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456Y1 - Kitchen Air Cleaning Hood - Google Patents
Kitchen Air Cleaning Ho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8456Y1 KR200418456Y1 KR2020060008594U KR20060008594U KR200418456Y1 KR 200418456 Y1 KR200418456 Y1 KR 200418456Y1 KR 2020060008594 U KR2020060008594 U KR 2020060008594U KR 20060008594 U KR20060008594 U KR 20060008594U KR 200418456 Y1 KR200418456 Y1 KR 20041845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kitchen
- housing
- inlet
- gu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 공기청정후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chen air cleaning hood.
이러한 본 고안은, 주방(K)에 설치되는 후드에 있어서, 가스렌지(GR)에서 음식물조리 중 발생된 오염공기를 흡기하는 흡기구(11)와, 상기 흡기구(11)에 안내덕트(13)로 연결되어 흡기된 공기를 주방(K)으로 배기시키는 배기구(12)가 구비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흡기구(11)로 흡기된 오염공기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재(20); 상기 필터부재(20)로 여과된 청정공기를 배기구(12)로 송풍시키도록 안내덕트(13)에 설치되는 송풍팬(30); 상기 배기구(12)로 배기된 일부의 청정공기와 주방(K)으로 확산된 오염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6)와, 상기 하우징(10)의 흡기구(11)에 연결되는 배출구(17)를 갖는 순환덕트(15); 상기 순환덕트(15)의 흡입구(16)로 흡입된 혼합공기를 배출구(17)를 통해 하우징(10)의 흡기구(11)로 배출시켜서 강제순환을 유도하는 순환팬(60)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ood installed in the kitchen (K), the intake port (11) for intake of contaminated air generated during cooking of food in the gas stove (GR), and the guide duct (13) to the intake port (11) A housing (10) having an exhaust port (12) connected to exhaust air sucked into the kitchen (K); A filter member 20 for filter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contaminated air taken into the intake port 11 of the housing 10; A blowing fan (30) installed in the guide duct (13) to blow the clean air filtered by the filter member (20) to the exhaust port (12); An inlet 16 for sucking mixed air mixed with some of the clean air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ort 12 and the contaminated air diffused into the kitchen K, and an outlet connected to the inlet 11 of the housing 10. Circulating duct 15 having 17; And a circulation fan 60 which induces forced circulation by discharging the mixed air sucked into the inlet 16 of the circulation duct 15 through the outlet 17 to the inlet 11 of the housing 10.
따라서, 가스렌지에서 음식물조리 중 발생된 오염공기를 필터부재로 여과시키면서 청정공기를 형성하여 주방으로 배기시키는 동시에, 배기되는 일부의 청정공기와 오염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흡기하여 필터부재로 다시 여과시키는 강제순환을 통해, 주방 및 거실 등을 포함하는 실내공간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while forming the clean air while filtering the contaminated air generated during cooking of food in the gas stove to the filter member, while exhausting the clean air and mixed air mixed with some of the clean air and contaminated air is exhausted back to the filter member Through forced circulation to filt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create a comfortable interior space, including the kitchen and living room.
가스렌지, 오염공기, 필터부재, 송풍팬, 순환덕트, 순환팬, 가이드판. Gas stove, polluted air, filter element, blowing fan, circulation duct, circulation fan, guide plate.
Description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정면도.1 is a front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필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t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필터부재의 케이스를 나타낸 저면사시도.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of the filt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
10 : 하우징 11 : 흡기구10
12 : 배기구 13 : 안내덕트12: exhaust port 13: guide duct
15 : 순환덕트 16 : 흡입구15: circulation duct 16: inlet
17 : 배출구 19 : 디플렉터17 outlet 19: deflector
20 : 필터부재 21 : 바이오필터20: filter member 21: biofilter
22 : 프리필터 23 : 첨착활성탄22: prefilter 23: impregnated activated carbon
24 : 헤파필터 25 : 케이스24
27 : 고정볼트 28 : 서포트27: fixing bolt 28: support
30 : 송풍팬 50 : 음이온발생기30: blower fan 50: negative ion generator
60 : 순환팬 GR : 가스렌지60: circulation fan GR: gas stove
GP : 가이드판 K : 주방GP: Guide K: Kitchen
W : 벽체W: wall
본 고안은 주방용 공기청정후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에 구비된 가스렌지에서 음식물조리 중 발생된 오염공기를 필터부재로 여과시켜서 청정공기로 형성하여 주방으로 배기시키는 동시에, 배기되는 일부의 청정공기와 오염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흡기하여 필터부재로 다시 여과시키는 강제순환을 통해, 주방 및 거실 등을 포함하는 실내공간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주방용 공기청정후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chen air cleaning hood, and more particularly, to filter the contaminated air generated during food cooking in the kitchen stove equipped with a filter member to form a clean air to exhaust to the kitchen,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chen air cleaning hood that can comfortably create an indoor space including a kitchen and a living room through a forced circulation that inhales mixed air mixed with clean air and polluted air and filters the filter air again.
또한, 본 고안은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공을 주방벽체에 천공하지 않으면서 후드를 간편히 설치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주방용 공기청정후드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chen air cleaning hood that can provide a convenient operation by simply installing a hood without perforating the exhaust wall for exhausting the polluted air to the outside.
주지된 바와 같이, 주방용 후드는 가스렌지에서 음식물조리 중 발생된 냄새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종래의 주방용 후드는 주방의 일측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가스렌지에서 발생된 냄새를 흡기하는 흡기팬과, 상기 흡기팬으로 흡기된 냄새를 외부로 배기시키도록 주방벽체의 배기공에 연결되는 배기덕트로 구성된다.As is well known, the kitchen hood is to exhaust the odor generated during cooking in the gas stove to the outside, such a conventional kitchen hood is a housing fixed to one side of the kitchen, the odor generated in the gas stove built in the housing Intake fan and the exhaust duct connected to the exhaust hole of the kitchen wall to exhaust the odor sucked by the intake fan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주방용 후드는, 가스렌지에서 음식물 조리 중 발생된 냄 새를 상기 흡기팬으로 흡기하고, 이같이 흡기된 냄새는 상기 배기덕트를 지나 상기 배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The kitchen hoo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hales the odor generated during cooking of food in a gas stove to the intake fan, and the inhaled odor passes through the exhaust duct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hol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방용 후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kitchen hoo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가스렌지에서 음식물 조리 중 발생된 냄새는 상기 흡기팬으로 흡기되는데, 상기 흡기팬으로 흡기되지 못한 나머지 냄새는 상기 하우징을 벗어나면서 주방의 천정으로 상승하면서 부딪혀 대류작용에 의해 사방으로 확산되며, 이에 따라 주방의 천정이 더러워지는 동시에, 사방으로 확산된 냄새는 주방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주방에 인접된 거실 등의 실내까지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the odor generated during cooking of food in the gas stove is aspirated by the intake fan. The remaining odor that is not inhaled by the intake fan rises to the ceiling of the kitchen while leaving the housing, and is diffused in all directions by convection. At the same time as the ceiling of the kitchen is dirty, the smell spread in all directions not only contaminates the kitchen but also contaminates the interior of the living room adjacent to the kitchen.
둘째, 상기에서와 같이 오염된 주방 및 거실은 창문을 개방하여 실내를 환기시켜야 하는데, 실내가 지하공간임에 따라 원활한 환기가 어려운 경우에, 주방용 후드만으로 실내공기를 맑고 깨끗하게 조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실내를 냉난방함에 따라 외기유입을 차단해야할 경우에, 주방용 후드를 통해 주방 또는 거실의 내기가 외부로 배기되어 열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Second, as mentioned above, the contaminated kitchen and living room should open the window to ventilate the room. If the room is an underground space and it is difficult to smoothly ventilat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reate indoor air clean and clean only with the kitchen hood. In the case of blocking the inflow of outside air as the room is cooled and heated, there is a problem that heat loss occurs because the bet of the kitchen or living room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kitchen hood.
셋째, 상기 배기덕트는 주방의 벽체에 천공된 배기공에 연결되는데, 이같이 벽체에 배기공을 천공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며 천공된 배기공으로부터 누수 및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후드를 주방에 설치할 때 상기 배기덕트를 상기 배기공에 연결시키는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Third, the exhaust duct is connected to the exhaust hole perforated in the wall of the kitchen, the problem that the work of drilling the exhaust hole in the wall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leaks and cracks from the perforated exhaust hole, and the hood is installed in the kitchen When the exhaust duct is connected to the exhaust hole is a troublesome work.
넷째, 상기 배기공을 통해 주방의 내기 및 외기가 서로 유통되어 주방의 실내기온이 손실되며, 또한 바람이 강하게 불때 배기공으로 외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흡기팬을 구동시켜 오작동이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ourth, the indoor and outdoor air of the kitchen are distribu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exhaust hole, and the indoor air temperature of the kitchen is lost. Also, when the wind blows strongly, the outdoor air flows into the exhaust hole, thereby driving the intake fan, causing malfunctions frequently.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주방에 구비된 가스렌지에서 음식물조리 중 발생된 오염공기를 필터부재로 여과시켜서 청정공기로 형성하여 주방으로 배기시키는 동시에, 배기되는 일부의 청정공기와 오염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흡기하여 필터부재로 다시 여과시키는 강제순환을 통해, 주방 및 거실 등을 포함하는 실내공간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주방용 공기청정후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filtering the contaminated air generated during food cooking in the gas stove provided in the kitchen with a filter member to form a clean air to exhaust the kitchen In addition, through the forced circulation of the intake of the mixed air mixed with some clean air and polluted air to be filtered again to the filter member, the kitchen air cleaning hood that can create a comfortable interior space including the kitchen and living room, etc. To provid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공을 주방벽체에 천공하지 않으면서 후드를 간편히 설치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주방용 공기청정후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tchen air cleaning hood that can provide a convenient operation by simply installing a hood without perforating the exhaust wall to exhaust the polluted air to the outs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주방에 설치되는 후드에 있어서, 가스렌지에서 음식물조리 중 발생된 오염공기를 흡기하는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에 안내덕트로 연결되어 흡기된 공기를 주방으로 배기시키는 배기구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흡기구로 흡기된 오염공기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로 여과된 청정공기를 배기구로 송풍시키도록 안내덕트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배기구로 배기된 일부의 청정공기와 주방으로 확산된 오염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흡기구에 연결되는 배출구를 갖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의 흡입구로 흡입된 혼합공기를 배출구를 통해 하우징의 흡기구로 배출시켜서 강제순환을 유도하는 순환팬을 포함하는 것이 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ood installed in the kitchen, the intake port for intake of contaminated air generated during food cooking in the stove, and the air inlet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with a guide duct to exhaust to the kitchen A housing provided with an exhaust port; A filter member for filter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taken into the intake port of the housing; A blowing fan installed in the guide duct to blow the clean air filtered by the filter member to the exhaust port; A circulation duct having a suction inlet for mixing mixed air mixed with some of the clean air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ort and the contaminated air diffused into the kitchen, and an outlet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housing; It includes a circulation fan for inducing forced circulation by discharging the mixed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of the circulation duct through the discharge port to the inlet port of the housing.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필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필터부재의 케이스를 저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First, the attached Figure 1 is a front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t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The case of the filt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 bottom perspective view.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선화살표는 오염공기를, 점선화살표는 청정공기를, 일점쇄선화살표는 혼합공기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Here, the solid arrows shown in FIGS. 1 and 2 represent contaminated air, the dotted arrow represents clean air, and the single-dot chain arrow represents mixed air.
본 고안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11)와 배기구(12)를 연결하는 안내덕트(13)가 구비된 하우징(10)과, 상기 흡기구(11)로 흡기된 오염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재(20)와, 상기 필터부재(20)로 여과된 청정공기를 배기구(12)로 송풍시키는 송풍팬(30)과, 상기 일부의 청정공기와 오염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구(16) 및 배출구(17)가 구비된 순환덕트(15)와, 상기 순환덕트(15)로 흡입된 혼합공기를 흡기구(11)로 배출시켜서 강제순환을 유도하는 순환팬(60)을 포함한다.1 to 4, the present invention has a
상기 하우징(10)은 가스렌지(GR)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주방(K)의 벽체(W)에 고정되고, 그 저면에는 흡기구(11)가 구비되어 가스렌지(GR)에서 음식물조리로 발생되는 오염공기를 흡기한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는 배기구(12)가 구비되어 흡기구(11)로 흡기된 공기를 주방(K)으로 배기시키며, 흡기구(11)와 배기 구(12)는 안내덕트(13)로 연결되어 흡기구(11)로 흡기된 오염공기를 배기구(12)로 안내한다.The
상기 필터부재(20)는 안내덕트(13)에 설치되어 흡기구(11)로 흡기된 오염공기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것으로, 이러한 필터부재(20)는 바이오필터(21)와 프리필터(22)와 첨착활성탄(23) 및 헤파필터(24)를 포함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The
상기 바이오필터(21)는 오염공기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살균하여 무해물질로 분해·제거하는 것으로, 이러한 바이오필터(21, Biofilter)는 살균기능을 갖는 구리(Copper)와 알루미늄(Aluminium)이 적절히 혼합된 망목형의 메탈폼(Metal Foam)으로 형성되어 악취, 유해가스 따위의 오염물질을 살균하게 된다.The
상기 프리필터(22)는 바이오필터(21)로 살균된 공기에 함유된 비교적 큰 먼지를 1차로 여과하는 것으로, 이러한 프리필터(22)는 망구조로 이루어진 염화비닐폼(PVC Form)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첨착활성탄(23)은 프리필터(22)로 여과된 공기에 함유된 악취를 흡착·제거하는 것으로, 이러한 첨착활성탄(23)은 흡착능력이 뛰어나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게 된다.The impregnated activated
상기 헤파필터(24)는 첨착활성탄(23)으로 악취가 제거된 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2차로 여과하는 것으로, 이러한 헤파필터(24)는 인조섬유로 형성되는 헤파(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rresto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헤파필터의 정화효율은 0.3마이크론 보다 크거나 같은 먼지, 박테리아, 바이러스 따위의 입자를 99.97% 제거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The
따라서, 흡기구(11)로 흡기된 오염공기가 바이오필터(21)를 지나면서 오염물질이 살균되고, 이 살균된 공기가 프리필터(22)를 지나면서 큰 먼지가 1차로 여과되며, 이 여과된 공기가 첨착활성탄(23)을 지나면서 악취가 제거되고, 마지막으로 헤파필터(24)를 지나면서 미세먼지가 2차로 여과되어 맑고 깨끗한 이른바 청정공기를 형성하게 된다.Therefore, contaminants are sterilized as the contaminated air intaked through the
상술한 필터부재(20)를 4㎥의 챔버에 설치하고, 상기 챔버에 기준시약을 증발시켜 가스를 발생시킨 후 교반한 다음 필터부재로 통과시켜 순환하는 실험을 통해 필터부재(20)의 탈취성능을 농도(ppm)로 나타내면 아래의 표 1과 같다. 여기서, 측정순서는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히드, 초산 순으로 측정하였다.The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히드, 초산 등의 가스가 필터부재를 통과하면서 30분 정도에 대부분의 가스가 탈취되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it can be seen that most gases are deodorized in about 30 minutes while gas such as ammonia, acetaldehyde, acetic acid, etc. passes through the filter member.
또한, 상기 조건에 따라 실험된 필터부재(20)의 탈취효율(%)을 나타내면 아래의 표 2와 같다.In addition, the deodorization efficiency (%) of the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히드, 초산 등의 가스가 필터부재(20)를 통과하면서 30분 정도에 탈취효율이 우수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2, it can be seen that deodorization efficiency is excellent in about 30 minutes while gas such as ammonia, acetaldehyde, acetic acid, etc. passes through the
한편, 상기 필터부재(20)를 4㎥의 챔버에 설치하고, 상기 챔버에 담배 5개피를 연소시킨 후 약 5분간 교반한 다음 필터부재(20)를 통과하여 순환시키면서 파티클카운터를 이용하여 30분간 모니터링하는 실험을 통해 필터부재(20)의 집진성능을 나타내면 아래 표 3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5분 후 상기 챔버내 입자수가 급격히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3, it can be seen that after 5 minutes, the number of particles in the chamber is rapidly reduced.
그리고, 상기 표 3의 조건에 따라 실험된 입자별 제거율(%)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removal rate (%) for each particle tes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able 3 is as follows.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필터부재(20)의 입자별 제거율 또한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4, it can be seen that the removal rate for each particle of the
상술한 필터부재(20)의 각 구성부(21)(22)(23)(24)는 케이스(25)에 수용되어 안내덕트(13)에 결합수단(C)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Each
상기 결합수단(C)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5)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구비된 플랜지(26)에 볼트홀(26a)이 형성되고, 이 볼트홀(26a)로 관통되는 고정볼트(27)가 하우징(20)의 일측에 형성된 탭홀(14)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탭홀(14)에 나사결합된 고정볼트(27)를 풀어 케이스(25)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2 and 4, the coupling means (C) has a bolt hole (26a) is formed in the
또한, 케이스(2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연통되어 필터부재(20)로 흡기된 오염공기가 안내덕트(13)로 안내되고, 하부에는 필터부재(20)를 지지하는 서포트(28)가 회전핀(28a)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스(25)에 수용된 필터부재(20)의 각 구성부(21)(22)(23)(24)를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상기 송풍팬(30)은 안내덕트(13)에 설치되어 필터부재(20)로 여과된 청정공기를 배기구(12)로 송풍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송풍팬(30)은 안내덕트(13)에 설치된 고정브래킷(41)으로 지지되는 구동모터(40)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송풍팬(30)은 시로코팬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lowing
이같은 송풍팬(30)에 의해 송풍되는 청정공기에 음이온을 함유시키도록 안내덕트(13)에 음이온발생기(5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음이온발생기(50)는 인체에 좋은 음이온을 발생시켜, 음이온이 함유된 청정공기를 형성하게 된다.The
상기 음이온발생기(50)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은 혈액 중의 칼슘 및 나트륨의 이온화율을 상승시켜 혈액정화작용을 하고 세포막의 전기적인 물질교류를 촉진시켜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키며, 혈액중의 감마글로브린을 증가시켜 병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키고, 인체의 모든 내장과 분비기관 및 혈관 따위를 조절하여 진정, 최면, 제한, 식욕증진, 피로회복 등의 작용을 하게 된다.The anion generated by the
따라서, 음이온이 함유된 청정공기를 배기구(12)를 통해 주방(K)으로 배기시켜서, 주방(K) 및 이 주방에 인접된 거실 등의 실내공간을 쾌적한 환경으로 형성하게 된다.Therefore, the clean air containing the negative ions is exhausted through the
상기 순환덕트(15)의 흡입구(16)는 하우징(10)의 배기구(12)와 근접되면서 외부에 연결되고, 순환덕트(15)의 배출구(17)는 하우징(10)의 흡기구(11)에 연결되도록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순환덕트(15)는 하우징(10)의 배기구(12)로 배기되는 일부의 청정공기와 주방(K)으로 확산된 오염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흡입구(16)로 흡입하고, 이 흡입구(16)로 흡입된 혼합공기는 배출구(17)로 배출된다.The
여기서, 순환덕트(15)의 흡입구(16)에는 여과망(F)이 설치되어 혼합공기에 포함된 비교적 큰 오염물질을 여과한다.Here, the
상기 순환덕트(15)에는 순환팬(60)이 설치되어 흡입구(16)로 흡입된 혼합공기를 배출구(17)를 통해 하우징(10)의 흡기구(11)로 배출시켜서 공기의 강제순환을 유도하는데, 이러한 순환팬(60)은 팬모터(70)에 의해 구동된다.The
상기 하우징(10)의 배기구(12)에는 가이드판(GP)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가이드판(GP)은 주방(K)으로 배기된 청정공기가 주방(K)으로 확산된 오염공기에 혼합되면서 순환덕트(15)의 흡입구(16)로 흡입되도록 안내한다. 즉, 가스렌지(GR)에서 음식물조리 중 발생되는 대부분의 오염공기는, 하우징(10)의 흡기구(11)를 통해 안내덕트(13)로 안내되는 반면에, 나머지는 하우징(10)을 벗어나면서 주방(K) 및 주방에 인접된 거실 등의 실내 상부로 확산되는데, 이같이 실내의 상부로 확산된 오염공기에 청정공기가 혼합되면서 순환덕트(15)의 흡입구(16)로 흡입되도록 가이드판(GP)이 안내하게 된다.A guide plate GP is installed in the
상기 가이드판(GP)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가이드판(GP)은 하우징(10)의 배기구(12)에 수평축핀(SP)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배기되는 청정공기의 안내각을 각각 조절하게 된다. 즉, 수평축핀(SP)으로 회전되는 가이드판(GP)의 안내각에 따라 배기구(12)를 통해 주방(K)으로 배기되는 청정공기의 배기방향이 안내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guide plate GP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plates, and the guide plate GP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이러한 가이드판(GP)은 다수개가 동시에 일정한 안내각을 형성할 수 있지만, 선택적으로 다수개의 가이드판(GP)이 서로 다른 안내각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와 같이 배기구(12)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판(GP)은 청정공기의 배기를 순환덕트(15)의 흡입구(16)로 안내하도록 안내각을 형성하고, 배기구(12)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판(GP)은 주방(K)의 상부로 청정공기의 배기를 안내하도록 안내각을 형성하는 것이다.Although a plurality of guide plates GP may form a constant guide angle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guide plates GP may optionally form different guide angl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guide plate GP disposed below the
상기 가이드판(GP)으로 안내된 청정공기를 순환덕트(15)의 흡입구(16)로 흡입을 유도하는 디플렉터(19)가 하우징(10)에 설치된다. 즉, 가이드판(GP)으로 안내된 청정공기가 디플렉터(19)에 부딪히면서 순환덕트(15)의 흡입구(16)로 흡입되는 것이다. 또한, 디플렉터(19)는 가스렌지(GR)에서 음식물조리 중 발생된 오염공기가 곧바로 순환덕트(15)의 흡입구(16)로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A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verall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먼저, 가스렌지(GR)에서 음식물조리 중 발생되는 오염공기가 하우징(10)의 흡기구(11)를 통해 흡기되어 필터부재(20)를 통과하게 되는데, 필터부재(20)의 바이오필터(21)를 지나면서 오염공기에 함유된 오염물질이 살균되고, 프리필터(22)를 지나면서 큰 먼지가 1차로 여과되며, 첨착활성탄(23)을 지나면서 악취가 제거되고, 마지막으로 헤파필터(24)를 지나면서 미세먼지가 2차로 여과되어 청정공기를 형성하게 된다.First, the polluted air generated during cooking of food in the gas stove GR is taken in through the
이같이 형성된 청정공기는 송풍팬(30)에 의해 안내덕트(13)로 안내되고, 안내덕트(13)로 안내된 청정공기는 배기구(12)를 통해 주방(K)으로 배기된다. 이러한 청정공기는 가이드판(GP)에 의해 배기되는 안내각이 조절되면서 순환덕트(15)의 흡입구(16)로 안내하는데, 이같이 안내된 일부의 청정공기는 주방(K)으로 확산된 오염공기와 혼합되면서 혼합공기 상태로 순환덕트(15)의 흡입구(16)로 흡입된다.The clean air thus formed is guided to the
이러한 혼합공기는 순환팬(60)에 의해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되어, 오염공기를 흡기하는 흡기구(11)로 다시 흡기되는 강제순환과정을 형성하게 된다.This mix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이에 따라, 가스렌지(GR)에서 음식물조리 중 발생되는 오염공기와 혼합공기를 계속적으로 여과하여 형성된 청정공기를 주방(K)으로 배기하여 주방(K) 및 거실 등의 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하게 된다.Accordingly, clean air formed by continuously filtering contaminated air and mixed air generated during food cooking in the gas stove GR is discharged to the kitchen K to create a comfortable environment in the kitchen K and the living room. do.
한편, 가이판(GP)에 의해 안내되는 청정공기의 일부는 주방(K)으로 안내되어 주방(K) 및 거실 등의 실내로 맑고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clean air guided by the guide plate (GP) is guided to the kitchen (K) to supply clean and clean air to the interior of the kitchen (K) and living room.
아울러, 송풍기(30)로 송풍되는 청정공기에 인체에 좋은 음이온을 함유시켜 주방(K)으로 배기시키므로, 보다 쾌적한 실내공간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lean air blown by the
한편,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상기 하우징(10)에는 흡착판(80)이 볼트(81)로 고정되어, 오염공기에 함유된 수분이나 기름 따위의 점성물질이 흡착되는데, 이러한 흡착판(80)은 점성물질이 잘 흡착되도록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점성물질의 흡력이 우수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둔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같은 흡착판(80)은 하우징(10)의 흡기구(11)로 흡기되는 오염공기를 유도하도록 도 5에서와 같이 하부로 완만한 곡선을 갖는 유선형으로 형성된다.Such an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of one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hape and structure of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As discuss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가스렌지에서 음식물조리 중 발생된 오염공기를 필터부재로 여과시키면서 청정공기를 형성하여 주방으로 배기시키는 동시에, 배기되는 일부의 청정공기와 오염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흡기하여 필터부재로 다시 여과시키는 강제순환을 통해, 주방 및 거실 등을 포함하는 실내공간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First, while forming the clean air while filtering the contaminated air generated during cooking of food in the gas stove with the filter member, and exhausting the clean air and mixed air mixed with some of the clean air and contaminated air exhausted to the filter member again Through forced filtering to filter, it is a very useful design that can create a comfortable interior space, including the kitchen and living room.
둘째, 본 고안은 실내공간이 지하여서 환기가 어려운 경우에도 실내공간을 맑고 깨끗이 조성할 수 있으며, 실내공간이 냉난방 중이어서 환기가 어려울 때에도 열손실을 방지하면서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the indoor space clear and clean even when the ventilation is difficult because the indoor space is undergroun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always maintain a comfortable state while preventing heat loss even when the ventilation is difficult because the indoor space is under heating and cooling. .
셋째, 본 고안은 주방으로 배기되는 청정공기를 가이드판으로 안내하여 원활한 순환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가이드판을 각각 조절하여 배기되는 청정공기를 순환덕트 또는 주방의 상부로 적절히 안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nduces a smooth circulation by guiding the clean air exhausted to the kitchen guide plate, but also can properly guide the clean air exhausted by adjusting a plurality of guide plates to the circulation duct or the upper part of the kitchen. Has an effect.
넷째, 본 고안은 주방으로 배기되는 청정공기에 음이온을 함유시켜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필터부재의 착탈이 용이하여 필터교환시 간편히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can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y containing negative ions in the clean air exhausted to the kitche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replaced when replacing the filter by easy removal of the filter member.
다섯째, 본 고안은 종래에서와 같이 배기공을 천공하거나 상기 배기공으로 연결시키는 작업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그 설치가 간편하며, 상기 배기공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차단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ifth, the present invention can omit the work process for drilling the exhaust hole or connecting to the exhaust hole as in the prior art, the installation is simple, the effect that can prevent the malfunction by blocking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exhaust hole Has
여섯째, 본 고안은 오염공기에 함유된 점성물질이 흡착판으로 흡착하여, 흡기구나 필터부재로 점성물질이 확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xt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viscous material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is adsorbed by the adsorption plate, to prevent the viscous material from being diffused into the inlet or filter member.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8594U KR200418456Y1 (en) | 2006-03-31 | 2006-03-31 | Kitchen Air Cleaning Ho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8594U KR200418456Y1 (en) | 2006-03-31 | 2006-03-31 | Kitchen Air Cleaning Ho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8456Y1 true KR200418456Y1 (en) | 2006-06-12 |
Family
ID=4176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8594U Expired - Fee Related KR200418456Y1 (en) | 2006-03-31 | 2006-03-31 | Kitchen Air Cleaning Ho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8456Y1 (en)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1831B1 (en) * | 2007-04-06 | 2007-07-23 | (주)한국주조 | Powerless air purifier installed on the street |
KR100745042B1 (en) * | 2007-04-25 | 2007-08-01 | (주)한국주조 | Non-powered Air Purifier |
KR100764014B1 (en) * | 2007-04-06 | 2007-10-09 | (주)한국주조 | Building for clean air supply using non-powered air purifier and its non-powered air purifier |
KR100961622B1 (en) * | 2010-03-23 | 2010-06-04 | 김영범 | Exhaust hood using of transparent wall by temperature drop of fever |
KR101524988B1 (en) * | 2014-12-18 | 2015-06-15 | (주) 아시안룩스 | Hood system of circulating 4-way air flow for commercial usage |
KR101550261B1 (en) | 2013-05-06 | 2015-09-10 | 아트먼 주식회사 | The hood for kitchen with the air cleaning function. |
CN108061321A (en) * | 2017-07-28 | 2018-05-22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Freeze range hood in a kind of kitchen |
KR101989298B1 (en) * | 2019-04-16 | 2019-06-14 | 최돈정 | Filtration device for exhaust smoke containing oil and smell |
KR20200060913A (en) * | 2018-11-23 | 2020-06-02 | 주식회사 큐비콘 | 3D printer booth structure equipped with harmful substance measurement and abatement function |
CN111765123A (en) * | 2019-04-01 | 2020-10-13 |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 Range hood fans and range hoods |
KR20210030589A (en) | 2019-09-10 | 2021-03-18 | (주)그렉스 | Air Cleaning System for Kitchen |
CN113803766A (en) * | 2021-10-23 | 2021-12-17 | 广东重尚美物联科技有限公司 | Multi-stage filtration air purification structure, under-table air purification system and range hood |
KR102518027B1 (en) * | 2021-11-29 | 2023-04-05 | (주)자모네 | Air cleaning hood |
WO2024177452A1 (en) * | 2023-02-21 | 2024-08-29 | 주식회사 디어홈 | Food cooker |
-
2006
- 2006-03-31 KR KR2020060008594U patent/KR200418456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4014B1 (en) * | 2007-04-06 | 2007-10-09 | (주)한국주조 | Building for clean air supply using non-powered air purifier and its non-powered air purifier |
KR100741831B1 (en) * | 2007-04-06 | 2007-07-23 | (주)한국주조 | Powerless air purifier installed on the street |
KR100745042B1 (en) * | 2007-04-25 | 2007-08-01 | (주)한국주조 | Non-powered Air Purifier |
KR100961622B1 (en) * | 2010-03-23 | 2010-06-04 | 김영범 | Exhaust hood using of transparent wall by temperature drop of fever |
WO2011118906A1 (en) * | 2010-03-23 | 2011-09-29 | Kim Young-Bum | Exhaust hood capable of using a transparent barrier by means of reducing the temperature of hot air |
KR101550261B1 (en) | 2013-05-06 | 2015-09-10 | 아트먼 주식회사 | The hood for kitchen with the air cleaning function. |
KR101524988B1 (en) * | 2014-12-18 | 2015-06-15 | (주) 아시안룩스 | Hood system of circulating 4-way air flow for commercial usage |
CN108061321B (en) * | 2017-07-28 | 2024-01-16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Kitchen refrigerating range hood |
CN108061321A (en) * | 2017-07-28 | 2018-05-22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Freeze range hood in a kind of kitchen |
KR20200060913A (en) * | 2018-11-23 | 2020-06-02 | 주식회사 큐비콘 | 3D printer booth structure equipped with harmful substance measurement and abatement function |
KR102130370B1 (en) * | 2018-11-23 | 2020-07-06 | 주식회사 큐비콘 | 3D printer booth structure equipped with harmful substance measurement and abatement function |
CN111765123A (en) * | 2019-04-01 | 2020-10-13 |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 Range hood fans and range hoods |
KR101989298B1 (en) * | 2019-04-16 | 2019-06-14 | 최돈정 | Filtration device for exhaust smoke containing oil and smell |
KR20210030589A (en) | 2019-09-10 | 2021-03-18 | (주)그렉스 | Air Cleaning System for Kitchen |
CN113803766A (en) * | 2021-10-23 | 2021-12-17 | 广东重尚美物联科技有限公司 | Multi-stage filtration air purification structure, under-table air purification system and range hood |
KR102518027B1 (en) * | 2021-11-29 | 2023-04-05 | (주)자모네 | Air cleaning hood |
WO2024177452A1 (en) * | 2023-02-21 | 2024-08-29 | 주식회사 디어홈 | Food cook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18456Y1 (en) | Kitchen Air Cleaning Hood | |
CN100350193C (en) | Ventilating and air purifying device | |
US5616172A (en) | Air treatment system | |
CN201612874U (en) | A kind of indoor air purifier | |
WO2000078368A1 (en) | Air purifier | |
US20050175512A1 (en) | Electro-optical air sterilizer with ionizer | |
KR101676817B1 (en) | Radiation type space sterilizer | |
CN2869653Y (en) | Air purification unit, air conditioning unit and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2446938B1 (en) | Combined sterilization air sterilizer | |
JP2001248865A (en) | Air-cleaning device with ventilation function | |
JP2008055404A (en) | Air treatment apparatus | |
JPH06347047A (en) | Smoke purifying system | |
KR102462476B1 (en) | Apparatus removing pathogen, bad smell and virus in room | |
CN100360859C (en) | Ceiling-buried or under-ceiling air-conditioning units and air cleaning units | |
KR20140051203A (en) | Air cleaner having silencer | |
CN211204273U (en) | Household facility type air purifier | |
JPH10314289A (en) | Air cleaner | |
KR101431508B1 (en) | A duct apparatus for air circulating of automatic | |
KR20130020164A (en) | Push-fan and pull-fan type air cleaning device | |
CN117553374A (en) | Purifying equipment for purifying air conditioner | |
KR200409688Y1 (en) | Waste Heat Recovery Ventilator with Plasma Sterilizer | |
KR100564648B1 (en) | Recirculation range hood with air cleaning | |
JP4006394B2 (en) | Air conditioner | |
JP2005283060A (en) | Circulation type air treatment unit for kitchen | |
CN214746244U (en) | Cremation room with peculiar smell process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331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6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403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928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Patent event date: 20070207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604 Year of fee payment: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60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005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