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24931Y1 -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하여 화재시 자동 개방되는 출입문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하여 화재시 자동 개방되는 출입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931Y1
KR200424931Y1 KR2020060011527U KR20060011527U KR200424931Y1 KR 200424931 Y1 KR200424931 Y1 KR 200424931Y1 KR 2020060011527 U KR2020060011527 U KR 2020060011527U KR 20060011527 U KR20060011527 U KR 20060011527U KR 200424931 Y1 KR200424931 Y1 KR 200424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re
lock
digital
automatic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규
Original Assignee
임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규 filed Critical 임재규
Priority to KR2020060011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9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9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하여 화재시 그 출입문이 자동 개방되게 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에 설치되는 연기감지센서 및 열감지센서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디지털 도어락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되게 하고, 이와 동시에 출입문의 경첩에 장착된 스프링에 의해 그 출입문이 자동으로 개방되게 함으로서,
화재에 의한 센서의 감지 동작시 자동으로 출입문의 개방이 이루어지므로 보다 신속한 화재 대응이 가능함은 물론 최상의 대피통로를 신속하게 확보하게 되는 것이며, 요구조자가 당황하거나 판단력이 상실되더라도 본능적인 대피능력에 의해 발화장소로부터 신속하게 개방된 출입문을 향하여 대피할 수 있게 하므로 인명피해의 최소화는 물론 신속한 화재대응으로 인한 재산상의 손실도 경감할 수 있게 한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하여 화재시 자동 개방되는 출입문에 대한 것이다.
출입문, 화재, 자동열림, 도어락, 감지센서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하여 화재시 자동 개방되는 출입문{Door openable automatically in a fire by interworking with digital door lock}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개방 출입문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개방 출입문의 경첩부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개방 출입문의 단자부 작동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개방 출입문의 작동도로서,
도 4a는 출입문이 닫힌 상태의 구성도
도 4b는 화재 상황에 따라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코일스프링 2 : 유동측단자
3 : 고정측단자
100 : 출입문 101 : 경첩
102 : 문틀 103 : 디지털 도어락
104 : 연기감지센서 105 : 열감지센서
본 고안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하여 화재시 그 출입문이 자동 개방되게 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 설치된 연기감지센서 및 열감지센서의 신호가 출입문의 닫힘상태에서 디지털 도어락에 전달되게 하여 화재시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해제 및 스프링 탄발력에 의해 그 출입문이 자동으로 개방되게 한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하여 화재시 자동 개방되는 출입문에 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출입문에는 다양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한 잠금장치는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최근에 들어서는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도난 사고의 대비력이 우수한 디지털 도어락이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잠금장치는 외부에서는 별도의 키를 이용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되게 하는 반면, 실내에서는 간단한 버튼의 조작만으로도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화재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실내에 갇힌 요구조자는 당황을 하거나 판단력이 상실되어 상기한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방법을 망각하거나 오작동을 반복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가장 효과적인 대피통로인 현관문을 이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대부분의 화재 사망자의 경우 출입문 앞에서 사망한 예가 빈번하게 보고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에 설치되는 연기감지센서 및 열감지센서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디지털 도어락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잠금 상태가 해제되게 하고, 이와 동시에 출입문의 경첩에 장착된 스프링에 의해 그 출입문이 자동으로 개방되게 함으로서,
화재에 의한 센서의 감지 동작시 자동으로 출입문의 개방이 이루어지므로 보다 신속한 화재 대응이 가능함은 물론 최상의 대피통로를 확보하게 되는 것이며, 요구조자가 당황하거나 판단력이 상실되더라도 본능적인 대피능력에 의해 발화장소로부터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게 하여 인명피해의 최소화는 물론 신속한 화재대응으로 인한 재산상의 손실도 경감할 수 있게 한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하여 화재시 자동 개방되는 출입문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개방 출입문의 전체 구성도이다.
출입문(100)을 힌지 고정키 위한 경첩(101) 내에 전개방향으로의 탄발력을 갖는 코일스프링(1)(1')을 내장하고,
상기 출입문(100)의 일측 선단에는 유동측단자(2)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위치인 문틀(102)의 일측 선단에는 고정측단자(3)를 형성하여 상기 출입문(100)의 개폐시 그 고정측단자(3)와 유동측단자(2)가 단속되게 형성하며,
상기 유동측단자(2)는 출입문(100)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락(103)과 결선되게 하고, 상기 고정측단자(3)는 실내에 설치되는 연기감지센서(104)와 열감지센서(105)가 각각 결선되게 하여,
출입문(100)이 닫힌 통전 상태에서의 화재시 연기감지센서(104) 및 열감지센서(105)의 작동에 의해 상기 디지털 도어락(103)이 해제 구동되고, 상기 출입문(100)은 코일스프링(1)에 의해 자동 개방되게 구성한 것이다.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하여 화재시 자동 개방되는 출입문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출입문은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와 열에 의해 그 출입문이 자동으로 개방되게 한 것으로서,
상기 출입문(100)을 문틀(102)과 고정하기 위한 경첩(101)에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스프링(1)(1')을 축 설치하되, 상기 코일스프링(1)(1')은 경첩(101)의 전개 방향으로 탄발력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서, 인위적으로 출입문(100)을 문틀(102)로 밀어 넣어 출입문(100)을 닫게 되면 그 코일스프링(1)(1')은 압축되고 출입문(100)의 잠금수단이 해제되면 상기 코일스프링(1)(1')의 탄발력에 의해 자동으로 그 출입문(100)이 문틀(102)로부터 개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출입문(100)이 개방되기 위한 조건으로 상기 출입문(100)과 문 틀(102)에 서로 계지 고정되어 있는 디지털 도어락(103)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야 하는 바, 상기한 디지털 도어락(103)으로 실내에 설치된 연기감지센서(104) 및 열감지센서(105)의 시그널은 별도의 단자를 이용하여 전달하게 된다.
즉, 도 3의 도시와 같이 출입문(100)과 문틀(102)의 선단에는 서로 대응되는 유동측단자(2)과 고정측단자(3)를 각각 분할 형성하여 상기 출입문(100)의 개폐 작용에 따라 상기 단자가 단속 상태가 가변되는 것인데, 출입문의 개방시에는 상기 단자가 서로 분리되므로 센서의 시그널이 도어락으로 전달되지 아니하게 되고,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도 4a의 도시와 같이 유동측단자(2)과 고정측단자(3)가 서로 접지되면서 연기감지센서(104) 및 열감지센서(105)를 디지털 도어락(103)으로 전달할 수 있는 통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의 단자는 자석이나 코일, 스프링 또는 스위치 등을 이용한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용사례는 모두 본 고안으로부터 충분히 유추 가능한 정도의 기술적 사상을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실내에서의 화재 발생시 연기와 고열에 의해 그 연기감지센서(104) 또는 열감지센서(105)가 작동되면 그 시그널은 상기 접지된 단자를 통해 디지털 도어락(103)으로 전달하여 도 4b의 도시와 같이 자동으로 그 도어락 상태가 해제되게 하는 것이며, 도어락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한 출입문(100)은 코일스프링(1)(1')에 의해 자동으로 외측을 향하여 개방되는 것이다.
이때의 출입문(100)에 형성된 유동측단자(2)는 상기 디지털 도어락(103)과 결선되어 있는 것으로서, 유동측단자(2)를 통해 센서의 시그널이 도어락으로 입력되면 그 신호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103)은 락 상태를 해제하는 전기적 회로 구동을 통하여 작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출입문의 자동 개방을 통해 탈출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어 인명 피해의 최소화는 물론 요구조자의 피난이 순조롭고 신속하므로 보다 빠른 화재 상황의 대응이 가능하므로 재산상의 손실도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하여 화재시 자동 개방되는 출입문은, 화재에 의한 센서의 감지 동작시 자동으로 출입문의 개방이 이루어지므로 보다 신속한 화재 대응이 가능함은 물론 최상의 대피통로를 확보하게 되는 것이며, 요구조자가 당황하거나 판단력이 상실되더라도 본능적인 대피능력에 의해 발화장소로부터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게 하여 인명피해의 최소화는 물론 신속한 화재대응으로 인한 재산상의 손실도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출입문(100)을 힌지 고정키 위한 경첩(101) 내에 전개방향으로의 탄발력을 갖는 코일스프링(1)(1')을 내장하고,
    상기 출입문(100)의 일측 선단에는 유동측단자(2)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위치인 문틀(102)의 일측 선단에는 고정측단자(3)를 형성하여 상기 출입문(100)의 개폐시 그 고정측단자(3)와 유동측단자(2)가 단속되게 형성하며,
    상기 유동측단자(2)는 출입문(100)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락(103)과 결선되게 하고, 상기 고정측단자(3)는 실내에 설치되는 연기감지센서(104)와 열감지센서(105)가 각각 결선되게 하여,
    출입문(100)이 닫힌 통전 상태에서의 화재시 연기감지센서(104) 및 열감지센서(105)의 작동에 의해 상기 디지털 도어락(103)이 해제 구동되고, 상기 출입문(100)은 코일스프링(1)에 의해 자동 개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하여 화재시 자동 개방되는 출입문.
KR2020060011527U 2006-04-28 2006-04-28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하여 화재시 자동 개방되는 출입문 KR200424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527U KR200424931Y1 (ko) 2006-04-28 2006-04-28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하여 화재시 자동 개방되는 출입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527U KR200424931Y1 (ko) 2006-04-28 2006-04-28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하여 화재시 자동 개방되는 출입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931Y1 true KR200424931Y1 (ko) 2006-08-29

Family

ID=4177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527U KR200424931Y1 (ko) 2006-04-28 2006-04-28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하여 화재시 자동 개방되는 출입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9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479A (ko) 2020-06-18 2021-12-27 주식회사헬스브릿지 1인 가구를 위한 디지털 도어락 개방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479A (ko) 2020-06-18 2021-12-27 주식회사헬스브릿지 1인 가구를 위한 디지털 도어락 개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44856A3 (en) Alarm system armed and disarmed by a door contact
US7671276B2 (en) Armed junction box enclosure
FI963106A0 (fi) Hälytyksen laukaiseva kiinnipitolaite suojattavan oven tai ikkunan lukko- ja/tai saranakohtaa varten
KR200424931Y1 (ko)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하여 화재시 자동 개방되는 출입문
SU1393315A3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т взлома замка двери в помещение
KR100629275B1 (ko) 건축용 방범창틀 설치구조
KR200333141Y1 (ko) 방범용 창문커버
US3091760A (en) Burglar alarm actuator
WO2008023120A3 (fr) Detecteur de tentative d'effraction de serrure, serrure, porte et systeme d'alarme comportant un tel detecteur
US3641571A (en) Combination burglar and fire alarm
KR100673989B1 (ko) 경고기능이 구비된 공동주택의 외벽설치용 방범커버
KR200427722Y1 (ko) 무선신호에 의한 화재시 자동 개방용 출입문
RU2350727C1 (ru) Система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проникновения в помещение
KR960018139A (ko) 개폐식 방범 창살
KR200182658Y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KR101926998B1 (ko)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
JP3102020U (ja) 住宅の二重扉構造
KR200340524Y1 (ko) 방범창
EP2613299B1 (en) Alarm system for windows and doors
JP3495367B1 (ja) 電流通路付き開閉建具及びそれを用いた家屋用警報装置及び開閉建具のロック装置
JP4812490B2 (ja) 引き戸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20180283059A1 (en) Safety device for closures
RU103027U1 (ru) Магнитно-контактный извещатель и задорно-охранная система на его основе
JP2006039798A (ja) セキュリティ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1355361A (ja) 警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4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5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70531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0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607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