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17244Y1 - 렌즈 사출성형품의 렌즈 제품부 파지 및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사출성형품의 렌즈 제품부 파지 및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244Y1
KR200417244Y1 KR2020060006697U KR20060006697U KR200417244Y1 KR 200417244 Y1 KR200417244 Y1 KR 200417244Y1 KR 2020060006697 U KR2020060006697 U KR 2020060006697U KR 20060006697 U KR20060006697 U KR 20060006697U KR 200417244 Y1 KR200417244 Y1 KR 2004172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ripping
injection molded
product
su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환
김정율
Original Assignee
(주)프로쎈
김정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쎈, 김정율 filed Critical (주)프로쎈
Priority to KR2020060006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2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2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24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32Auxiliary operations, e.g. machines for filling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23Transferring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2045/4073Ejection devices located outside the injection moulding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렌즈 사출성형품의 렌즈 제품부 파지 및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회전작동부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회전축 상부에 설치된 하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에서 승하강이동 작동되는 상부베이스와, 상기 상부베이스에서 전후이동 작동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서 선단에 수직의 흡입구를 갖는 다수의 분기관 및 메인관에 연결된 흡입펌프의 흡입작동으로 각 흡입구가 렌즈 제품부를 흡착 파지하는 파지작동부로 구성된 것에 의해서 사출성형품에서 절단되는 렌즈 제품부를 진공 흡입 방식에 의해 효과적으로 파지하여 회전, 상승 및 전후 작동으로 트레이상에 원활히 이송 공급하므로 작업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제품부의 렌즈면 손상을 최소화하여 그 상품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렌즈, 사출성형품, 흡입력, 파지, 이송장치, 렌즈면

Description

렌즈 사출성형품의 렌즈 제품부 파지 및 이송장치{A FIXING AND TRANSFER DEVICE FOR MOLDING PRODUCTS}
도 1은 렌즈 사출성형품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 파지작동부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렌즈 제품부를 적재하는 트레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회전축 10: 하부베이스
25: 상하작동실린더 30: 상부베이스
35: 전후작동실린더 40: 본체
50: 파지 작동부 51a: 흡입구
51; 분기관 53: 메인관
본 고안은 렌즈 성형금형에서 사출성형, 추출되어 런너경화부와 제품부가 일체 형성된 사출성형품에서 절단된 렌즈 제품부를 파지하되, 렌즈의 상부를 진공 흡착하는 형태로 파지하여 회전, 상하 및 전후 이동 작동으로 트레이상에 이송 공급하도록 하는 렌즈 사출성형품의 렌즈 제품부 파지 및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에서 사출성형되어 추출되는 사출성형품은 런너경화부와 제품부가 일체로 추출되어 별도의 공정에 의해 상기 제품부만을 절단 분리하게 된다.
상기한 렌즈 성형금형의 사출성형품(1)은 도 1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런너 경화부(2)의 좌우측에 대향되는 위치로 6 캐비티 또는 4캐비티 등으로 성형된 렌즈 제품부(3)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렌즈 성형금형에서 사출 성형되어 추출된 사출성형품(1)은 이송부, 순차공급부 등에 의해 절단장치로 공급되고, 상기 절단장치의 본체 양측으로 구비된 수직의 고정날과, 그 수직 상부에서 승하강 작동하는 가동날에 의해 런너경화부(2)와 제품부(3)를 절단하여 분리하므로 렌즈 제품부만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단된 렌즈 제품부(3)는 별도의 파지장치가 파지한 상태로 일측으로 이송하여 별도의 트레이에 적재하게 된다.
즉 상기 렌즈 제품부(3)가 절단되기 전에 이미 파지장치가 렌즈 제품부를 파지하고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파지장치가 렌즈 제품부를 기계적으로 파지하는 작동이 효율적이지 못하여 오작동의 우려가 있음은 물론 렌즈 제품부를 파지한 상태로 트레이상에 이송 공급하는 작동이 원활히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상기한 렌즈는 사이즈가 소형일 뿐만아니라 휴대폰 등에 미세하게 조립되게 되기 때문에, 상기한 렌즈 제품부를 기계적으로 파지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손상에도 제품 전체의 불량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사출성형품에서 절단되는 렌즈 제품부를 진공 흡입 방식에 의해 효과적으로 파지하여 회전, 상승 및 전후 작동으로 트레이상에 원활히 이송 공급하므로 작업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제품부의 렌즈면 손상을 최소화하여 그 상품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작동부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회전축 상부에 설치된 하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에서 승하강이동 작동되는 상부베이스와,
상기 상부베이스에서 전후이동 작동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서 선단에 수직의 흡입구를 갖는 다수의 분기관 및 메인관에 연결된 흡입펌프의 흡입작동으로 각 흡입구가 렌즈 제품부를 흡착 파지하는 파 지작동부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된 렌즈 사출성형품(1)을 절단장치(5)상에 공급하여 절단날(6)(6')로 절단한 렌즈 제품부(3)를 파지 및 이송하여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회전작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회전축(10) 상부에 설치된 하부베이스(20)와,
상기 하부베이스 전면에 설치된 상하 작동실린더(25)의 로드(26)에 지지되어 승하강 작동되는 상부베이스(30)와,
상기 상부베이스 상부에 설치된 전후 작동실린더(35)의 로드(36)에 지지되어 전후 이동 작동하는 본체(40)와,
상기 본체 상부에 선단에 수직의 흡입구(51a)를 갖는 다수의 분기관(51)을 흡입펌프(미도시)에 연결된 메인관(53)에 연결하여 각 흡입구(51a)의 흡입작동에 의해 렌즈 제품부(3)를 흡착 파지하는 파지작동부(5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로서, 22는 안내로드, 100은 절단된 렌즈 제품부(3)를 이송하여 적재하기 위한 다수의 안착홈(105)을 형성하는 렌즈 트레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성형금형에 의해 사출성형된 렌즈 사출성형품(1)을 수동, 또는 자동 이 송하여 절단장치(5) 상부의 지그상에 고정되게 안착하도록 공급한다.
이 상태에서 절단장치의 절단날에 의해 사출성형품(1)의 렌즈 제품부(3)를 절단하여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사출성형품의 렌즈 제품부(3)는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해 파지 및 이송공급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절단장치(5)상에 렌즈 성형제품부(1)가 안착되게 공급되면, 본 고안의 상부베이스(30)에서 작동실린더(35)의 로드(36) 전진에 의해 본체(40)를 내측으로 전진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체(40)가 내측으로 전진하면서 상기 본체상의 파지작동부(50)가 렌즈 제품부의 상부에 위치한다.
즉, 상기 파지작동부(50)의 분기관(51) 선단에 수직으로 구비된 흡입구(51a)가 각각의 렌즈 제품부(3)상부에 위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하 작동실린더(25)가 하강작동하면서 상기 흡입구(51a)가 각각의 렌즈 제품부(3)상부에 밀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미도시된 진공펌프에 의한 흡입력이 메인관(53), 분기관(51)을 통해 흡입구(51a)에 미치게 되므로 각 렌즈 제품부(3)를 흡입하는 흡입력에 의해 각각 파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파지작동부(50)가 각 렌즈 제품부(3)를 파지하면, 절단장치(5)에 의해 사출성형품(1)에서 렌즈 제품부(3)만을 절단 분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렌즈 제품부(3)의 절단 분리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회전작동부(미 도시)에 의해 회전축(10)이 회전하면서 본체(40)가 트레이(100) 위치로, 예를 들면 90° 또는 180° 로 회전 이송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본체(40)는 트레이(100)의 이송할 안착홈(105) 위치로 전후 작동실린더(35)의 전후 작동 및 상하 작동실린더(25)의 상하 이동으로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다시 상기 파지공급부(50)의 각 흡입구(51a)에 작용하는 흡입력을 차단하므로 파지되어 있던 렌즈 제품부(3)의 파지를 해제하면서 트레이(100)의 안착홈(105)에 안착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렌즈 제품부(3)의 파지, 이송 공급과정이 완료되면, 다시 원위치 작동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절단된 렌즈 제품부(3)의 파지, 이송 공급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렌즈 제품부 파지 및 이송장치는 단독적으로 사출성형품(1)에서 절단되는 제품부만을 파지,이송하고자 사용될 수도 있지만 사출금형에서 추출된 사출성형품의 이송- 순차공급- 성형품 절단가공- 절단된 성형품 파지/이송 및 트레이에 적재 등과 같은 공정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사출성형품 가공시스템에 적용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출성형품 가공시스템은 절단장치의 지그상에 사출성형품이 이송공급되면 레일을 따라 가동날 하부로 이동하여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해 렌즈 제품부를 파지한 후 절단하고, 이를 일측의 트레이상에 이송 적재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장치는 다양하게 변형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출성형품에서 절단되는 렌즈 제품부를 진공 흡입력에 의한 파지력으로 효과적으로 파지하여 회전 및 전후 이동 작동으로 트레이상에 이송 공급하므로 작업성은 물론 제품부의 렌즈면 손상을 최소화하여 렌즈 제품부의 품질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사출성형된 렌즈 사출성형품(1)을 절단장치(5)상에 공급하여 절단날(6)(6')로 절단한 렌즈 제품부(3)를 파지 및 이송하여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회전작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회전축(10) 상부에 설치된 하부베이스(20)와,
    상기 하부베이스 전면에 설치된 상하 작동실린더(25)의 로드(26)에 지지되어 승하강 작동되는 상부베이스(30)와,
    상기 상부베이스 상부에 설치된 전후 작동실린더(35)의 로드(36)에 지지되어 전후 이동 작동하는 본체(40)와,
    상기 본체 상부에 선단에 수직의 흡입구(51a)를 갖는 다수의 분기관(51)을 흡입펌프(미도시)에 연결된 메인관(53)에 연결하여 각 흡입구(51a)의 흡입작동에 의해 렌즈 제품부(3)를 흡착 파지하는 파지작동부(5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사출성형품의 렌즈 제품부 파지 및 이송장치.
KR2020060006697U 2006-03-13 2006-03-13 렌즈 사출성형품의 렌즈 제품부 파지 및 이송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172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697U KR200417244Y1 (ko) 2006-03-13 2006-03-13 렌즈 사출성형품의 렌즈 제품부 파지 및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697U KR200417244Y1 (ko) 2006-03-13 2006-03-13 렌즈 사출성형품의 렌즈 제품부 파지 및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244Y1 true KR200417244Y1 (ko) 2006-05-24

Family

ID=41766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69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17244Y1 (ko) 2006-03-13 2006-03-13 렌즈 사출성형품의 렌즈 제품부 파지 및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24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581B1 (ko) 2008-08-26 2010-12-17 (주)네오하나텍 가공렌즈 포지션장치
KR101411327B1 (ko) 2008-05-02 2014-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원소재 투입 및 성형렌즈 취출 자동화장치, 및 원소재 투입및 성형렌즈 취출 방법
KR101641623B1 (ko) * 2016-01-20 2016-07-21 조창연 엘이디칩용 렌즈의 공급장치
KR101839065B1 (ko) 2016-01-20 2018-03-16 조창연 엘이디 칩용 렌즈의 자세정렬장치
KR20200039590A (ko) * 2018-10-04 2020-04-16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자동차 헤드램프용 렌즈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자동차 헤드램프용 프레넬 렌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327B1 (ko) 2008-05-02 2014-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원소재 투입 및 성형렌즈 취출 자동화장치, 및 원소재 투입및 성형렌즈 취출 방법
KR101001581B1 (ko) 2008-08-26 2010-12-17 (주)네오하나텍 가공렌즈 포지션장치
KR101641623B1 (ko) * 2016-01-20 2016-07-21 조창연 엘이디칩용 렌즈의 공급장치
KR101839065B1 (ko) 2016-01-20 2018-03-16 조창연 엘이디 칩용 렌즈의 자세정렬장치
KR20200039590A (ko) * 2018-10-04 2020-04-16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자동차 헤드램프용 렌즈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자동차 헤드램프용 프레넬 렌즈
KR102421899B1 (ko) * 2018-10-04 2022-07-18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자동차 헤드램프용 렌즈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자동차 헤드램프용 프레넬 렌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244Y1 (ko) 렌즈 사출성형품의 렌즈 제품부 파지 및 이송장치
CN105437451A (zh) 数据线端口全自动注塑流水线
KR101704450B1 (ko) 자동차 벌브용 유리관 레이저 컷팅장치
KR101992465B1 (ko) 로터 조립체 제조장치
KR100386670B1 (ko) 사출물 게이트 커팅장치 및 방법
KR20160064822A (ko) 광학렌즈의 컷팅장치
KR101692312B1 (ko) 콘택트렌즈 자동 제조장치
CN113910537A (zh) 一种带镶嵌配件的注塑管件的生产方法及系统
CN211807435U (zh) 一种插头铁片输送、埋入和产品取出装置
KR101796493B1 (ko) 소형주물 자동절단기계
CN212046643U (zh) 双工作台集成输送分离线的床身装置
KR101692835B1 (ko) 컬러 콘택트렌즈 자동 제조장치
JP5362202B2 (ja) 成形品取出機
KR101203336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프레스 성형시스템
CN218171134U (zh) 一种螺钉自动化埋入取出设备
KR101875889B1 (ko) 버 제거 장치
KR20090004795A (ko) 콘택트 렌즈 몰드 가공장치
KR101678165B1 (ko) 로딩 장치
JP3153470B2 (ja) 成形品の搬送及びゲート切断方法並びにその装置
CN212288574U (zh) 取泵机及泵头生产线
KR101822053B1 (ko) 도어 그립용 사출 게이트 제거장치
KR200417208Y1 (ko) 렌즈 사출성형품의 렌즈 제품부 파지 및 이송장치
CN215472649U (zh) 一种兼具埋入五金件和切水口功能的注塑机辅助设备
CN113844883A (zh) 勺子下料机构
KR101134142B1 (ko) 수직형 콘택트렌즈 절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31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3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4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