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17340Y1 - 커튼봉 고정구 - Google Patents

커튼봉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340Y1
KR200417340Y1 KR2020060006845U KR20060006845U KR200417340Y1 KR 200417340 Y1 KR200417340 Y1 KR 200417340Y1 KR 2020060006845 U KR2020060006845 U KR 2020060006845U KR 20060006845 U KR20060006845 U KR 20060006845U KR 200417340 Y1 KR200417340 Y1 KR 2004173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rod
rod
coupling
curtain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8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제
Original Assignee
박희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제 filed Critical 박희제
Priority to KR20200600068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3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3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34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4Brackets for supporting rods or rails
    • A47H1/142Brackets for supporting rods or rails for supporting rod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커튼봉의 외주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커튼봉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사출 또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품이 완성되므로 추가적 공정이 소요되지 않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커튼봉 고정구이 개시된다. 개시된 고정구는 벽이나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수직으로 돌설되며 중앙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고리형상으로 라운드되며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설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고리부와; 일측 중앙에는 상기 연결부의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타측은 상기 고리부의 걸림돌기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결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리부, 연결부, 커튼봉, 걸림돌기, 고정구

Description

커튼봉 고정구{FIXING TOOL FOR CURTAIN BAR}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커튼봉 고정구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봉 고정구의 사시도이며,
도3 및 도4는 도2에 따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단면도이며,
도5 및 도6은 도2에 따른 실시예의 변경실시예이며,
도7은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튼봉 고정구의 사시도이며,
도8은 도7에 따른 실시예의 변경실시예이며,
도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튼봉 고정구의 사시도이며,
도10은 도9에 따른 커튼구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11(a) 및 도11(b)는 도9에 따른 커튼구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12는 도9에 따른 커튼구 고정구에 사용되는 결착봉의 배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210, 310: 고정부 120, 220, 330: 연결부
130, 230, 330: 고리부 140, 240: 결착판
340: 결착봉
본 고안은 커튼봉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튼봉의 외주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커튼봉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사출 또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품이 완성되므로 추가적 공정이 소요되지 않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커튼봉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은 좌우로 열고 닫으면서 창문을 가리기 위한 것으로, 최근에는 커튼봉을 이용하여 커튼을 열고 닫는 구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커튼 설치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벽 또는 천정에 고정설치된 커튼봉 고정구에 커튼봉이 고정되며, 이 커튼봉에는 다수의 커튼 안내링이 커튼봉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커튼 안내링에 커튼이 연결되어 커튼 안내링과 함께 좌우로 이동하면서 열고 닫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에는 커튼봉을 벽 또는 천정에 고정시키는 종래의 커튼봉 고정구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커튼봉 고정구는 벽 또는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연결부(20)에 일체로 형성되고 커튼봉(C)이 안착되는 고리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고리부(30)의 외측면에는 나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31)이 형성되며, 이 체결공(31)에 체결된 나사(S)는 고리부(30)에 안착된 커튼봉(C)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커튼봉이 유동되지 않도록 잡아 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커튼봉 고정구는 나사로 가압하여 커튼봉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커튼봉의 외주면이 손상되어 커튼봉을 재활용할 때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튼봉 고정구를 천장과 벽면 사이의 협소한 공간인 커튼박스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작업공간이 좁아 고리부의 체결공에 나사를 체결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커튼봉 고정구는 재질에 따라 사출 또는 다이캐스팅한 후 나사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천공해야 하는 공정이 추가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커튼봉의 외주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커튼봉을 고정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커튼봉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출 또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품이 완성되고 이에 따라 추가적 공정이 소요되지 않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커튼봉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벽이나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수직으로 돌설되며 중앙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고리형상으로 라운드되며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설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고리부와; 일측 중앙에는 상기 연결부의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타측은 상기 고리부의 걸림돌기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결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고정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벽이나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수직으로 돌설되며 중앙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고리형상으로 라운드되며 끝단에는 외측으로 돌설된 걸림돌기가 형성된 고리부와; 일측 중앙에는 상기 연결부의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고리부의 걸림돌기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편이 형성된 결착 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고정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벽이나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수직으로 돌설되며 중앙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고리형상으로 라운드되며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설된 걸림돌기가 형성된 고리부와; 일단 외주면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편이 형성되며, 타단 중앙 하측에는 제2결합부가 편심되게 형성된 결착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고정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커튼봉 고정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봉 고정구의 사시도이며, 도3 및 도4는 도2에 따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단면도이다.
이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튼봉 고정구는 고정부(110), 연결부(120), 고리부(130) 및 결착판(14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10)는 벽이나 천정에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부분으로, 본 고안의 핵심적 구성이 아니라 부가적 구성에 해당하기 때문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고정부(110)에 수직으로 돌설되며 중앙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의 제1결합부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121)이거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121-1)이다.
상기 고리부(130)는 상기 연결부(120)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고리형상으로 라운드되며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설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131, 132)가 형성된다. 상기 고리형상의 라운드진 부분으로는 커튼봉(C)이 안착되며, 상기 걸림돌기(131, 132)는 후술할 결착판(140)이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결착판(140)은 소정의 탄성을 지니며, 타단이 상기 고리부(130)의 걸림돌기(131, 132)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부(120)의 제1결합부(121, 121-1)와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결착판(140)의 일측 중앙에는 상기 연결부의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대응되도록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141)이거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 기(141-1)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120)과 고리부(130)의 연결되는 부분은 경사부(125)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결합홈(121)은 상기 경사부(125)에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결합홈(121)이 경사부(125)에 의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결착판의 결합돌기(141)를 결합홈(121)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결착판의 타측 단부는 라운드(142)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결착판의 결합돌기(141)를 결합홈(121)에 삽입시킨 후 회전시킬 때, 결착판의 타측 단부(142)가 고리부의 측면에 간섭됨이 없이 자연스럽게 걸림돌기(131, 132) 하측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커튼봉 고정구의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벽이나 천장에 고정설치된 고정구의 고리부(130)에 커튼봉(C)을 안착시킨 다음 결착판의 결합돌기(131)를 결합홈(121)에 결합시킨다. 이 때, 결착판(140)을 고리부(130)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진입시킨 다음 결합홈(12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결합돌기(141)가 결합홈(121)에 결합된다. 특히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의 결합홈(121)을 경사부(125)에까지 연장되게 형성한 경우에는 결합홈(121)이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결착판(140)의 결합돌기(141)를 결합홈(12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착판의 결합돌기(141)가 결합홈(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착판(140)을 회전시키면 결착판(140)의 라운드진 타측단부(142)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131, 132) 하측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양단이 상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고정된 결착판(140)에 의해 커튼봉(C)의 외주연이 가압됨으로써 커튼봉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리부의 걸림돌기(131, 132)를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 두개 형성한 이유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봉(C)의 직경이 상이한 경우에는 결착판(140)의 타측 단부(142)가 하단 걸림돌기(132)의 하측에 배치되게 하여 결착판(140)이 직경이 작은 커튼봉이라도 가압 고정시킬 수 있게 함이다.
나아가, 상기 결착판(140)은 커튼봉(C)과 면접촉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봉(C)과 접촉하는 부위를 일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라운드(143)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결착판(140)과 커튼봉(C)은 선접촉이 아니라 면접촉을 하게 되므로 커튼봉이 결착판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첨부된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커튼봉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는 벽이나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210)와; 상기 고정부(210)에 수직으로 돌설되며 중앙에는 제1결합부(221)가 형성된 연결부(220)와; 상기 연결부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고리형상으로 라운드되며 끝단에는 외측으로 돌설된 걸림돌기(231)가 형성된 고리부(230)와; 일측 중앙에는 상기 연결부의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24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고리부의 걸림돌기(231)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편(242)이 형성된 결착판(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특징은 고리부의 걸림돌기(231)가 외측으로 돌설되어 있고 이에 따라 결착판(240)의 타측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편(24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부의 제1결합부(221)에 결착판의 제2결합부(241)를 결합시킨 다음 결착판(240)을 회전시키면 결착판의 걸림편(242)이 고리부의 걸림돌기(231)에 걸려 고정되면서 결착판(240)의 중앙부분이 고리부에 안착된 커튼봉(C)의 외주연을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게 결합홈이거나 결합돌기일 수 있음은 당연하며, 도면에서는 제1결합부를 결합돌기(221)로, 제2결합부를 결합홈(241)로 도시하였다.
바람직하게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착판(240)은 커튼봉과 면접촉하도록 커트봉(C)과 접촉하는 부위가 일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결착판(240)과 커튼봉(C)은 선접촉이 아니라 면접촉을 하게 되 므로 커튼봉이 결착판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첨부된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봉 고정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10은 도9에 따른 커튼구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11(a) 및 도11(b)는 도9에 따른 커튼구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12는 도9에 따른 커튼구 고정구에 사용되는 결착봉의 배면도이다.
이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튼봉 고정구는 벽이나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310)와; 상기 고정부(310)에 수직으로 돌설되며 중앙에는 결합홈(321)이 형성된 연결부(320)와; 상기 연결부(320)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고리형상으로 라운드되며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설된 걸림돌기(331)가 형성된 고리부(330)와; 일단 외주면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편(341)이 형성되며, 타단 중앙 하측에는 상기 연결부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42)가 편심되게 형성된 결착봉(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부(330)가 연결부(320)에서 절곡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고리형상으로 라운드되는 커튼봉 고정구에 적용되는 것이며, 그 특징은 결착봉(340)을 통해 고리부(330)에 안착된 커튼봉(C)을 고정시킨다는 데 있다. 상기 결착봉(3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외주면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편(341)이 형성되며, 타단 중앙 하측에는 결합돌기(342)가 편심되게 형성 되어 있다. 상기 돌출편(341)은 회전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의 돌출편이 고리부의 걸림돌기(342)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기(341)는 연결부의 결합홈(321)에 결합된다.
따라서, 결착봉(340)의 결합돌기(342)를 연결부의 결합홈(321)에 결합시킨 후 회전시키면, 도11(a) 및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착봉(340)의 어느 하나의 돌출편(341)은 고리부의 걸림돌기(331) 하측에 배치되며 결착봉의 중심부분이 커튼봉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커튼봉을 고정하게 된다. 참고로, 도11(a)는 결착봉(34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커튼봉(C)을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11(b)는 결착봉(34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커튼봉을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각각 좌측 또는 우측으로 결착봉이 고리부에 대해 치우쳐 있는 데 이는 결착봉의 결합돌기가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착봉(340)은 커튼봉(C)과 면접촉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커트봉(C)과 접촉하는 중앙 부위가 라운드지게 함몰(343)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결착판과 커튼봉은 선접촉이 아니라 면접촉을 하게 되므로 커튼봉이 결착판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튼봉 고정구는 종래와 같이 나사를 통해 커튼봉을 고정하지 않고 결착판이나 결착봉을 통해 고정하므로 커튼봉의 외주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커튼봉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결착판이나 결착봉의 작업공간이 커튼봉 고정구의 투영면에 있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재질에 따라 사출 또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품이 완성되므로 체결공 천공작업과 같은 추가적 공정이 소요되지 않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벽이나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수직으로 돌설되며 중앙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고리형상으로 라운드되며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설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고리부와;
    일측 중앙에는 상기 연결부의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타측은 상기 고리부의 걸림돌기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결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과 고리부의 연결되는 부분은 경사부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결합홈은 상기 경사부에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고정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판은 커튼봉과 면접촉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커트봉과 접촉하는 부위가 일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라운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고정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판의 타측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고정구.
  5. 벽이나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수직으로 돌설되며 중앙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고리형상으로 라운드되며 끝단에는 외측으로 돌설된 걸림돌기가 형성된 고리부와;
    일측 중앙에는 상기 연결부의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고리부의 걸림돌기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편이 형성된 결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고정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판은 커튼봉과 면접촉하도록 커트봉과 접촉하는 부위가 일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라운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고정구.
  7. 벽이나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수직으로 돌설되며 중앙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고리형상으로 라운드되며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설된 걸림돌기가 형성된 고리부와;
    일단 외주면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편이 형성되며, 타단 중앙 하측에는 상기 연결부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편심되게 형성된 결착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고정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봉은 커튼봉과 면접촉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커트봉과 접촉하는 중앙 부위가 라운드지게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고정구.
KR2020060006845U 2006-03-14 2006-03-14 커튼봉 고정구 Expired - Lifetime KR2004173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845U KR200417340Y1 (ko) 2006-03-14 2006-03-14 커튼봉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845U KR200417340Y1 (ko) 2006-03-14 2006-03-14 커튼봉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340Y1 true KR200417340Y1 (ko) 2006-05-25

Family

ID=41766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845U Expired - Lifetime KR200417340Y1 (ko) 2006-03-14 2006-03-14 커튼봉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3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87147A (ja) * 2017-05-09 2018-11-29 トーソー株式会社 カーテンレール構造
US11857097B1 (en) * 2018-09-25 2024-01-02 Burr Distribution, Llc Curtain rod support assemb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87147A (ja) * 2017-05-09 2018-11-29 トーソー株式会社 カーテンレール構造
JP6993106B2 (ja) 2017-05-09 2022-01-13 トーソー株式会社 カーテンレール構造
US11857097B1 (en) * 2018-09-25 2024-01-02 Burr Distribution, Llc Curtain rod support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0463B2 (en) Clip and fastening structure
WO2011118173A1 (ja) フロアマット用クリップ
CN103841869B (zh) 安装系统
US8646626B2 (en) Wall mounting bath accessory assembly
KR101845007B1 (ko) 앵커볼트 조립체
WO2014122557A1 (en) Device for fixing wires
KR101850986B1 (ko) 풀림 방지 너트
KR200417340Y1 (ko) 커튼봉 고정구
KR101271580B1 (ko) 가구용 판넬 체결장치
KR20190081444A (ko) 커넥터 클립 고정구조
JP4712578B2 (ja) パネル固定機構
JP2008111498A (ja) クリップ
JPS5854813Y2 (ja) ハ−ネス固着具
KR101130653B1 (ko) 캡티브 스크류
JPH09280217A (ja) 固定具
KR200380541Y1 (ko) 파이프 연결구조
JP2814348B2 (ja) 浴槽における排水用栓体の取付構造
JP7484076B2 (ja) 部材取付け構造、およびこの構造を備えた排水栓開閉操作装置
JP4814037B2 (ja) 浴槽目地材
KR200446183Y1 (ko) 천정판 클램프
KR200433295Y1 (ko) 스위치 고정판의 금속편 이탈방지구조
CA2726689C (en) Wall mounting bath accessory assembly
JP4184254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固定装置
KR200401994Y1 (ko) 등기구 프레임
KR200486135Y1 (ko) 클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31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3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0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6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