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28655Y1 - 다 회선용 강관철탑 구조 - Google Patents

다 회선용 강관철탑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655Y1
KR200428655Y1 KR2020060020717U KR20060020717U KR200428655Y1 KR 200428655 Y1 KR200428655 Y1 KR 200428655Y1 KR 2020060020717 U KR2020060020717 U KR 2020060020717U KR 20060020717 U KR20060020717 U KR 20060020717U KR 200428655 Y1 KR200428655 Y1 KR 2004286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line
lines
transmission
t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7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현
Original Assignee
보성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성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성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07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6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6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65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多) 회선용 강관철탑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면에 세워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공지선(40)과 송전선로(50)가 연결되는 다수개의 암(20a)(20b)(20c)(20d)이 높이 차를 두고 형성된 기둥(10)으로 구성된 강관철탑에 있어서,
상기 기둥(10)은 복수 개가 마련되어 인접하게 설치되되, 인접된 기둥(10)이 복수 개의 연결봉(30)에 의해 연결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2회선 이상의 송전선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 회선의 송전선로를 간편하게 지중화 할 수 있게 되는 다 회선용 강관철탑 구조에 관한 것이다.
철탑, 송전탑, 송전, 송전선로.

Description

다 회선용 강관철탑 구조{Transmission Tower}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강관철탑의 기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강관철탑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강관철탑의 사용상태를 도 1의 배면 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둥, 20(20a,20b,20c) : 암,
30 : 연결봉, 40 : 가공지선,
50 : 송전선.
본 고안은 다(多) 회선용 강관철탑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송전선로를 일부 구간 지중화(地中化) 할 경우에 송전선로와 지중케이블 간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강관 철탑을 4회선 이상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 회선용강관철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의 전류를 목적지에 송전하고자 할 때에는 가공(架空) 송전선로를 이용하고 있는바, 일정간격으로 송전탑을 설치하여 주고 이 송전탑에 송전선로를 연결하여서 목적하는 바를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송전선로는 들판이나 산악지형을 통과할 때에는 일반적인 송전탑을 설치하여 선로를 연결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도심지 등 건물과 인구가 밀집한 지역을 지날 때에는 선로를 지중에 매설(지중케이블)하여 통과시키게 되는데, 송전선로와 지중케이블이 연결되는 지점에 철탑과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고, 철탑 하부에 케이블헤드를 설치하여 송전탑을 지난 철탑에서 고정되는 한편 송전선로가 지중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철탑 구조 및 선로연결 구조에 관한 기술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8-0007836호 "가스절연방식의 케이블헤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로연결용 철탑구조는 네 다리를 가진 것으로서 시공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부지의 면적이 넓어질 수밖에 없는 구성이 있었으며, 더불어 철탑 아래쪽 주위에 케이블헤드를 고정하기 위한 위한 별도의 시설물이 필요한 이유로 넓은 면적이 필요하였으며, 더욱이 선로의 연결지점이 케이블 헤드가 지면과 가까이 설치되게 됨에 따라 고압의 전류를 완벽하게 절연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우려 등으로 인해 철탑의 설치를 반대하는 민원에 부딪혀 종종 철탑의 설치 계획이 변경되거나 심지어는 포기되는 등의 어려움이 있는바, 본 출원인은 시공면적을 최소로 할 수 있으면서도 간편한 시공이 가능한 실용신안 등록 제20-0403972-0000호의 "강관철탑"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강관 철탑은 2회선 용으로서 2회선 이상의 송전선로를 지중화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수단을 강구하여야 하는 것이었는데, 마땅한 수단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2회선 이상 즉 4회선 6회선 등의 송전선로를 지중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강관철탑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강관철탑을 개선하여 다 회선의 송전선로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지중화 할 수 있게 구성된 강관철탑의 구조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지면에 세워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공지선(架空地線)과 송전선로가 연결되는 다수개의 암이 높이 차를 두고 형성된 기둥으로 구성된 강관철탑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복수 개가 마련되어 인접하게 설치되되, 인접된 기둥이 복수 개의 연결봉에 의해 연결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 회선용 강관철탑 구조를 제안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강관철탑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이 적용되는 강관철탑은 지면에 세워 설치되는 것 으로서, 다수개의 암(20a)(20b)(20c)이 높이 차를 두고 형성된 기둥(10)을 기본 단위체로 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기둥(10)을 연결봉(30)으로 연결하여서 구성하고 있다.
암(20a)(20b)(20c)의 구성을 보면, 각 기둥(10) 들에는 맨 아래부터 기둥(10)을 중심으로 대향 되어 마치 양팔을 벌린 것과 같은 한 쌍의 암(20a)이 형성되고, 그와 높이 차를 두고 동일한 방식으로 두 번째 및 세 번째 암(20b)(20c)이 형성되는 구이다. 상기와 같은 암(20a)(20b)(20c)에는 송전선로가 연결되게 된다.
상기 기둥(10)을 연결하는 연결봉(30)은 두 기둥(10)을 횡으로 연결하고 있으며 복수 개를 마련하여 일정 간격으로 고정하여 주게 된다. 고정할 때에는 볼트에 의하거나 용접과 같은 방법을 택하여 고정하여 줄 수 있다.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현장에서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양 끝단에 판 형태의 플렌지를 형성하는 한편, 기둥(10)에도 상기 플렌지에 대응되는 결합 면을 형성하여서 볼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봉(30)에 의해 연결된 복수 개의 기둥(10) 중 하나의 기둥(10)에는 낙뢰에 대비하기 위한 가공지선을 연결하여 주는 암(20d)이 더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강관철탑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강관철탑의 사용상태를 도 1의 배면 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부 확대도 이다.
상기 도 2와 3은 각각의 암(20a)(20b)(20c)마다 동일하게 내장 애자가 고정 되는 고리와, 피뢰기, 기중종단접속함(EB-A)이 결합 되는 브라켓 및 송전선로(50) 등의 구조물이 배치되는바, 이는 종래 구성과 다름없는 것으로서 전부 표시할 경우 식별이 어려울 정도로 복잡해짐에 따라 일부만을 도시하여 그 구조를 파악하기 용이하게 도시 하였음을 밝힌다.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전술한 각각의 암(20a)(20b)(20c)에는 송전선로(30)가 연결되어 고정된다. 양팔을 벌린 것과 같이 한 쌍으로 형성된 각각의 암(20a)(20b)(20c) 끝단에 송전선로(30)가 연결되는 것으로서, 맨 아래, 중간, 맨 위와 같이 각 위치에 따라 2회선의 송전선로(30)를 수용할 수 있게 되는 구성이다.
두 개의 기둥(10)이 연결된 구성에 의하면 맨 아래, 중간, 맨 위 각각 4회선의 송전선로(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강관철탑을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기둥(10)을 상기와 같이 연결하여 구성하면 맨 아래에 위치한 암(20a)과 중간에 위치한 암(20b), 그리고 맨 위에 위치한 암(20c)은 각각의 기둥(10) 마다 각 위치에 한 쌍씩 형성되어 있으므로 총 네 개씩이 형성되게 될 것이며, 따라서 각 위치에서 4회선의 송전선로를 수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두 개의 기둥(10)을 연결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같은 방식으로 두 개 이상을 연결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4회선 이상의 송전선로를 수용할 수 있는 강관철탑의 구성이 가능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송전선로(50)가 연결되는 암(20a)(20b)(20c)은 인접된 기둥(10)에서 서로 높이 차를 두고 형성되어 지그재그로 배치되게 구성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인접한 암(20a)(20b)(20c)들 끼리 서로 간섭하지 않게 함과 아울러 설치되는 애자와 상기 애자에 연결된 송전선로(50)들 또한 서로 간섭되지 않게 구성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두 기둥(10)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 또한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송전탑에는 일반적으로 낙뢰에 의한 피해 등을 방지하기 위해 가공지선(40)이 배선된다. 따라서 상기 가공지선(40)을 고정하기 위한 암(20d)이 형성되어 있는데, 구조물의 맨 상단 부분에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연결봉(30)에 의해 연결된 복수 개의 기둥(10) 중 하나의 기둥(10)에만 상기 가공지선(40)을 고정하여 주기 위한 암(20d)을 형성하고, 그 암(20d)에 상기 가공지선(40)을 고정하여 주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라 송전선로(50)와 가공지선(40)을 모두 수용하게 되는 강관철탑의 구성이 가능해 지며, 특히 다 회선의 송전선로(50)를 수용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에 따라 2회선 이상의 송전선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강관철탑의 구성이 가능해지며, 이를 통해 다 회선의 송전선로를 간편하게 지중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지면에 세워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공지선(40)과 송전선로(50)가 연결되는 다수개의 암(20a)(20b)(20c)(20d)이 높이 차를 두고 형성된 기둥(10)으로 구성된 강관철탑에 있어서,
    상기 기둥(10)은 복수 개가 마련되어 인접하게 설치되되, 인접된 기둥(10)이 복수 개의 연결봉(30)에 의해 연결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 회선용 강관철탑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선로(50)가 연결되는 암(20a)(20b)(20c)은 인접된 기둥(10)에서 서로 높이 차를 두고 형성되어 지그재그로 배치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 회선용 강관철탑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지선(40)은 연결봉(30)에 의해 연결된 복수 개의 기둥(10) 중 하나의 기둥(10)에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 회선용 강관철탑 구조.
KR2020060020717U 2006-08-02 2006-08-02 다 회선용 강관철탑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4286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717U KR200428655Y1 (ko) 2006-08-02 2006-08-02 다 회선용 강관철탑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717U KR200428655Y1 (ko) 2006-08-02 2006-08-02 다 회선용 강관철탑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655Y1 true KR200428655Y1 (ko) 2006-10-16

Family

ID=41777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71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28655Y1 (ko) 2006-08-02 2006-08-02 다 회선용 강관철탑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6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253B1 (ko) 2009-01-30 2009-08-24 주식회사 서우 직선철탑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전선을 고정하는 현수형 고정장치 및 폴리머 절연암의 현수형 고정장치를 이용한 송전선로 설치공법
CN110306861A (zh) * 2019-08-13 2019-10-08 中国电建集团贵州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适用于重冰区的组合式输电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253B1 (ko) 2009-01-30 2009-08-24 주식회사 서우 직선철탑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전선을 고정하는 현수형 고정장치 및 폴리머 절연암의 현수형 고정장치를 이용한 송전선로 설치공법
CN110306861A (zh) * 2019-08-13 2019-10-08 中国电建集团贵州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适用于重冰区的组合式输电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98201B (zh) 输电线路电缆终端立体引下装置
FI3988741T3 (fi) Tehonmuuntoaseman kehys
KR200428655Y1 (ko) 다 회선용 강관철탑 구조
JP2002199563A (ja) 架空送電線の分岐方法
CN104196301A (zh) 一种新型交叉换位塔
JP2007027090A (ja) 耐張がいし装置
CN206016392U (zh) 一种双回路双侧开断输电线路杆塔
CN109779373B (zh) 一种双回同杆并架输电线路中用于破口一回的电缆终端杆
KR20150138741A (ko) 배전선로용 완철
CN216699321U (zh) 一种采用悬挑梁结构的变电站构架
RU57324U1 (ru) Переходная опора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KR200403972Y1 (ko) 강관 철탑
KR20100005531U (ko) 일반장주 및 편창출장주 겸용 내장완철
KR101130805B1 (ko) 각도형 완철
CN211313561U (zh) 一种双回路电缆线路与架空线路连接装置
KR101206495B1 (ko)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CN213980169U (zh) 复合材料横担杆塔
JP2013126304A (ja) 避雷防止装置、及び避雷防止送電線システム
CN114808794A (zh) 一种高压线防护支撑系统
KR101995979B1 (ko)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CN109510003B (zh) 一种高层建筑防雷接地结构
KR100213675B1 (ko) 가공배전장주용 전선지지체
KR101024898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JP2003023711A (ja) 送電線引留鉄構
CN206956523U (zh) 新型斜拉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80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8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1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70614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509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