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860Y1 - Table Structure of Making Machine - Google Patents
Table Structure of Mak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28860Y1 KR200428860Y1 KR2020060020377U KR20060020377U KR200428860Y1 KR 200428860 Y1 KR200428860 Y1 KR 200428860Y1 KR 2020060020377 U KR2020060020377 U KR 2020060020377U KR 20060020377 U KR20060020377 U KR 20060020377U KR 200428860 Y1 KR200428860 Y1 KR 20042886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creen plate
- column
- making machine
- gu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16—Printing t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16—Printing tables
- B41F15/18—Supports for workpie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2—Arrangements of indicating devices, e.g. counters
- B41F33/025—Coun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린터부가 수평으로 슬라이드 이송되면서 스크린판의 메쉬부에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제판기의 테이블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으로 살펴보면, 일측 상면에 스톱핀(12a)이 구비되는 횡바(12)와, 횡바(12)상에 양단이 체결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연설되고, 가이드레일(14a)과 함께 어느 일단에 스톱판(14b)이 설치되는 종바(14)가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1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14a)에 맞물려 슬라이드이송되면서 가이드레일(14a)과 대응하는 내면에 마찰판(22a)과 조절볼트(22b)가 구비되는 가이드블록(22)이 양단에 설치되고, 일측 상면에 가로폭조절수단(30)이 구비되는 칼럼(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of a plate making machine that performs a printing operation on the mesh portion of the screen plate while the printer unit slides horizontally,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the horizontal bar 12 is provided with a stop pin (12a) on one side surface And a base frame 10 having both ends fastened at fixed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bar 12, and a longitudinal bar 14 having a stop plate 14b installed at one end together with the guide rail 14a; And guide blocks 22 provided with friction plates 22a and adjustment bolts 22b on both ends of the base frame 10 while sliding and moving in engagement with the guide rails 14a of the base frame 10. And a column 20 provided with a width adjusting means 30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이에 따라, 스크린판이 안착되는 칼럼이 슬라이드 이송되어 간격조절됨에 따라 스크린판의 사이즈변화에 대응하여 이를 수용하기 위한 셋팅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유연성이 제공되고, 또한 스크린판의 하부에서 가이드바가 승·하강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클램프수단에 의해 스크린판의 투입/배출작업이 간편하면서 정위치에 건실하게 로딩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as the column on which the screen plate is seated is slide-transferd to adjust the spacing, the flexibility to quickly set a setting operation for accommodating the size change of the screen plate is provided, and the guide bar moves up and down at the bottom of the screen plate. In addition to being installed as well as by the clamp mean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loading / discharging operation of the screen plate is simple and loaded in the right position.
제판기, 스크린판, 메쉬부, 틀, 프린터부, 인쇄, 실린더 Printing machine, screen board, mesh part, frame, printer part, printing, cylinder
Description
도 1은 종래에 제판기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table of a conventional plate making machin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판기의 테이블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table of the plate ma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판기의 테이블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table of the plate ma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판기의 테이블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table of the plate ma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가로폭조절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nlarged width adjusting means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가이드바를 나타내는 구성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uide bar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가로폭조절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nlarged width control means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휨보정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8 is an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bending correction means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베이스프레임 12: 횡바 14: 종바10: base frame 12: side bar 14: longitudinal bar
20: 칼럼 22: 가이드블록 30: 가로폭조절수단20: column 22: guide block 30: width adjusting means
32: 가이드홈 34: 보조칼럼 40: 가이드바32: guide groove 34: auxiliary column 40: guide bar
42: 제1실린더 50: 클램프수단 52: 고정블록42: first cylinder 50: clamp means 52: fixed block
54: 제2실린더 60: 휨보정수단 62: 체결판54: second cylinder 60: bending correction means 62: fastening plate
64: 중량추 64: weight
본 고안은 제판기의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판이 안착되는 칼럼이 슬라이드 이송되어 간격조절됨에 따라 스크린판의 사이즈변화에 대응하여 이를 수용하기 위한 셋팅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유연성이 제공되고, 또한 스크린판의 하부에서 가이드바가 승·하강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클램프수단에 의해 스크린판의 투입/배출작업이 간편하면서 정위치에 건실하게 로딩되는 제판기의 테이블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of a plate making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as the column on which the screen plate is seated is adjusted by slide transfer, the flexibility is provided in which a setting operation for accommodating the size change of the screen plate is quickly performed. In addition, the guide bar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en plate, and the table structure of the plate making machine that is loaded and discharged the screen plate by the clamping means is easy and loaded in a steady position.
통상적으로 제판기는 스크린판의 메쉬부에 인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의 문양을 인쇄하는 장치의 일종이다. 제판기는 스크린판이 로딩되는 테이블과, 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슬라이드 이송되는 프린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테이블에 스크린판이 로딩된 상태로 프린터부가 이송되면서 스크린판의 메쉬부 표면에 소정의 문양을 인쇄한다.Typically, a plate making machine is a kind of apparatus for printing a predetermined pattern to form a printing pattern on the mesh portion of the screen plate. The plate making machine includes a table on which the screen plate is loaded, and a printer unit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able to slide horizontally. The plate making machine transfers a predetermined pattern to the surface of the mesh unit of the screen plate while the printer unit is transferred while the screen plate is loaded on the table. Print
도 1은 종래에 제판기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table of a conventional plate making machine.
도 1에서, 종래에 제판기의 테이블(T)은 상면에 다수의 삽입홈(1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지지바(1)가 한 쌍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바(1)의 삽입홈(1a)을 통하여 스크린판(S)을 지지하기 위한 칼럼(2)이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제판기를 이용하여 스크린판(S)의 메쉬부(S1)에 인쇄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미리 스크린 판(S)의 외형 즉, 틀(S2)의 가로 x 세로 사이즈를 고려하여 먼저 가로사이즈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의 칼럼(2)을 선택하여 테이블(T)의 지지바(1)에 형성된 삽입홈(1a)에 서로 대향하도록 끼움결합하여 설치하되, 이때 한 쌍의 칼럼(2) 사이의 간격은 틀(S2)의 세로사이즈를 고려하여 그에 적합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된다.In FIG. 1, a table T of a plate making machine is conventionally provided with a pair of
이처럼, 스크린판(S)의 메쉬부(S1)에 인쇄작업을 수행하기 이전에 제판기의 테이블(T)을 스크린판(S)의 사이즈에 적합하도록 셋팅하는 준비공정이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일일이 스크린판(S)의 틀(S2) 사이즈를 고려하여 그에 적합한 길이의 칼럼(2)을 선택하여 테이블(T)의 지지바(1)상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해야함에 따라 칼럼(2)을 사이즈별로 구비해야하는 번거로운과 함께 칼럼(2)의 간격조절범위가 지지바(1)의 삽입홈(1a) 형성위치에 한정되므로 스크린판(S)의 사이즈변화에 대응하여 유연성 있게 수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paration process for setting the table T of the plate making machine to be suitable for the size of the screen plate S before performing a printing operation on the mesh unit S1 of the screen plate S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frame (S2) of the screen plate (S), the column (2) of appropriate length should be selected and installed so that a constant distance is maintained on the support bar (1) of the table (T). In addition to the cumbersome to be provided for each size and the gap adjustment range of the column (2) is limited to the insertion groove (1a) formation position of the support bar (1) is not able to accommodate flexibly in response to the size change of the screen plate (S) to be.
또한, 제판기의 테이블(T)에 스크린판(S)을 로딩시 작업자가 스크린판(S)을 들어 허리를 숙인 생태로 메쉬부(S2)를 칼럼(2)에 안착되도록 투입해야함은 물론 인쇄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작업자가 허리를 숙여 스크린판(S)을 들어내는 방식으로 로딩/언로딩 작업을 반복 수행해야 함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누적은 물론 허리디스크와 같은 직업병으로 인한 고충이 상당하다.In addition, when loading the screen plate (S) on the table (T) of the plate making machine, the operator should lift the screen plate (S) to put the mesh portion (S2) to be seated in the column (2) ecologically bowed, of course, printing When the work is completed again, the worker leans back, so that the loading / unloading operation must be repeatedly performed by lifting the screen plate (S).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직업병으로 인한 고충으로 작업자가 편의상 스크린판(S)을 칼럼(2)상에 던지듯이 투입시켜 이와 중에 스크린판(S)의 메쉬부(S2)가 칼럼(2)에 걸려 찢어지거나 늘어남은 물론 정위치에 로딩되지 않아 인쇄불량으로 이어지는 폐단이 따른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worker throws the screen plate S on the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판이 안착되는 칼럼이 슬라이드 이송되어 간격조절됨에 따라 스크린판의 사이즈변화에 대응하여 이를 수용하기 위한 셋팅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유연성이 제공되고, 또한 스크린판의 하부에서 가이드바가 승·하강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클램프수단에 의해 스크린판의 투입/배출작업이 간편하면서 정위치에 건실하게 로딩되는 제판기의 테이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more specifically, as the column on which the screen plate is seated is adjusted by the slide transfer, the setting operation for accommodating the size change of the screen plate is made quickly. It provides flexibility and also provides a table structure of a plate making machine which is installed to raise and lower the guide bar at the lower part of the screen plate, and is easy to load / unload the screen plate by the clamp means and is loaded in a stable position. For that purpos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프린터부가 수평으로 슬라이드 이송되면서 스크린판의 메쉬부에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제판기의 테이블에 있어서: 일측 상면에 스톱핀(12a)이 구비되는 횡바(12)와, 횡바(12)상에 양단이 체결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연설되고, 가이드레일(14a)과 함께 어느 일단에 스톱판(14b)이 설치되는 종바(14)가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1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14a)에 맞물려 슬라이드이송되면서 가이드레일(14a)과 대응하는 내면에 마찰판(22a)과 조절볼트(22b)가 구비되는 가이드블록(22)이 양단에 설치되고, 일측 상면에 가로폭조절수단(30)이 구비되는 칼럼(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ble of a plate making machine that performs a printing operation on the mesh portion of the screen plate while the printer unit slides horizontally: a
이때, 상기 가로폭조절수단(30)은 칼럼(20)의 일측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32)과, 가이드홈(32)에 수용되어 탈부착되도록 양면에 고정판(34a)이 설치되는 보조칼럼(3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width adjusting means 30 is a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종바(14)와 평행하도록 상부에 위치되고, 종바(14)의 양단에 설치되는 제1실린더(42)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되는 가이드바(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스톱핀(12a)과 스톱판(14b)에 대응하는 위치에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제2실린더(54)의 작동에 의해 전·후이송되어 스크린판(S)의 틀(S2)을 밀착시키는 고정블록(52)이 설치되는 클램프수단(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installed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칼럼(20)에 투입된 스크린판(S)의 틀(S2)에 체결되도록 삽입홈(62a)이 형성되는 체결판(62)과, 체결판(62)의 일단에 설치되어 스크린판(S)의 틀(S2)을 가압하는 중량추(64)가 설치되는 휨보정수단(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판기의 테이블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판기의 테이블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판기의 테이블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가로폭조절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가이드바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가로폭조절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휨보정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table of the plate ma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table of the plate ma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table of the plate ma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nlarged width adjusting means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guide bar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width adjustment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which expands and shows a means, and FIG. 8 is a block diagram which expands and shows the bending correction means of the tabl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본 고안은 프린터부가 수평으로 슬라이드 이송되면서 스크린판의 메쉬부에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제판기의 테이블에 관련되며, 이때 제판기는 인쇄 대상물 즉, 스크린판(S)의 두께변화에 따른 인쇄작업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프린터부(P) 또는 테이블(T)이 승·하강되도록 설치됨은 물론 다양한 사이즈의 인쇄 대상물을 유연성 있게 수용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테이블(T)은 베이스프레임(10), 칼럼(20), 가로폭조절수단(30), 가이드바(40), 클램프수단(50), 휨보정수단(60)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of a plate making machine that performs a printing operation on the mesh portion of the screen plate while the printer unit slides horizontally, wherein the plate making machine is a precision of the print operatio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rinting object, that is, the screen plate (S) In order to increase the printer portion (P) or the table (T) is installed to be raised and lowered, as well as to be provided to flexibly accommodate the printing objects of various sizes. To this end, the table 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0)은 일측 상면에 스톱핀(12a)이 구비되는 횡바(12)와, 횡바(12)상에 양단이 체결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연설되고, 가이드레일(14a)과 함께 어느 일단에 스톱판(14b)이 설치되는 종바(14)가 구비된다. 베이스프레임(10)은 대향하는 한 쌍의 횡바(12) 사이에 종바(14)의 양끝단이 교접된 상태로 볼트 및 프라켓과 같은 체결구(도시생략)를 통하여 결속하되, 이때 종바(14)의 측면에 가이드레일(14a)이 구비된다. 가이드레일(14a)은 후술하는 칼럼(20)의 가이드블록(22)이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드이송되도록 종바(14)와 팽행하게 구비되고, 칼럼(20)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가이드블록(22)과 대응하는 종바(14)상에 택일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상면에 스톱핀(12a)과 스톱판(14b)이 직각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스톱핀(12a)은 한 쌍의 횡바(12) 중 어느 일측의 횡바(12)상에 설치되어 상부로 돌출되고, 스톱판(14b)은 스크린판(S)이 로딩된 상태로 측면에 인접하는 종바(14)상에 판형태로 돌출된다. 이에 스크린판(S)이 테이블(T)상에 로딩시 가로·세로측면이 스톱핀(12a)과 스톱판(14b)에 밀착된 상태로 정위치에 안착된다.Here, th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칼럼(20)은 베이스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14a)에 맞물려 슬라이드이송되면서 가이드레일(14a)과 대응하는 내면에 마찰판(22a)과 조절볼트(22b)가 구비되는 가이드블록(22)이 양단에 설치되고, 일측 상면에 가로폭조절수단(30)이 구비된다. 칼럼(20)은 스크린판(S)의 메쉬부(S1)가 안착되도록 판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종바(14)상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4a)을 타고 슬라이드 이송되도록 양단에 가이드블록(22)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가이드블록(22)은 가이드레일(14a)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가이드레일(14a)과 대응하는 일면이 "ㄱ"자의 형상으로 함몰되어 마찰판(22a)과 조절볼트(22b)가 구비된다. 마찰판(22a)은 가이드레일(14a)의 측면에 대응하는 가이드블록(22)상에 수용되고, 조절볼트(22b)에 의해 전·후미세이송되면서 가이드레일(14a)의 측면에 밀착되어 칼럼(20)의 이송을 단속한다.At this time, the
이에, 상기 테이블(T)에 로딩되는 스크린판(S)의 세로사이즈를 고려하여 칼럼(20)을 가이드레일(14a)상에서 슬라이드이송시켜 일정한 폭이 유지되도록 위치조절함과 동시에 조절볼트(22b)를 잠그면 위치고정되어 세로측 셋팅이 완료되고, 이어서 칼럼(20)의 일단에 구비되는 가로폭조절수단(30)을 통하여 스크린판(S)의 가로측 셋팅이 이루어지는 바,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5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us, in consideration of the vertical size of the screen plate (S) loaded on the table (T) by sliding the
한편, 상기 칼럼(20)은 도 2 내지 4에서 가이드레일(14a)상에 2단으로 분할 되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스크린판(S)의 가로사이즈가 소폭일 경우 칼럼(20)을 1단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도 5에서, 상기 가로폭조절수단(30)은 칼럼(20)의 일측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32)과, 가이드홈(32)에 수용되어 탈부착되도록 양면에 고정판(34a)이 설치되는 보조칼럼(34)이 구비된다. 가로폭조절수단(30)은 칼럼(20)의 일측에 장폭으로 가이드홈(32)을 형성하여 보조칼럼(34)이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된다. In Figure 5, the width adjusting means 30 is a
여기서, 상기 보조칼럼(34)은 하부로 연장되도록 고정판(34a)이 양단에 설치되어 도 5의 확대도와 같이 끼움결합되고, 이때 보조칼럼(34)은 사이즈별로 구비되어 스크린판(S)의 가로폭에 따라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체결된다.Here, the
도 6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종바(14)와 평행하도록 상부에 위치되고, 종바(14)의 양단에 설치되는 제1실린더(42)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되는 가이드바(40)가 구비된다. 가이드바(40)는 가이드레일(14a)사이에 설치되는 종바(14)의 선단부에 평행하도록 위치되어 제1실린더(42)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된다. 이때 제1실린더(42)는 시작스위치(도시생략)와 함께 컨트롤박스(도시생략)의 전기적신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고, 종바(14)의 양단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가이드바(40)를 승·하강시키되, 이때 가이드바(40)의 승강 최고점은 상기 칼럼(20)보다 높게 위치된다.In FIG. 6, a
이에, 테이블(T)상에 스크린판(S)을 로딩함에 있어, 가이드바(40)가 제1실린더(42)의 작동에 의해 승강되어 칼럼(20)보다 높게 돌출된 상태로 스크린판(S)을 가이드바(40)에 안착시킨 상태로 밀어서 투입시키고, 이어서 가이드바(40)가 하강되면 스크린판(S)의 메쉬부(S1)가 칼럼(20)에 안착된 상태로 로딩이 완료된다. 또한 스크린판(S)의 메쉬부(S1)에 인쇄를 완료하고 언로딩함에 있어, 가이드바(40)가 제1실런더(46)의 작동에 의해 스크린판(S)을 지지한 상태로 승강하여 스크린판(S)의 틀(S2)이 칼럼(20)보다 높게 위치된 상태로 작업자가 단순히 스크린판(S)을 잡아 당기면 가이드바(40)를 타고 배출되어 언로딩이 완료된다.Accordingly, in loading the screen plate S on the table T, the
도 7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스톱핀(12a)과 스톱판(14b)에 대응하는 위치에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제2실린더(54)의 작동에 의해 전·후이송되어 스크린판(S)의 틀(S2)을 밀착시키는 고정블록(52)이 설치되는 클램프수단(50)이 구비된다. 클램프수단(50)은 스톱핀(12a)과 스톱판(14b)에 대응하는 종바(14)상에 제2실린더(54)가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제2실런더(54)의 로드 끝단에 고정블록(52)이 구비된다. 고정블록(52)은 스크린판(S)을 클램프/언클램프시 마찰에 의해 틀(S2)이 손상되지 않도록 테프론, 고무와 같은 소재로 제작되고, 제2실린더(54)의 작동에 의해 전·후 이송된다.In FIG. 7, the
이에, 상기 테이블(T)의 칼럼(20)에 스크린판(S)을 로딩시킨 상태로 시작스위치(도시생략)를 누르면 제2실린더(54)의 작동에 의해 고정블록(52)이 전방향으로 이송되어 스크린판(S)의 틀(S2)을 내측에서 밀어 스톱핀(12a)과 스톱판(14b)에 밀착시킴에 따라 칼럼(20)에 로딩된 스크린판(S)이 정위치에 클램프되어 유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인쇄작업이 완료되면 컨트롤박스(도시생략)의 전기적신호에 의해 제2실런더(54)의 작동에 제어되어 고정블록(52)을 후방향으로 이송되어 스크린판(S)이 언클램프된다.Accordingly, when the start switch (not shown) is pressed while the screen plate S is loaded in the
도 8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칼럼(20)에 로딩된 스크린판(S)의 틀(S2)에 체결되도록 삽입홈(62a)이 형성되는 체결판(62)과, 체결판(62)의 일단에 설치되어 스크린판(S)의 틀(S2)을 가압하는 중량추(64)가 설치되는 휨보정수단(60)이 구비된다. 휨보정수단(60)은 스크린판(S)의 틀(S2) 두께를 고려하여 일단에 삽입홈(62a)이 형성된 체결판(62)과 중량추(64)가 일체로 형성된다. 중량추(64)는 고중량의 금속블록으로 형성되어 체결판(62)의 삽입홈(62a)을 통하여 스크린판(S)의 틀(S2)에 체결되도록 구비된다.In FIG. 8, a
이에, 상기 테이블(T)의 칼럼(20)에 스크린판(S)이 로딩되어 클램프수단(5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스크린판(S)의 뒤틀림이 발생될 경우, 휨보정수단(60)의 체결판(62)에 삽입홈(62a)을 통하여 스크린판(S)의 뒤틀린 틀(S2)상에 체결하면 중량추(64)의 하중에 의해 스크린판(S)이 칼럼(20)상에 긴밀하게 안착된다.Accordingly, when the screen plate S is loaded in the
이처럼,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판기의 테이블(T)은 칼럼(20)의 슬라이드이송과 가로폭조절수단(30)에 의해 다양한 사이즈의 스크린판(S)을 수용할 수 있는 유연성이 제공되고, 또한 가이드바(40)의 승·하강으로 스크린판(S)의 로딩/언로딩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클램프수단(50), 휨보정수단(60)에 의해 스크린판(S)이 칼럼(20)상에 긴밀하게 안착 고정되는 이점이 있다.As such, the table T of the plate making machine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the flexibility to accommodate the screen plate (S) of various sizes by the slide feed of th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고안은 스크린판이 안착되는 칼럼이 슬라이드 이송되어 간격조절됨에 따라 스크린판의 사이즈변화에 대응하여 이를 수용하 기 위한 셋팅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유연성이 제공되고, 또한 스크린판의 하부에서 가이드바가 승·하강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클램프수단에 의해 스크린판의 투입/배출작업이 간편하면서 정위치에 건실하게 로딩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lexibility that the setting operation to quickly accommodate the change in the size of the screen plate is accommodated as the column on which the screen plate is seated is adjusted by the slide transfer interval, and also the screen plate In addition, the guide bar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and the clamping means makes loading / ejection of the screen plate simple and soundly loaded in the right position.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0377U KR200428860Y1 (en) | 2006-07-28 | 2006-07-28 | Table Structure of Mak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0377U KR200428860Y1 (en) | 2006-07-28 | 2006-07-28 | Table Structure of Making Machi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28860Y1 true KR200428860Y1 (en) | 2006-10-16 |
Family
ID=4177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037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28860Y1 (en) | 2006-07-28 | 2006-07-28 | Table Structure of Mak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28860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865981B2 (en) | 2020-05-05 | 2024-01-09 | Thor Tech, Inc. | Wire loom support |
-
2006
- 2006-07-28 KR KR2020060020377U patent/KR200428860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865981B2 (en) | 2020-05-05 | 2024-01-09 | Thor Tech, Inc. | Wire loom suppor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6199207A1 (en) | Printing device and substrate-working device | |
JP6622500B2 (en) | Transport device | |
US11446847B2 (en) | Press for a casting machine and casting machine | |
RU2699477C1 (en) | Vertical press for casting machine and casting machine | |
EP3421236B1 (en) | Screen printing machine | |
KR200428860Y1 (en) | Table Structure of Making Machine | |
CN111017551B (en) | Application of PCB clamping device in PCB printing machine | |
CN212245240U (en) | PCB board presss from both sides gets device and contains PCB board clamp and gets PCB board printing machine of device | |
CN210651362U (en) | Adjustable bottom plate device and contain its marble machine | |
JP2022048228A (en) | Anti-board work equipment | |
KR200419133Y1 (en) | Marking device | |
CN211137525U (en) | Mould is used in processing of wooden block dish | |
CN219226853U (en) | Terminal strip welding equipment | |
JP7631456B2 (en) | Printing device | |
JP2995498B2 (en) | Clamp fixing device for leaf spring | |
KR101290420B1 (en) | Slab extractor | |
CN213501374U (en) | Screen fixing device | |
CN210479254U (en) | Carbon tube coiling machine convenient to form | |
KR102176716B1 (en) | processing apparatus for two heads milling with up and down type supporting clamp | |
KR100379598B1 (en) | The apparatus of silk screen print | |
KR900008420B1 (en) | Working piece loading and dischenging device in machine tools | |
JPS613701A (en) | Horizontal type multistage press | |
KR950010276Y1 (en) | Raschel machines beam lift | |
JPH0910868A (en) | Sheet transferring device of transfer press and sheet transferring method | |
JP2578637Y2 (en) | Panel body holding and hea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728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10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72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Patent event date: 20061019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Patent event date: 20070221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81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509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