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329Y1 -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 Google Patents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29329Y1 KR200429329Y1 KR2020060021493U KR20060021493U KR200429329Y1 KR 200429329 Y1 KR200429329 Y1 KR 200429329Y1 KR 2020060021493 U KR2020060021493 U KR 2020060021493U KR 20060021493 U KR20060021493 U KR 20060021493U KR 200429329 Y1 KR200429329 Y1 KR 20042932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vegetation
- groove
- rectangular
- protruding fro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이나, 댐, 유수지 호안, 도로, 철도 법면 및 공원단지의 법면 등에 사용되어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식생이 가능한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상기 블록은 사각면에 모양이나 색상이 구비된 무늬를 갖는 다각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진 돌출형정면부와 후측의 사각면 상부에 결속홈을 구성한 사각후면부에서 상기 돌출형정면부와 사각후면부와 일체형으로 양측의 측면부로 이어지는 구조로 형성된 내부공간을 일정간격 이격하는 이격벽으로 식생공간부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형정면부와 사각후면부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양측의 측면부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블록과 블록이 밀착되어 측면부의 고정홈과 고정홈을 고정부재로 견고하게 연결하며, 상기 블록의 이격벽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과 돌출형정면부와 이격벽의 하측에 걸림홈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에 적층되는 블록의 걸림홈이 결합되어 블록 전체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vegetation, which is used for rivers, dams, lakes, lakes, roads, railways, and parks to prevent the loss of soil. The internal space formed in a structure that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front portion and the square rear portion integrally with the protruding front portion and the square rear portion at a rectangular front portion formed to protrude into a polygon having a pattern and a rectangular groove on the rear side of the rectangular surface is fixed. The vegetation space part is composed of a spaced wal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ixing grooves are formed at both side surfaces forming the protruding front surface portion and the square rear surface portion integrally so that the block and the block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ix the fixing groove and the fixing groove at the side portion It is firmly connected to the member, and is caught on the locking jaw and the protruding front portion and the lower wall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of the block. It is to provide a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oove formed by forming the grooves are coupled to the engaging grooves of the blocks stacked on the latching jaw securely the entire block.
옹벽, 블록, 식생블록, 법면, 호안, 조적식, 고정부재 Retaining wall, block, vegetation block, surface, shore, masonry, fixed member
Description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의 블록 사시도.1 is a block perspective view of a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의 체결구성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configuration of the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의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cked state of the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의 하천의 비탈면 축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slope of the riverbed state of the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의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적층한 설치 상태도.Figure 6 is a laminated installation stat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블록 20:돌출형정면도10: Block 20: Extruded front view
30:사각후면부 32:결속홈30: square rear part 32: binding groove
40:측면부 42:고정홈40: side part 42: fixing groove
50:이격부 52:식색공간부50: separation part 52: color space part
54:걸림턱 56:걸리홈54: caught jaw 56: girl home
60:고정부재 70:후면고리60: fixing member 70: rear hook
본 고안은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유속이 빠른 하천 등의 제방이나 경사진 비탈지 및 도로등의 측벽을 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taining wall block used for building a sidewall of a dike, a sloped slope, and a road of a river or the like with a relatively high velocity.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해안의 비탈면에 설치되는 옹벽은 안정된 경사면 보다는 급격한 비탈면의 불안정을 막기 위해 그 비탈면에 저항할 수 있는 구조물로 흙의 무너짐을 막기 위한 구조이다. In general, the retaining wall installed on the slope of a river or coast is a structure that can resist the slope to prevent sudden instability of the slope, rather than a stable slope, to prevent the collapse of soil.
즉 전방측에 구조물을 설치하고 구조물의 뒷면에 모래, 자갈, 조약돌 등을 사용하여 뒷채움을 한 후 충분한 다짐을 통해 토압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and backfilled with sand, gravel, pebbles, etc. on the back of the structure to secure stability against earth pressure through sufficient compaction.
이러한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통상 콘크리트블록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블록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옹벽은 설치구조에 따라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는 중력식 옹벽 및 반중력식 옹벽, T형 옹벽, L형 옹벽, 부벽식 옹벽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분류된다. As a method of constructing such a retaining wall, a concrete block is usually used. The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the concrete block is a gravity retaining wall and an antigravity retaining wall that prevents the collapse of the ground by the weight of the concrete itself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structure. It is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such as a type retaining wall, an L type retaining wall, and a subwall retaining wall.
그러나 상기한 종래 콘크리트블록의 축조 공법에서는 콘크리트 블록을 적층하거나 배열시킨 후 각각의 인접된 콘크리트 블록을 몰타르를 이용하여 접합시키는 단순형태에 불과할 뿐 옹벽 자체에 초화류의 식물이나 유충 등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자연 생태계를 전혀 보호할 수 없는 것이었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blocks, it is only a simple form in which each adjacent concrete block is joined using a mortar after laminating or arranging concrete blocks, and a space in which plants or larvae of plants and flowers grow on the retaining wall itself. This lack of protection could not protect the natural ecosystem at all.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천이나, 댐, 유수지 호안, 도로, 철도 법면 및 공원단지의 법면 등에 사용되어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식생이 가능한 옹벽블록으로 블록과 블록의 형성된 고정홈에 고정부재로 고정하여 견고하게 연결하는 블록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a block of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which is used in rivers, dams, lakes, lakes, roads, railways, and parks to prevent soil loss. And it is to provide a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that can form the structure of the block firmly connected to a fixed member formed in the fixed groove formed of the bloc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은, 상기 블록은 사각면에 모양이나 색상이 구비된 무늬를 갖는 다각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진 돌출형정면부와 후측의 사각면 상부에 결속홈을 구성한 사각후면부에서 상기 돌출형정면부와 사각후면부와 일체형으로 양측의 측면부로 이어지는 구조로 형성된 내부공간을 일정간격 이격하는 이격벽으로 식생공간부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형정면부와 사각후면부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양측의 측면부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블록과 블록이 밀착되어 측면부의 고정홈과 고정홈을 고정부재로 견고하게 연결하며, 상기 블록의 이격벽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과 돌출형정면부와 이격벽의 하측에 걸림홈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에 적층되는 블록의 걸림홈이 결합되어 블록 전체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하였다.The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lock is formed in the protruding front surface portion formed to protrude into a polygon having a pattern provided with a shape or color on the rectangular surface and the binding groove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rectangular surface. The vegetation space part is composed of a spacing wal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ctangular rear part which constitutes the protruding front part and the rectangular rear part to form a structure which extends to the side parts on both sides, and the protruding front part and the rectangular rear part Fix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side portions of both sides to form integrally so that the block and the block is in close contact firmly connect the fixing groove and the fixing groove of the side portion with the fixing member, and the locking step and the protruding front surfac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ion wall of the block. The locking grooves of the blocks stacked on the locking jaw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forming locking grooves on the lower side of the partition and the partition wall, respectively. Including to and supported achieved by providing a natural vegetation ecotype block which comprises.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의 블록 사시도이다.1 is a block perspective view of a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블록은 사각면에 모양이나 색상이 구비된 무늬를 갖는 다각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진 돌출형정면부(20)와 후측의 사각면 상부에 결속홈(32)을 구성한 사각후면부(30)에서 상기 돌출형정면부(20)와 사각후면부(30)와 일체형으로 양측의 측면부(40)로 이어지는 구조로 형성된 내부공간을 일정간격 이격하는 이격벽(50)으로 식생공간부(52)가 구성되는 구조이다.As shown, th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그리고, 상기 돌출형정면부(20)와 사각후면부(30)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양측의 측면부(40)에 고정홈(42)이 형성되어 블록(10)과 블록(10)이 밀착된 측면부(40)의 고정홈(42)과 고정홈(42)을 고정부재(60)가 삽입되어 견고하게 연결한다.In addition,
상기 블록(10)의 이격벽(50)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54)과 돌출형정면부(20)와 이격벽(50)의 하측에 걸림홈(56)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54)이 적층되는 블록(10)의 걸림홈(56)에 결합되어 블록(10) 전체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다.The catching
이러한 블록(10)은 좌우, 상하로 적층되고, 상기 블록(10)의 측면부(40)와 측면부(40)가 밀착되면서 나란히 위치한 고정홈(42)과 고정홈(42)에 ''형상의 고정부재(60)가 삽입되는 것이다.The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블록(10)에서 정면에 무늬를 갖는 다각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진 돌출형정면부(20)와 후측의 사각면 형상의 사각후면부(30)를 일체형으로 양측의 측면부(40)로 이어지는 구조로 형성된 내부공간을 일정간격 이격하는 이격벽(50)으로 식생공간부(52)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형정면부(20)와 사각후면부(30)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양측의 측면부(40)에 고정홈(42)이 형성되어 블록(10)과 블록(10)이 밀착되어 측면부(40)의 고정홈(42)과 고정홈(42)을 견고하게 연결하는 고정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the protruding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의 블록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의 체결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3은 블록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1 is a block perspective view of the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configuration of the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block.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블록(10)의 돌출형정면부(20)에는 모양이나 색상을 구비한 무늬가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rotruding
이때, 상기 돌출형정면부(20)에 형성되는 무늬는 미관을 고려하여 무늬는 한정되지 않고 또 다양한 무늬가 도안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ttern formed on the protruding
상기 돌출형정면부(20)의 후면에 위치한 사각후면부(30)는 측면부(40)에 연결되어 블록(10)이 일체형으로 구성된다.The square
여기서, 상기 블록(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사각후면부(30)의 상부에 구성된 결속홈(32)에 'I'형 후면고리(70)가 결속되어 후측에 위치하는 지면과 결합시켜 지지하는 것이다.Here, the 'I' type
그리고, 상기 블록(10)의 내부공간에 일정간격으로 이격하는 이격벽(50)이 형성되는데 이격벽(50)을 기준으로 전후에 각각 식생공간부(52)가 구성된다.In addition, a
여기서 상기 블록(10)의 식생공간부(52)에는 모르타르, 골재, 토사 등이 충진된다.Here, the
아울러,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의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In addi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cked state of the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10)은 좌우, 상하로 적층되는 것이며, 상하로 적층시에 일렬로 수직으로 적층되며, 또한 계단식으로도 적층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 블록(10)의 돌출형정면부(20)와 사각후면부(30)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양측의 측면부(40)에는 고정홈(4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42)에 고정부재(60)가 삽입되어 밀착된 블록(10)과 블록(10)의 연결관계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러한 블록(10)은 좌우로 나열되어 상기 블록(10)의 측면부(40)와 측면부(40)가 밀착되면서 나란히 위치한 고정홈(42)과 고정홈(42)에 '' 형상의 고정부재(60)가 삽입되는 것이다.The
즉, 상기 블록(10)의 고정홈(42)에 고정부재(60)가 결합되어 이웃하는 블록(10)과 블록(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다.That is, the
이와같이, 상기 블록(10)과 고정부재(60)를 이용하여 옹벽 축조의 예로서, 먼저 하부의 블록(10)을 옹벽의 형태에 따라 좌우로 배열한다.As such, as an example of retaining wall construction using the
상기 하부의 블록(10)이 배열되면 측면부(40)에 인접하는 고정홈(42)과 고정홈(42)에 고정부재(60)를 삽입하여 인접하는 블록(10)과 블록(100을 연결한다.When the
그리고, 상기 하부에 구성된 블록(10) 위에 상부층 좌우에 다시 블록(10)과 블록(10)이 놓여지고 블록(10)을 고정부재(60)의 결합되며, 상부에 구성되는 블록(10)은 이격벽(50) 상측으로 걸림턱(54)을 형성하고, 걸림홈(56)은 돌출형정면부(20)와 이격벽(50)하측에 각각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54)에 적층되는 블록(10)의 걸림홈(56)이 결합되어 블록(10) 전체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블록(10)의 이격벽(50) 상측에 형성되는 걸림턱(54)은 일정한 높이를 갖음으로써 돌출되게 형성되며, 하측의 걸림홈(56)은 걸림턱(54)의 일정 높이 만큼 홈을 형성하게 된다.Here, the
즉, 상기 블록(10)이 하층부로 형성된 블록(10)의 걸림턱(54)에 상층부로 형성되는 블록(10)의 걸림홈(56)이 결합되면서 입설된다.That is, the
이렇게 상기 블록(10)의 돌출형정면부(20)와 이격벽(50)의 하측으로 걸림홈(56)과 이격벽(50) 상측에 걸림턱(54)이 결합하여 블록(10)이 다수의 계단식 층으로 적층 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의 하천의 비탈면 축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slope of the riverbed state of the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블록(10)은 소정 경사각을 갖는 하천이나 하천의 지면에 고정하고, 상기 지면에 고정된 상기 블록(10)의 후면에 형성된 결속홈(32)에 후면고리(70)를 결속하여 후측의 지면과 단단하게 결속시켜 고정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또한, 상기 후면고리(70)는 블록(10)이 계단식으로 적층될때 후면으로 일정 간격 뒤로 후퇴하는 블록(10)의 밑면을 지탱해주게 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후면고리(70)의 길이는 블록(10)의 길이에 따라 그 길이는 달라진다.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이러한 형태는 하나의 블록(10)으로 경사진 지면이나 굴곡 형태를 가진 비탈면에 선택적으로 블록(10)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Such a shape may selectively form the structure of the
아울러, 상기 블록(10)은 좌우, 상하로 적층되고, 식생공간부(52)에 모르타르, 골재, 토사등으로 충진함으로써 계단식의 옹벽이 견고하게 축조된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상기 블록(10)은 해당 형틀에 모르타르를 다져 넣고 찍어냄으로써 일체의 콘크리트 단위체로 양산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The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블록(10)에서 정면에 무늬를 갖는 다각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진 돌출형정면부(20)와 후측의 사각면 형상의 사각후면부(30)를 일체형으로 양측의 측면부(40)로 이어지는 구조로 형성된 내부공간을 일정간격 이격하는 이격벽(50)으로 식생공간부(52)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형정면부(20)와 사각후면부(30)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양측의 측면부(40)에 고정홈(42)이 형성되어 블록(10)과 블록(10)이 밀착되어 측면부(40)의 고정홈(42)과 고정홈(42)을 견고하게 연결하는 고정부재(60)로만 구성한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the protruding
상기 블록(10)은 측면부(40)의 고정홈(42)에 고정부재(60)로 좌우로 연계하여 고정하고 수직으로 적층하며, 또는 블록(10)을 좌우로 연계하여 고정하고 상층에 적층되는 블록(10)을 지그재그로 적재하여 옹벽을 완성한다.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시공 및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호안 경사면에 시공하여 하상을 보호하며, 수생식물 또는 주변의 나무나 식물들이 자랄 수 있도록 여러 개의 하안 생태 블록(10)을 연결시켜고 블록(10)과 블록(10)의 고정홈(42)에 고정부재(60)로 연결 고정하며, 블록(10)의 이격벽(50)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54)에 적층되는 블록(10)의 걸림홈(56)을 결합하여 적층, 시공하는 것으로, 하안 생태 블록(10)을 최하단의 기초석 상부에 시공한 후, 상기 블록(100의 식생공간부(52)에 흙을 채워 넣으며, 다음 단은 하단 블록(10)과 적층시켜 다시 상기 식생공간부(52)에 흙을 다져 넣어 시공한 후, 일정 높이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시공하는 것이다.Referring to the construction and use state, as shown in Figure 3, the construction on the river slope of the river to protect the riverbed, and connects several river
이와 같이 다수개의 블록(10)들은 양측으로 인접되거나 적층될 경우, 매우 견고한 결합구조를 유지하여 하천이나 둔치 등의 토양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재공을 통해 동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심미감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lurality of
상기 블록(10)은 하천의 경사지, 제방뿐만 아니라 주택가나 도로가, 논밭의 농수로 등의 석축, 축대, 옹벽 등이 필요한 고저차가 있는 곳은 모두 적용할 수 있는 블록으로 나무와 수풀들이 자랄 수 있어 자연친화적인 제품인것이다.The
이상에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그 일예로서 각각 설명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등록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 져야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은 공장에서 한번에 제작이 용이하며 현장 여건에 맞게 블록의 돌출형정면부를 정면에 배치하고, 후면에 형성된 사각후면부를 배치하여 고정부재로 고정홈을 고정하고, 걸림턱에 걸림홈이 결속하여 조립, 시공할 수 있으며 블록의 식생공간부에 흙을 채워 식물들이 식재될 수 있으며, 빗물은 지하로 잘 스며들도록 하여 시공된 상태를 고정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하여 주위 환경과 어우러지는 환경친화적인 장점이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manufacture at a factory, and the protruding front part of the block is disposed in front of the block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and the rectangular rear part formed at the rear is fixed to fix the fixing groove with a fixing member. Can be assembled and installed by binding the locking groove to the locking jaw, and plants can be planted by filling the soil in the vegetation space of the block, and the rainwater penetrates well into the basement to maintain the construction state firmly by the fixing member. This is a very useful design because it has the effect of being environmentally friendly to harmonize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1493U KR200429329Y1 (en) | 2006-08-10 | 2006-08-10 |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1493U KR200429329Y1 (en) | 2006-08-10 | 2006-08-10 |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29329Y1 true KR200429329Y1 (en) | 2006-10-20 |
Family
ID=4177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1493U Expired - Lifetime KR200429329Y1 (en) | 2006-08-10 | 2006-08-10 |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29329Y1 (en) |
-
2006
- 2006-08-10 KR KR2020060021493U patent/KR200429329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45937Y1 (en) | Precast concrete block for retaining wall | |
KR20120000137A (en) | Eco-friendly Revetment Structure of Eco-river | |
KR200429329Y1 (en) | Natural ecological vegetation block | |
KR200300440Y1 (en) | Revetment block | |
KR100514086B1 (en) | Revetment block | |
KR100796317B1 (en) | Landscaping blocks | |
KR100720928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eco-friendly construction complex | |
KR100406812B1 (en) | Lattice embankment block | |
KR100671791B1 (en) | Eco-friendly river retaining wall block | |
KR100994426B1 (en) | Slope Reinforced Landscape Block | |
KR200297571Y1 (en) |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 |
KR200249172Y1 (en) | Revetment block | |
KR200346774Y1 (en) | An embankment block for plant community | |
KR100446815B1 (en) | Bank protection block for fish house having sawtooth for connecting upper and lower block, and bank protection block for veget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0272943Y1 (en) | Bank protection block for fish house and vegetation having sawtooth for connection upper and lower block | |
KR20070118531A (en) | Hoan Block | |
KR20030069689A (en) | Vegetation revetment structures and method constructing blocktype revetment using the same | |
KR100478156B1 (en) | Embankment block set | |
KR200356111Y1 (en) | Embankment block | |
KR200250172Y1 (en) | Embankment block set | |
KR100433919B1 (en) | block | |
KR200327399Y1 (en) | Block | |
JP3016040U (en) | Front empty loading Rear kneading soil retaining wall | |
KR20040098434A (en) | Block | |
KR200413594Y1 (en) | Environmentally Friendly Shore B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810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10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81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73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7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