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26412Y1 - 압축 파쇄기 - Google Patents

압축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412Y1
KR200426412Y1 KR2020060016850U KR20060016850U KR200426412Y1 KR 200426412 Y1 KR200426412 Y1 KR 200426412Y1 KR 2020060016850 U KR2020060016850 U KR 2020060016850U KR 20060016850 U KR20060016850 U KR 20060016850U KR 200426412 Y1 KR200426412 Y1 KR 200426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ompression
tip
crushing
cru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원에스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원에스티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원에스티지
Priority to KR2020060016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4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4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쇄물을 사전에 압축한 후 일정하게 공급시켜 파쇄하는 장치로서 파쇄 드럼의 칼날인 팁을 드럼 본체에 모제를 고정한 후 탈부착시켜 팁의 파손시 교체 및 위치 세팅이 용이하고 파쇄물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한 압축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압축 파쇄기의 구성을, 파쇄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파쇄물을 회전 구동에 의해 파쇄시키는 파쇄 드럼; 상기 파쇄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파쇄 드럼과 대향된 상태로 구비되어 파쇄시 유입된 파쇄물을 상기 파쇄 드럼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압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파쇄기, 파쇄물, 파쇄 드럼, 팁 베이스, 팁, 파손, 교체, 압축수단

Description

압축 파쇄기{POWER COMPACTOR SHREDDE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 파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압축 파쇄기의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압축 파쇄기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압축 파쇄기의 팁 베이스 및 팁이 드럼 몸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200: 파쇄 드럼
202: 드럼 몸체 204: 고정 홈
206: 팁 베이스(Tip base) 208: 팁(Tip)
300: 구동수단 400: 압축수단
402: 압축 블록 404: 구동부
500: 배출수단(CONVEYOR)
본 고안은 압축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쇄물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팁의 파손시 교체 및 위치 세팅이 용이하고 파쇄물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한 압축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쇄기는 폐기물을 파쇄하여 원래 형태보다 작게 함으로써 파쇄물인 폐기물의 크기를 비교적 균일한 형태로 만들기 위한 공정을 수행하는 장비로, 파쇄 후 부피가 감소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흔히, 물질의 부피 감량화 및 폐기물을 규격화하여 매립이나 소각 그리고 재생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되 현재 주로 폐기물 소각시 소각 전처리 등으로 이용된다.
종래의 파쇄기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플라스틱, 목재, 종이, 금속, 고무 및 섬유(이하 "파쇄물"이라 함)가 호퍼를 통해 유입되고 배출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파쇄물을 파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되 상기 본체의 일단에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수평축과, 상기 수평축에 다수개가 삽입되는 다각 판상의 커터 몸체, 그리고 상기 커터 몸체의 외주 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커터날로 이루어진 커팅수단 및 상기 커팅수단이 삽입 고정된 수평축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파쇄기에 구비되는 커팅수단은 파쇄물의 파쇄시 사용시간과 파쇄물과의 잦은 충돌에 의해 피로하중이 집중되어 커터날이 손상될 수 있으며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커터날을 교체할 경우 다수개의 체결부재로 견고하게 고정된 커터날을 커터 몸체에서 분리해야 하므로 교체 시간의 증가하고 낙하에 의해 파쇄물이 커팅수단에 공급되어 커팅수단으로부터 파쇄물이 이격되게 위치될 경우 파쇄 되지 않고 적재되어 공급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파쇄물을 파쇄하는 팁을 드럼 몸체에 매개체를 통해 간접 고정함에 따라 상기 팁의 교체 및 위치 세팅이 용이하고, 파쇄물을 파쇄 드럼을 향해 사전에 압축한 후 일정한 크기로 이동시켜 공급이 원활할 수 있게 한 압축 파쇄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파쇄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파쇄물을 회전 구동에 의해 파쇄시키는 파쇄 드럼; 상기 파쇄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파쇄 드럼과 대향된 상태로 구비되어 파쇄시 유입된 파쇄물을 상기 파쇄 드럼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압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팁의 손상시 이 팁만 분리하여 교체함에 따라 교체 용이성과 교체 시간이 감소하고, 상기 압축수단에 의해 파쇄물을 파쇄 드럼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파쇄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수행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상기 파쇄 드럼은, 수평 상태로 구비되며 외주 면을 따라 방사상의 고정 홈이 일정한 간격만큼 다수 형성되는 드럼 몸체; 상기 고정 홈에 각각 결합되는 팁 베이스; 및 상기 팁 베이스에 각각 결합되어 파손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팁 베이스에서 탈부착되는 팁(Tip);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팁을 상기 드럼 몸체에 직접 고정하지 않고 위치가 세팅된 상기 팁 베이스를 매개로 간접고정함에 따라 상기 팁의 교체시 시간 절감과 작업의 용이성을 추구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상기 파쇄 드럼은, 단수개 또는 복수개 중 선택적으로 구비됨으로써, 복수개가 구비되면 파쇄력을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상기 압축수단은, 상기 파쇄 드럼과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압축 블록; 및 상기 압축 블록의 후단에 직교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압축 블록이 전/후진될 수 있도록 직선 왕복 운동하는 구동부; 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이 구동부 선단에 고정되는 압축 블록의 이동이 가능하여 유입된 파쇄물을 상기 파쇄 드럼을 향해 이동시켜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압축 파쇄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 파쇄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파쇄 드럼(200)과, 구동수단(300)과, 압축수단(400) 및 배출수단(5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외부에서 파쇄물이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면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102)와 상기 유입구(102)와 연결되는 호퍼(106)가 구비되고 파쇄된 파쇄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파쇄 드럼(200)과 근접한 측면 일측에 배출구(10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104)에는 파쇄된 파쇄물의 후공정을 위해 후 공정기(도면에 미도시)와 연결되는 컨베이어(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 중 배출구(104)와 근접한 전면에 후술할 파쇄 드럼(200)의 유지보수시 개방되는 개폐커버(108)가 구비되고 그리고 내부인 상기 파쇄 드럼(200)과 근접한 후방에 톱니 형상의 고정커터(110)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커터(110)는 본체(100)의 내부에 고정되고 그 톱니 형상의 선단과 근접한 상태로 회전되는 상기 파쇄 드럼(200)에 의해 공급되는 파쇄물을 파쇄하게 된다. 결국, 상기 고정커터(110)의 선단이 톱니 형상이면 그 형상과 상응할 수 있도록 후술할 팁(208)은 삼각형 또는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파쇄 드럼(200)은 상기 본체(100) 내부 즉, 상기 유입구(102)의 하측에 양 끝단이 고정된 상태의 횡 방향으로 구비되어 이 유입구(102)를 통해 유입된 파쇄물을 하향 회전 운동에 의해 파쇄하는 기능을 한다.
더욱이, 상기 파쇄 드럼(200)은 단수개인 1개 또는 복수개인 2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2개로 구비될 경우 고정커터(110)는 근접 부위에 톱니 형상으로 외측에 각각 구비되거나 대향된 내측에 고정커터(110)가 구비되되 양단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파쇄 드럼(200)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상기 파쇄 드럼(200)은 드럼 몸체(202)와, 고정홈(204)과, 팁 베이스(206)와, 팁(Tip: 208) 및 볼트(B)로 세분화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드럼 몸체(202)는 외주 면을 따라 방사상의 고정 홈(204)이 다수 구비되되 이러한 방사상의 고정 홈(204)들이 등 간격으로 형성되되 이웃한 고정 홈(204)이 동일수평선상에 위치되거나 이웃한 고정 홈(204)이 일정한 각도만큼 틀어져 사선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각 열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 홈(204)이 사선 상에 위치될 수 있는 것으로 예시한다.
더욱이, 상기 드럼 몸체(202)는 그 형상이 톱니 형상의 나선형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나선형으로 예시한다.
그리고 상기 파쇄 드럼(200)의 하측인 본체(100)에 가이드(112)가 고정되어 파쇄물의 이동 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고정 홈(204)은 상기 드럼 몸체(202)에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술할 팁 베이스(206)가 각각 수평 방향의 볼트(B) 체결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팁 베이스(206)는 수직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이웃한 측벽이 상기 고정 홈(204)에 접하여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고 저면에 팁(208)을 고정시키는 매개체 기능을 하며,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볼트(B)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상기 팁(208)은 파쇄물을 파쇄시키는 커터 역할을 하며 합금강 또는 초경합금 등의 재질로 형성되되 반복적인 파쇄 작업시 피로하중이 집중되어 파손되면 상기 팁 베이스(206)에서 분리한 후 교체가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팁(208)은 최초 팁 베이스(206)의 저면과 고정 홈(204)과의 만나는 면이 기준면으로 세팅되어 이 팁(208)의 교체시 별도로 위치를 세팅하지 않고 상기 팁 베이스(206)에 고정하는 것으로 위치 세팅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팁(208)은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되 편평하거나 절삭면이 돌출되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팁(208)은 마름모, 사각형 및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팁(208)이 마름모일 경우 고정커터(110) 선단의 형상은 톱니 형상이고, 상기 팁(208)이 사각형일 경우 상기 고정커터(110) 선단의 형상은 일직선상 형상이며, 상기 팁(208)이 반원형일 경우 상기 고정커터(110) 선단의 형상은 반원 홈이 연속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수단(300)은 인가 전원에 의해 상기 파쇄 드럼(2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 모터(Gear Motor)로 이 파쇄 드럼(200)의 축에 상기 본체(100)를 통해 직접 연결되거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벨트 및 풀리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압축수단(400)은 상기 파쇄 드럼(200)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본체(100)의 내부에 이 파쇄 드럼(200)을 향하여 위치되며, 상기 유입구(102)를 통해 유입된 파쇄물을 파쇄가 용이하도록 상기 파쇄 드럼(200)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기능과 파쇄전의 파쇄물을 사전에 압축하여 일정한 크기로 형성시킨 다음 상기 파쇄 드럼(200)으로 이동시켜 파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수단(400)은 압축 블록(402) 및 구동부(404)로 이루어지 며, 상기 압축 블록(402)은 낙하되는 파쇄물을 상기 파쇄 드럼(200)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파쇄물에 직접 접하여 압축하고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구동부(404)는 상기 압축 블록(402)과 수평선상인 본체(100) 내부에 위치 고정되어 이 압축 블록(402)이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며, 일 예로 유압 실린더 등이 접목될 수 있다.
상기 배출수단(500)은 상기 파쇄 드럼(200)과 평행한 하측에 양단이 본체(100)에 고정되어 파쇄된 파쇄물을 외부와 연결되는 배출구(104) 방향으로 구동에 의해 이동시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하는 스크루(Screw)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수단(500)의 축에는 이 배출수단(5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크루 구동수단(502)이 상기 본체(100)를 통해 연결 고정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압축 파쇄기의 작동 과정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구동수단(300)을 구동시켜 상기 파쇄 드럼(200)이 회전되면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호퍼(106)를 통해 파쇄물을 유입시킨다.
이때, 상기 파쇄물이 상기 파쇄 드럼(200) 쪽으로 낙하하지 않고 이 파쇄 드럼(200)과 이웃한 본체(100)로 하강하여 적재될 수 있으므로 상기 압축수단(400)을 작동시켜 적재된 파쇄물을 상기 파쇄 드럼(20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구동부(404)가 구동되면 이 구동부(404) 선단에 고정된 압축 블록(402)이 전진되고 상기 압축 블록(402) 전방에 적재된 파쇄물을 파쇄 드럼(200) 쪽으로 밀어 파쇄가 원활하게 실시됨은 물론 파쇄물을 상기 파쇄 드럼(200)을 향해 사전에 일정한 크기로 압축한 후 이동시킬 수도 있다.
그 후, 상기 호퍼(106) 하측에 위치된 상기 파쇄 드럼(200)이 하향 회전되면 이 파쇄 드럼(200)에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된 팁(208)들이 선단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커터(110)를 통과하면서 상기 팁(208)이 파쇄물을 파쇄하게 된다.
그리고 파쇄된 파쇄물은 상기 파쇄 드럼(200)의 하측으로 가이드(112)를 따라 낙하하고 이 파쇄 드럼(200)의 하측에 위치된 배출수단(500)이 스크루 구동수단(502)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본체(100)의 일측벽에 연결된 배출구(104)를 통해 파쇄물이 배출된다.
더욱이, 상기 배출구(104)를 통해 배출되는 파쇄물에 후공정을 실시하기 위해 이 배출구(104)와 후공정기 사이에 컨베이어(도면에 미도시)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파쇄물의 파쇄가 반복되어 상기 팁(208)에 피로 하중이 집중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 팁(208)이 파손되면 교체해야 한다. 이때, 상기 팁(208)의 교체는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개폐커버(108)를 개방한 다음 본체(100) 외부로 노출된 파쇄 드럼(200) 중 파손된 팁(208)을 찾아 수직 방향의 볼트(B)를 분리한 다음 교체한 후 역으로 볼트(B)로 팁 베이스(206)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압축 파쇄기는 파쇄물을 파쇄하는 팁을 드럼 몸체에 매개체를 통해 간접 고정함에 따라 상기 팁의 교체 및 위치 세팅이 용이하고, 파쇄물을 파쇄 드럼을 향해 사전에 압축한 후 일정한 크기로 이동시켜 공급이 원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파쇄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파쇄물을 회전 구동에 의해 파쇄시키는 파쇄 드럼;
    상기 파쇄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파쇄 드럼과 대향된 상태로 구비되어 파쇄시 유입된 파쇄물을 상기 파쇄 드럼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압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파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드럼은,
    수평 상태로 구비되며 외주 면을 따라 방사상의 고정 홈이 일정한 간격만큼 다수 형성되는 드럼 몸체;
    상기 고정 홈에 각각 결합되는 팁 베이스; 및
    상기 팁 베이스에 각각 결합되어 파손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팁 베이스에서 탈부착되는 팁(Tip);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파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드럼은,
    단수개 또는 복수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파쇄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몸체는,
    나선형 또는 원통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분쇄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수단은,
    상기 파쇄 드럼과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압축 블록; 및
    상기 압축 블록의 후단에 직교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압축 블록이 전/후진될 수 있도록 직선 왕복 운동하는 구동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파쇄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파쇄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드럼의 하측에는 파쇄 완료된 파쇄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위치 이동시키는 배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파쇄기.
KR2020060016850U 2006-06-22 2006-06-22 압축 파쇄기 KR200426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850U KR200426412Y1 (ko) 2006-06-22 2006-06-22 압축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850U KR200426412Y1 (ko) 2006-06-22 2006-06-22 압축 파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236A Division KR100642253B1 (ko) 2006-07-12 2006-07-12 압축 파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412Y1 true KR200426412Y1 (ko) 2006-09-19

Family

ID=41774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850U KR200426412Y1 (ko) 2006-06-22 2006-06-22 압축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412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289B1 (ko) 2006-11-03 2007-05-14 주식회사 유니크 폐기물 파쇄기의 파쇄드럼
KR101270272B1 (ko) * 2011-09-05 2013-05-31 조부제 폐형광등 처리장치
CN110280374A (zh) * 2019-06-24 2019-09-27 姜伟峰 一种中药材精细粉碎研磨装置
KR20210059123A (ko) 2019-11-14 2021-05-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폐열차 압쇄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59125A (ko) 2019-11-14 2021-05-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폐객차의 해체 장치
KR20220014221A (ko) * 2020-07-28 2022-02-04 유한회사 염화산업 이물질 분리가 가능한 고강도 및 연성 합성수지 파쇄 장치
KR102575534B1 (ko) 2023-04-24 2023-09-06 성안이엔티주식회사 가연성폐기물 압축 파분쇄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289B1 (ko) 2006-11-03 2007-05-14 주식회사 유니크 폐기물 파쇄기의 파쇄드럼
KR101270272B1 (ko) * 2011-09-05 2013-05-31 조부제 폐형광등 처리장치
CN110280374A (zh) * 2019-06-24 2019-09-27 姜伟峰 一种中药材精细粉碎研磨装置
KR20210059123A (ko) 2019-11-14 2021-05-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폐열차 압쇄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59125A (ko) 2019-11-14 2021-05-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폐객차의 해체 장치
KR20220014221A (ko) * 2020-07-28 2022-02-04 유한회사 염화산업 이물질 분리가 가능한 고강도 및 연성 합성수지 파쇄 장치
KR102439043B1 (ko) * 2020-07-28 2022-09-01 유한회사 염화산업 이물질 분리가 가능한 고강도 및 연성 합성수지 파쇄 장치
KR102575534B1 (ko) 2023-04-24 2023-09-06 성안이엔티주식회사 가연성폐기물 압축 파분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6412Y1 (ko) 압축 파쇄기
JP5081945B2 (ja) 一軸破砕機
KR200481529Y1 (ko) 폐기물 파쇄장치
JPH0671563B2 (ja) 複式オーガーシュレッダ
KR100500262B1 (ko) 합성 플라스틱 폐기 물질 분쇄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20110096926A (ko) 파쇄기
JP5023104B2 (ja) 破砕処理装置
KR100642253B1 (ko) 압축 파쇄기
KR100584918B1 (ko) 플라스틱 폐기물용 파쇄기
JPH0783841B2 (ja) 物体を破砕する装置
JP2815826B2 (ja) 破砕機
JP5657304B2 (ja) 古紙破砕装置
KR100526953B1 (ko) 목재 분쇄 장치
CN217315076U (zh) 一种撕破一体机
CN215743951U (zh) 双轴撕碎机
KR100543676B1 (ko) 다용도 폐기물 파쇄기 및 톱밥 제조장치
KR20160020943A (ko) 일체형 파분쇄기 장치의 파쇄기 장치
KR20160020941A (ko) 일체형 파분쇄기 장치
KR20160079418A (ko) 분쇄기 장치의 투입롤러
CA2132942A1 (en) Waste processing machine
KR100854682B1 (ko) 목재 파쇄기
JP2003260378A5 (ko)
JP2003334462A6 (ja) ロール破砕機
CA2133119A1 (en) Waste processing machine
KR102163666B1 (ko) 동력 파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62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6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