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420Y1 - Mask - Google Patents
Mas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8420Y1 KR200418420Y1 KR2020060007553U KR20060007553U KR200418420Y1 KR 200418420 Y1 KR200418420 Y1 KR 200418420Y1 KR 2020060007553 U KR2020060007553 U KR 2020060007553U KR 20060007553 U KR20060007553 U KR 20060007553U KR 200418420 Y1 KR200418420 Y1 KR 20041842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k
- blocking member
- harmful gas
- ring
- mou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기중의 먼지나 이물질 등이 호흡기(코 또는 입)를 통하여 인체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황사에 의한 기관지 질환이나 얼굴 피부 손상 등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 본체의 입이 닿는 부분에 고리부와 결속부재를 통해 탈부착이 가능한 별도의 유해가스 차단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자외선 차단용으로 사용하다 황사나 유해가스 등의 분포도가 높게 나타나는 날에는 유해가스 차단부재를 부착시켜 사용함으로써, 황사와 유해가스와 같은 이물질이 입 또는 코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부재만을 여러개 구비하여 마스크 착용시 입김으로 인해 차단부재의 입부분이 축축해 지거나 입냄새가 밸 경우 그때그때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used to prevent dust o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rom entering the human body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nose or mouth), and to prevent damage such as bronchial disease or facial skin damage caused by yellow dust. More specifically, by providing a separate harmful gas blocking member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hrough the hook portion and the binding member in the mouth portion of the mask body, it is used for UV protection in normal use. On the day of appearance, by attaching and using a harmful gas blocking member, it can not only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yellow dust and harmful gas from entering the mouth or nose, but also has a plurality of blocking members so that the mouth part of the blocking member due to breathing when wearing a mask is provided. If it gets wet or smells bad, then you can replace it with a new one. It is related with the mask which can be used sanitarily.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10)의 상부에 고리부(40)가 봉제·결합되고, 입과 코가 위치하는 부분에 별도의 유해가스 차단부재(60)가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재(60)를 마스크 본체(10)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결속부재(7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the loop portion 40 is sewn a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sk body 10, and a separate harmful gas blocking member 60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mouth and the nose are positioned. The binding member 70 is provided so that the blocking member 60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ask body 10.
상부체, 하부체, 주름부, 결속부재, 유해가스 차단부재 Upper body, lower body, wrinkle part, binding member, harmful gas blocking member
Description
도 1, 도 2는 종래의 마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측면도,1,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ask, a side view,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내는 A부분의 부분확대 단면도,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showing a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6b는 본 고안에 따른 결속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단면도,6a, 6b is a perspective view,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ind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B부분의 부분확대 단면도,7 and 8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B,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마스크 10 : 마스크 본체1: mask 10: mask body
20 : 상부체 22 : 커버부20: upper body 22: cover
25 : 개구부 30 : 하부체25: opening 30: lower body
32 : 주름부 40 : 고리부32: wrinkle portion 40: ring portion
42 : 고리 44 : 고리 지지부재42: ring 44: ring support member
44a: 끼움부 50 : 걸이끈 44a: fitting portion 50: string
60 : 유해가스 차단부 60a : 제 1결합공60: harmful
70 : 결속부재 71 : 걸림부70: binding member 71: locking portion
72 : 날개부 72a : 삽입홈72:
74 : 제 2결합공 75 : 결합돌기74: second coupling hole 75: coupling protrusion
80 : 조임구 80a : 구멍80:
90 : 봉합부90 suture part
본 고안은 대기중의 먼지나 이물질 등이 호흡기(코 또는 입)를 통하여 인체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황사에 의한 기관지 질환이나 얼굴 피부 손상 등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 본체의 입이 닿는 부분에 고리부와 결속부재를 통해 탈부착이 가능한 별도의 유해가스 차단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자외선 차단용으로 사용하다 황사나 유해가스 등의 분포도가 높게 나타나는 날에는 유해가스 차단부재를 부착시켜 사용함으로써, 황사와 유해가스와 같은 이물질이 입 또는 코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부재만을 여러개 구비하여 마스크 착용시 입김으로 인해 차단부재의 입부분이 축축해 지거나 입냄새가 밸 경우 그때그때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used to prevent dust o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rom entering the human body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nose or mouth), and to prevent damage such as bronchial disease or facial skin damage caused by yellow dust. More specifically, by providing a separate harmful gas blocking member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hrough the hook portion and the binding member in the mouth portion of the mask body, it is used for UV protection in normal use. On the day of appearance, by attaching and using a harmful gas blocking member, it can not only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yellow dust and harmful gas from entering the mouth or nose, but also has a plurality of blocking members so that the mouth part of the blocking member due to breathing when wearing a mask is provided. If it gets wet or smells bad, then you can replace it with a new one. It is related with the mask which can be used sanitarily.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소정 크기의 천을 한 두겹 맞대어 재봉한 후, 걸이끈을 봉착시켜 신체의 얼굴부위를 가려지도록 착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동절기에 방 한이나 산업현장 등과 같이 먼지나 분진이 많이 발생하는 곳에서 원할한 호흡을 위해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매연이나 봄철 황사에 의한 호흡기 질환 등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mask is sewn with a cloth of a predetermined size or two, and then the hanger is sealed to cover the face of the body, where a lot of dust or dust, such as winter or industrial sites in winter It is used for smooth breathing, and has recently been used to prevent respiratory diseases caused by soot or spring yellow dust.
또한, 마스크는 호흡기관을 통한 공기 호흡시 황사 등의 이물질 등을 거르는 필터기능뿐만 아니라, 야외활동시 강한 햇빛으로부터 얼굴을 가려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In addition, the mask is used as a means for blocking ultraviolet rays by covering the face from strong sunlight during outdoor activities, as well as a filter function to filter foreign matters such as yellow dust when breathing air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현재, 황사 등의 이물질이 호흡기관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얼굴부위에 가해지는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마스크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것으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255042호(명칭:자외선 차단 마스크)가 기출원되어 등록되어 있다.Currently, a mask having a function to block foreign matters such as yellow dust from entering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and to block ultraviolet rays applied to the face is developed and used in various forms, and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55042 (Name: UV blocking mask) has been filed and registered.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외선 차단 마스크는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지 재질로써 상부체(11)와 하부체(12)의 봉재결합으로 이루어져 이중막구조를 갖는 마스크 본체(1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중앙에 횡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부(13)와; 본체(10)를 얼굴에 착용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양측 상하단에 부착형성되는 걸이끈(14)으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UV blocking mask includes a
이때, 상부체(11)의 가운데 부위에는 주름부(11')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center portion of the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는 약한 황사나 자외선 차단과 같은 기본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황사 또는 유해가스 분포도가 높은 날에는 별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However, the conventional mask has a basic function such as weak yellow dust or ultraviolet rays,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ay of high yellow dust or harmful gas distribution.
즉, 마스크의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콧구멍이 외부 로 노출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마스크를 착용하더라도 공기에 혼합된 황사 등의 이물질이 걸러지지 않고, 코를 통해 인체내로 유입되어 호흡기질환 등의 질병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That is, the nostrils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ing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mask, so that even when wearing the mask, foreign substances such as yellow dust mixed in the air are not filtered out, but are introduced into the human body through the nose.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s diseases such as respiratory diseases.
또한, 마스크 착용시 입이 닿는 부분이 입김으로 인해 쉽게 축축해지고, 축축해진 부위는 쉽게 먼지가 붙어 비위생적이며, 따라서 한번 쓰고 나면 그때그때 세탁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로웠다.In addition, when the mask is worn, the part where the mouth touches is easily moistened by the breathing, and the moistened part is easily sanitized due to the dust, and thus it is very troublesome because once used, it is necessary to wash it at that tim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황사 또는 유해가스 등과 같은 이물질이 호흡기관을 통해 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특히 마스크 착용시 입부분을 보다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개선된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is to block ultraviolet rays, or to form a foreign material such as yellow dust or harmful gases to block the inflow into the human body through the respiratory organ, especially when wearing a mask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improved mask that can keep the mouth more hygienic.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직물지 재질로써, 상부체와 하부체의 봉재결합으로 이루어져 이중막구조를 갖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앙에 횡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부와, 본체를 얼굴에 착용할 수 있도록 본체의 양측 상하단에 부착·형성되는 결이끈으로 이루어진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에는 상부에 고리부가 봉제·결합되고, 입과 코가 위치하는 부분에 별도의 유해가스 차단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재를 마스크 본체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결속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extile paper, the mask body having a double-membrane structure consisting of a bar material coupling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the opening open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mask body, In the mask consisting of a string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dy to be worn on the face, the mask body is sewn and coupled with a ring portion at the top, a separate harmful gas blocking member in the part where the mouth and nose are located It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binding member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to the mask body to the mask body.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1)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직물지로 이루어지고, 소정 모양의 상부체(20) 전면 일부위를 가리도록 하부체(30)가 겹쳐져 마스크 본체(10)가 형성되며, 상기 겹쳐진 일부위가 재봉되어 봉합부(90)가 형성되되, 상부체(20)와 하부체(30)의 겹쳐진 부위에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25)가 형성되고, 상부체(20)의 양쪽 단부에는 걸이끈(50)이 결합되며, 하부체(30)에는 일부위가 접어지게 재봉되어 주름부(32)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s 3 to 6, the
이때, 상기 마스크 본체(10)에는 상부 양쪽에 고리부(40)가 봉제 결합되고, 입과 코가 닿는 부분에는 별도의 유해가스 차단부재(60)가 구비되되, 상기 차단부재(60)가 본체에 탈부착 될 수 있도록 결속부재(70)가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내는 A부분의 부분확대 단면도이고, 도 6a, 6b는 본 고안에 따른 결속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단면도로써, 본 고안의 마스크(1)는 상부체(20)의 전면 일부위를 가리도록 하부체(30)가 겹쳐지게 재봉되어 마스크 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20)와 하부체(30)가 겹쳐진 곳의 일부분은 소정 크기의 개구부(25)가 형성되며, 마스크 본체(10)에는 상단부 양쪽에 고리부(40)가 봉제·결합된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showing a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a, 6b As a perspective sectional view showing a bind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고리부(40)는 링 형태로 이루어진 고리(42)와, 직물지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고리(42)를 지지하기 위해 마스크 본체(10)에 봉제·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고리(42)가 끼워지기 위해 끼움부(44a)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고리 지지부재(44)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입과 코 부분에는 외부로부터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별도의 유해가스 차단부재(6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mouth and nose of the
또한, 상기 유해가스 차단부재(60)는 마스크 본체(10)에 구비된 고리부(40)와 별도로 구비된 결속부재(70)를 통해 마스크 본체(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harmful
즉, 상기 결속부재(70)는 첨부도면 도 6a,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 형태의 걸림부(71)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71)의 하부 끝단에는 유해가스 차단부재(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중앙부가 접혀져 삽입홈(72a)이 형성된 날개부(72)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72)의 하부에는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홈(74)과 결합돌기(75)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마스크 본체(10)에 봉제 결합된 고리부(40)의 고리(42)에 상기 걸림부(71)가 끼워지게 된다.That is, the
그리고, 상부체(20)와 하부체(30)의 양쪽 측단부에는 2가닥의 걸이끈(50)이 고리형태를 이루도록 봉재되고, 상기 걸이끈(50)에는 사용자의 신체구조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조임구(80)가 구비되되, 상기 조임구(80)에는 양측에 구멍(80a)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80a)에 걸이끈(50)이 삽입된다.Then, both side ends of the
이와 같이, 상기 하부체(30)는 양쪽 일부위가 접어지게 재봉되어 주름부(32)가 형성되어, 마스크(1) 착용시 얼굴에 자연스럽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마스크(1)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As such, the
한편, 본 고안의 마스크(1)를 구성하는 상부체(20)의 상면 중앙에는 마스크 (1) 착용시 콧등을 가리기 위해서 커버부(22)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마스크(1)를 얼굴부위에 착용하게 되면, 상부체(20)에 의해 입부위와 턱부위가 가려지게 되고, 하부체(30)에 의해 코부위가 가려지게 되며, 상부체(20)와 하부체(30)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25)에는 콧구멍이 위치되어 원할한 호흡을 도모하게 되는바, 이때, 입과 코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황사나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유해가스 차단부재(60)가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도 7,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의 B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 단면도로써, 직물지로 이루어지고, 소정 모양의 상부체(20) 전면 일부위를 가리도록 하부체(30)가 겹쳐져 마스크 본체(10)가 형성되며, 상기 겹쳐진 일부위가 재봉되어 봉합부(90)가 형성되되, 상부체(20)와 하부체(30)의 겹쳐진 부위에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25)가 형성되고, 상부체(20)의 양쪽 단부에는 걸이끈(50)이 결합되며, 하부체(30)에는 일부위가 접어지게 재봉되어 주름부(32)가 형성된다.Figure 7,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enlarged portion B of Figure 7, is made of a jikmulji, point to the predetermined shape of the
그리고,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입과 코 부분에는 외부로부터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별도의 유해가스 차단부재(60)가 구비되고, 상기 유해가스 차단부재(60)는 상기 결속부재(70)를 통해 마스크 본체(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outh and nose of the mask body 10 A separate harmful
즉, 상기 결속부재(70)는 첨부도면 도 6a,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 형태의 걸림부(71)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71)의 하부 끝단에는 유해가스 차단부 재(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중앙부가 접혀져 삽입홈(72a)이 형성된 날개부(72)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72)의 하부에는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홈(74)과 결합돌기(75)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That is, the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코팅층이 형성되어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직물지로 이루어지고, 소정 모양의 상부체(20) 전면 일부위를 가리도록 하부체(30)가 겹쳐져 마스크 본체(10)가 형성되며, 상기 겹쳐진 일부위가 재봉되어 봉합부(90)가 형성되되, 상부체(20)와 하부체(30)의 겹쳐진 부위에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25)가 형성되고, 상부체(20)의 양쪽 단부에는 걸이끈(50)이 결합되며, 하부체(30)에는 일부위가 접어지게 재봉되어 주름부(32)가 형성된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ting layer is formed of a textile paper that can block ultraviolet rays, the
이때, 상기 마스크 본체(10)에는 입과 코가 닿는 부분에 별도의 유해가스 차단부재(60)가 구비되되, 상기 유해가스 차단부재(60)는 마스크 본체(10)에 상단부 일부분이 봉제되어 부착된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use state of the embodiment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1)는 평상시에 자외선 차단과 감기 예방 등을 위해 사용하다, 황사나 유해가스 분포도가 높은 날에는 마스크(1)에 유해가스 차단부재(60)를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물질이 상부체(20)와 하부체(30)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25)에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게 되어 황사나 유해가스로 인한 기관지 질환이나 얼굴 피부 손상과 같은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ure 3 to 6, the
이때,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유해가스 차단부재(60)를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차단부재(60)에 결속부재(70)를 결합시켜야 하는데, 상기 차단부재(60)의 상부에 결속부재(70)의 삽입홈(72a)이 삽입되고, 제 1결합공(60a)에 결합돌기(75)를 끼워 넣은 다음, 양측 날개(72)를 손으로 잡고 누르게 되면 결합돌기(75)가 제 2결합공(74)에 끼워져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마스크(1)의 상단부 양쪽에 봉제 결합된 고리부(40)의 고리(42)에 결속부재(70)의 걸림부(71)를 끼워넣으면 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누구나 손쉽게 마스크(1)에서 유해가스 차단부재(60)를 탈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in order to attach the noxious
이때, 상기 결속부재(70)는 첨부도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날개부(72)가 자유롭게 벌어지고 좁혀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binding
또한, 유해가스 차단부재를 다수개 구비하여 유해가스 차단부재(60)를 부착한 마스크(1) 착용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입부분이 입김으로 인해 축축해져 착용감이 떨어진다거나, 또는 입냄새가 밸 경우에 부착돼 있는 차단부재(60)를 탈착시킨 후 새것으로 교체해서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위생적으로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wearing the mask (1) to which the harmful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마스크(1)는 황사가 심하게 나타나지 않는 날에 자외선만을 피하기 위해서 사용한다거나, 또는 황사나 유해가스 분포도가 높게 나타나는 날에는 별도의 유해가스 차단부재(60)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날씨에 따라 마스크 본체(10)에서 유해가스 차단부재(60)를 탈부착시켜 사용함으로써 마스크(1)를 좀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As such, the
또한, 상부체(20)와 하부체(30)의 양쪽 측단부에는 2가닥의 걸이끈(50)이 귀에 걸 수 있도록 고리형태를 이루도록 봉재되어 있고, 상기 걸이끈(50)에는 조임구(80)의 구멍(80a)에 걸이끈(50)이 끼워져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구조에 알맞게 조임구(80)를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both side ends of the
이때, 상기 조임구(80)는 고무재질로 이루져 있고, 조임구(80)에 형성된 구멍(80a)은 걸이끈(50)이 겨우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하여, 상기 걸이끈(50)에서 조임구(80)의 조절은 가능하되, 걸이끈(50)이 완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특히 조임구(80)는 고무재질의 특성인 미끄럼 방지기능을 효과적으로 적용시켜 구성하였으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착용시 불편함이 없도록 형성하였다.At this time, the
이와 함께, 유해가스 차단부재(60)는 황사가 호흡기(코와 입)를 통해 인체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필터링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마스크(1)의 하부체(30)에는 주름부(3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착용시 얼굴에 최대한 밀착되어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특히 마스크(1) 상부 중앙에는 커버부(22)를 형성시켜 굴곡이 심하게 돌출된 코 부위에 대해서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마스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harmful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는 다양한 실시예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유해가스 차단부재(60)를 부착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차단부재(60)의 상부에 결속부재(70)의 삽 입홈(72a)이 삽입되고, 제 1결합공(60a)에 결합돌기(75)를 끼워 넣은 다음, 양측 날개(72)를 손으로 잡고 누르게 되면 결합돌기(75)가 제 2결합공(74)에 끼워져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마스크(1) 상부에 결속부재(70)의 걸림부(71)를 끼워넣으면 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마스크(1)에서 유해가스 차단부재(60)를 탈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And,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as shown in Figure 7, 8, as another method for attaching the harmful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0)에 유해가스 차단부재(60)가 상단부 일부분이 봉제되어 부착된 것으로, 자외선 차단과 함께 황사발생시 이물질이 입 또는 코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차단부재는(60)상단부 일부분만 봉제되어 있어 개구부(25)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차단부재(60)의 하부와 양측으로 통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으므로 콧구멍으로 호흡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였다.As shown in FIG. 9, the upper portion of the harmful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마스크는, 황사가 발생하지 않은 날에는 자외선 차단만을 위해서 착용하다가, 황사 또는 유해가스 분포도가 높은 날에는 마스크에 결속부재를 통해 유해가스 차단부재를 부착하여 착용함으로써, 공기중에 혼합되어 있는 황사 등과 같은 이물질이 호흡기관을 통해 인체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황사에 의한 기관지 질환이나 얼굴 피부 손상 등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ly on the day when yellow dust does not occur, and on the day when the yellow dust or the harmful gas distribution is high, the mask is attached to the mask through a binding member to be worn in the air. By block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yellow dust mixed into the human body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damage such as bronchial disease or facial skin damage caused by yellow dust can be prevented.
그리고, 차단부재만을 여러개 구비하여 마스크 착용시 입김으로 인해 차단부재의 입부분이 축축해 지거나 입냄새가 밸 경우 그때그때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sk is worn with only a plurality of blocking members, the mouth part of the blocking member becomes wet due to the breathing, or if the smell of the mouth is bleeding.
또한, 마스크의 하부체에는 주름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착용시 얼굴에 최대한 밀착되어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마스크의 기능을 수행 할 수 있게 되었고, 마스크 본체의 양쪽 끝단에 봉재된 걸이끈에는 조임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구조에 알맞게 조임구를 조절해서 사용할 수있으므로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part of the mask is formed wrinkles, as close as possible to the face when worn, no gap is generated, so that the function of the mask can be more effectively performed, and fastened to the hanger strings that are sealed at both ends of the mask body. Since the sphere is provided, the user can adjust and adjust the fastener according to his body structure, so that anyone can use it conveniently.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7553U KR200418420Y1 (en) | 2006-03-21 | 2006-03-21 | Mas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7553U KR200418420Y1 (en) | 2006-03-21 | 2006-03-21 | Mas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8420Y1 true KR200418420Y1 (en) | 2006-06-13 |
Family
ID=4176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755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18420Y1 (en) | 2006-03-21 | 2006-03-21 | Mas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8420Y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52835A1 (en) * | 2009-10-30 | 2011-05-05 | Son Se Hwa | Mask for shielding ultraviolet rays and yellow dust and including a replaceable filter |
KR20180056005A (en) * | 2016-11-17 | 2018-05-28 | 김대수 | Mask for blocking uv |
KR101919343B1 (en) | 2017-06-13 | 2018-11-16 | 이해룡 | Mask |
KR20210050388A (en) * | 2019-10-28 | 2021-05-07 | 주식회사 케이엠 | Mask |
KR102269420B1 (en) * | 2020-09-18 | 2021-06-24 | 전용석 | Mask Apparatus For Emergent Escape |
-
2006
- 2006-03-21 KR KR2020060007553U patent/KR200418420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52835A1 (en) * | 2009-10-30 | 2011-05-05 | Son Se Hwa | Mask for shielding ultraviolet rays and yellow dust and including a replaceable filter |
KR20180056005A (en) * | 2016-11-17 | 2018-05-28 | 김대수 | Mask for blocking uv |
KR101885965B1 (en) | 2016-11-17 | 2018-08-07 | 김대수 | Mask for blocking uv |
KR101919343B1 (en) | 2017-06-13 | 2018-11-16 | 이해룡 | Mask |
KR20210050388A (en) * | 2019-10-28 | 2021-05-07 | 주식회사 케이엠 | Mask |
KR102332614B1 (en) * | 2019-10-28 | 2021-11-29 | 주식회사 케이엠 | Mask |
KR102269420B1 (en) * | 2020-09-18 | 2021-06-24 | 전용석 | Mask Apparatus For Emergent Escap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88939B2 (en) | Earless filter mask | |
US10449398B2 (en) | Earless filter mask | |
KR101140281B1 (en) | Nose/mouth separative mask | |
KR101840108B1 (en) | Mask for fine dust removal | |
JP3155829U (en) | mask | |
CN200973388Y (en) | Scarf or respirator combination | |
KR100821342B1 (en) | Mask | |
KR20100051052A (en) | Respirator having a harness and methods of making and fitting the same | |
JP2003525715A (en) | Disposable breathing mask | |
KR200418420Y1 (en) | Mask | |
CN1207326A (en) | Dust-proof mask | |
CN107549897A (en) | A kind of double breather valve deodorant masks | |
WO2021243013A1 (en) |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 | |
ITRM20070235A1 (en) | FILTERING MASK | |
CN207383599U (en) | A kind of double breather valve deodorant masks | |
US20230173311A1 (en) | Nasal mask and associated filter | |
KR100474500B1 (en) | A mask for screen of sunshine | |
WO2020163064A1 (en) | Earless filter mask | |
KR100543523B1 (en) | Yellow dust and sun protection mask | |
CN214970757U (en) | An adjustable oxygen mask for emergency nursing | |
KR200395352Y1 (en) | yellow sand and UV blocking mask | |
CN205547450U (en) | Novel odorless free from extraneous odour gauze mask | |
KR200366429Y1 (en) | A mask for screen of sunshine | |
KR200386524Y1 (en) | A coat with a hood that combines a mask with the hood | |
JP3046342U (en) | Nasal breathing mask for slee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321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6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32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604 Year of fee payment: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60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005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