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746Y1 - Packing container with double container structure with pressurized pumping device - Google Patents
Packing container with double container structure with pressurized pump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9746Y1 KR200419746Y1 KR2020060006683U KR20060006683U KR200419746Y1 KR 200419746 Y1 KR200419746 Y1 KR 200419746Y1 KR 2020060006683 U KR2020060006683 U KR 2020060006683U KR 20060006683 U KR20060006683 U KR 20060006683U KR 200419746 Y1 KR200419746 Y1 KR 20041974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mping device
- pressure
- hole
- button
- ca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1552 falling fil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10 lo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rin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55—Containers provided with a piston or a movable bottom, and permitting admixture within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for dispensing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 B65D83/16—Actuating means
- B65D83/20—Actuator c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for dispensing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 B65D83/68—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 B65D83/682—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initially separated and subsequently mixed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종의 내용물의 혼합으로 인해 야기되는 변질의 발생을 최소한도로 늦춰주는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목(11)이 이 형성된 몸체(10)와, 가압식 펌핑장치(20)와, 상기 가압식 펌핑장치(20)의 상부가 관통노출되게 고정시켜주고, 상면에 압력전달테(32)가 구비되며, 하면에 하강안내구용 하강막(33)이 구비된 하강안내구(30)와, 상기 가압식 펌핑장치(20)의 상측에 연통되는 버튼(40)과, 상기 몸체(10)의 적재공간 중 일측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하강유도용 장홈(51)이 상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측면에 내삽용 구멍(52)이 형성된 내부용기(50)와, 상기 내삽용 구멍(52)에 끼워지는 것으로 연결관용 관통공(61a)이 형성된 고정돌기(61)가 측면에 돌출되고, 내측면에 하강방지막(62)이 돌출된 연결관(60)과, 상기 연결관(60)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것으로 이종내용물(W2)이 수용된 보조수용부(70)와, 상기 상부압착구용 판재(72a)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피스톤(80)과, 상기 몸체(10)의 목(11)의 외주연에 걸쳐진 것으로 상기 버튼(40)이 외부로 노출된 이동캡(90)으로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ual container structure applied with a pressure pumping device that minimizes the generation of deterioration caused by the mixing of different contents, the body (10) formed with a neck (11), The pressurized pumping device 20 and the upper part of the pressurized pumping device 20 are fixed to be exposed through, and a pressure transfer frame 3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ing film 33 for the lowering guide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The lower guide 30, the button 40 is communicated to the upper side of the pressurized pumping device 20, and being mounted on one side of the loading space of the body 10, the lower induction long groove 51 It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the inner container 50 having an interpolation hole 52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fixing projection 61 formed with the through-hole 61a for the connection pipe is inserted into the interpolation hole 52. ) Protrudes to the side, and the connection pipe 60 protruding the anti-falling film 62 on the inner side, The piston 80, which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receiving portion 70 accommodated with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ng pipe 60, the heterogeneous contents (W2) is accommodated, and the upper pressing plate (72a), and the body The button 40 is made of a movable cap 9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neck 11 of the neck 10.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의 결합상태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the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ual container structure to which the pressure pum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고안의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의 요부사시도,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ual container structure applied pressure pum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의 구성인 보조수용부에 수용된 이종 내용물을 내부용기로 토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 1작동상태도, 3 is a first operating state showing a process of discharging the heterogeneous contents contain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portion, which is a configuration of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structure to which the pressure pum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to an inner container,
도 4는 본 고안의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의 구성인 보조수용부에 수용된 이종 내용물을 내부용기로 토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 2작동상태도, Figure 4 is a second operating state showing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heterogeneous contents contained in the auxiliary receiving portion which is a configura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structure to which the pressure pum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inner container,
도 5는 본 고안의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의 구성인 보조수용부에 수용된 이종 내용물을 내부용기로 토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 3작동상태도, 5 is a third operation state showing a process of discharging the heterogeneous contents contain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portion, which is a configuration of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structure to which the pressure pum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to an inner container,
도 6은 본 고안의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의 구성인 보조수용부에 수용된 이종 내용물을 내부용기로 토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 4작동상태도, 6 is a fourth operation state showing a process of discharging the heterogeneous contents contain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portion, which is a configuration of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structure to which the pressure pum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to an inner container,
도 7은 본 고안의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의 구성인 보조수용부에 수용된 이종 내용물을 내부용기로 토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 5작동상태도이다. 7 is a fifth operatio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charging the heterogeneous contents contain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portion, which is a configuration of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structure to which the pressure pum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to an inner contain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 : 몸체 11 : 목10: body 11: neck
20 : 가압식 펌핑장치 30 : 하강안내구20: pressurized pumping device 30: lowering guide
31 : 끼움단턱 32 : 압력전달테31: fitting step 32: pressure transfer frame
33 : 하강안내구용 하강막 40 : 버튼33: descent film for descent guide 40: button
41 : 토출노즐 50 : 내부용기41: discharge nozzle 50: inner container
51 : 하강유도용 장홈 52 : 내삽용 구멍51: long groove for descending induction 52: hole for interpolation
53 : 밀폐부재 60 : 연결관53: sealing member 60: connector
61 : 고정돌기 61a : 연결관용 관통공61 fixing
62 : 하강방지막 62a : 하강방지막용 관통공62:
70 : 보조수용부 71 : 하부지지구70: auxiliary receiving portion 71: lower support
71a : 하부지지구용 판재 71b : 하부지지구용 밀폐막71a: Plate for
72 : 상부압착구 72a : 상부압착구용 판재72:
72b : 상부압착구용 밀폐막 73 : 하강안내용 핀72b: sealing film for the upper pressing port 73: downward guide pin
73a : 하강방지용 오링 80 : 피스톤73a: O-ring for preventing falling 80: Piston
90 : 이동캡 91 : 노출구멍90: moving cap 91: exposure hole
92 : 안착턱 93 : 마찰발생부92: mounting jaw 93: friction generating portion
100 : 이동캡용 하강방지부재 110 : 보호캡100:
본 고안은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가 구매하여 사용 전까지 서로 상이한 성분을 갖는 각 내용물이 혼합되지 않고 개별 성분으로 존재하도록 구분되어 수용되고, 최초 사용 시에 각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이종의 내용물의 혼합으로 인해 야기되는 변질의 발생을 최소한도로 늦춰주는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and more specifically, each content having different components from each other until the consumer purchases and uses it is classified and accepted to exist as an individual component, and mixed with each content at the first u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structure in which a pressurized pumping device can be minimized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deterioration caused by mixing of different contents.
일반적으로, 액체 또는 겔상태로 이루어진 의약품 및 화장품(크림, 로숀, 린스, 샴프, 헤어젤 등)은 내용물의 변질을 최대한 지연하기 위해 밀폐된 유리 내지 합성수지와 같은 포장용기 등에 수용, 보관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고, 아울러 그 수용된 내용물을 원할하게 토출 사용토록 하기 위한 부가적 수단으로 의약품 및 화장품의 포장용기의 상단부에 가압식 펌핑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In general, medicines and cosmetics (cream, lotion, rinse, shampoo, hair gel, etc.) in liquid or gel form are generally stored and stored in a sealed container such as glass or plastic in order to delay the deterioration of the contents. As an additional means for smoothly discharging and using the contained contents, a pressurized pumping device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a packaging container for medicines and cosmetics.
그런데 최근 들어, 동일 계열이면서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혼합함으로서 보다 낳은 효과를 제공하는 액체 또는 겔상태로 이루어진 의약품 및 화장품(기 능성 화장품)들이 출시되고 있는데 이처럼, 두 가지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 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다 낳은 효과를 제공하여 주는 이점이 있지만, 성분에 차이가 있는 두 종류의 내용물이 혼합됨으로서 야기되는 내용물의 변질이 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Recently, pharmaceuticals and cosmetics (functional cosmetics), which are in the form of liquids or gels that provide better results by mixing contents of the same series and different ingredients, have been released. As mention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better effect,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terioration of the contents caused by the mixing of two kinds of contents having different ingredients progresses faster.
이 때문에, 소비자가 구매하여 사용 전까지 서로 상이한 성분을 갖는 각 내용물이 혼합되지 않고 개별 성분으로 존재하도록 구분되어 수용되고, 최초 사용 시에 각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For this reason, a double container with a pressurized pumping device that can be used by mixing the contents of each content to be used as a separate component instead of being mixed with each other to be present as a separate component before the consumer purchases and uses it. There is a need for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structure.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가 구매하여 사용 전까지 서로 상이한 성분을 갖는 각 내용물이 혼합되지 않고 개별 성분으로 존재하도록 구분되어 수용되고, 최초 사용 시에 각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ccommodated separately so that each content having a different component from each other is present as a separate component before the purchase and use by the consumer, the first u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structure to which a pressure pumping device that can mix and use each content is applied.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 기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의 요부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의 구성인 보조수용부에 수용된 이종 내용물을 내부용기로 토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 1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의 구성인 보조수용부에 수용된 이종 내용물을 내부용기로 토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 2작동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의 구성인 보조수용부에 수용된 이종 내용물을 내부용기로 토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 3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의 구성인 보조수용부에 수용된 이종 내용물을 내부용기로 토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 4작동상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의 구성인 보조수용부에 수용된 이종 내용물을 내부용기로 토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 5작동상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ined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structure to which the pressure pum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the pack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structure to which the pressure pum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first operatio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charging the heterogeneous contents contain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portion, which is a configuration of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structure to which the pressure pum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to an internal container, and FIG. 4 is a pressure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ond operatio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charging the heterogeneous contents contain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ng part, which is a configuration of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structure to which a pumping device is applied, into an inner container, and FIG. 5 is a double applying the pressure pum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discharging the heterogeneous contents contain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portion, which is a configuration of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container structure, into an inner container; 6 is a fourth operatio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charging the heterogeneous contents contain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portion, which is a configuration of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structure to which the pressure pum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to an inner container, and FIG. FIG. 5 is a fifth operatio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charging the heterogeneous contents contain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ng part, which is a configuration of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structure, to which the pressurized pumping device is appli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는 내부에 적재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상측면부를 단턱지게 하여 목(11)이 이 형성된 몸체(10)와, 가압식 펌핑장치(20)와, 상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식 펌핑장치(20)의 상부가 관통노출되고, 내부면에 끼움단턱(31)이 돌출되어 관통된 상기 가압식 펌핑장치(20)를 고정시켜주며,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압력전달테(32)가 일체로 구비되고, 하면에 하강안내구용 하강막(33)이 일체로 구비된 하강안내구(30)와, 상기 가압식 펌핑장치(20)의 상측에 연통되는 것으로 토출노즐(41)이 구비된 버튼(40)과, 내용물(W1)이 수용되어 상기 몸체(10)의 적재공간 중 일측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하강안내구(30)의 하강막(33)이 하강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하강유도용 장홈(51)이 상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측면에 내삽용 구멍(52)이 형성되며, 상기 버튼(40)을 누름으로서 상기 가압식 펌핑장치(20)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상부로 토출된 내용물(W1)의 양 만큼 상부로 이동되는 밀폐부재(53)가 내부에 끼워진 내부용기(50)와, 상기 몸체(10)의 적재공간 중 타측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용기(50)의 상측면에 형성된 내삽용 구멍(52)에 끼워지는 고정돌기(61)가 측면에 돌출되고, 그 돌출된 고정돌기(61)에는 연결관용 관통공(61a)이 형성되며, 내측면에 하강방지막(62)이 돌출된 연결관(60)과, 상기 연결관(60)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것으로 하부지지구용 판재(71a)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지지구용 밀폐막(71b)이 돌출되되, 그 돌출된 하부지지구용 밀폐막(71b)의 외측면이 상기 연결관용 관통공(61a)을 폐쇄시키고, 그 돌출된 하부지지구용 밀폐막(71b)의 끝단이 상기 하강방지막(62)과 떨어져 배치되는 하부지지구(71), 상기 하부지지구(71) 상에 이종내용물(W2)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60)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부압착구용 판재(72a)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압착구용 밀폐막(72b)이 돌출된 상부압착구(72)로 이루어진 보조수용부(70)와, 상기 상부압착구용 판재(72a)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피스톤(80)과, 상기 몸체(10)의 목(11)의 외주연에 걸쳐지되 내면이 상기 피스톤(80)에 닿지 않게 걸쳐진 것으로 상기 가압식 펌핑장치(20)에 연통된 버튼(4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면에 노출구멍(91)이 형성된 이동캡(90)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structure to which the pressure-pum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load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upper side is opened, the upper side of the body is formed by the neck (11) formed body ( 10), the pressurized
상기 가압식 펌핑장치(20)는 다양한 구조 및 기능이 적용되어 현재 여러가지 형태의 제품으로 개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같은 가압식 펌핑장치(20)의 일반적인 작동원리는 사용자의 손을 이용, 버튼(40)을 누르게 되면, 그 가압력에 의해 내부용기(50)에 수용된 내용물(W1)이 펌핑되어 노즐을 통해 일정량씩 외부로 토출되는 장치이다.The pressurized
상기 이동캡(90)의 노출구멍(91)을 통해 노출되는 버튼(40)에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노출구멍(91)을 이루는 이동캡(90)의 내주연에는 상기 버튼(40)의 외주연에 접촉되는 마찰발생부(93)가 일체로 설치되되, 상기 버튼(40)과 마찰발생부(93)간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의 세기는 상기 버튼(40)을 눌러 내용물(W1)이 외부로 토출됐을 때의 상기 가압식 펌핑장치(20)에서 발생하는 스프링력보다 작도록 제공한다.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여기서, 마찰발생부(93)는 도면을 참조하여, 복수개의 돌편이 등방위로 배치된 형상을 갖으며,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실리콘과 같은 연한 재질이 막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Here, the
상기 하강방지막(62)에는 하강방지막용 관통공(62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구(71)의 하면에는 하강 안내용 핀(73)이 돌출되어 상기 관통공(62a)에 내입되되, 상기 버튼(40)을 통해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보다 작은 압력하에서는 상기 하부지지구(71)가 하강하지 않도록 상기 하강 안내용 핀(73)의 외주연에는 하강방지용 오링(73a)이 일체로 구비되어 제공된다. The
상기 몸체(10)의 목(11)의 외주연에 걸쳐진 상기 이동캡(90)이 외부의 충격 에 의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10)의 목(11)의 외주연에 걸쳐진 상기 이동캡(90)의 하부에는 이동캡용 하강방지부재(100)가 구비된다. The moving cap over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여기서, 이동캡용 하강방지부재(100)는 도면을 참조하여, U자형 띠의 외측면에 손잡이가 일체로 연결된 형상을 갖으며,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단이 절취가능하게 제공되는 환형의 띠로도 제공될 수도 있다. Here, the falling
또한, 본 고안의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에는 보호캡(110)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캡(90) 상에는 상기 보호캡(110)이 씌워진다. In addition, the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ual container structure to which the pressure-type pum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이처럼, 보호캡(110)을 씌우는 주된 이유는 제품의 유통 또는 판매 시 외부로부터 충격이 이동캡(90) 상에 노출된 버튼(4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보호캡(110)이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이동캡(9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안착턱(9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uch, the main reason for covering the
그리고 몸체(10)의 적재공간에 안착되는 내부용기(50)는 사용 시 몸체(10)의 적재공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그 안착된 내부용기(50)의 상면부를 고정지지시키는 고정케이싱이 몸체(10)의 목(11)의 외주연에 추가로 구비되며, 이동캡(90)은 그 구비된 고정 케이싱의 외부연에 끼움고정되어 제공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연결관(60)에 내입되는 상부압착구(72)도 이탈되지 않도록 피스톤(8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고정덮개가 상기 연결관(60) 상에 끼움 고정되어 제공된다. In addition, a fixing cover having a hole in the center is fitted on the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의 구성인 보조수용부에 수용된 이종 내용물을 내부용기로 토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us,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heterogeneous contents contain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portion, which is a configura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structure to which the pressure-type pum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applied, is as follows.
먼저, 제 1작동상태도(도 3참조)로서, 몸체(10)의 목(11)의 외주연에 걸쳐진 이동캡(90)이 하강되는 것을 방지시켜 주는 이동캡용 하강방지부재(100)를 제거한다. First, as a first operation state diagram (see FIG. 3), the moving
제 2작동상태도(도 4참조)로서, 이동캡용 하강방지부재(100) 제거 후 보호캡(110)을 눌러 압력(P)을 가하면 보호캡(110)이 하강하며, 보호캡(110)과 끼움 연결된 이동캡(90) 또한 연동하여 하강되되, 그 하강되는 이동캡(90)의 내면이 피스톤(80) 및 하강안내구(30)의 압력전달테(32)의 상면에 접촉될 때까지 하강된다. As a second operation state diagram (see Fig. 4), the
이때, 이동캡(90) 상에 노출된 버튼(40)의 외주연은 노출구멍(91)을 이루는 이동캡(90)의 내주연에 설치된 마찰발생부(93)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마찰력이 발생하고, 그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인해 버튼(40)도 눌러지게 됨으로써 가압식 펌핑장치에 구비된 스프링도 압축되면서, 가압식 펌핑장치의 내부공간이 부피수축이 일어나고, 그 부피수축이 발생한 만큼의 공기의 양이 토출노즐(4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여기서, 버튼(40)과 마찰발생부(93)간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의 세기는 버튼(40)을 눌러 내용물(W1)이 외부로 토출됐을 때의 상기 가압식 펌핑장치(20)에 구비된 스프링의 압축으로 인해 발생하는 스프링력보다 작기 때문에 압축된 스프링이 복원되면서 복원되고, 이로 인해 버튼(40)도 상부로 이동(M)하게 된다.Here, the strength of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제 3작동상태도(도 5참조)로서 보호캡(110)을 통해 계속 가해지는 압력(P)으 로 인해 보호캡(110) 및 그 보호캡(110)과 끼움 연결된 이동캡(90)은 계속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이동캡(90)의 내면에 각각 접촉된 피스톤(80) 및 하강안내구(30)도 같이 하강한다. As a third operation state diagram (see FIG. 5), the
여기서, 이동캡(90)에 접촉된 하강안내구(30)는 그 하강안내구(30)를 구성하는 하강안내구용 하강막(33)이 내부용기(50)의 하강유도용 장홈(51)을 따라 하강 안내된다. Here, the lowering
또한, 이동캡(90)에 접촉된 피스톤(80)은 그 피스톤(80)과 연결된 상부압착구(72)로 압력을 전달하고, 그 전달된 압력에 의해 상부압착구(72)는 수용된 이종내용물(W2)로 전달되어 하부지지구(71)로 가해지는 압력을 중계전달한다. In addition, the
이때, 하부지지구(71)는 하면에 설치된 하강 안내용 핀(73)의 외주연에 돌출된 하강방지용 오링(73a)이 연결관(60)의 내측면에 구비된 하강방지막(62)의 하강방지막용 관통공(62a) 상에 걸쳐져 있으나,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그 걸쳐진 오링(73a)이 하강방지막용 관통공(62a)을 통과하고, 이로 인해 하강방지막(62)과 떨어져 있던 하부지지구(71)의 하부지지구용 밀폐막(71b)의 끝단면이 하강방지막(62) 상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At this time, the
이로 인해, 하부지지구(71)의 외측면에 의해 폐쇄되었던 연결관(60)의 연결관용 관통공(61a)이 개방되어 내부용기(50)와 보조수용부(70)가 연통된다. As a result, the through-
제 4작동상태도(도 6참조)로서 이후, 보호캡(110)을 통해 계속 가해지는 압력(P)으로 인해 보호캡(110) 및 이동캡(90)은 계속 하강되고, 이동캡(90)의 내면에 각각 접촉된 피스톤(80) 및 하강안내구(30)도 계속 하강하게 된다. As a fourth operation state diagram (see FIG. 6), the
즉, 이동캡(90)에 접촉된 하강안내구(30)의 하강안내구용 하강막(33)은 내부용기(50)의 하강유도용 장홈(51)을 따라 계속 하강 안내된다. That is, the falling
또한, 이동캡(90)에 접촉된 피스톤(80)도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하부지지구(71)의 하부지지구용 밀폐막(71b)의 끝단면이 하강방지막(62) 상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가해지는 압력을 전달받는 이종내용물(W2)은 개방된 연결관용 관통공(61a)을 통해 내부용기(50)로 토출된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내부용기(50)의 공간은 하강되는 하강안내구(30) 및 수용되는 이종내용물(W2)로 인해 부피수축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내부용기(50)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는 가압식 펌핑장치(20)에 구비된 볼을 상부로 밀게 되고, 이로 인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가압식 펌핑장치(20)가 통공되어 그 부피수축이 발생된 양 만큼의 공기가 토출노즐(4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Here, the space of the
제 5작동상태도(도 7참조)로서 보조수용부(70)에 수용된 이종내용물(W2)이 개방된 연결관용 관통공(61a)을 통해 내부용기(50)로 모두 토출될 때까지 보호캡(110)을 통해 계속 압력(P)을 가하면 상부압착구(72)의 상부압착구용 밀폐막(72b)과 하부지지구(71)의 하부지지구용 밀폐막(71b)이 서로 접촉되면서 보호캡(110) 및 이동캡(90)의 하강은 정지되고, 가압식 펌핑장치(20)에 구비된 압축된 스프링은 복원된다. As the fifth operation state diagram (see FIG. 7), the protective cap (b) until the heterogeneous contents (W2)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portion (70) are discharged to the inner container (50) through the open connection through holes (61a). When the pressure P is continuously applied through the
이때, 내부용기(50)에 위치되는 가압식 펌핑장치(20)의 끝단부는 하강안내구(30)의 하강으로 인해 자리이동과 더불어 혼합된 이종내용물(W2)로 인해 수용된 내용물(W1)의 표면 보다 아래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펌핑작업을 통해 일정량의 혼 합된 내용물(W1,W2)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최초 사용 전에 혼합된 내용물(W1,W2)이 균일하게 잘 섞이도록 흔들어 사용하는 것이 좋다. At this time, the end portion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비자가 구매하여 사용 전까지 서로 상이한 성분을 갖는 각 내용물이 혼합되지 않고 개별 성분으로 존재하도록 구분되어 수용되고, 최초 사용 시에 각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이종의 내용물의 혼합으로 인해 야기되는 변질의 발생을 최소한도로 늦춰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lassified and accommodated so that each content having different components from each other is present as individual components without being mixed before being purchased and used by consumers, and each content can be mixed and used at the first use. It has an effect that minimizes the occurrence of deterioration caused by the mixing of the contents.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6683U KR200419746Y1 (en) | 2006-03-13 | 2006-03-13 | Packing container with double container structure with pressurized pump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6683U KR200419746Y1 (en) | 2006-03-13 | 2006-03-13 | Packing container with double container structure with pressurized pump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9746Y1 true KR200419746Y1 (en) | 2006-06-23 |
Family
ID=4448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668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19746Y1 (en) | 2006-03-13 | 2006-03-13 | Packing container with double container structure with pressurized pump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9746Y1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4307B1 (en) * | 2007-02-07 | 2008-04-23 | 조규석 | Vacuum pumping vessel |
KR20160008298A (en) * | 2014-07-14 | 2016-01-22 | 김건무 | Container having double dispensers for adjusting a pumping amount |
KR101728277B1 (en) | 2016-04-01 | 2017-04-18 | 박문식 | Tumbler having storage space for the additive |
KR101983063B1 (en) * | 2018-04-12 | 2019-05-29 | 주식회사 탭코리아 | Cosmetic containers that can be mixed with different cosmetics |
WO2020027567A1 (en) * | 2018-07-31 | 2020-02-06 | 박문식 | Tumbler for preparing beverage and additive-storing capsule therefor |
KR20200014200A (en) * | 2018-07-31 | 2020-02-10 | 박문식 | Tumbler for drink manufacturing |
KR20200024444A (en) * | 2018-08-28 | 2020-03-09 | 함형길 | A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mixing of contents |
KR102139207B1 (en) * | 2020-03-13 | 2020-07-29 | 서현영 | Dual brush for hair dye with auxiliary container |
KR102236452B1 (en) * | 2021-01-26 | 2021-04-05 | 박동민 | Container unit |
US11871874B2 (en) | 2018-07-31 | 2024-01-16 | Moon Sik PARK | Tumbler for preparing beverage and additive-storing capsule therefor |
-
2006
- 2006-03-13 KR KR2020060006683U patent/KR200419746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4307B1 (en) * | 2007-02-07 | 2008-04-23 | 조규석 | Vacuum pumping vessel |
KR20160008298A (en) * | 2014-07-14 | 2016-01-22 | 김건무 | Container having double dispensers for adjusting a pumping amount |
KR101600900B1 (en) * | 2014-07-14 | 2016-03-08 | 김건무 | Container having double dispensers for adjusting a pumping amount |
KR101728277B1 (en) | 2016-04-01 | 2017-04-18 | 박문식 | Tumbler having storage space for the additive |
WO2017171443A1 (en) * | 2016-04-01 | 2017-10-05 | 박문식 | Tumbler having additive storage space |
US10549898B2 (en) | 2016-04-01 | 2020-02-04 | Moon Sik PARK | Tumbler having additive storage space |
KR101983063B1 (en) * | 2018-04-12 | 2019-05-29 | 주식회사 탭코리아 | Cosmetic containers that can be mixed with different cosmetics |
KR20200014200A (en) * | 2018-07-31 | 2020-02-10 | 박문식 | Tumbler for drink manufacturing |
WO2020027567A1 (en) * | 2018-07-31 | 2020-02-06 | 박문식 | Tumbler for preparing beverage and additive-storing capsule therefor |
KR102210000B1 (en) | 2018-07-31 | 2021-02-01 | 박문식 | Tumbler for drink manufacturing |
CN112469639A (en) * | 2018-07-31 | 2021-03-09 | 朴文植 | Cup and additive storage capsule for beverage production |
CN112469639B (en) * | 2018-07-31 | 2022-06-03 | 朴文植 | Beverage-making cup and additive storage capsule therefor |
US11871874B2 (en) | 2018-07-31 | 2024-01-16 | Moon Sik PARK | Tumbler for preparing beverage and additive-storing capsule therefor |
KR20200024444A (en) * | 2018-08-28 | 2020-03-09 | 함형길 | A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mixing of contents |
KR102124339B1 (en) * | 2018-08-28 | 2020-06-18 | 함형길 | A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mixing of contents |
KR102139207B1 (en) * | 2020-03-13 | 2020-07-29 | 서현영 | Dual brush for hair dye with auxiliary container |
KR102236452B1 (en) * | 2021-01-26 | 2021-04-05 | 박동민 | Container uni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19746Y1 (en) | Packing container with double container structure with pressurized pumping device | |
EP3205228B1 (en) | Two-liquid mixing container provided with pressing pocket | |
KR101308844B1 (en) | Spuit type vessel cap capable of discharging standard capacity and automatic filling up | |
KR200473968Y1 (en) | A cosmetic container for discharged use of different kinds of contents | |
KR101270347B1 (en) | Spuit type vessel cap capable of discharging standard capacity and automatic filling up | |
CN105358008B (en) | Compression cosmetics containers | |
KR101430988B1 (en) | Cosmetic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 |
JP2018510820A (en) | Dissimilar contents mixing container | |
JP2001309816A (en) | Dispensing cap and container provided with the cap | |
US4340155A (en) | Two-compartment pack | |
JPH02269685A (en) | Compressive discharging vessel | |
JPH09169372A (en) | New pressure device | |
KR101155400B1 (en) | Content discharge pressurization type of package | |
FR2773543A1 (en) | EXTERNAL PRESSURE PACKAGING AND DISTRIBUTION ASSEMBLY | |
KR102064062B1 (en) | Pump type liquid sealed container | |
KR102306251B1 (en) | Container | |
JP2003040368A (en) | Discharger for a plurality of content substances | |
GB2536886A (en) | An Airless, Fluid dispensing assembly and system | |
KR102092203B1 (en) | Different contents mixing container with an airless pump | |
US20210354154A1 (en) | Refillable dispenser and pressurized refilling device | |
KR20150042944A (en) | Cap for Receptacle for Beverage | |
KR101584255B1 (en) | A liquid foundation cushion compact container | |
JP4679014B2 (en) | Viscous liquid dispensing container | |
KR20140086331A (en) | Airless Cosmetic Container Having Capsule Grinding Function | |
KR102124339B1 (en) | A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mixing of cont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313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6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31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60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5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305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