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29074Y1 -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 - Google Patents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074Y1
KR200429074Y1 KR2020060020193U KR20060020193U KR200429074Y1 KR 200429074 Y1 KR200429074 Y1 KR 200429074Y1 KR 2020060020193 U KR2020060020193 U KR 2020060020193U KR 20060020193 U KR20060020193 U KR 20060020193U KR 200429074 Y1 KR200429074 Y1 KR 200429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
assembled
guide groove
jaw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60020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0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07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하고, 다수개로 연결해도 그 결합력이 유지되는 조립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일측면으로는 전원 케이블이 인입되고 상면으로는 콘센트 홀이 형성되고, 타측면으로는 별도의 자멀티탭이 조립되는 멀티탭으로서, 상기 멀티탭의 타측면 내지 전, 후면으로는 상기 상면에서 하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타측면 내지 전, 후면을 이루는 평면보다 하측에 위치한 수직면에서 전방으로 일정한 두께를 형성한 후 수직으로 꺽여 상기 수직면과 수평을 이루며 연장되어 상기 타측면 내지 전, 후면의 평면과 만나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으로는 상기 콘센트 홀과 서로 연계되어 통전되도록 작동가능하게 돌출된 연결단자가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멀티탭, 가이드홈, 가이드턱, 연결단자, 콘센트 홀, 통전

Description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Multi function electric multi-tap}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이 조립된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의 조립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이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전원 케이블 20: 콘센트 홀
22, 32: 연결단자 30: 자멀티탭
34: 가이드턱 36: 접촉면
40: 수직면 42: 가이드홈
본 고안은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콘센트를 추가하거나 분리하여 사용처의 특성에 맞는 조립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탭은 하나의 콘센트에 여러개의 전기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나의 콘센트를 다수의 콘센트로 분기해 놓은 전기 기구이다.
이러한 멀티탭은 통상 다수개의 콘센트가 연결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다시 다수개의 콘센트가 구비된 멀티탭을 다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위와 같이 다중으로 사용될 수 있는 멀티탭은 다수개의 전기제품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매우 편리한 제품이나, 그 편리함으로 무리하게 멀티탭을 사용하다보면 과도한 전기를 사용하게 되고, 필요 이상으로 다수개의 콘센트가 구비된 멀티탭을 사용하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11418호 "분리 결합이 가능한 멀티탭", 제2005-26303호 "분리형 멀티탭"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지된 분리형 멀티탭은 하나 이상의 콘센트를 구비하고, 공통적으로 플러그 단자를 돌출시켜 상기 플러그 단자를 다른 멀티탭에 결합시켜 별도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멀티탭의 결합은 그 결합력이 플러그 단자의 결합력에 의해 유지되어 멀티탭을 이동시키거나, 다수개를 결합시킬 경우에는 아래로 치우쳐 전선등을 지지하지 못하여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하고, 다수개로 연결해도 그 결합력이 유지되는 조립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독립된 콘센트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멀티탭과 자멀티탭이 구비되고, 멀티탭과 자멀티탭에는 서로 조립되는 가이드턱과 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멀티탭과 자멀티탭에 형성된 가이드턱과 홈은 서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된 후 조립되고, 미사용시 가이드홈으로는 턱메움부재가 조립되어 감전 및 이물질의 침투를 예방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면으로는 전원 케이블이 인입되고 상면으로는 콘센트 홀이 형성되고, 타측면으로는 별도의 자멀티탭이 조립되는 멀티탭으로서, 상기 멀티탭의 타측면 내지 전, 후면으로는 상기 상면에서 하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타측면 내지 전, 후면을 이루는 평면보다 하측에 위치한 수직면에서 전방으로 일정한 두께를 형성한 후 수직으로 꺽여 상기 수직면과 수평을 이루며 연장되어 상기 타측면 내지 전, 후면의 평면과 만나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으로는 상기 콘센트 홀과 서로 연계되어 통전되도록 작동가능하게 돌출된 연결단자가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멀티탭의 일측면으로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턱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턱의 전방으로는 상기 수직면과 슬라이딩되어 면접촉되는 접촉면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면으로는 상기 연결단자가 작동가능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자멀티탭의 일측면과 반대방향인 타측면으로는 멀티탭의 가이드홈과 동일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수직면으로는 연결단자가 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으로는 상기 자멀티탭과 동일한 가이드턱이 돌출되어 있는 턱메움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턱메움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에 조립시 상기 멀티탭의 타측면 내지 전, 후면의 평면과 동일한 수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이 조립된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의 조립된 단면도이 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은 그 일측면으로는 전원 케이블(10)이 인입되고, 상면으로는 콘센트 홀(20)이 형성되고, 타측면으로는 별도의 자멀티탭(30)이 조립되는 멀티탭에 적용된다.
본 고안의 명세서에서 일관되게 기술되는 상면은 콘센트 홀(20)이 형성된 면을 의미하고, 일측면은 상기 전원 케이블(10)이 인입되는 면을 의미한다.
특히,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전면은 도 1에 도시된 방향에서 전방을 의미하고, 그 반대방향에 위치한 면은 후면을 의미한다.
본 고안에 적용된 전원 케이블(10)은 통상의 전원 케이블이 적용되고, 콘센트 홀(20) 역시 통상의 콘센트와 결합되는 곳이다.
본체를 이루는 멀티탭은 상기 전원 케이블(10) 및 하나 이상의 콘센트 홀(20)을 포함하고 있으며, 본 고안은 상기 본체를 이루고 있는 멀티탭에 조립된다.
상기 본체를 이루는 멀티탭의 타측면 내지 전, 후면으로는 상기 콘센트 홀(20)과 서로 통전되어 연계되는 연결단자(22)가 하나 이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단자(22)는 상기 전원 케이블(10)이 설치된 타측면 내지 멀티탭의 전, 후면에 설치되되, 바람직하게 하부에 위치하고, 일측이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하향으로 꺽여 있으며, 상기 연결단자(22)와 조립되는 연결단자(32)에는 서로 대향되는 각도를 이루며 상향으로 꺽여 있다.
이는 조립시 상기 연결단자(32)가 슬라이딩되어 조립되는 경우 타측면에 걸 리지 않고, 타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안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자멀티탭(30)에 설치된 연결단자(32)는 상기 연결단자(22)와 조립된 후 서로 통전되어야 하므로, 조립된 후에는 연결단자(22)(32)끼리 서로 밀착된다.
이를 위해 미도시 되었지만 멀티탭과 자멀티탭(30)의 내부로는 연결단자(22)(32)를 외측으로 밀고 있는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타측면 또는 전, 후면으로는 가이드홈(40)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일정한 폭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40)은 전원 케이블(10)이 삽입되는 방향, 즉 상면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일정한 폭을 이루고 있다.
특히 가이드홈(40)은 상기 타측면 내지 전, 후면의 평면보다 하측에 위치한 수직면(42)에서 전방으로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 후 다시 상기 수직면(42)과 수평을 이룬 다음 연장되고, 다시 전방으로 일정한 두께를 형성한 후 수직으로 꺽여 상기 수직면(42)과 수평을 이루며 연장되어 상기 타측면 내지 전, 후면의 평면과 만나고, 바람직하게 전술한 연결단자(22)(32)는 상기와 같은 수직면(42)에 설치되어 있다.
다시, 자멀티탭(30)의 일측면으로는 상기 가이드홈(40)에 삽입되는 가이드턱(34)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턱(34)은 상기 가이드홈(40)을 이루는 폭에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턱(34)의 전방으로는 상기 수직면(42)과 슬라이딩되어 면접촉되고,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 접촉면(36)이 일체로 형 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면(36)으로는 상기 연결단자(32)가 작동가능하게 돌출되어 상기 연결단자(22)와 조립되는 경우 서로 면접촉된다.
위와 같이 본체를 이루는 멀티탭과 자멀티탭(30)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콘센트 홀(20)을 상면에 위치시키고 자멀티탭(30)의 가이드턱(34)을 멀티탭의 가이드홈(40)에 삽입한다. 이때 자멀티탭(30)의 연결단자(32)는 멀티탭의 수직면(42)을 따라 이동하고, 멀티탭의 연결단자(22)와 면접촉하게 되며, 동시에 수직면(42)과 접촉면(36) 역시 면접촉하게 된다.
특히 면접촉된 연결단자(22)(32)는 서로 미도시된 탄성체에 의해 밀고 있어 통전하는데 문제가 없으며, 가이드턱(34)과 가이드홈(40)이 서로 견고히 맞물리고 있으므로 연결단자(22)(32)는 이탈의 우려가 전혀 없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자멀티탭(30)의 일측면과 반대방향인 타측면으로는 상기 본체를 이루는 멀티탭의 가이드홈(40)과 동일한 가이드홈(4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수직면(42)으로는 연결단자(22)가 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별도의 자멀티탭(30)을 연속하여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사용되지 않는 가이드홈(40)은 연결단자(22)가 돌출되어 감전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본 고안은 감전의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홈(40)으로는 상기 자멀티탭(30)과 동일한 가이드턱(52)이 돌출되어 있는 턱메움부재(50)를 더 포함하고 있다.
턱메움부재(50)는 상기 가이드홈(40)에 조립된 경우 멀티탭 또는 자멀티탭(30)의 외면, 즉 멀티탭 또는 타멀티탭(30)의 타측면 내지 전, 후면의 평면과 동일한 수평면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도록 지지부(5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전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듯이, 이 고안은 다수개로 연결되어 조립될 수 있는 자멀티탭(30)과 이들의 구조로 인해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하고, 다수개로 연결해도 그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 내의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에 의하면 다수개로 연결해도 그 결합력이 유지되는 조립 분리될 수 있도록 독립된 콘센트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멀티탭과 자멀티탭이 구비되고, 멀티탭과 자멀티탭에는 서로 조립되는 가이드턱과 홈이 형성되어 멀티탭과 자멀티탭에 형성된 가이드턱과 홈은 서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된 후 조립되고, 미사용시 가이드홈으 로는 턱메움부재가 조립되어 감전 및 이물질의 침투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3)

  1. 일측면으로는 전원 케이블이 인입되고 상면으로는 콘센트 홀이 형성되고, 타측면으로는 별도의 자멀티탭이 조립되는 멀티탭으로서, 상기 멀티탭의 타측면 내지 전, 후면으로는 상기 상면에서 하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타측면 내지 전, 후면을 이루는 평면보다 하측에 위치한 수직면에서 전방으로 일정한 두께를 형성한 후 수직으로 꺽여 상기 수직면과 수평을 이루며 연장되어 상기 타측면 내지 전, 후면의 평면과 만나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으로는 상기 콘세트 홀과 서로 연계되어 통전되도록 작동가능하게 돌출된 연결단자가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멀티탭의 일측면으로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턱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턱의 전방으로는 상기 수직면과 슬라이딩되어 면접촉되는 접촉면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면으로는 상기 연결단자가 작동가능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자멀티탭의 일측면과 반대방향인 타측면으로는 멀티탭의 가이드홈과 동일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수직면으로는 연결단자가 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으로는 상기 자멀티탭과 동일한 가이드턱이 돌출되어 있는 턱메움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턱메움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에 조립시 상기 멀티탭의 타측면 내지 전, 후면의 평면과 동일한 수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
KR2020060020193U 2006-07-26 2006-07-26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 Expired - Fee Related KR200429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193U KR200429074Y1 (ko) 2006-07-26 2006-07-26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193U KR200429074Y1 (ko) 2006-07-26 2006-07-26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004 Division 2006-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074Y1 true KR200429074Y1 (ko) 2006-10-17

Family

ID=41777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19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29074Y1 (ko) 2006-07-26 2006-07-26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074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522B1 (ko) 2007-03-24 2007-09-19 주식회사 세홍이엔씨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전 선로용 연결기구
KR100761509B1 (ko) 2007-03-24 2007-09-27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전기 공급을 위한 공동 주택용 이동식콘센트
KR101019978B1 (ko) 2008-11-14 2011-03-09 세홍산업 주식회사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
KR200465063Y1 (ko) * 2012-11-22 2013-01-31 (주)대성 관절형 멀티콘센트
KR101658781B1 (ko) * 2015-05-28 2016-09-26 (주)대한솔루션 조립식 멀티 탭
KR20210069531A (ko) 2019-12-03 2021-06-11 이주원 조립식 멀티탭
KR20230102164A (ko) 2021-12-30 2023-07-07 이승현 스프링이 없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멀티탭 모듈 어셈블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522B1 (ko) 2007-03-24 2007-09-19 주식회사 세홍이엔씨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전 선로용 연결기구
KR100761509B1 (ko) 2007-03-24 2007-09-27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전기 공급을 위한 공동 주택용 이동식콘센트
KR101019978B1 (ko) 2008-11-14 2011-03-09 세홍산업 주식회사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
KR200465063Y1 (ko) * 2012-11-22 2013-01-31 (주)대성 관절형 멀티콘센트
KR101658781B1 (ko) * 2015-05-28 2016-09-26 (주)대한솔루션 조립식 멀티 탭
KR20210069531A (ko) 2019-12-03 2021-06-11 이주원 조립식 멀티탭
KR20230102164A (ko) 2021-12-30 2023-07-07 이승현 스프링이 없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멀티탭 모듈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9074Y1 (ko)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
CN107437681B (zh) 电连接器组合
CN201440525U (zh) 电连接器
CN201440526U (zh) 电连接器
CN204315807U (zh) 线缆连接器组件
JP3218961U (ja) 差し込みコネクタ装置
US795096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tachable cover
CN101325299B (zh) 电连接器
KR20150035450A (ko) 접속 단자
US8162679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the same
US9882324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dentical matable connectors
CN102544908A (zh) 电连接器组件及插头连接器
CN210838174U (zh) 一种插套组件及插座
CN206379533U (zh) 一种插头连接器
CN101964471A (zh) 插座的导电片结构
KR101308613B1 (ko) 커넥터용 플러그 터미널
CN212462266U (zh) 一种弹性插接的电连接器及液体加热器
JP6622841B2 (ja) 分岐用接続器、コード付延長用接続器及び配線用差込接続器
CN209487763U (zh) 电连接器的强化结构
US865188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ocking structures and mating direction
CN109586115B (zh) 电源连接用连接器
TWI393298B (zh) 電連接器
KR100726367B1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
CN103855535A (zh) 具有抗拉机制的线对板连接器组件
CN210224481U (zh) 一种防开路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6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7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