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660Y1 - Battery connec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Battery connection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25660Y1 KR200425660Y1 KR2020060015013U KR20060015013U KR200425660Y1 KR 200425660 Y1 KR200425660 Y1 KR 200425660Y1 KR 2020060015013 U KR2020060015013 U KR 2020060015013U KR 20060015013 U KR20060015013 U KR 20060015013U KR 200425660 Y1 KR200425660 Y1 KR 20042566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battery
- washer
- tightening
- elastic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3—Bolt, screw or threaded ferrule parallel to the battery po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축전지와 커넥션 와이어를 연결시키기 위한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되고 내부에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제1결합부(11a) 및 제2결합부(11b)로 이루어진 단자 삽입부(11)와; 상기 단자 삽입부(11)를 구성하는 제1, 제2결합부(11a)(11b)의 후단을 각각 형성하고 폭 방향의 슬롯 홀을 구비하는 탄성부(12)와; 상기 탄성부(12)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 삽입부(11)의 직경을 조절하는 조임부재(20)를 포함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20)는, 상기 탄성부(12)의 상측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제2 결합부(11a)(11b)의 절개 부분으로부터 탄성부(12)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11c)가 걸리도록 일측에 절곡부(22)가 구비된 조임 와셔(21)와, 상기 탄성부(12)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탄성부(12)의 슬롯 홀(12') 및 상기 조임 와셔(21)의 구멍(23)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볼트 부재(25)와, 상기 조임 와셔(21)의 상측에서 상기 볼트 부재(25)에 체결되어 상기 조임 와셔(21)를 폭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단자 삽입부(11)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너트 부재(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terminal for a battery for connecting a battery and a connection wire of a vehic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a) and the second coupling is positioned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ost terminal of the battery is inserted therein A terminal insertion portion 11 formed of a portion 11b; An elastic portion 12 forming rea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1a and 11b constituting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11 and having slot holes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connecting terminal for a battery including a fastening member 20 coupled to the elastic portion 12 to adjust the diameter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11, the fastening member 20, the elastic portion 12 The bent part 22 is disposed at one side so as to be extended from the cutou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11a and 11b to protrude in the elastic part 12 direction. And bolts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elastic part 12 and the slot hole 12 'of the elastic part 12 and the hole 23 of the tightening washer 21. The member 25 and the nut member which are fastened to the said bolt member 25 on the upper side of the said washer 21, and reduces the diameter of the said terminal insertion part 11 by moving the said washer 21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27).
축전지, 접속단자, 포스트단자, 연장부, 조임부재, 절곡부, 슬롯 홀, 경사부 Storage battery, connection terminal, post terminal, extension part, tightening member, bending part, slot hole, inclined part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onnection terminal for a battery.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축전지용 접속단자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terminal for a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조임 와셔가 도시된 도면.3 is a view showing a tightening washer that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볼트 부재가 도시된 도면.4 is a view showing a bolt member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너트 부재가 도시된 도면.5 is a view showing a nut member that is a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결합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of the connection terminal for a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attery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단자 삽입부 11a: 제1 결합부11:
11b: 제2 결합부 11c: 연장부11b:
12: 탄성부 12': 슬롯 홀12:
15: 연결부재 17: 터미널 부재15: connecting member 17: terminal member
20: 조임부재 21: 조임 와셔20: tightening member 21: tightening washer
22: 절곡부 23: 구멍22: bend 23: hole
25: 볼트 부재 25c: 경사부25:
27: 너트 부재 27b: 경사부27: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축전지와 커넥션 와이어를 연결시키기 위한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와 결합되는 접속단자의 단자 삽입부가 견고하게 결합됨은 물론 과다한 외력으로 인해 포스트 단자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한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a battery and a connection wire of an automobile, and in particular, the terminal insertion part of the connection terminal coupled with the post terminal of the battery is firmly coupled, and the post terminal is damaged due to excessive external for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terminal.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으로 이루어져 중앙에 일정한 크기로 체결공이 구비된 고정판(120)과, 상기 고정판(120)의 중앙에 구비된 체결공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고정부재(130)와, 상기 고정판(1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일측이 개구된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축전지(도시 생략)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부(140)와, 상기 삽입부(140)의 일측에 상/하 대칭식으로 형성되는 조임부(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connection terminal for a conventional battery has a plate shape, and includes a
상기 조임부(150)는, 전/후방에 조임공을 구비하여 조임볼트(151)와 조임너트(152)로 상기 삽입부(140)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임볼트(151)와 조임너트(152)사이에 끼워져 상기 삽입부의 과다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공형의 고정통이 구비되기도 한다.The tightening
또,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100)는, 직렬 또는 병렬식으로 연결되어 축전지로부터 자동차내에 전력을 공급할수 있도록 된 커넥션 와이어(도시 생략)가 설치되는 터미널(17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터미널(170)은, 일측에 상기 고정부 재(130)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구비되고, 와셔(132)를 개재하여 고정너트(131)가 고정부재(130)에 체결됨으로써, 고정판(120)에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삽입부(140)의 직경을 조절하기 위한 조임부재(150)로 조임볼트(151)와 조임너트(152)를 사용함에 따라 설치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attery connection terminal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work is not easy as the tightening
또,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조임볼트(151)와 조임너트(152)를 사용하여 삽입부(140)의 직경을 감소시킬 때 견고하게 조립시키기 위하여 과다하게 조이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그로 인하여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손상되어 차후 이용이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terminal for a conventional battery is excessively tightened in order to be firmly assembled when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결합되는 단자 삽입부를 직접 조이는 형태가 아닌 조임 와셔를 통해 간접적으로 조이도록 함으로써 포스트 단자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와 단자 삽입부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by indirectly tightening through the tightening washer rather than directly tightening the terminal insert coupled to the post terminal of the battery, while preventing the post terminal from being damaged while the post terminal of the batter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terminal for a battery that allows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to be firmly coupled with the terminal.
또, 본 고안은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의 수직이동에 따라 볼트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조임 와셔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단자 삽입부의 직경을 감소시키도록 하여 포스트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ptive washer disposed vertically to a bolt according to a vertical movement of a nut coupled to a bolt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reby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terminal insert,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post terminal.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nnection terminal.
또한, 본 고안은 너트의 수직이동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조임 와셔 의 이동을 제한하여 포스트 단자가 과다하게 조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terminal for a battery that can prevent the excessive tightening of the post terminal 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tightening washer that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nu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되고 내부에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로 이루어진 단자 삽입부와; 상기 단자 삽입부를 구성하는 제1, 제2 결합부의 후단을 각각 형성하고 폭 방향의 슬롯 홀을 구비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 삽입부의 직경을 조절하는 조임부재와, 상기 단자 삽입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외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는, 상기 탄성부의 상측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제2 결합부의 절개 부분으로부터 탄성부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가 걸리도록 일측에 절곡부가 구비된 조임 와셔와, 상기 탄성부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탄성부의 슬롯 홀 및 상기 조임 와셔의 구멍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볼트 부재와, 상기 조임 와셔의 상측에서 상기 볼트 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조임 와셔를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단자 삽입부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너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connecting terminal for a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consisting of a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which is positioned spaced apart in a vertical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ost terminal of the battery is inserted therein; An elastic portion forming rea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constituting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and having slot holes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connecting terminal for a battery including a fastening member coupled to the elastic portion to adjust the diameter of the terminal inserting portion, and a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outside to draw out the power supplied to the terminal inserting portion, The member is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elastic portion and the tightening washer having a bent portion on one side so that the extension portion proj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elastic portion from the cu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 and from the lower side of the elastic portion A bolt member protruding through the slot hole of the elastic portion and the hole of the tightening washer, and a nut member is fastened to the bolt member from the upper side of the tightening washer to move the tightening washer in the width direction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terminal inser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조임 와셔의 구멍은 상기 조임 와셔의 저면에서는 상기 탄성부의 슬롯 홀과 동일 직경의 소경부 및 그보다 큰 직경의 대경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하나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상면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증가하도록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attery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es of the tightening washer is connected to the slot hole of the elastic portion 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 of the same diameter and the larger diameter portion larger than the one in the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tightening washer It has a,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its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upper surface.
또한,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볼트 부재는 상기 탄성부의 저면에 위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탄성부의 슬롯 홀 및 상기 조임 와셔의 구멍을 관통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서 돌출 형성되는 볼트 기둥과, 상기 볼트 기둥의 하측에서 폭 방향 양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ing terminal for a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lt member is a bolt pillar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base so as to pass through the base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portion, the slot hole of the elastic portion and the hole of the tightening washer An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inclined portion is lowered in height toward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bolt pillar.
또,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너트 부재는 상기 볼트 부재의 볼트 기둥에 체결되어 상기 조임 와셔의 상면에 안착되는 와셔붙이 너트와, 상기 와셔붙이 너트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임 와셔의 구멍에 삽입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형의 경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ing terminal for a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t member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er nut and the washer nut, which is fastened to the bolt pillar of the bolt member and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sher, the tightening washer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tapered inclined portion is reduced in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또한,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고 외부로의 전력 인출을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커넥션 와이어가 설치되는 터미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탄성부의 연장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ion terminal for a storage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member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connection wir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for drawing power to the outside may be further provided, the connection member is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elastic portion.
또,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단자 삽입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탄성부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의 후단을 형성하는 탄성부 끝단에 연결 형성되어 아래쪽으로 절곡된 후 다시 탄성부의 저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볼트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ing terminal for a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elastic portion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elastic end forming the rea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It is bent down and then bent back to the bottom side of the elastic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lease prevent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bolt memb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battery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축전지용 접속단자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조임 와셔와 볼트 부재 및 너트 부재가 각각 도시된 도면이다. 또, 도 6은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terminal for a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to 5 are views illustrating a tightening washer, a bolt member, and a nut member, which are main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of the battery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ttery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의한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되고 내부에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제1결합부(11a) 및 제2결합부(11b)로 이루어진 단자 삽입부(11)와; 상기 단자 삽입부(11)를 구성하는 제1, 제2결합부(11a)(11b)의 후단을 각각 형성하고 폭 방향의 슬롯 홀을 구비하는 탄성부(12)와; 상기 탄성부(12)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 삽입부(11)의 직경을 조절하는 조임부재(20)와, 상기 단자 삽입부(11)로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외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5)를 포함한다.Battery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상기 조임부재(20)는 상기 탄성부(12)의 상측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제2 결합부(11a)(11b)의 절개 부분으로부터 탄성부(12)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11c)가 걸리도록 일측에 절곡부(22)가 구비된 조임 와셔(21)와, 상기 탄성부(12)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탄성부(12)의 슬롯 홀(12') 및 상기 조임 와셔(21)의 구멍(23)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볼트 부재(25)와, 상기 조임 와셔(21)의 상측에서 상기 볼트 부재(25)에 체결되어 상기 조임 와셔(21)를 폭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단자 삽입부(11)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너트 부재(27)로 구성된다.Here, the
이때, 상기 조임 와셔(21)의 구멍(23)은 상기 조임 와셔(21)의 저면에서는 상기 탄성부(12)의 슬롯 홀(12')과 동일 직경의 소경부(23a) 및 그보다 큰 직경의 대경부(23b)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하나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상면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증가하도록 내측면(23c)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 부재(25)는 상기 탄성부(12)의 저면에 위치되는 베이스(25a)와, 상기 탄성부(12)의 슬롯 홀(12') 및 상기 조임 와셔(21)의 구멍(23)을 관통하도록 상기 베이스(25a)의 중앙에서 돌출 형성되는 볼트 기둥(25b)과, 상기 볼트 기둥(25b)의 하측에서 폭 방향 양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5c)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25a)는 상기 조임 와셔(21)의 절곡부(22)와 대향되도록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조임 와셔(21)의 이동을 제한하는 절곡부(25')를 구비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너트 부재(27)는 상기 볼트 부재(25)의 볼트 기둥에(25b) 체결되어 상기 조임 와셔(21)의 상면에 안착되는 와셔붙이 너트(27a)와, 상기 와셔붙이 너트(27a)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임 와셔(21)의 구멍(23)에 삽입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형의 경사부(27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5)에는 외부로의 전력 인출을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15)에 연결되는 커넥션 와이어가 설치되는 터미널 부재(17)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 상기 연결부재(15)는 상기 탄성부(12)의 연장선상에 위치되나, 도 7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단자 삽입부(11)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탄성부(12)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결합부(11a)의 후단을 형성하는 탄성부(12) 끝단에 연결 형성되어 아래쪽으로 절곡된 후 다시 탄성부(12)의 저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볼트 부재(25)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3)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단자 삽입부 내에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 부재에 너트 부재를 체결하여 조임 와셔를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통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견고하게 결합된다.The battery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irmly connected to the post terminal of the battery by moving the tightening washer in the width direction by fastening the nut member to the bolt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post terminal of the battery is inserted in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Combined.
탄성부(12)의 하부로부터 슬롯 홀(12')을 통해 볼트 기둥(25b)이 돌출되도록 볼트 부재(25)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도록 단자 삽입부(11)를 위치시킨다. 이어, 상기 볼트 기둥(25b)이 구멍에 삽입되도록 조임 와셔(21)를 설치하되, 조임 와셔(21)의 절곡부(22)에 단자 삽입부(11)의 연장부(11c)가 걸리도록 한다. 그 후 상기 볼트 기둥(25b)에 너트 부재(27)를 체결하게 되는데, 너트 부재(27)의 하강에 따라 상기 조임 와셔(21)가 폭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 삽입부(11)의 연장부(11c)가 탄성부(1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단자 삽입부(11)의 직경이 감소되면서 단자 삽입부(11)와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견고하게 결합된다.In the state where the
여기서 상기 볼트 기둥(25b)은 초기에 상기 조임 와셔(21)의 구멍(23) 중 소경부(23a)에 위치되어 있으나, 상기 너트 부재(27)의 하강에 따라 와셔붙이 너트(27a) 하부의 경사부(27b)가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조임 와셔(21)의 구멍(23) 내측면(23c)에 접촉되면서 조임 와셔(21)를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상기 볼트 기둥(25b)은 상기 구멍(23)의 대경부(23b)에 위치하게 된다.Wherein the bolt pillar (25b) is initially located in the small diameter portion (23a) of the
이와 같이 조임 와셔(21)의 이동에 따라 단자 삽입부(11)의 연장부(11c)가 탄성부(12)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단자 삽입부(11)의 직경을 감소시키게 되므로, 볼트 부재(25)와 너트 부재(27)의 체결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작 용하게 되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the
이와 같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와 접속단자가 결합되면 축전지의 전력이 연결부재(15)에 연결된 커넥션 와이어를 통해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the post terminal and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battery are coupled, the power of the battery can be drawn out through the connection wire connected to the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is specific embodiment,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may be made as appropria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접속 단자를 결합시킬 때 볼트 부재와 너트 부재의 체결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attery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is coupled to the post terminal of the battery, the fastening force of the bolt member and the nut member does not act directly but indirectly, thereby damaging the post terminal of the batter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또,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볼트 부재와 너트 부재의 체결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조임 와셔가 이동되면서 단자 삽입부의 직경을 변화시키게 되므로, 단자 삽입부의 급격한 직경 변화를 방지할 수 있고 그로 인한 포스트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attery connecting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is changed while the tightening washer is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astening direction of the bolt member and the nut member, so that a sudden diameter change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can be prevent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damage to the post terminal.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5013U KR200425660Y1 (en) | 2006-06-05 | 2006-06-05 | Battery connection terminal |
JP2006334313A JP4733007B2 (en) | 2006-06-05 | 2006-12-12 | Connection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
CNB2006101688156A CN100517809C (en) | 2006-06-05 | 2006-12-14 | Terminals for batteri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5013U KR200425660Y1 (en) | 2006-06-05 | 2006-06-05 | Battery connection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25660Y1 true KR200425660Y1 (en) | 2006-09-19 |
Family
ID=3885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5013U KR200425660Y1 (en) | 2006-06-05 | 2006-06-05 | Battery connection terminal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4733007B2 (en) |
KR (1) | KR200425660Y1 (en) |
CN (1) | CN100517809C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8631B1 (en) * | 2012-03-05 | 2012-10-09 | 태성전장주식회사 | Post terminal with improved body structure |
KR101188625B1 (en) * | 2012-03-05 | 2012-10-09 | 태성전장주식회사 | Post terminal connected with battery post vertically using clamping means |
KR101188629B1 (en) * | 2012-03-05 | 2012-10-10 | 태성전장주식회사 | Post terminal connected with battery post vertically using clamping means |
KR101727121B1 (en) * | 2016-01-28 | 2017-04-14 |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 A Vertical Type Connecting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using Dual Sliding Plat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01018B2 (en) * | 2010-02-15 | 2014-05-21 | 矢崎総業株式会社 | Anti-tightening protection cap for fusible links attached directly to the battery |
JP6223946B2 (en) * | 2014-10-10 | 2017-11-01 | 矢崎総業株式会社 | Battery terminal |
CN105679981B (en) * | 2016-04-20 | 2017-11-10 | 青岛蓝天创先科技服务有限公司 | A kind of lithium-ion-power cell cabinet patch bay |
JP6559169B2 (en) * | 2017-02-03 | 2019-08-14 | 矢崎総業株式会社 | Battery terminal |
CN110473994B (en) * | 2018-05-10 | 2022-11-18 |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 Storage battery bolt of vehicle-mounted storage battery |
JP7177111B2 (en) * | 2020-03-06 | 2022-11-22 | 矢崎総業株式会社 | battery terminal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0467A (en) * | 1989-06-07 | 1991-01-1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Remote controller |
JPH0621176Y2 (en) * | 1989-06-20 | 1994-06-01 | 住友電装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 for battery electrode |
JP2594027Y2 (en) * | 1992-06-17 | 1999-04-19 | 住友電装株式会社 | Battery terminal |
JPH11102690A (en) * | 1997-09-29 | 1999-04-13 | Sumitomo Wiring Syst Ltd | Battery terminal |
JP4104040B2 (en) * | 2000-12-15 | 2008-06-18 | 矢崎総業株式会社 | Upper battery terminal |
-
2006
- 2006-06-05 KR KR2020060015013U patent/KR200425660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12-12 JP JP2006334313A patent/JP473300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12-14 CN CNB2006101688156A patent/CN100517809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8631B1 (en) * | 2012-03-05 | 2012-10-09 | 태성전장주식회사 | Post terminal with improved body structure |
KR101188625B1 (en) * | 2012-03-05 | 2012-10-09 | 태성전장주식회사 | Post terminal connected with battery post vertically using clamping means |
KR101188629B1 (en) * | 2012-03-05 | 2012-10-10 | 태성전장주식회사 | Post terminal connected with battery post vertically using clamping means |
KR101727121B1 (en) * | 2016-01-28 | 2017-04-14 |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 A Vertical Type Connecting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using Dual Sliding Plat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087016A (en) | 2007-12-12 |
JP4733007B2 (en) | 2011-07-27 |
JP2007324111A (en) | 2007-12-13 |
CN100517809C (en) | 2009-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25660Y1 (en) | Battery connection terminal | |
JP5647666B2 (en) | Solar cell module mounting structure | |
US8403277B2 (en) | Electrical box mounting bracket | |
JP4211622B2 (en) | Board connector | |
US6805593B2 (en) | Quick connect battery terminal | |
CN108206462B (en) | Cabinet body structure of power distribution cabinet | |
JP6737079B2 (en) | Hook mounting structure | |
KR200464155Y1 (en) | Connector housing and clip coupling structure | |
JP2000270448A (en) | Wire harness attaching band | |
KR20220108652A (en) | Junction block guide fixing device | |
JP4119943B1 (en) | Hardware for holding the base formwork spacing and anchor bolts | |
KR20140001101U (en) | Bracket for fixing terminal box | |
KR100652210B1 (en) | Audio switch assembly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
KR101159732B1 (en) | End jig assembly of moving type | |
CN214062351U (en) | Square buckle | |
CN216699870U (en) | Soft starter convenient to installation and heat dissipation | |
CN212344274U (en) | Electric cabinet and support piece | |
KR20080002301U (en) | Connector fixing clip | |
JP2009099748A (en) | Mounting structure for mounting electrical equipment storage cabinet | |
JP6537918B2 (en) | Protective fence horizontal member mounting bracket | |
JP3000084U (en) | Separator stopper for underground formwork | |
CN204488694U (en) | Battery pack mounting structure | |
KR102123952B1 (en) | Parts mounting apparatus for box | |
KR20240121481A (en) | Wiring guide bar profile socket mount | |
KR20100118440A (en) | Fastening structure of bus-b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605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8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60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925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82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Patent event date: 20070904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
|
G701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 ||
U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atent event date: 20070908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6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