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19749Y1 - 컨트롤 박스 - Google Patents

컨트롤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749Y1
KR200419749Y1 KR2020060006870U KR20060006870U KR200419749Y1 KR 200419749 Y1 KR200419749 Y1 KR 200419749Y1 KR 2020060006870 U KR2020060006870 U KR 2020060006870U KR 20060006870 U KR20060006870 U KR 20060006870U KR 200419749 Y1 KR200419749 Y1 KR 200419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trol box
main body
training tab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헌
홍순남
김준식
이민권
Original Assignee
강명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헌 filed Critical 강명헌
Priority to KR2020060006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7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7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판넬의 고정이나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 또는 클램프 장치 등 별도의 부품을 추가로 사용하지 않고 실습 테이블 상에 고정과 해제 상태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간단한 구조로 하여 저렴하게 제작하며 특히 실습 테이블이 수직 또는 경사진 상태에서도 견고하게 계속 유지 및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 박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고안은, 상측으로 개방되고, 개방된 상측 내부에는 마주하여 개구된 판넬 단부 수용 홈이 형성되어 있고, 밑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결합용 돌출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판넬 단부 수용 홈에 끼워지는 판넬;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용 돌출부를 실습 테이블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박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트롤 박스{Control box}
도 1은 종래 하나의 컨트롤 박스를 조립하여 실습 테이블에 고정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 다른 컨트롤 박스를 조립하여 실습 테이블에 고정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이 고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에서 판넬의 조립 및 바닥에 놓여진 실습 테이블에 고정되기 전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컨트롤 박스에서 판넬을 끼워 넣어 조립 및 실습 테이블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이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에서 판넬의 조립 및 벽에 붙여진 실습 테이블에 고정되기 전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컨트롤 박스에서 판넬을 끼워 넣어 조립 및 실습 테이블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종래 하나의 컨트롤 박스
11, 21, 110, 210 : 본체 12, 22, 120, 220 : 판넬
13 : 판넬 고정용 볼트 14 : 본체 고정용 볼트 구멍
15 : 본체 고정용 볼트 16 : T 너트
20 : 종래 다른 컨트롤 박스
23 : 판넬 단부 삽입 홈 24 : 결합용 요홈
25 : 클램프 장치 30 : 프로파일 판
31 : 슬롯 홈
100 : 이 고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
130-1, 130-2, 230-1, 230-2 : 제 1 및 제 2 판넬 단부 수용 홈
140 : U 형 결합용 돌출부
200 : 이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
240-1 : T 형 결합용 돌출부 240-2 : ㄱ형 결합용 돌출부
이 고안은 컨트롤 박스(control box)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판넬의 교체가 간편하면서 조립이 완료되어 실습 테이블에 고정시키는 경우에 별도의 고정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능하며, 특히 수직 또는 일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의 실습 테이블에서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 및 해체가 간편한 컨트롤 박스에 관한 것이다.
각종 기계나 기구 등의 전기적인 조작을 수행하는 조작 장치를 집중시킨 컨트롤 박스는 전기, 전자 및 기계 등 많은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컨트롤 박스는 본체와 판넬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본체 내부에 기판이 설치되어 필요한 조작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들이 표면에 부착되어 있고, 기판의 내측으로 각 스위치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내측의 배선들을 안전성과 미관 등을 고려하여 박스 형태로 내장시킨 후 본체 상측을 판넬로 막아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컨트롤 박스는, 과학ㆍ기술을 공부하는 학생이나 연구ㆍ개발 등의 실무자들에게 있어서 실제와 같은 조건으로 연결 및 작동시켜 보는 실험 또는 실습에서 유용하게 된다.
이로부터, 조립이 완료된 컨트롤 박스는 실험 또는 실습시 작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미끄러져 위치 이동되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슬롯 홈이 길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프로파일 판 형태의 실습 테이블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종래 하나의 컨트롤 박스를 조립하여 실습 테이블에 고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하나의 컨트롤 박스(10)는, 본체(11)의 상측에서 판넬(12)을 덮고 판넬 고정용 볼트(13)로 체결하여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그리고, 조립이 완료된 종래 하나의 컨트롤 박스(10)는 실습테이블인 프로파일 판(30)과 마주 닫는 본체(11)의 밑 부분이 평평하여 상기 프로파일 판(30)에 고정시키기 위해 밑 부분에 판넬 고정용 볼트 구멍(14)을 뚫고 여기에 상기 판넬 고정용 볼트(13)를 삽입 관통시키는 한편, T너트(16)를 슬롯 홈(31)에 삽입 고정 시킨 상태에서 상기 판넬 고정용 볼트(13)와 T너트(16)를 결합시킨다.
이 경우, 종래 하나의 컨트롤 박스(10)를 조립 및 프로파일 판(30)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일일이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조립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하므로 별도의 부품이 소요되고 작업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작업 자체도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며, 특히 자동화 공정에서와 같은 많은 부품들이 서로 복잡하게 연결되는 부품들을 적절하고 합리적으로 배치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분리할 때마다 볼트와 너트의 결합을 분리 및 재결합하여야 하는 과정을 반복하여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 다른 컨트롤 박스를 조립하여 실습 테이블에 고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다른 컨트롤 박스(20, 등록실용신안 제250302호)에서는, 본체(21)의 판넬 단부 삽입 홈(23)에 판넬(22)이 옆에서 끼워지고 그 내측으로는 제어장치와 관련된 기판이 기판 홈에 끼워지거나 판넬(22)에 직접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이러한 판넬(22)이나 기판의 크기에 맞추어 본체(21)의 길이가 결정되어지고, 본체(21)의 양 측으로 커버가 나사에 의해 조립되어 미려한 외관을 유지하면서 간편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판넬 단부 삽입 홈(23)의 돌출된 상부와 하부의 튀어나온 정도가 같고, 상기 돌출된 상부와 하부의 튀어나온 사이에 형성된 상기 판넬 단부 삽입 홈(23)에 판넬(22)이 끼워지는 폭이 딱 맞게 제작되어 옆에서 끼울 수 있어 별도의 볼트 작업 과정을 생략될 수 있어 간편하게 된다.
또한, 본체(21)의 바닥 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결합용 요홈(24)이 형성되는데, 조립이 완료된 종래 다른 컨트롤 박스(20)를 부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클램프 장치(25)의 상부 돌기를 본체(21)의 밑면에 형성된 결합용 요홈(24)에 인입 결합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프로파일 판(30)의 슬롯 홈(31)에 회전 가능한 하부 캠을 인입 후 회전시켜 이탈하지 않게 함으로써 본체(21)가 클램프 장치(25)에 의해 간단하게 프로파일(30)의 슬롯 홈(31)에 간단하게 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 본체(21)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용 요홈(24)에 판넬(22)을 끼워 조립이 완료되는 것으로부터, 하나의 본체(21)내에 다수의 판넬(22)이 끼워진 상태로 조립된 경우에는 만일 가운데에 설치된 판넬(22)을 교체하고자 할 때 좌측 또는 우측의 인접 판넬(22)들을 모두 차례대로 빼내고 다시 차례대로 넣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판넬(22)이 끼워진 상태로 조립이 완료된 종래 다른 컨트롤 박스(20)를 프로파일 판(3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클램프 장치(25)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도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되어진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 고안은, 판넬의 고정이나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 또는 클램프 장치 등 별도의 부품을 추가로 사용하지 않고 실습 테이블 상에 고정과 해제 상태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간단한 구조로 하여 저렴하게 제작하며 특히 실습 테이블이 수직 또는 경사진 상태에서도 견고하게 계속 유지 및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 박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고안은, 상측으로 개방되고, 개방된 상측 내부에는 마주하여 개구된 판넬 단부 수용 홈이 형성되어 있고, 밑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결합용 돌출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판넬 단부 수용 홈에 끼워지는 판넬;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용 돌출부를 실습 테이블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박스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용 돌출부는 어느 하나의 단부가 상하로 돌출 형성된 T 형 결합용 돌출부이고, 상기 돌출된 단부의 폭이 상기 실습 테이블의 슬롯 홈의 폭보다 넓게 하여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용 돌출부는 어느 하나의 단부가 하부로 돌출 형성된 ㄱ 형 돌출부이고, 상기 돌출된 단부의 폭이 상기 실습 테이블의 슬롯 홈의 폭보다 좁게 하여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넬 단부 수용 홈이 상부와 하부가 돌출되면서 가운데 형성되고, 상기 판넬이 상기 본체의 상부를 통해 바로 끼워 넣거나 빼 낼 수 있도록 마주하는 어느 일 측에 형성된 상기 판넬 단부 수용 홈의 상부를 하부에 비해 짧게 형성시켜도 좋다.
이하에서는, 이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이 고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에서 판넬의 조립 및 바닥에 놓여진 실습 테이블에 고정되기 전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고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100)는, 본체(110)와 판넬(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는, 상측으로 개방된 박스 형태로서, 개방된 상측 내부에 마주하여 개구된 제 1 및 제 2 판넬 단부 수용 홈(130-1)(130-2)이 양 측단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판넬 단부 수용 홈(130-1)(130-2)은, 상부와 하부가 돌출되면서 가운데 형성되는데, 상기 판넬(120)이 상기 본체(110)의 상부를 통해 바로 끼워 넣거나 빼 낼 수 있도록 이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마주하는 어느 일 측으로 왼쪽의 제 2 판넬 단부 수용 홈(130-2)이 상부를 하부에 비해 짧게 형성시키고, 오른쪽의 제 1 판넬 단부 수용 홈(130-1)이 상부와 하부가 동일하게 형성시킨다.
이 경우, 상기 판넬(120)의 길이를 상기 제 1 및 제 2 판넬 단부 수용 홈 (130-1)(130-2)간의 전체 길이에서 상부 길이를 제외한 길이와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시킨다.
이로부터, 상기 판넬(120)의 일 측단이 상부를 하부에 비해 짧게 형성시킨 제 2 판넬 단부 수용 홈(130-2)의 내부에 전부 수용되고, 상부와 하부를 동일하게 형성시킨 제 1 판넬 단부 수용 홈(130-1)의 내부에는 상기 판넬(120)의 타 측단이 일부만 수용되면서 걸려 바로 빠지지 않고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립을 완료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판넬(120)의 길이를 상기 제 1 및 제 2 판넬 단부 수용 홈(130-1)(130-2)간의 전체 길이에서 상부 길이를 제외한 길이보다 약간 큰 경우에도 상기 본체(110) 재질 자체의 탄성을 이용하여 넣거나 빼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밑면에 하측으로 다수의 U 형 결합용 돌출부(14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U 형 결합용 돌출부(140)는, 실습 테이블인 프로파일 판(30)의 슬롯 홈(31)에 삽입하여 이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100)를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이 간편하게 고정시킨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컨트롤 박스에서 판넬을 끼워 넣어 조립 및 실습 테이블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상기 프로파일 판(30)을 바닥 면에 수평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 고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100)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 박스 (100)의 상기 U 형 결합용 돌출부(140)를 상기 슬롯 홈(31)에 끼워 결합시켜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 박스(100)가 프로파일 판(30)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임의로 움직이지 않는다면 계속 유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판넬(120)의 일 측단을 상기 본체(110)의 상기 제 1 판넬 단부 수용 홈(130-1)에 끼워 넣은 후, 상기 판넬(120)의 타 측단을 상기 본체(110)의 상기 제 2 판넬 단부 수용 홈(130-2)에 눌러 넣고, 상기 제 2 판넬 단부 수용 홈(130-2)쪽으로 상기 판넬(120)을 이동시키면 임의로 움직이지 않는 한 그대로 계속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고정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위의 고정하는 과정을 반대로 수행하면 된다.
도 5는 이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에서 판넬의 조립 및 벽에 붙여진 실습 테이블에 고정되기 전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컨트롤 박스에서 판넬을 끼워 넣어 조립 및 실습 테이블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200)는, 상기에서 설명한 이 고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100)와 본체(110)(210), 판넬(120)(220) 및 제 1 및 제 2 판넬 단부 수용 홈(130-1)(130-2)(230-1)(230-2)이 동일하고, 다만 프로파일 판(30)이 바닥에 놓여지는 가 또는 벽면에 부착되는 가에 따라 결합용 돌출부에 차이가 있게 되는바, 이하에서는 결합용 돌출부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이 고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100)의 결합용 돌출부는 U 형인 것에 대해 이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200)에서는 T 형과 ㄱ 형으로 차이가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벽에 걸려 있는 상태의 상기 프로파일 판(30)에 고정되는 이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200)는, 상기 T 형 결합용 돌출부(240-1)는 상기 본체(210)의 상측에서 상하로 돌출 형성된 T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T 형 결합용 돌출부(240-1)의 상기 돌출된 단부의 폭은 상기 프로파일 판(30)의 슬롯 홈(31)의 폭보다 넓게 한다.
또한, 상기 ㄱ 형 결합용 돌출부(240-2)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210)의 중간과 하측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된 ㄱ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ㄱ 형 결합용 돌출부(240-2)의 상기 돌출된 단부의 폭은 상기 프로파일 판(30)의 슬롯 홈(31)의 폭보다 좁게 한다.
이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200)가 벽에 부착된 프로파일 판(30)과 결합될 때,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프로파일 판(30)의 슬롯 홈(31)에 상기 T 형 결합용 돌출부(240-1)와 상기 ㄱ 형 결합용 돌출부(240-2)가 끼워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 박스(200)를 프로파일 판(30)에 대해 경사지게 각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T 형 결합용 돌출부(240-1)를 먼저 끼우게 되면, 상기 T 형 결합용 돌출부(240-1)의 단부 폭이 프로파일 판(30)의 슬롯 홈(31)의 폭보다 크더라도 충분히 들어갈 수 있게 되며, 상기 ㄱ 형 결합용 돌출부(240-2)의 단부 폭이 프로 파일 판(30)의 슬롯 홈(31)의 폭보다 작으므로 쉽게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파일 판(30)이 벽에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경우에 상기 컨트롤 박스(200) 자체의 무게 때문에 프로파일 판(30)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려고 하는 힘을 받는다.
이 경우,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T 형 결합용 돌출부(240-1)의 돌출된 단부 상측이 상기 슬롯 홈(31)의 상부 측에 걸리고, 상기 T 형 결합용 돌출부(240-1)와 상기 ㄱ 형 결합용 돌출부(240-2)의 돌출된 단부 하측은 상기 슬롯 홈(31)의 하부 측에 각각 걸리면서 상기 컨트롤 박스(200)가 빠지지 않게 된다.
이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200)가 프로파일 판(30)과 결합될 때, 프로파일 판(30)이 벽에 수직으로 부착된 상태뿐만 아니라 일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에서도 유용하게 된다.
이 고안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등록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되는 고안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도 이 고안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컨트롤 박스에 의하면, 판넬의 고정이나 교체를 할 경우에 볼트에 의하거나 홈을 형성하고 옆에서 끼우는 방식을 개선하여 본체의 상부에서 직접 끼우거나 빼 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넬의 고정이나 교체를 간편하게 하여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실습테이블에 컨트롤 박스를 고정시킬 경우 별도의 클램프장치를 컨트롤박스에 장착하여 실습테이블에 고정시키거나 컨트롤박스의 밑부분에 구멍을 뚫어 T너트와 볼트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대신에 컨트롤박스의 밑 부분에 돌출부를 U, T, ㄱ 형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별도의 부품이나 도구 등이 없이도 간편하게 실습테이블에 탈착시킬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하여 저렴하게 제작하며 특히 실습 테이블이 수직 또는 경사진 상태에서도 견고하게 계속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상측으로 개방되고, 개방된 상측 내부에는 마주하여 개구된 판넬 단부 수용 홈이 형성되어 있고, 밑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결합용 돌출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판넬 단부 수용 홈에 끼워지는 판넬;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용 돌출부를 실습 테이블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돌출부는, 어느 하나의 단부가 상하로 돌출 형성된 T 형 결합용 돌출부이고, 상기 돌출된 단부의 폭이 상기 실습 테이블의 슬롯 홈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돌출부는, 어느 하나의 단부가 하부로 돌출 형성된 ㄱ 형 돌출부이고, 상기 돌출된 단부의 폭이 상기 실습 테이블의 슬롯 홈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박스.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 단부 수용 홈은, 상부와 하부가 돌출되면서 가운데 형성되고, 상기 판넬이 상기 본체의 상부를 통해 바로 끼워 넣거나 빼 낼 수 있도록 마주하는 어느 일 측에 형성된 상기 판넬 단부 수용 홈의 상부를 하부에 비해 짧게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박스.
KR2020060006870U 2006-03-14 2006-03-14 컨트롤 박스 KR200419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870U KR200419749Y1 (ko) 2006-03-14 2006-03-14 컨트롤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870U KR200419749Y1 (ko) 2006-03-14 2006-03-14 컨트롤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749Y1 true KR200419749Y1 (ko) 2006-06-23

Family

ID=4448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870U KR200419749Y1 (ko) 2006-03-14 2006-03-14 컨트롤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7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654B1 (ko) 2009-07-24 2011-08-18 김덕휴 산업용 컨트롤 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654B1 (ko) 2009-07-24 2011-08-18 김덕휴 산업용 컨트롤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238427A (e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assembly
CN204422575U (zh) 一种智能电力仪表及其壳体结构
KR200419749Y1 (ko) 컨트롤 박스
KR20130131153A (ko) 천정재 고정 시스템
TW202019261A (zh) 機殼元件與電器設備
KR20170034123A (ko) 조립블록을 이용한 전원분배장치
KR101763542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외곽 프레임 어셈블리
KR101899350B1 (ko) 단자대 조립체
TW201348924A (zh) 電源分配單元及具有該電源分配單元的機櫃
CN208038844U (zh) 洗衣机
CN107366132A (zh) 一种易拆卸控制盘结构及其装配方法
CN205874772U (zh) 一种易拆卸控制盘结构
CN212783927U (zh) 一种网络面板
CN205048860U (zh) 冰箱的顶盖组件和冰箱
TW201427550A (zh) 電路板固定裝置
KR200458849Y1 (ko) 칸막이용 패널의 조립구
KR100925423B1 (ko) 누전 차단기를 용이하게 탈착하는 누전 차단기 받침구
KR200441869Y1 (ko) 컨트롤 박스
CN207537753U (zh) 用于洗衣机的支撑机构及洗衣机
CN216438988U (zh) 面板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1316562U (zh) 面板组件及具有该面板组件的热水器
CN2624557Y (zh) 对讲机的组装结构改良
CN112991637B (zh) 商用衣物处理设备
CN205336670U (zh) 一种卫星接收盒子
CN210018400U (zh) 自锁扣拆装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31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3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3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25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80225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6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