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849Y1 - Door lock with adjustable position of the handle - Google Patents
Door lock with adjustable position of the hand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8849Y1 KR200418849Y1 KR2020060007284U KR20060007284U KR200418849Y1 KR 200418849 Y1 KR200418849 Y1 KR 200418849Y1 KR 2020060007284 U KR2020060007284 U KR 2020060007284U KR 20060007284 U KR20060007284 U KR 20060007284U KR 200418849 Y1 KR200418849 Y1 KR 2004188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door
- rotating shaft
- locking device
- fit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를 잠금하는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도어를 열고 닫기 위해 회전시키는 손잡이의 위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ing device for locking a door,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ing device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adjust the position direction of a handle that rotates to open and close the do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의 외측으로 회전축이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에 손잡이가 끼워져 장착되며, 상기 손잡이의 회전을 통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구성된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원주 둘레를 따라 형성된 요철부와, 상기 손잡이를 상기 회전축에 끼웠을 때에 상기 요철부의 어느 한 요부에 정합되도록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oor with a rotating shaft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door, the handle is fitted to the rotating shaft, the door configured to open or close the door while rotating the rotating shaft through the rotation of the handle The lock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cave-convex portion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ry shaft, and a projection formed on the handle to match any concave portion of the concave-convex portion when the knob is fitted to the rotary shaft.
도어잠금장치, 요철부, 회전축, 돌기, 손잡이, 위치방향 Door lock, irregularities, rotating shaft, projection, handle, position direction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어잠금장치의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of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잠금장치에서 손잡이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handle is pulled out in the door locking device shown in FIG.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위치방향이 조절 가능한 도어잠금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Figure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oor locking device is adjustable in the position direction of th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잠금장치의 분해단면도이며,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locking device shown in FIG.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손잡이가 제거된 상태의 회전축을 나타낸 정면도이고,5 is a front view showing a rotating shaft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shown in Figure 3 is removed,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손잡이의 중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ollow of the handle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도어잠금장치 113 : 요철부100: door locking device 113: uneven portion
113a : 요부 120 : 손잡이113a: main part 120: handle
121 : 중공 123 : 돌기121: hollow 123: protrusion
본 고안은 도어를 잠금하는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도어를 열고 닫기 위해 회전시키는 손잡이의 위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device for locking the door, and in particular, the user can be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 direction of the handle to rotate to open and close the door.
도어에는 도어잠금장치가 장착되어 도어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도어잠금장치를 잠금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잠금장치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걸쇠가 잠금뭉치 안쪽으로 이동하여 도어를 열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반대로 회전시킨 손잡이를 놓으면 손잡이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역회전하면서 걸쇠가 잠금뭉치 밖으로 이동하여 문틀의 홈에 삽입되면서 닫힌 상태가 된다.The door is equipped with a door lock and configured to lock or unlock the door. In general, if the user rotates the door lock handle without locking the door lock, the latch moves to the inside of the lock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and when the handle is released, the handle becomes the spring elastic force. By the reverse rotation by the latch is moved out of the lock and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door frame is closed.
도면에서,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어잠금장치의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잠금장치에서 손잡이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다.In the drawing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le of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pulled out of the door lock shown in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에 장착된 도어잠금장치(10)는 회전축(11)이 도어(1)의 외측 정면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11)에 손잡이(13)가 끼워져 장착 고정된다. 이와 같이 회전축(11)에 끼워진 손잡이(13)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면, 도어(1)의 내측에 위치한 잠금뭉치(17)의 걸쇠(19)가 도어(1)의 측면에서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도어(1)를 열고 닫을 수 있게 작동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이와 같은 종래 도어잠금장치(10)의 구조에 있어서, 키(20)와 키홈(21)의 결합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손잡이(13)를 회전시키는 힘이 회전축(11)의 회전으로 전 달된다.In the structure of the
구체적으로, 회전축(11)의 안쪽에는 키(20)가 형성되고, 회전축(11)이 끼워지는 손잡이(13)의 중공(15)에는 상기 키(20)가 정합되는 키홈(21)이 형성된다.Specifically, a
따라서 손잡이(13)의 중공(15)에 회전축(11)을 끼워 장착하게 되면, 키(20)는 키홈(21)에 끼워져 정합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13)를 회전시키면, 손잡이(13)가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모멘트는 키(20)와 키홈(21)의 결합관계를 통해 회전축(11)의 회전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회전축(11)이 회전하게 되면 잠금뭉치(17)의 걸쇠(19)가 잠금뭉치(19) 안쪽으로 인입되어 도어(1)를 열 수 있게 되고, 반대로 이 상태에서 손잡이(13)를 놓으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손잡이(13)가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걸쇠(19)는 잠금뭉치(17)에서 인출되어 문틀의 홈에 삽입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Therefore, when the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잠금장치는 한 개의 키와 키홈의 결합관계로 힘이 전달되기 때문에, 키와 키홈의 위치에 따라 손잡이의 위치 방향은 한 쪽 방향을 향하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oor lock device, since the force is transmitted by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one key and the key groove, the position of the handle is directed toward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key and the key groove.
일반적으로 도어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손잡이는 도어의 안쪽으로 수평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도어에 위치한 손잡이는 사용자가 오른손잡이든 왼손잡이든 무관하게 손잡이의 방향이 일괄적으로 설정되어 있어, 도어를 열고 닫음에 불편함이 따른다.In general, the handle located at one edge of the door is horizontally positioned inside the door. Therefore, the handle located on the door is set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collectively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is right-handed or left-handed, it is inconvenient to open and close the door.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 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손에 따라 손잡이를 용이하게 파지하고 회전할 수 있도록 손잡이의 위치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door lock device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andle to easily grip and rotate the handle according to the user's mainly used hand The purpose is to provide.
이와 같이 손잡이의 위치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됨에 따라 편안하게 도어잠금장치의 손잡이를 파지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더불어 사용자가 무거운 짐을 들고 있을 때에도 용이하게 손잡이를 회전시켜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다.As such, the handle can be rotated by holding the handle of the door lock device comfortably, and the user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door by rotating the handle even when the user is carrying a heavy loa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의 외측으로 회전축이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에 손잡이가 끼워져 장착되며, 상기 손잡이의 회전을 통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구성된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원주 둘레를 따라 형성된 요철부와, 상기 손잡이를 상기 회전축에 끼웠을 때에 상기 요철부의 어느 한 요부에 정합되도록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oor with a rotating shaft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door, the handle is fitted to the rotating shaft, the door configured to open or close the door while rotating the rotating shaft through the rotation of the handle The lock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cave-convex portion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ry shaft, and a projection formed on the handle to match any concave portion of the concave-convex portion when the knob is fitted to the rotary shaft.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부는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 접해 위치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even portion is locat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의 위치방향이 조절 가능한 도어잠금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oor locking device is adjustable in the position direction of th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에서,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위치방향이 조절 가능한 도어잠금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잠금장치의 분해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손잡이가 제거된 상태의 회전축을 나 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손잡이의 중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In the drawings, Figure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oor locking device that can adjust the position direction of th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locking device shown in FIG. And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a rotating shaft of the handle shown in Figure 3 is removed,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ollow of the handle shown in FIG.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에 장착된 도어잠금장치(100)는 회전축(110)이 도어(1)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110)에 손잡이(120)가 끼워져 장착 고정된다. 이와 같이 회전축(110)에 손잡이(120)가 끼워져 고정됨에 있어서, 요철부(113)가 회전축(110)의 원주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120)에는 상기 요철부(113) 중에서 요부(113a)에 정합하는 돌기(123)가 한 개 이상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120)를 회전축(110)에 끼워 고정함에 있어서, 돌기(123)가 요철부(113)에 형성된 다수 개의 요부(113a) 중 어느 요부에 정합하느냐에 따라 손잡이(120)의 위치방향이 조절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도어잠금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oor lock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어잠금장치(100)의 회전축(110)이 도어(1)의 일측 가장자리에 수평하게 돌출된다. 상기 회전축(110)이 회전하면 도어(1) 내부에 장착된 잠금뭉치(17)의 걸쇠(19)가 도어(1) 측면 밖으로 인출되거나 인입되면서, 도어(1)가 닫힌 상태 또는 열 수 있는 상태가 된다.The rotating
한편, 상기 회전축(110)의 안쪽에는 회전축(110)의 원주를 따라 방사형태로 요부(113a)와 철부(113b)가 교번된 요철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요철부(113)는 회전축(110)과 일체로 형성되며 도어(1)의 정면에 접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rotating
또한 손잡이(120)에는 중공(121)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10)이 관통해 위치하며, 상기 중공(121)에는 돌기(123)가 돌출되어 회전축(110)이 끼워졌을 때에 요철부(113)의 어느 한 요부(113a)에 정합한다.In addition, the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도어잠금장치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door lock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회전축(110)이 도어(1)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정면으로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도어잠금장치(100)를 설치한다. 이때 요철부(113)는 도어(1)의 정면에 접해 위치하며, 이 상태에서 회전축(110)이 손잡이(120)의 중공(121)에 삽입되도록 손잡이(120)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손잡이(120)가 회전축(110)을 따라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요철부(113)와 손잡이(120)의 돌기(123)가 정합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120)의 위치방향을 자신이 원하는 쪽으로 위치하게 회전한 상태에서, 손잡이(120)를 요철부(113)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손잡이(120)의 돌기(123)가 요철부(113)에 형성된 다수 개의 요부(113a) 중 어느 한 요부에 정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120)를 회전축(110)에 고정한다.The
여기에서 손잡이(120)를 회전축(110)에 고정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그 예로서, 회전축의 단부에 소켓을 고정하여 손잡이가 회전축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손잡이의 길이 측부에 암나사공을 형성하여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손잡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아이들 회전하지 않고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와 회전축을 고정하는 구현방식은 다양하다.Here, the method of fixing the
이와 같이 설정된 손잡이(120)의 위치방향을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120)와 회전축(110)의 체결관계를 해제한 후, 손잡이(120)를 후진하여 요부(113a)에서 돌기(123)가 인출되도록 한 후에 손잡이(120)의 위치방향을 조절한 상태에서 다시 재결합시키면, 손잡이(120)의 위치방향이 재설정된다.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position direction of the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어잠금장치는 손잡이의 위치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잡이를 회전시켜 도어를 열고 닫음에 편리한 방향으로 손잡이를 위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door 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position direction of the handle in the desired direction, the user can rotate the handle to position the handle in a convenient direction to open and close the door.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손잡이가 수평상태로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두 손에 무거운 짐을 들고 있을 경우에, 손잡이를 회전시켜 도어를 열기 어려웠으나, 본 고안의 도어잠금장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를 45도 상향으로 위치하게 손잡이의 위치방향을 변경해 둘 수 있어, 두 손에 무거운 짐을 들고서도 손잡이를 아래로 살짝 내려 도어를 열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의 위치방향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절할 수 있어, 본 고안의 도어잠금장치는 도어를 열고 닫음에 편리함을 제공한다.Conventionally, since the handle is generally positioned horizontally, when carrying a heavy load in both hands of the user, it was difficult to open the door by rotating the handle, but in the case of the door 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Likewise, the handle can be repositioned to be 45 degrees upward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by slightly lowering the handle while carrying heavy loads in both hands. Thus the position of the hand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e door 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nient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이상에서 본 고안의 손잡이의 위치방향이 조절 가능한 도어잠금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door locking device which can adjust the position direction of th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7284U KR200418849Y1 (en) | 2006-03-17 | 2006-03-17 | Door lock with adjustable position of the hand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7284U KR200418849Y1 (en) | 2006-03-17 | 2006-03-17 | Door lock with adjustable position of the hand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8849Y1 true KR200418849Y1 (en) | 2006-06-14 |
Family
ID=41768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7284U KR200418849Y1 (en) | 2006-03-17 | 2006-03-17 | Door lock with adjustable position of the hand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8849Y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7369B1 (en) * | 2018-05-24 | 2019-08-28 | 이성진 | Door safety lock |
KR102347158B1 (en) | 2021-07-22 | 2022-01-03 | 강재화 | Safety locking device for door handle |
KR102374716B1 (en) * | 2021-07-05 | 2022-03-15 | (주)파인 | Connector apparatus door's grip |
-
2006
- 2006-03-17 KR KR2020060007284U patent/KR200418849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7369B1 (en) * | 2018-05-24 | 2019-08-28 | 이성진 | Door safety lock |
KR102374716B1 (en) * | 2021-07-05 | 2022-03-15 | (주)파인 | Connector apparatus door's grip |
KR102347158B1 (en) | 2021-07-22 | 2022-01-03 | 강재화 | Safety locking device for door handle |
WO2023003110A1 (en) * | 2021-07-22 | 2023-01-26 | 강재화 | Safety locking device for door hand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6733B1 (en) | Grip type handle for locking apparatus | |
KR101810488B1 (en) | 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 |
KR200418849Y1 (en) | Door lock with adjustable position of the handle | |
US8567567B1 (en) | Winding tool for torsion spring for sectional garage door | |
KR200421611Y1 (en) | Lock pin structure of door handle | |
US7416230B2 (en) | Safety lock for lever-type door handles | |
KR200416926Y1 (en) | Handle lock locking device for lockers | |
GB2412346A (en) |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 |
KR101810487B1 (en) | 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 |
KR20110000989A (en) | door lock | |
KR101850294B1 (en) | Pull and pull all type door handling device | |
JP3135177U (en) | Lock device | |
TW202339912A (en) | Hand tool with steerable grip | |
CA2741851A1 (en) | Auger cam lock | |
EP2626487B1 (en) | Safety key device | |
CN106194934A (en) | Quick-locking mechanism and attachment means | |
KR20220055787A (en) | Ball screw driver | |
CN206205570U (en) | The handle and the sliding window with the handle | |
JP4738321B2 (en) | Lock | |
KR890003395Y1 (en) | A lock with handle | |
KR200483631Y1 (en) | Latch bolt rotation type for door lock mortise | |
KR930002986Y1 (en) | Safety device of door-lock | |
KR100546882B1 (en) | Lock for control panel door | |
KR200280809Y1 (en) | Locking apparatus for window having two-directional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 |
KR100406942B1 (en) | Locking device for Window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317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6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320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61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105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