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23024Y1 - 펌핑 용기 - Google Patents

펌핑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024Y1
KR200423024Y1 KR2020060005537U KR20060005537U KR200423024Y1 KR 200423024 Y1 KR200423024 Y1 KR 200423024Y1 KR 2020060005537 U KR2020060005537 U KR 2020060005537U KR 20060005537 U KR20060005537 U KR 20060005537U KR 200423024 Y1 KR200423024 Y1 KR 2004230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main body
liquid material
sub
pump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용
Original Assignee
이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용 filed Critical 이인용
Priority to KR20200600055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0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0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02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펌핑 용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내부에 액상의 물질이 개재될 수 있는 저장 공간부가 마련된 메인 바디와; 메인 바디의 상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일체로 마련되며, 일측에는 조절턱이 복수 마련된 서브 바디와; 서브 바디의 외측으로부터 메인 바디의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하로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의 액상물질을 흡입하며, 일측에는 흡입된 액상 물질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가 연장 형성된 노즐;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서브 바디상의 조절턱을 통해 필요한 량을 정확하게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메인 바디의 오목한 바닥면과 노즐상의 무게추등을 통해 미세한 량까지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걸림쇠를 통해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불필요한 액상 물질의 토출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이를 채용한 제품의 상품성 및 신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펌핑 용기, 노즐, 메인 바디, 서브 바디, 무게추, 걸림쇠, 누름쇠

Description

펌핑 용기{pumping too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펌핑 용기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인 바디 110 : (오목한)바닥면
200 : 서브 바디 210 : 조절턱
220 : 걸림쇠 300 : 노즐
310 : 유출구 320 : 누름쇠
330 : 무게추
본 고안은 펌핑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의 물질 예컨대 화장품이나 샴프 및 기타 액상의 물질을 저장하여 이를 필요에 따라 외부로 배출하는 펌핑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화장품이나 샴프등 액상의 물질을 저장하여 사용하는 용기의 통상적인 구조를 보면, 내부에 액상의 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부를 갖는 바디를 구비하고, 바디의 상부에 노즐을 개재하여, 노즐의 상,하 연동 작용을 통해 내부의 액상 물질을 배출시킴으로써 이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펌핑 용기에 있어서는, 바디의 공간부상에 마련된 액상 화장품을 알뜰하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되며, 이를 통해 환경 오염 및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이 발생되는 이유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의 바닥면이 편평한 면을 이루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노즐을 통해 흡입 배출할 수 있는 량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즉, 넓게 퍼져 있는 액상 화장품을 모두 흡입할 수 없기 때문이며, 이를 모두 사용하기 위해서는 노즐을 분리 시킨후, 직접 유출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초래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노즐을 너무 깊이 눌렀을 경우 또는 작게 눌렀을 경우에는 너무 많은 량 또는 적은 량의 액상 물질이 토출됨으로써 사용상의 불편함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외에도 사용자의 실수나 충격등에 의해 필요로 하지 않는 액상 물질이 토출됨으로써 이 또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액상 물질을 토출시킴에 있어서, 필요한 량을 정확하게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미세한 량까지 모두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불필요한 액상 물질의 토출을 제어할 수 있는 펌핑 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펌핑 용기는, 내부에 액상의 물질이 개재될 수 있는 저장 공간부가 마련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일체로 마련되며, 일측에는 계단 형태의 조절턱이 복수 마련된 서브 바디와; 상기 서브 바디의 외측으로부터 메인 바디의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하로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의 액상물질을 흡입하며, 일측에는 흡입된 액상 물질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가 연장 형성된 노즐;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서브 바디의 일측에는 노즐의 상,하 연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관통구멍과 이에 결합되어 노즐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걸림쇠가 개재된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한 특징은, 상기 서브 바디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노즐의 상부 일측면 사이에는 일단이 서브 바디상에 결합되고, 타단이 노즐에 접촉되어 노즐에 상부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누름쇠가 개재된 것에 있다.
삭제
삭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한 특징은, 상기 메인 바디의 바닥면은 중심부가 오목 한 경사면을 이루며, 노즐의 하단부에는 경사면의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는 무게추가 개재된 것에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펌핑 용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펌핑 용기는, 크게 메인 바디(main body;100)와 서브 바디(sub body;200) 및 노즐(nozzle;300)로 대별된다.
메인 바디(100)는 액상의 물질 즉, 샴프나 화장품 기타 액상의 물질을 저장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액상 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부가 마련된다.
이때 도시된 것은 메인 바디(100)의 단면 형상이 원통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단면 형상을 취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서브 바디(200)는, 메인 바디(100)의 상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진채 일체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하향 경사 방향으로 계단 형상의 조절턱(210)이 마련된다.
노즐(300)은, 펌핑 동작을 통해 메인 바디(100)상에 마련된 액상 물질을 토출시켜 사용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서, 서브 바디(200)의 외측으로부터 메인 바디(100)의 내측 바닥면을 향해 설치되며, 특히 펌핑 동작을 위하여 상,하로 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노즐(300)의 일측에는 펌핑 동작을 통해 흡입한 액상 물질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310)가 마련된다.
한편, 전술한 서브 바디(200)의 일측에는 노즐(300)의 상,하 연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관통구멍과 이에 결합되는 걸림쇠(220)를 마련함이 바람직한 바, 이는 사용자의 실수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원하지 않은 액상 물질이 노즐(30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걸림쇠(220)가 관통구멍을 통해 노즐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가압됨으로써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액상 물질의 토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서브 바디(200)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노즐(300)의 상부 일측면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누름쇠(320)를 개재함이 바람직한 바, 이는 노즐(300)의 펌핑 동작 완료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즉, 누름쇠(320)의 일단은 서브 바디(200)상에 고정되고, 타단이 노즐(300)의 상부 일측면에 접촉됨으로써 노즐(300)의 가압동작시 노즐(300)를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메인 바디(100)의 바닥면(110)은 중심부가 오목한 경사면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밀접되게 위치된 노즐(300)의 하단부에는 구 형상의 무게추(330)을 개재함이 더욱 바람직한 바, 이는 무게추(330)가 항시 메인 바디(100)의 바닥면(110) 중심부에 위치됨으로써 메인 바디(100)에 내장된 액상 물질을 알뜰하게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펌핑 용기는, 메인 바디(100)의 바닥면(110)이 중심부가 오목한 경사면을 이루고 있고 대응되는 위치에 무게추(330)를 통한 노즐(300)의 하단부가 항시 위치됨으로써 액상 물질을 남김없이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바디(200)상에 조절턱(210)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량을 적정하게 사용 가능하게 되며, 일측에 마련된 걸림쇠(220)를 통해 사용자의 실수나 외부 충격에 의한 노즐(300)의 펌핑 동작이 제어됨으로써 원하지 않은 액상 물질의 유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펌핑 용기에 의하면, 서브 바디상의 조절턱을 통해 필요한 량을 정확하게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메인 바디의 오목한 바닥면과 노즐상의 무게추등을 통해 미세한 량까지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걸림쇠를 통해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불필요한 액상 물질의 토출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이를 채용한 제품의 상품성 및 신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내부에 액상의 물질이 개재될 수 있는 저장 공간부가 마련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일체로 마련되며, 일측에는 계단 형태의 조절턱이 복수 마련된 서브 바디와;
    상기 서브 바디의 외측으로부터 메인 바디의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하로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의 액상물질을 흡입하며, 일측에는 흡입된 액상 물질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가 연장 형성된 노즐;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서브 바디의 일측에는 노즐의 상,하 연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관통구멍과 이에 결합되어 노즐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걸림쇠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바디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노즐의 상부 일측면 사이에는 일단이 서브 바디상에 결합되고, 타단이 노즐에 접촉되어 노즐에 상부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누름쇠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바닥면은 중심부가 오목한 경사면을 이루며, 노즐의 하단부에는 경사면의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는 무게추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KR2020060005537U 2006-02-28 2006-02-28 펌핑 용기 Ceased KR2004230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537U KR200423024Y1 (ko) 2006-02-28 2006-02-28 펌핑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537U KR200423024Y1 (ko) 2006-02-28 2006-02-28 펌핑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024Y1 true KR200423024Y1 (ko) 2006-08-02

Family

ID=4177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537U Ceased KR200423024Y1 (ko) 2006-02-28 2006-02-28 펌핑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02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942A (ko) * 2016-12-02 2018-06-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캡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210134157A (ko) * 2020-04-29 2021-11-09 주식회사 더퍼플 다기능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942A (ko) * 2016-12-02 2018-06-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캡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101950889B1 (ko) * 2016-12-02 2019-05-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캡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210134157A (ko) * 2020-04-29 2021-11-09 주식회사 더퍼플 다기능 용기
KR102438703B1 (ko) * 2020-04-29 2022-09-02 주식회사 더퍼플 다기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8923B2 (ja) ポンピング式化粧品容器
CN104717901B (zh) 膏型化妆品容器
KR200476949Y1 (ko) 두 가지 내용물을 보관,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101219011B1 (ko) 디스펜서 펌프버튼
KR101817077B1 (ko) 수동식 이중 분사장치
KR101215420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1288327B1 (ko) 팝업식 드로퍼
KR20150022355A (ko)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
KR200423024Y1 (ko) 펌핑 용기
KR100811777B1 (ko) 접이식 노즐이 구비된 펌핑 장치
KR20160125326A (ko) 펌프형 치약 용기
JP2007502755A (ja) プッシュタイプディスペンサ装置
KR200462480Y1 (ko) 화장품 용기의 디스펜서 헤드
KR200305762Y1 (ko) 공기펌핑형 정량배출 용기
HK1222622A1 (zh) 具有防止剩余量的结构的泵压式牙膏容器
JP2016055171A (ja) ノズル配置構造が改善されたポンプ型歯磨剤容器
KR101101288B1 (ko) 유체 흡입수단을 구비하는 유체 저장용기
KR200241998Y1 (ko) 배출 장치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262422Y1 (ko) 겔상 화장품 배출장치
KR102649598B1 (ko) 미세분출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CN215902011U (zh) 泵式容器
CN105398670A (zh) 泵压式牙膏容器
KR20130000272A (ko) 액체 화장품용기
KR200339891Y1 (ko) 액상 용기의 정량배출 캡
JP5883666B2 (ja) カップ型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2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7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8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0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C2102 Extinguishment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15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16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