임판(400)이 펴지면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을 이룬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연료통(200)의 뚜껑(210)을 열고 연료통(200)에 연료(220) 투입하면 경사면인 꺾임판(400)이 연료(220)의 무게에 의해 L 형으로 꺾여서(도 1 파선 참조) 많은 양의 연료(220)를 저장할 수 있으며, 연소로(500)에 연료(220)의 공급으로 연료통(200)의 연료(220)가 줄어서 꺾임판(400)을 눌렀던 연료(220)의 무게가 꺾임판(400)의 스프링(410) 탄력 이하가 되면 꺾임판 (400)은 펴저서 경사면을 이루어 저면(250)의 연료(220)를 호퍼(230) 쪽으로 이송시키게 되며,
연소로(500)에는 호퍼(230) 저면의 공급판(300)이 모터(320)와 캠(310)의 구동에 의하여 피스톤 운동으로 (도 2 참조) 전진할 때에는 연료(220)를 공급판(300)에 실어서 (공급판 앞의 연료는 공급판이 밀어서) 연소로(500)에 공급되고, 공급판(300)이 후퇴할 때에는 공급판(300)에 실려간 연료(220)가 후방의 연료(220)에 막혀서 연료(220)는 후퇴할 수 없어서 공급판(300)만 후퇴하게 되는 반복 과정으로 연소로(500)에 연료(220)가 적정량이 되면 터널(240) 속 앞에 연료(220)가 쌓이게 되어 (도 1 참조) 공급판(300)은 연료(220)를 더 이상 실어 나르지 못하고, 또 연료(220)를 밀지 못 한 체 연료(220) 밑을 왕복 운동만 하게 되기 때문에 적정량 이상을 공급할 수 없게 되지만, 연소로(500)에서 연소되는 연료(220)가 터널(240) 보다 밑으로 내려가면 공급판(300)은 연료(220)를 다시 공급하게 되어 항상 연소로(500)에는 적정량의 연료(220)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공급판(300)과 연결된 모터(320)는 보일러 몸체(100)의 로스톨(600) 구동 모터(620)와 연계되어 로스톨(600)이 재를 떨기 위해 작동할 때에 공급판(300)도 함께 작동하여 연료(220)를 연소로(500)에 공곱하게 되며, 연소로(500)에 연료(220)가 적정량 잔존할 때에는 공급판(300)은 터널(240)의 연료(220) 밑을 왕복 운동만 하여 연료(220)는 공급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고체연료 보일러의 연료자동공급장치는 센서나 타이 머가 부수적으로 설치되지 아니 하여도 연소로에 항상 적정량의 연료를 공급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해 요소가 없기 때문에 연료 공급에 이상적인 효과가 있으며, 또한 연료통에 꺾임판이 형성된 호퍼형의 연료통에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하여 많은 양의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고체연료 보일러의 연료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연소로(500)와 연소로(500) 상부에 수관(140)이 여러 개로 구성된 외벽에 수조(110)를 형성하고, 연소로(500) 저면에 재를 떨어주는 로스톨(600)이 기어(610)와 모터(620)가 연결되어 형성되고, 로스톨(600) 하부에 버너(630)가 장착된 하부에 재받이(530)가 형성된 보일러 몸체(100)와,
    보일러 몸체(100)의 일측에 설치된 연료통(200)의 하부에 호퍼(230)가 형성되고, 호퍼(230)의 전면에 형성된 터널(240)과 연소로(500)가 연결되며,
    호퍼(230)의 저면에 캠(310)과 모터(320)에 의해 피스톤 운동으로 연료(220)를 연소로(500)에 공급하도록 형성된 공급판(30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 보일러의 연료자동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연료통(200) 하부 일측에 평면인 저면(250)이 형성되고, 저면(250)과 호퍼(230)의 경계에 연료(220)를 투입하면 L 형으로 꺾이고, 연료(220)가 줄면 경사면으로 변형되는 꺾임판(400)이 중앙부에 스프링(410)을 끼워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 보일러의 연료자동공급장치.
KR2020060020545U 2006-07-31 2006-07-31 고체연료 보일러의 연료자동공급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4294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545U KR200429405Y1 (ko) 2006-07-31 2006-07-31 고체연료 보일러의 연료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545U KR200429405Y1 (ko) 2006-07-31 2006-07-31 고체연료 보일러의 연료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405Y1 true KR200429405Y1 (ko) 2006-10-20

Family

ID=4177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545U Expired - Lifetime KR200429405Y1 (ko) 2006-07-31 2006-07-31 고체연료 보일러의 연료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40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462B1 (ko) * 2012-01-11 2013-09-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료 저장부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
KR101369605B1 (ko) 2012-06-21 2014-03-04 위선정 보일러
CN105864812A (zh) * 2016-04-07 2016-08-17 广西贵港市宏利生物能源科技有限公司 燃烧机的燃料输送装置
KR101809896B1 (ko) 2016-05-02 2017-12-20 문상원 고체연료용 보일러
KR101852908B1 (ko) 2016-07-21 2018-04-27 (주)귀뚜라미 이동식 화격자가 구비된 펠릿보일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462B1 (ko) * 2012-01-11 2013-09-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료 저장부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
KR101369605B1 (ko) 2012-06-21 2014-03-04 위선정 보일러
CN105864812A (zh) * 2016-04-07 2016-08-17 广西贵港市宏利生物能源科技有限公司 燃烧机的燃料输送装置
CN105864812B (zh) * 2016-04-07 2018-04-10 广西贵港市宏利生物能源科技有限公司 燃烧机的燃料输送装置
KR101809896B1 (ko) 2016-05-02 2017-12-20 문상원 고체연료용 보일러
KR101852908B1 (ko) 2016-07-21 2018-04-27 (주)귀뚜라미 이동식 화격자가 구비된 펠릿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9405Y1 (ko) 고체연료 보일러의 연료자동공급장치
WO2006049427A1 (en) A stove equipped with control means
US20070157858A1 (en) High efficiency bio-fuel pellet and grain furnace
KR101149359B1 (ko) 펠릿 보일러
SE517021C2 (sv) Anordning för förbränning av granulärt fast bränsle
KR20110042928A (ko) 연료센서가 형성된 고체연료자동공급 보일러
EP1559957B1 (en) Burner for stoves fired by pellets, woodchips, cereals and vegetables waste in general
KR101346231B1 (ko)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
EP3559552B1 (en) A combi stove and use of a combi stove
KR101080552B1 (ko) 톱밥 펠렛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운전방법
KR200259688Y1 (ko) 코크스 보일러
KR20110045510A (ko) 고체연료자동공급 보일러
KR20110049310A (ko) 고체연료 보일러
KR20130107399A (ko) 자동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
KR100868985B1 (ko) 화목버너.
KR20110089538A (ko) 우드 펠렛 보일러
KR101479841B1 (ko) 보일러
KR20110038433A (ko) 펠릿연료용 보일러
CN215570517U (zh) 一种锅炉的炉灰收集装置
KR20130003089U (ko) 역화 방지 구조를 갖는 고체연료 보일러
KR200492891Y1 (ko)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
KR200303234Y1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KR20120000512U (ko) 석탄 보일러
KR20070022897A (ko) 전자동 석탄 보일러
EP3182004A1 (en) Solid fuel burner with reciprocating fuel fee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73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10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7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