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28121Y1 - High chair - Google Patents

High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121Y1
KR200428121Y1 KR2020060018071U KR20060018071U KR200428121Y1 KR 200428121 Y1 KR200428121 Y1 KR 200428121Y1 KR 2020060018071 U KR2020060018071 U KR 2020060018071U KR 20060018071 U KR20060018071 U KR 20060018071U KR 200428121 Y1 KR200428121 Y1 KR 2004281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ody
infant
armrest
rail groove
tab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07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김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현 filed Critical 김상현
Priority to KR20200600180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12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1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12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47D1/004Children's chairs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8Children's chairs with trays
    • A47D1/0081Children's chairs with trays adjustable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식탁 의자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dining table chair for children.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식탁 의자는 유아의 행동을 제한하도록 등받이와 양측벽판을 구비하고 각 측벽판의 하부는 하향 연장되면서 외측으로 레일 돌기와 위치 결정 돌기가 이격 형성되는 좌석 본체와, 상기 좌석 본체를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것으로 한쌍의 전방 다리와 한쌍의 후방 다리로 구성되어 상호 상단부에서 힌지 결합되어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방 다리의 내측면에는 레일 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것으로 좌석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안정되게 유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홈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레일홈의 일측으로 등간격을 두고 후방 다리측으로 구속홈이 연결 형성되는 위치 결정 레일홈이 형성되는 다리 프레임과, 상기 양측벽판의 외측에 나사부재로 고정되는 것으로 전방측을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한쌍의 팔걸이와, 상기 팔걸이의 상측을 커버하는 식탁판 및 이 식탁판을 선택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ining tabl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body having a backrest and two side wall plates to limit the behavior of the infant, and a lower portion of each side wall plate extending downward while spaced apart from the rail protrusion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 and grounding the seat body. It consists of a pair of front legs and a pair of rear legs, which are hinged at the upper end and are foldable. The rail protrusion is inserted and gu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leg to guide the seat body. A bridge frame formed with a guide rail groove for stably flowing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positioning rail groove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connected to the rear leg at equal intervals on one side of the guide rail groove, As long as it is fixed to the outside by a screw member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side And the arm res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djusting means for the table plate the table plate and which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armrest to be selectively moved to the forward and backwar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유아용 식탁 의자는 유아의 성장시기에 맞춰 식탁판을 전·후 방으로 위치 이동시켜 좌석 본체의 공간을 가변적으로 확장시키면서 동시에 좌석 본체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사용하는 유아에게 보다 편안한 안락감을 부여하면서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dining table chai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the seat body by free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body at the same time by variably expanding the space of the seat body by moving the table plate to the front and rear rooms according to the growth time of the infant. In addition to providing a more comfortable comfort to the infant using it, it provides a useful effect to extend the service life.

유아, 식탁, 의자, 높이, 조절 Infant, dining table, chair, height, adjustable

Description

유아용 식탁 의자{baby chair for a dining table}Baby chair for a dining tabl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식탁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ning table chair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식탁 의자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infant dining tabl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A" line of FIG.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식탁 의자에서 상판의 구성을 설명하기위한 단면도,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p plate in the infant dining tabl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식탁 의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Figure 6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fant dining tabl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좌석 본체 11, 12 : 측벽판10: seat body 11, 12: side wall plate

13 : 등받이 14 : 좌석부13: back 14: seat

15 : 레일 돌기 16 : 위치 결정 돌기15: rail projection 16: positioning projection

20 : 다리 프레임 21 : 전방 다리20: leg frame 21: the front leg

22 : 후방 다리 25 : 가이드 레일홈22: rear leg 25: guide rail groove

26 : 위치 결정 레일홈 26a : 구속홈26: positioning rail groove 26a: restraint groove

30 : 팔걸이 40 : 식탁판30: armrest 40: table

50 : 조절수단 51 : 슬라이드 홈50: adjusting means 51: slide groove

52 : 나사부재 53 : 고정바52: screw member 53: fixing bar

본 고안은 유아용 식탁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블의 전후 이동과 좌석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유아의 신체 발달치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유아용 식탁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ning table chair for inf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ble dining chair for raising the convenience of use by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hysical development of the infant by enabling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table and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seat. .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어른용 식탁의자에 앉히는 경우 높이가 맞지 않아 불편할 뿐만 아니라 주의가 산만하고 평형감각과 공간지각 능력이 현저하게 낮으므로 자칫 식탁의자에서 떨어지는 위험이 있으므로 상당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또한,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하는 월령의 유아들은 부득이 어른들이 품에 안고서 식사를 해야 하므로 육체적으로 힘들 뿐만 아니라 불편함이 컸었다. In general, infants need not be uncomfortable because they do not fit in height when sitting on an adult table chair, as well as distractions, and the sense of equilibrium and perception of space are very low, so they need to be considerably dropped from the table chair. In addition, the infants of the elderly who can not properly care for the body was inevitably not only physically difficult but also uncomfortable because adults had to eat in their arms.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유아용 식탁 의자가 개발되었으며, 상기 유아용 식탁 의자의 구조를 살펴보면 일반적인 의자에 비하여 긴 다리를 구비하고, 유아가 안전하게 앉을 수 있도록 사방이 막혀 있으며, 양다리가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다리가 빠져나오는 부위 중간에 가로대가 형성되어 유아를 의자에 앉히더라도 의자 자체의 형상에 따라 유아의 행동반경을 제한하여 별다른 주의 없이도 식사를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In order to alleviate this inconvenience, a table chair for toddlers has been developed, and when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table chairs for children, they have longer legs than general chairs, all sides are blocked so that the infant can sit safely, and both legs can be fitted. A crossbar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leg exit area so that even if the infant is seated on the chair, there is a convenience that the child's behavior can be restricted without any special attention by limiting the radius of the infant's behavior.

그러나, 종래의 유아용 식탁 의자는 높낮이 조절과 좌석 부분의 확장이 불가능하여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어 유아의 성장시기에 맞춰 새로 구매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able chairs for children are not easy to adjust the height and expansion of the seat portion is inconvenient to use, there was a big economic burden to buy a new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infant.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식탁판의 거리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좌석 본체의 공간을 가변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높낮이 조절을 용이하고 안정되게 실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면서 사용시 보다 편안한 안락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식탁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adjustment of the distance of the table plate to be able to variably expand the space of the seat body while allowing easy and stable adjustment of the heigh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ning table chair for a baby, which can provide a more comfortable comfort when using the product while extending its service life.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탁 의자는, 유아의 행동을 제한하도록 등받이와 양측벽판을 구비하고 각 측벽판의 하부는 하향 연장되면서 외측으로 레일 돌기와 위치 결정 돌기가 이격 형성되는 좌석 본체와; 상기 좌석 본체를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것으로 한쌍의 전방 다리와 한쌍의 후방 다리로 구성되어 상호 상단부에서 힌지 결합되어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방 다리의 내측면에는 레일 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것으로 좌석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안정되게 유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홈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레일홈의 일측으로 등간격을 두고 후방 다리측으로 구속홈이 연결 형성되는 위치 결정 레일홈이 형성되는 다리 프레임과; 상기 양측벽판의 외측에 나사부재로 고정되는 것으로 전방측을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한쌍의 팔걸이와; 상기 팔걸이의 상측을 커버하는 식탁판 및 이 식탁판을 선택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the dining table chair is provided with a backrest and both side wall plates to limit the behavior of the infant and the lower side of each side wall plate is extended downward and the rail projection and positioning projections to the outside A seat body spaced apart; Supporting the seat body to be locat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consisting of a pair of front legs and a pair of rear legs are hinged at each other at the upper end is provided to be folded and the inner side of the front leg is inserted into the guide guide A leg frame having a guide rail groove for stably moving the seat bod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a positioning rail groove having a confining groove connected to the rear leg with equal intervals on one side of the guide rail groove; ; A pair of armrests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side by being fixed by a screw member on the outer side of the both side wall plat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able plate for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armrest and the adjusting means for selectively moving the table pl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조절수단은 팔걸이에 대응되는 식 탁판의 저면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입구가 좁은 슬라이드 홈 및 상기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는 길이재의 부재로서 나사부재에 의해 팔걸이에 고정되는 고정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As a preferabl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ing means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ype table plate corresponding to the armrest is fixed to the armrest by a screw member as a member of a narrow slide groove and a length member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It consists of what comprises a bar.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own design.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식탁 의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fant dining tabl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식탁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식탁 의자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 chair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table chair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ine "A-A" of FIG.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식탁 의자에서 상판의 구성을 설명하기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식탁 의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plate in the infant dining tabl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fant dining tabl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아용 식탁 의자는 크게 유아가 앉을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는 좌석 본체(10)와, 이 좌석 본체(10)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다리 프레임(20) 그리고 좌석 본체(10)에 일체로 구비되는 팔걸이(30) 및 식탁판(4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조절수단(50)으로 구성되며, 이들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shown therein, the infant dining tabl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at body 10 that provides a seat where a toddler can sit large, and a leg frame 20 that supports the seat body 10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the armrest 30 which is provided integrally to the seat body 10 and the dining table 40 is composed of an adjusting means 50 to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s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Same as

좌석 본체(10)는 유아가 안정되게 앉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유아가 양다리를 벌린 상태로 앉을 수 있도록 판재형상으로 제공되면서 쿠션재로 커버되는 좌석부(14)와, 이 좌석부(14)의 후방측면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등받이(13) 그리고 유아가 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제한하도록 하는 양측벽판(11,12)을 구비하며 이밖에도 유아가 좌석부(14)에서 일어서는 등의 행동을 제한하기 위한 허리 벨트(b)가 구비된다.The seat body 10 is to provide a space for the infant to sit stably, the seat portion 14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plate so that the infant can sit with both legs open while being covered with cushioning material, the seat portion 14 The backrest 13 is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rear side of the) and both side walls (11, 12) to limit the infant to move in the lateral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behavior such as the infant standing in the seat (14) A waist belt b is provided for limiting.

한편, 상기 좌석 본체(10)에서 양측벽판(11,12)은 그 하부가 하향 연장되는 구조이며 후술할 다리 프레임(20)의 전방 다리(21)와 중첩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양측벽판(11,12)의 연장된 하부는 외측 방향으로 레일 돌기(15)와 위치 결정 돌기(16)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구조이며, 이들 레일 돌기(15)와 위치 결정 돌기(16)는 후술할 전방 다리(21)의 내측면에 형성된 각각의 가이드 레일홈(25)과 위치 결정 레일홈(26)에 삽입되는 구조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at body 10, both side wall plates (11, 12) is a structure that extends downward and is provided to overlap the front leg 21 of the leg frame 2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extended lower portion of the side wall plate (11, 12) is a structure in which the rail projection 15 and the positioning projection 16 protrude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outward direction, these rail projections 15 and positioning The projection 16 is a structure inserted into each of the guide rail groove 25 and the positioning rail groove 26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leg 21 to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좌석 본체(10)는 양측벽판(11,12)의 외측으로 팔걸이(30)가 일체로 구비되며 이 팔걸이(30)의 상측으로는 식탁판(40)이 커버되는 구성이다.The seat body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rmrest 30 is integrally provided to the outside of both side wall plates 11 and 12, and the table plate 40 is covered above the armrest 30.

다리 프레임(20)은 상술한 좌석 본체(10)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일종의 지지부재로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어도 무방하나 본 고안에서는 한쌍의 전방 다리(21)와 한쌍의 후방 다리(22)로 구성되며, 이들 전방 다리(21)와 후방 다리(22)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호 상단부에서 힌지(h) 결합되는 것에 의해 하단부가 벌어지도록 하여 절첩 가능하게 구성된다. The leg frame 20 is a kind of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above-described seat body 10 to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The leg frame 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front legs 21 and a pair of rear legs are provided. The front leg 21 and the rear leg 22 are foldable so that the lower end part may be opened by being hinged by mutually the upper end part as shown in the figure.

이러한 다리 프레임(20)은 상기 전방 다리(21)의 내측면에 레일 돌기(15)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것으로 좌석 본체(10)를 상·하 방향으로 안정되게 유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홈(25)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레일홈(25)의 일측으로는 등간격을 두고 후방 다리(22)측으로 구속홈(26a)이 연결 형성되는 위치 결정 레일홈(26)이 형성되는 구조이다.The leg frame 20 is a guide rail groove 25 for stably flowing the seat body 1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by being guided by the rail protrusion 15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leg 21. Is formed, and the positioning rail groove 26 is formed in which one side of the guide rail groove 25 is connected to the restraint groove 26a at the rear leg 22 side at equal intervals.

이와 같이 구성되는 다리 프레임(20)은 전방 다리(21)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홈(25)과 위치 결정 레일홈(26)으로 상기 좌석 본체(10)의 레일 돌기(15)와 위치 결정 돌기(16)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좌석 본체(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좌석 본체(10)의 위치 결정 돌기(16)를 위치 결정 레일홈(26) 상에 등간격을 두고 형성된 구속홈(26a)중 임의의 구속홈에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위치 고정을 이루게 된다.The leg frame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guide rail groove 25 and a positioning rail groove 26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leg 21 to determine the rail protrusion 15 and the position of the seat body 10. By inserting the protrusions 16, the seat body 10 can be mov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s 16 of the seat body 10 are positioned on the positioning rail grooves 26. Position fixation is achieved by inserting into an arbitrary restraint groove among the restraint grooves 26a formed at equal intervals.

팔걸이(30)는 상술한 양측벽판(11,12)의 외측에 나사부재로 고정되는 길이재의 부재로서, 전방측을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팔걸이(30)는 양측벽판(11,12)과 함께 일체로 가공되어 구비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가공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별도로 제작되어 구비되는 것을 제안하였다. Armrest 30 is a member of the length member which is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above-described both side wall plates (11, 12) with a screw member, the structure is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side. The armrest 30 may be provided integrally processed with both side wall plates (11, 12), bu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to be manufactured and provided separately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processing.

이와 같이 구성되는 팔걸이(30)는 후술할 식탁판(40)을 지지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게 하는 조절수단(50)이 구비되게 한다.Armrest 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control means 50 to be gui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while supporting the table 40 to be described later.

조절수단(50)은 상술할 팔걸이(30)의 상측을 커버하는 식탁판(40)을 선택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Adjusting means 50 is to move the table plate 40 that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armrest 30 to be described above selectively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이러한 조절수단(50)은 상기 팔걸이(30)에 대응되는 식탁판(40)의 저면 양측에 슬라이드 홈(51)을 형성하며, 이때의 슬라이드 홈(51)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탁판(40)의 하측으로 좁은 입구를 형성하는 형태이며 이는 후술할 고정바(53)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adjusting means 50 forms the slide grooves 51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plate 40 corresponding to the armrest 30, and the slide groove 51 at this time is the table plate 40 as shown in the drawing. It is a form to form a narrow inlet to the lower side of the) is to prevent the fixing bar 53 to be described later to be separated.

또한, 상기 슬라이드 홈(51)에는 고정바(53)가 삽입 구비되는 구성이며, 이때의 상기 고정바(53)는 하나 이상의 나사부재(52)에 의해 팔걸이(30)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나사부재(52)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팔걸이(30)의 저면측에서 체결되는 구성이며, 사용자가 나사부재(52)를 정·역 방향 회전시키는 조작력을 통해 고정바(53)의 저면측을 가압하여 고정력을 생성하거나 이와 반대로 해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lide groove 51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xing bar 53 is inserted, the fixing bar 53 at this time is a structure that is fixed to the armrest 30 by at least one screw member (52). Here, the screw member 52 is a configuration that is fastened at the bottom side of the armrest 30 as shown in the figure, the user of the fixing bar 53 through the operating force for rotating the screw member 52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Pressing the bottom side generates a holding force or vice versa.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절수단(50)은 상기 고정바는 팔걸이(3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식탁판(40)을 전방측으로 잡아 당기거나 또는 등받이(13)를 향해 미는 것에 의해 식탁판(40)의 이동이 실시된다. Adjusting means 50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fixing bar is fixed to the armrest 30, the user pulls the table plate 40 forward or pushes toward the backrest 13 table plate 40 ) Is carried ou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유아용 식탁 의자의 높낮이 조절과 식탁판의 거리 조절을 실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dining table chair and the distance of the din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상기 좌석 본체(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좌석 본체(10)를 전방향으로 밀게 되면 좌석 본체(10)의 양측벽판(11,12)에 형성된 위치 결정 돌기(16)가 구속홈(26a)에서 이탈되어 위치 결정 레일홈(26) 상에서 이동될 수 있게 위치 이동을 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좌석 본체(10)를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을 한다. 이어서 상기 좌석 본체(10)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위치 결정 돌기(16)가 해당 위치의 구속홈(26a)으로 삽입시키면 좌석 본체(10)의 위치가 고정된다.First, in the case of adjusting the height by moving the seat body 1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hen the user pushes the seat body 10 in all directions to both side wall plates (11, 12) of the seat body (10) The positioning projection 16 formed is moved from the restraint groove 26a to be moved on the positioning rail groove 26, and in this state, the seat body 10 is adjus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Do it. Subsequently, when the positioning protrusion 16 is inserted into the restraint groove 26a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while the seat body 10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seat body 10 is fixed.

한편, 상기 레일 돌기(15)는 항상 가이드 레일홈(25)상에 위치된 상태이므로 좌석 본체(10)의 높낮이 조절시 가이드 레일홈(25)을 따라 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rail protrusion 15 is always located on the guide rail groove 25, the height of the seat body 10 is moved along the guide rail groove 25.

상기 식탁판(40)의 거리조절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식탁판(40)의 일측을 잡은 상태에서 전방측을 향해 잡아당기거나 또는 후방측을 향해 밀게 되면 식탁판(40)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51)이 고정된 상태의 고정바(53)를 따라 이동되는 것에 의해 거리조절이 실시된다.In order to adjust the distance of the table plate 40, the user pulls toward the front side or pushes toward the rear side while holding one side of the table plate 40, the slide groove formed in the table plate ( 51 is moved along the fixed bar 53 in a fixed state, the distance is adjusted.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 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utility model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유아용 식탁 의자는 유아의 성장시기에 맞춰 식탁판을 전·후 방으로 위치 이동시켜 좌석 본체의 공간을 가변적으로 확장시키면서 동시에 좌석 본체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사용하는 유아에게 보다 편안한 안락감을 부여하면서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infant dining table chair configur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body freely while simultaneously varying the space of the seat body by moving the table plate to the front and rear rooms according to the growth time of the infant. In addition to increasing the lifespan, it provides a useful effect to prolong the service life while providing more comfortable comfort to the infant using the same.

Claims (2)

유아의 행동을 제한하도록 등받이와 양측벽판을 구비하고 각 측벽판의 하부는 하향 연장되면서 외측으로 레일 돌기와 위치 결정 돌기가 이격 형성되는 좌석 본체와;A seat body having a backrest and two side wall plates to limit the behavior of the infant, and a lower portion of each side wall plate extending downward while spaced apart from the rail protrusion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 상기 좌석 본체를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것으로 한쌍의 전방 다리와 한쌍의 후방 다리로 구성되어 상호 상단부에서 힌지 결합되어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방 다리의 내측면에는 레일 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것으로 좌석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안정되게 유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홈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레일홈의 일측으로 등간격을 두고 후방 다리측으로 구속홈이 연결 형성되는 위치 결정 레일홈이 형성되는 다리 프레임과;Supporting the seat body to be locat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consisting of a pair of front legs and a pair of rear legs are hinged at each other at the upper end is provided to be folded and the inner side of the front leg is inserted into the guide guide The guide rail groove for stably moving the seat bod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formed, and the bridge frame is formed with a positioning rail groove in which the restraint groove is connected to the rear leg side at equal intervals on one side of the guide rail groove. and; 상기 양측벽판의 외측에 나사부재로 고정되는 것으로 전방측을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한쌍의 팔걸이와;A pair of armrests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side by being fixed by a screw member on the outer side of the both side wall plates; 상기 팔걸이의 상측을 커버하는 식탁판 및 이 식탁판을 선택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조절수단;A table plate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armrest and adjusting means for selectively moving the table pl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탁 의자.Baby dining chai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팔걸이에 대응되는 식탁판의 저면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입구가 좁은 슬라이드 홈 및 상기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는 길이재의 부재로서 나사부재에 의해 팔걸이에 고정되는 고정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탁 의자.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justing means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plate corresponding to the armrest, the entrance of the narrow slide groove and the member of the length member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as a fixing member fixed to the armrest by a screw member Baby dining chai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by.
KR2020060018071U 2006-07-04 2006-07-04 High chair KR20042812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071U KR200428121Y1 (en) 2006-07-04 2006-07-04 High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071U KR200428121Y1 (en) 2006-07-04 2006-07-04 High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121Y1 true KR200428121Y1 (en) 2006-10-09

Family

ID=4929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071U KR200428121Y1 (en) 2006-07-04 2006-07-04 High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121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824B1 (en) 2009-07-19 2011-05-30 조성일 Baby table dishwasher
KR20150022333A (en) 2013-08-23 2015-03-0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Combine chair and high chai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824B1 (en) 2009-07-19 2011-05-30 조성일 Baby table dishwasher
KR20150022333A (en) 2013-08-23 2015-03-0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Combine chair and high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283B1 (en) The bidet for baby
AU3674799A (en) Baby chair
KR101479647B1 (en) Baby chair for dining table
CA2811302A1 (en) Adjustable booster seat
US6543844B1 (en) Seating furniture for children
JPS6127820Y2 (en)
KR101018729B1 (en) Multifunctional chair
KR200428121Y1 (en) High chair
KR20030074192A (en) Seat structure
WO2000013555A1 (en) Infant supporting chair
US20170156512A1 (en) Baby Rocker Glider
KR200431273Y1 (en) Easy to deform shape couch system
KR101941160B1 (en) A breast-feeding bidet for a baby
KR101139834B1 (en) multifuntional chair
CN216875772U (en) children&#39;s dining chair
KR101770385B1 (en) Chair for baby
KR101327507B1 (en) Variable width adjustable removable chair
KR101228051B1 (en) Child chair
JP7001339B2 (en) Seat mats for childcare equipment
KR101219246B1 (en) Toilet and shower for baby
KR20130000534U (en) Safe table-chair capable of controlling distance foran infant
KR200399680Y1 (en) Chair for hot half bath having fixing structure with body weight
KR200232515Y1 (en) a cover of a toilet bowl for small children
KR200437288Y1 (en) Baby seating equipment
KR20140132921A (en) Variable Width Adjustable Removable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70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7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3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608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