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19763Y1 - 나선관 연결용 밴드 - Google Patents

나선관 연결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763Y1
KR200419763Y1 KR2020060007694U KR20060007694U KR200419763Y1 KR 200419763 Y1 KR200419763 Y1 KR 200419763Y1 KR 2020060007694 U KR2020060007694 U KR 2020060007694U KR 20060007694 U KR20060007694 U KR 20060007694U KR 200419763 Y1 KR200419763 Y1 KR 200419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tube
main body
spiral
band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일환
Original Assignee
허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일환 filed Critical 허일환
Priority to KR2020060007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76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 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 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판으로 만들어진 얇은 판체 형상의 본체의 일측 단부와 중단에 각각 원통형의 연결관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의 중단에 하나 이상의 내측으로 굽혀진 가압돌부를 형성하여 나선관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서 나선관의 연결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 나선관 연결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나선관 연결용 밴드는 두 개의 나선관 양단을 서로 맞대기한 후 외주면에 밀봉시트를 감싸 나선관들을 연결하는 관연결 구조에 있어서, 강판으로 만들어져 상기 밀봉시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밀봉시트의 폭과 동일하거나 넓은 폭을 갖는 판체 형상의 본체와 ;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 및 중단에 각각 설치되고, 고정날개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볼트가 관통하여 조여지는 다수의 볼트구멍이 형성된 원형 관체 형상의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나선관 연결, 강판, 밴드, 가압돌부, 연결관

Description

나선관 연결용 밴드{A steel use stainless band for the spiral pipe connecting}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나선관 연결용 밴드의 일예를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나선관 연결용 밴드를 이용하여 연결한 나선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 본체 11a : 가압돌부
12 : 연결관 12a : 볼트구멍
13 : 고정날개 13a : 고정점
14 : 고정볼트 15 : 마개
100 : 나선관 200 : 밀봉시트
본 고안은 나선관 연결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강판으로 만들어진 얇은 판체 형상의 본체의 일측 단부와 중단에 각각 원통 형상의 연결관을 설치하여 고정볼트가 조여짐에 의해 본체가 조여지게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의 중단에 하나 이상의 내측으로 굽혀진 가압돌부를 형성하여 나선관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서 나선관의 연결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 나선관 연결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액체나 기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관체는 제조 설비의 한계나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정의 길이로 길이가 제한되게 생산된다.
이러한 관체는 유체(流體)의 장거리 이송을 위해 다수를 연결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관체의 연결에는 많은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체의 연결수단 중 하나로 관체의 연결부의 외주면에 발열시트를 감은 후 전기를 공급함에 의해 발열시트 자체 또는 관체가 용융되어 관체가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연결수단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열성 밀봉시트를 이용한 관체의 연결은 관체와 관체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나 밀봉시트의 강도가 약하여 연결부위가 쉽게 분리되어 유체가 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밀봉시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관체의 연결부의 외주면에 밀봉시트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관체들이 연결된 부분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나선관 연결용 밴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고안은 강판으로 만들어진 고리형상의 본체의 일측단부와 중단에 각각 고정볼트가 조여지는 관체 형상의 연결관을 설치하고, 본체부의 내면에 고리 형상으로 가압돌기를 형성하여 관체의 외면을 강하게 가압할 수 있으므로 관체의 결합력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는 나선관 연결용 밴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두 개의 나선관 양단을 서로 맞대기한 후 외주면에 밀봉시트를 감싸 나선관들을 연결하는 관연결 구조에 있어서, 강판으로 만들어져 상기 밀봉시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밀봉시트의 폭과 동일하거나 넓은 폭을 갖는 판체 형상의 본체와 ;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 및 중단에 각각 설치되고, 고정볼트가 관통하여 조여지는 다수의 볼트구멍이 형성된 원형 관체 형상의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연결용 밴드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나선관 연결용 밴드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나선관 연결용 밴드의 일예를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나선관 연결용 밴드를 이용하여 연결한 나선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나선관 연결용 밴드는 원형 고리 형상을 이루는 본체(11)와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와 중단의 일부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1)와 연결관(12)은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며,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금속판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본체(11)와 연결관(12)을 제작하는 금속으로는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스테인리스강은 강도가 강하고 인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부식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다.
상기 본체(11)는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고리 형상으로 그 폭은 나선관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밀봉부재(200)의 폭보다 넓거나 최소한 동일한 것이 좋으며,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 즉, 나선관에 감겼을 때 원을 이루는 방향으로 가압돌기(1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돌기(11a)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의 중단에 다수가 형성되고, 사출할 때 지그(jig)등을 이용하여 내측으로 눌려지게 함으로서 상기 가압돌기(11a)가 형성된 부분의 외주면에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1)에 고정 설치되는 연결관(12)은 고정볼트(14)가 조여지는 부분으로 다수의 볼트구멍(1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12)은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관체 형상으로서 일측에 고정날개(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12)은 두계가 1mm내지 5mm의 강도가 우수한 금속판을 감아 원통형의 연결관(12) 부를 만들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본체(11)의 외주면과 갖은 내주면을 갖도록 하여 고정날개(13)가 형성되게 하였다.
상기 연결관(12)에 형성된 볼트구멍(12a)은 나선관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어 고정볼트(14)가 조여지는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2)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1)를 향한 단부에 고정날개(13)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고정날개(13)를 따로 제작하여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관(12)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정날개(13)를 본체(11)에 고정시킴에 의해 연결관(12)이 본체(11)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연결관(12)을 본체(11)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용접이나 리벳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2)의 내부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개(15)가 더 설치된다.
상기 마개(15)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금속판을 말아 형성된 연결관(12)의 양 단부를 막아 외관이 미려하게 함은 물론 연결관(12)의 내부로 흙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합성수지 등으로 만들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나선관 연결용 밴드의 시공 예를 설명한다.
먼저, 두 개의 나선관(100)의 단부를 서로 맞대기 하여 단부 사이가 이격되지 않게 한 후, 밀봉시트(200)를 나선관들의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감아준다.
상기 밀봉시트는 종래에 사용되는 관연결 부재의 하나로 전기의 공급에 의해 용융되어 접착되는 전열시트나 기타 접착성을 갖는 테이프 등이 될 수 있다.
밀봉시트(200)가 감겨진 나선관의 외주면에 밴드의 본체(11)가 감겨지게 한 후, 두 개의 연결관(12)이 서로 마주보게 한 후 볼트구멍을 관통시켜 고정볼트(14)를 삽입하고 볼트의 단부에 너트를 조인다.
이때 본체(11)의 일측 단부 즉, 연결관이 형성되지 않은 단부를 연결관(12)이 형성된 단부와 밀봉시트(200) 사이에 깊게 밀어 넣어 본체(11)의 일부가 서로 겹쳐지게 하거나 중단에 형성된 연결관(12)의 바깥쪽에 형성된 본체(11)부분은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볼트 구멍이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볼트(14)의 삽입이 용이하다.
고정볼트(14)를 충분히 조여 본체(11)의 내부면에 형성된 가압돌기(11a)가 나선관(100)의 외주면에 감긴 밀봉시트(200)를 충분히 가압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나선관(100)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나선형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으로 본체(11)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압돌기(11a)는 상기 나선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 중 어느 한 부분과 접촉하게 되어 서로 가압됨으로서 나선관이 밴드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나선관 연결용 밴드는 나선관의 외주면을 감싸 나선관들의 연결부를 연결시키는 밀봉시트의 외주면이 나선관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밀착되게 지지함과 동시에 나선관들의 단부를 지지함으로서 관체들이 보다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부식에 강한 강판으로 만들어짐으로서 내구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관연결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의 내면에 고리 형상으로 가압돌기를 형성하여 관체의 외면을 강하게 가압할 수 있으므로 관체의 결합력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두 개의 나선관 양단을 서로 맞대기한 후 외주면에 밀봉시트를 감싸 나선관들을 연결하는 관연결 구조에 있어서,
    강도가 우수하고 내식성이 강한 강판으로 만들어져 상기 밀봉시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밀봉시트의 폭과 동일하거나 넓은 폭을 갖는 판체 형상의 본체(11)와 ;
    상기 본체(11)의 일측 단부 및 중단에 각각 설치되고, 고정볼트(14)가 관통하여 조여지는 다수의 볼트구멍(12a)이 형성된 원형 관체 형상의 연결관(1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연결용 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의 내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압돌기(11a)가 원주 방향으로 하나 이상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연결용 밴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2)은 그 두께가 1mm내지 5mm인 강판을 감아 원통형의 연결관(12)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본체(11)의 외주면과 동일한 내주면을 갖는 고정날개(13)로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날개(13)를 본체(11)의 외면에 용접 또는 리벳으로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연결용 밴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2)의 양단부에는 마개(15)가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연결용 밴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2)의 양단부에는 마개(15)가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연결용 밴드.
KR2020060007694U 2006-03-22 2006-03-22 나선관 연결용 밴드 Expired - Fee Related KR200419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694U KR200419763Y1 (ko) 2006-03-22 2006-03-22 나선관 연결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694U KR200419763Y1 (ko) 2006-03-22 2006-03-22 나선관 연결용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763Y1 true KR200419763Y1 (ko) 2006-06-26

Family

ID=44482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694U Expired - Fee Related KR200419763Y1 (ko) 2006-03-22 2006-03-22 나선관 연결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7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8633B (fi) Anordning att anvaendas vid hopsvetsning av roer.
US9568130B2 (en) Profiled clamp with sealing element
CA1037078A (en) Compression coupling
US7396053B2 (en) Pipe coupling comprising a divided sleeve
JP5634515B2 (ja) 管端継手
KR101171334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WO2012115350A2 (ko) 관체 연결 장치
CN205026252U (zh) 一种单壁波纹管用接头装置
KR200419764Y1 (ko) 나선관 연결용 스테인리스강 밴드
KR200419763Y1 (ko) 나선관 연결용 밴드
WO2006020362B1 (en) A mechanical weldable fitting for use in tapping a pipeline
KR200419762Y1 (ko) 나선관 연결용 밴드
US7712795B2 (en) Pipe connection
KR101544998B1 (ko) 파형관 연결용 커플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커플러
KR20150090550A (ko) 연결용 유닛이 구비된 파형강관
KR101507743B1 (ko) 고무 벨로즈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KR101406131B1 (ko) 힌지형 배관 이음장치
KR101803903B1 (ko) 파형 강관용 커플링 밴드 클램핑장치
KR101618831B1 (ko)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
KR200490588Y1 (ko) 통합형 조립식 이음관
CN210687389U (zh) 一种管道扣压接头的内撑装置
JP2004324835A (ja) 配管補修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00895A (ko) 고압용 후랙시블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CN110894899B (zh) 双管固定卡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32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3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5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