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787Y1 - Composite Wood Wood Tiles - Google Patents
Composite Wood Wood Ti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27787Y1 KR200427787Y1 KR2020060018880U KR20060018880U KR200427787Y1 KR 200427787 Y1 KR200427787 Y1 KR 200427787Y1 KR 2020060018880 U KR2020060018880 U KR 2020060018880U KR 20060018880 U KR20060018880 U KR 20060018880U KR 200427787 Y1 KR200427787 Y1 KR 20042778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od
- composite
- composite wood
- tile
- base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9 mar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1 mold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01C5/22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or prefabricated foundation uni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원 또는 야외 등의 바닥에 목재의 질감과 분위기를 제공하여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고 무게도 가벼워 시공성이 뛰어난 복합목재 우드타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omposite wood tile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because it is not only environmentally friendly but also beautiful in appearance and light in weight by providing the texture and atmosphere of wood on the ground of a park or outdoor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공원이나 보도와 같은 야외의 바닥을 포장하는 포장자재인 복합목재 우드타일로서, 목분과 합성수지의 합성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복합목재와, 상기 다수의 복합목재의 저면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복합목재가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베이스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합목재는 판형상이며,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e timber wood tile, which is a packaging material for paving the outdoor floor, such as a park or sidewalk, a plurality of composite wood formed by the synthesis of wood powder and synthetic resin, and the plurality of composite wood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is made of a base plate which is fixed to a plurality of composite woo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composite wood is a plate-lik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is formed with irregularities for preventing slip.
본 고안의 전술한 구성적 특징으로 인하여, 기존의 포장재로 사용되었던 석재 및 기타 포장재를 대체할 수 있는 목분과 합성수지를 합성한 새로운 포장재로서, 목재의 질감과 분위기를 제공하여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을 제공할 수 있어 포장패턴을 다양화할 수 있고, 또한 외관이 미려하고 무게도 가벼워서 시공이 용이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톱질 등의 가공이 가능하여 소망의 형상으로도 제작이 용이한 복합목재 우드타일을 제공할 수 있다.Due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new packaging material that combines wood powder and synthetic resin, which can replace stone and other packaging materials used as the existing packaging materials, and provides a texture and atmosphere of wood, which is not only eco-friendly but also various colors. It can provide a variety of packaging patterns, beautiful appearance and light weight, easy construction, cost reduction, and sawing, etc. can be processed to produce the desired wood composite wood tiles Can be provided.
복합목재, 우드타일, 목재, 플라스틱 Composite Wood, Wood Tile, Wood, Plastic
Description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목재 우드타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wood ti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목재 우드타일의 단면도이다.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composite wood til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목재 우드타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b 는 결합도이다.Figure 3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wood til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coupling.
도 4 는 제 2 실시예로서, 도 3 의 베이스판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se plate of FIG. 3 as a second embodiment.
도 5 는 도 3 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복합목재 우드타일1: Composite Wood Wood Tile
2 : 복합목재2: composite wood
3 : 베이스판(플라스틱 네트패드)3: base board (plastic net pad)
4 : 부착핀4: attachment pin
5 : 요철부5: uneven portion
13 : 베이스판(몰드 플라스틱패드)13: base plate (molded plastic pad)
14 : 암결합구14: female coupler
15 : 수결합구15: male coupler
16 : 지지부16 support
17 : 구멍17: hole
18 : 돌출부18: protrusion
본 고안은 보도나 공원 또는 야외 등의 바닥(지면)에 목재의 질감과 분위기를 제공하여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고 무게도 가벼워 시공성이 뛰어난 복합목재 우드타일(포장재)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목재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기타 열가소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폐플라스틱재와의 합성에 의해 생성된 복합목재를 무게가 무거워 시공이 불편하고, 운반 또는 시공중의 충격에 취약하며 소망의 형상으로 제작하기 어려운 대리석과 같은 석재나 콘크리트로 된 블럭들을 대체할 수 있는 품목으로, 목재와 같이 느낌이 들어 친환경적이며 무게도 가벼워 시공이 용이하고 소망의 형상으로도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목재와 플라스틱의 장점이 결합되어 있는 복합목재 우드타일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oviding a composite wood tile (packaging material) that is not only eco-friendly but also beautiful in appearance and light in weight, by providing the texture and atmosphere of wood to the floor (ground) of a sidewalk, park, or outdoors. In more detail, the composite wood produced by the synthesis of the waste wood and the waste plastic material made of polypropylene, polyethylene, polyvinyl chloride, and other thermoplastic resins is heavy, making construction inconvenient, and impact during transportation or construction. It is vulnerable to items that can replace blocks of stone or concrete, such as marble, which are difficult to produce in a desired shape.They feel like wood, are eco-friendly, light in weight, easy to construct, and easy to produce in a desired shape. In addition, the composite wood tile that combines the advantages of wood and plastic It relates to a ball.
야외 특히 공원이나 인도 등과 같은 지면에 시설되어 미관을 미려하게 하고 보행에 있어서도 편리를 도모하기 위해 지면에 대리석이나 목재등으로 시공하는 경우가 현황이다.It is presently installed on the ground, such as parks or sidewalks, in order to enhance the beauty of the aesthetics and to provide convenience in walking.
대리석과 같은 석재를 지면등에 시공하는 경우, 먼저 상기 석재의 운송면에서 살펴보면, 석재는 무게가 무거워 운송비용이 과다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석재는 운송시의 요동등의 충격에 매우 취약하여 파손의 우려가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석재간에 간재를 끼우거나 다른 방법으로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수고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비용이나 수고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constructing a stone such as marble on the ground, first, in terms of transportation of the stone, the stone is heavy and not only excessive transportation costs, but also the stone is very vulnerable to the impact of the fluctuations during transportation, etc. There is a problem that unnecessary cost or effort is required because the effort to prevent the impact by sandwiching the interstitial stone or in another way to prevent this.
다음으로, 상기 석재를 지면등에 시설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석재자체의 무게가 무거워 시공이 용이하지 않아 인건비 등의 비용이 과다하게 되고, 차량으로부터 현장까지의 이송 또는 현장 주변에 보관하는 경우에도 주의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시공작업의 진척에도 어려움이 있으며, 시공시에도 석재간의 충돌에 의한 파손도 우려가 되고, 특히 공원등과 같은 곳에서는 시공할 지면의 형상이 다양하기 때문에, 시공되는 지면의 가장자리 부근은 형상에 맞추어 재료를 절단하거나 도려내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석재의 경우, 절단이나 도려내는 작업이 시간이 소요되고 소망의 형상으로 제작하는 일도 용이하지 않다. Next, when the stone is installed on the ground or the like, the weight of the stone itself is heavy as described above, and thus construction is not easy, resulting in excessive labor costs, such as labor costs and storage around the site.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proceed with the construction work becaus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situation, and there is a fear of damage caused by the collision between the stones even during the construction.In particular, in the places such as parks, there are various shapes of the ground to be constructed, Frequently, the edges need to be cut or cut out to fit the shape. However, in the case of the stone as described above, cutting and cutting work take time, and it is not easy to produce the desired shape.
이어서, 상기 석재가 경사진 사면등에 시공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외부로부터의 충격과 석재자체의 자중에 의해 석재가 경사면의 하측으로 치우치게 되어 눈에 띄는 틈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대리석이나 콘크리트와 같은 석재는 시공시에 석재사이에 모래와 같은 간재를 타설하여 석재간의 틈을 메워줌으로써, 위치고정과 충격의 완충 및 이동등을 방지하고자 행하여지는 작업으로 대부분의 석재와 같은 재료를 지면에 시공하는 경우는 필연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황으로, 경사면 에서는 상기 모래등을 타설하는 틈이 사람이나 동물 또는 기구 등의 이동에 의한 충격으로 인하여 경사면의 하측으로 좁혀지게 되어 경사면의 상측부분에는 눈에 띄어 거슬릴 정도의 공간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안전상의 이유 또는 미관상의 이유로도 매우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Subsequently, when the stone is constructed on an inclined slope or the like, the stone is bias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due to the impact from the outside and the self-weight of the stone itself, causing a noticeable gap. This is the work that is done to prevent the fixation of position, shock and buffer and movement by filling the gap between stones by placing sand-like interstitial stones between the stones during construction. In the case of construction on the ground, it is inevitably used. On the inclined surface, the gap for placing sand is narrow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due to the impact of movement of people, animals, or equipment. There was a problem that a noticeable space was generat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fety reasons or aesthetic reasons are not very good either.
또한, 석재로 시공한 경우 전반적인 분위기 경직되고, 모양이 다양하지 않아 지나치게 일률적이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construction is made of stone, the overall atmosphere is rigid, not too uniform in shape.
한편, 목재가 지면등에 시공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목재는 친환경적인 소재로 무게가 가볍고 소망하는 형상으로의 제작도 용이하여 공원이나 정원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imber is constructed on the ground, etc., the wood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that is light in weight and easily manufactured into a desired shape, and thus is used in parks or gardens.
그러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색되고 강도도 현재하게 저하되며, 특히 해충의 피해에 취약하여 교체 주기가 빠르게 도래하며 관리 및 재시공의 비용면에서 상당한 부담이 된다.However, it discolors over time and the strength is now deteriorated, particularly vulnerable to pest damage, resulting in rapid replacement cycles and significant costs in terms of maintenance and reconstruction.
다음으로, 프라스틱재의 경우는 지나치게 인위적인 느낌이 강하여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다. Next, in the case of plastic materials, the artificial feeling is too strong and has not been widely used to date.
최근에는 주거용 거실 및 사무실 등에 목재와 플라스틱을 합성한 복합목재가 여러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일본공개특허공보 소58-217552호, 소59-1304호, 소59-2455호, 소59-217744호, 소61-155436호, 평3-64553호, 평10716-36호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1357호 등에 의하면 복합목재의 제작방법등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In recent years, composite wood, which is a composite of wood and plastic, has been used for residential living rooms and offices,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58-217552, 59-1304, 59-2455, 59-217744, [0004] So 61-155436, H3 3-64553, H10716-36, and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4-1357 and the like describe in detail a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wood.
그러나, 보도나 공원 또는 야외 등의 바닥에는 복합목재가 사용되지 않고 있 다.However, composite timber is not used on the floors of sidewalks, parks or outdoors.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포장재로 사용되었던 석재 및 기타 포장재를 대체할 수 있는 목분과 합성수지를 합성한 새로운 포장재로서, 목재의 질감과 분위기를 제공하여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을 제공할 수 있어 포장패턴을 다양화 할 수 있고, 또한 외관이 미려하고 무게도 가벼워서 시공이 용이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톱질 등의 가공이 가능하여 소망의 형상으로도 제작이 용이하여 포장설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면서도 성인이면 혼자서도 시공이 가능한 복합목재 우드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 packaging material combining wood powder and synthetic resin, which can replace stone and other packaging materials used as existing packaging materials. It is not only environmentally friendly, but also can provide a variety of colors to diversify packaging patterns. Also, its appearance is beautiful and its weight is light, so it is easy to construct and save cost. Also,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can satisfy the various needs of the packaging designer, but also to provide a composite wood tile that can be installed alone by adults.
또한, 시공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장기간 변색되지 않으며, 내수성과 방충성도 우수하고, 외부의 충격에도 강하여 목재와 같이 못질도 가능하며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목재와 플라스틱의 장점이 결합된 복합목재 우드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even when used for construction, it does not discolor for a long time, it has excellent water resistance and insect repellency, and is strong against external shocks, so it can be nailed like wood and provides a composite wood tile combining the advantages of wood and plastic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It is.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공원이나 보도와 같은 야외의 바닥을 포장하는 포장자재인 복합목재 우드타일로서, 목분과 합성수지의 합성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복합목재와, 상기 다수의 복합목재의 저면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복합목재가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베이스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합목재는 판형상이며,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복합목재 우드타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e wood wood tile, which is a packaging material for paving an outdoor floor, such as a park or sidewalk, a plurality of composite wood formed by the synthesis of wood powder and synthetic resin,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composite timber is made of a base plate which is fixed to a plurality of composite timbers at regular intervals, the composite timber is a plate-shaped, the surface provides a composite timber wood with an uneven portion for preventing slipping is formed. .
또한, 상기 베이스판은 편평한 네트형상의 플라스틱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s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stic pad of the flat net shape.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판의 바닥면에는 외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지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에는 다른 베이스판과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구가 일정 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복합목재 우드타일을 제공한다.Next, at least one support par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so as to cope with an external force, and one or more coupling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be coupled to another base plate at the edge of the base plate. Provides timber wood tile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적 특징에 의해, 보도나 공원 또는 야외 등의 바닥(지면)에 목재의 질감과 분위기를 제공하여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고 무게도 가벼워 시공성이 뛰어난 복합목재 우드타일(포장재)을 제공할 수 있다.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the texture and atmosphere of wood on the floor (floor), such as sidewalks, parks or outdoors, not only eco-friendly but beautiful appearance and light weight, composite wood with excellent workability Tiles (packaging materials) can be provid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도면 전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목재 우드타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목재 우드타일의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wood til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wood til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원이나 보도와 같은 야외의 바닥을 포장하는 포장자재인 복합목재 우드타일 (1) 은, 목분과 합성수지의 합성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복합목재 (2) 와, 상기 다수의 복합목재 (2) 의 저면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복합목재가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베이스판 (3) 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composite wood tile 1, which is a pavement material for paving an outdoor floor such as a park or a sidewalk, includes a plurality of
상기 복합목재 (2) 의 제작은 폐목재와 폐플라스틱을 주원료로 하는 주지의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것으로,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합목재 (2) 는 판형상이며,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 (5) 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요철부 (5) 의 형상은 도 1 과 같은 일정 모양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작자의 소망의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하고, 기본적으로 표면에 볼륨감을 줄 수 있는 정도의 것이면 충분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요철부 (5) 를 생략할 수도 있다.The
또한, 상기 복합목재 (2) 의 표면은 목재와 같은 감촉이 느껴지며, 외관상으로도 목재와 동일하여 목재의 질감을 느낄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또한, 상기 복합목재 (2) 는 목재와 같이 톱으로 자를 수 있고, 못이나 핀 등을 박을 수도 있어, 실질적으로 목재와 동일한 장점을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wood (2) is felt like wood, the appearance is the same as wood in appearance can feel the texture of the woo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In addition, the composite wood (2) can be cut into saws, such as wood, may be nailed, pins, etc., and includes substantially the same advantages as wood.
다음으로, 도 1 또는 도 2a 및 도 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 (3) 은 복합부재 (2) 의 저면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복합부재 (2) 가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편평한 네트 형상의 플라스틱 패드이다. 상세하게는 도 1 에서와 같이 베이스판 (3) 으로부터 복합부재 (2) 로 향하여 대략 "ㄷ 자형상" 의 부착핀 (4) 을 박아 넣음으로써, 복합부재 (2) 가 베이스판 (3) 에 고정된다. 상기에서는 고정수단으로 부착핀 (4) 을 나타내었으나, 나사, 못 및 접착제 등과 같은 고정이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Next, as shown in FIG. 1 or FIG. 2A and FIG. 2B, the
또한, 도 1 및 도 2a 및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목재 우드타일 (1) 은 공지의 습식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다.Further, as shown in Figs. 1 and 2A and 2B, the composite wood tile 1 is constructed by a known wet construction method.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3a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목재 우드타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b 는 결합도이다. 도 4 는 베이스판의 단면도이며, 도 5 는 도 3b 에 나타낸 복합목재 우드타일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Figure 3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wood til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couplin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se plate,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nded state of the composite wood wood tile shown in Figure 3b.
상기의 도 3a 및 도 3b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며, 단지 상기 복합목재 (2) 와 결합되는 베이스판 (13) 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 구성의 설명에 있어서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의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As can be seen from FIG. 3A and FIG. 3B, the second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nd there is only a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도 3a 내지 도 5 에 나타낸 베이스판 (13) 은 몰드 플라스틱 패드로서, 상기 베이스판 (13) 의 바닥면 (도 4 참조) 에는 외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여러 개소에 지지부 (16) 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판 (13) 의 가장자리에는 다른 베이스판 (13) 과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구 (14, 15) 가 일정 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구 (14, 15)는 암결합구 (14) 와 수결합구 (15) 가 차례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 다른 베이스판 (13) 의 결합구 (14, 15) 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The
또한, 상기 복합목재 (2) 의 이면에는 일정 깊이의 구멍 (17) 이 다수개 형 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 (17) 에 베이스판 (13) 의 돌출부 (18) 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복합목재 (2) 가 상기 베이스판 (13) 에 고정된다. 상기 돌출부 (18) 는 지지부 (16) 가 형성된 면과는 반대의 면에 상기 지지부 (16) 와 동일한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지지부 (16) 의 개수와 상기 돌출부 (18) 의 개수가 동일하나, 반드시 동일한 개수로 형성할 필요는 없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또한, 상술한 제 2 실시예와 바와 같이 제작된 복합목재 우드타일 (1) 의 시공방법은 다수의 지지부 (16)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지의 건식시공방법으로 시공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omposite woodwood tile 1 manufactured as in the above-mentioned 2nd Example is provided with
이어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1 에 나타낸 복합목재 (2) 와는 배치가 다른 배치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5 에서는 상기 복합목재 우드타일의 외형을 사각형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제작자의 소망의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Subsequently, although not shown,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deform to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rrangemen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본 고안의 전술한 구성적 특징으로 인하여, 기존의 포장재로 사용되었던 석재 및 기타 포장재를 대체할 수 있는 목분과 합성수지를 합성한 새로운 포장재로서, 목재의 질감과 분위기를 제공하여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을 제공할 수 있어 포장패턴을 다양화할 수 있고, 또한 외관이 미려하고 무게도 가벼워서 시공이 용이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톱질 등의 가공이 가능하여 소망의 형상으로도 제작이 용이하여 포장설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면서도 성인이면 혼자서도 시공이 가능한 복합목재 우드타일을 제공할 수 있다.Due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new packaging material that combines wood powder and synthetic resin, which can replace stone and other packaging materials used as the existing packaging materials, and provides a texture and atmosphere of wood, which is not only eco-friendly but also various colors. The packaging pattern can be diversified, and the appearance is beautiful and the weight is light, so construction is easy, cost is reduced, and processing such as sawing is possible. We can provide a composite wood tile that can meet your needs and can be used by adults alone.
또한, 시공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장기간 변색되지 않으며, 내수성과 방충성도 우수하고, 외부의 충격에도 강하여 목재와 같이 못질도 가능하며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목재와 플라스틱의 장점이 결합된 복합목재 우드타일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used for construction, it does not discolor for a long time, it has excellent water resistance and insect repellency, and is strong against external shocks, so it can be nailed like wood and provides a composite wood tile combining the advantages of wood and plastic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can do.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8880U KR200427787Y1 (en) | 2006-07-12 | 2006-07-12 | Composite Wood Wood Ti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8880U KR200427787Y1 (en) | 2006-07-12 | 2006-07-12 | Composite Wood Wood Til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27787Y1 true KR200427787Y1 (en) | 2006-09-29 |
Family
ID=41776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8880U Expired - Fee Related KR200427787Y1 (en) | 2006-07-12 | 2006-07-12 | Composite Wood Wood Ti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27787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5816B1 (en) | 2010-04-05 | 2012-09-27 | 대한민국 | Wood paving block |
-
2006
- 2006-07-12 KR KR2020060018880U patent/KR200427787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5816B1 (en) | 2010-04-05 | 2012-09-27 | 대한민국 | Wood paving bloc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79602B2 (en) | Snap together floor structure | |
CA2370583C (en) | Protective flooring | |
KR20110064350A (en) | Stone laminated tiles | |
TW577951B (en) | Multi-directional laminate flooring panel and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looring surface | |
KR200427787Y1 (en) | Composite Wood Wood Tiles | |
KR101226960B1 (en) | Method of producing wooden block and wooden block made thereby an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 |
KR20120011135A (en) |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buildings using natural stone | |
KR20040006446A (en) | Method for manufacture of articial stone plate | |
KR200455812Y1 (en) | Deck concrete combine block | |
KR101087006B1 (en) | Prefabricated Moldings for Building Decoration | |
CA2537416A1 (en) | Architectural brick | |
GB2425545A (en) | Decking with artificial grass or other non-slip surface | |
KR200472648Y1 (en) | Double flooring base using the stone materiar | |
JP2005023777A (en) | Reinforced decorated panel | |
KR101877487B1 (en) | method for panel manufacture and mud panel to interiorconstruction | |
KR100970449B1 (en) | Rubber flooring and installation method for children's playground with safety | |
KR102055524B1 (en) | Assembly type panel | |
KR20120012621A (en) | Synthetic or natural wood road deck with braille blocks | |
JP3141199U (en) | Sidewalk board material | |
KR100973937B1 (en) | Teak material lumber flat part finish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at | |
JPH08105185A (en) | Decorated plate | |
KR20110121502A (en) | Prefabricated Sidewalk Block Using Composite Deck | |
KR200450585Y1 (en) | Non-slip interior floor using waste synthetic resin | |
KR200321001Y1 (en) | A block for constructing the floor | |
KR100971615B1 (en) | Tile for architecture internal finish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712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9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71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0808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