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164Y1 - Computer Displacement Detection Input Device - Google Patents
Computer Displacement Detection Input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7164Y1 KR200417164Y1 KR2020060002483U KR20060002483U KR200417164Y1 KR 200417164 Y1 KR200417164 Y1 KR 200417164Y1 KR 2020060002483 U KR2020060002483 U KR 2020060002483U KR 20060002483 U KR20060002483 U KR 20060002483U KR 200417164 Y1 KR200417164 Y1 KR 20041716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input device
- displacement
- computer
- wri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의 변위검출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필기입력장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및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는 베이스의 변위량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필기입력장치는 필기 필적을 컴퓨터에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버튼은 상기 베이스 및 필기입력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필기입력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가 제1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각각의 버튼은 베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스위치가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각각의 버튼은 상기 필기입력장치를 제어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cement detection input device of a computer, and includes a base, a writing input device, at least one button and a switch. The base includes at least one displacement sensor for measuring a displacement amount of the base;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is provided for inputting a handwriting handwriting to a computer and is installed in the base; Each butt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and the writing input device; The switch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and the writing input device to switch between a first state and a second state. When the switch is switched to the first state, each button controls the base, and when the switch is switched to the second state, each button controls the writing input device.
베이스, 필기입력장치, 스위치, 변위 센서 Base, Handwriting Input Device, Switch, Displacement Sensor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스위치가 제1 상태에 처한 상태를 보여주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측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witch is in the first stat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스위치가 제2 상태에 처한 상태를 보여주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witch is in a second state.
도 5는 주로 서명할 때의 필기입력장치의 상태를 보여주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조작을 보여준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showing the state of the writing input device when signing.
본 고안은 컴퓨터의 변위검출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덱스 기능과 필기 서명 기능을 갖춘 컴퓨터의 변위검출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cement detection input device of a compu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cement detection input device of a computer having an index function and a handwritten signature function.
정보기술의 발전과 인터넷의 폭 넓은 사용에 힘 입어, 페이퍼에 기록되던 많은 자료는 디지털, 전자 형식으로 기록되며, 컴퓨터 간에 전송됨으로써 자료의 저장, 유통 및 전송이 더욱 용이하고 신속해지도록 하며 지역의 한정을 받지 않는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widespread use of the Internet, many of the data recorded on paper are recorded in digital and electronic formats, and are transferred between computers, making it easier and faster to store, distribute and transmit data. It is not limited.
자료의 디지털화, 전자화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페이퍼 기록방식으로 기록되는 자료는 여전히 유일성과 복제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화 자료도 이와 마찬가지로 유일성과 복제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맡겨진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정부 공문서 또는 비즈니스 서신과 같은 중요한 자료를 처리하는 경우에 흔히 쓰는 방식은 우선 컴퓨터로 자료를 편집, 정리한 다음 자료를 용지에 프린트한다. 다음, 자료의 정확 여부를 인정하기 위한 작업으로서 용지에 서명한 다음, 마지막 작업으로서 상기 서명한 페이퍼 자료를 팩스 또는 스캔 방식으로 디지털 자료로 전환시킨다.Digitization and digitization of data have many advantages, but the data recorded by paper recording method still have uniqueness and difficult to duplicate.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task lef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ake digitalized materials likewise unique and difficult to reproduce. The most common way to deal with important data, such as government officials or business letters, is to first edit and organize the data on a computer and then print the data on paper. Next, the paper is signed as a work to confirm the accuracy of the data, and then, as a final work, the signed paper material is converted into digital data by fax or scanning.
그런데, 중요도가 높은 자료에 대하여 진행되는 서명 인증방식에서 필수적으로 진행되는 절차가 많고 번거롭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기 쉬우며 용지가 낭비되며, 자료의 디지털화, 페이퍼리스화의 발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However, because of the many and cumbersome procedures necessary for the signature authentication method for high-value materials, it is easy to cause errors and wastes paper, and indirectly affects the development of data digitization and paperlessization. .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커서 인덱스 기능과 필기 서명 기능을 동시에 갖춤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컴퓨터 조작과 자료에 대한 서명 인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의 변위검출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cement detection input device of a computer having a cursor index function and a handwritten signature function at the same time so that a user can perform computer operation and signature recognition operation using the same.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구성의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의 변위검출 입력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put device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Displacement detection input device of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베이스, 필기입력장치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및 전환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는 베이스의 변위량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필기입력장치는 필기 필적을 컴퓨터에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버튼은 상기 베이스 및 필기입력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환장치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필기입력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전환장치가 제1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각각의 버튼은 베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전환장치가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각각의 버튼은 상기 필기입력장치를 제어한다.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변위검출 입력장치는 베이스와 필기입력장치의 결합 방식을 통하여 커서 인덱스 기능과 필기 서명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며, 컴퓨터 조작과 자료에 대한 서명 인정의 목적을 달성한다.It includes a base, a writing input device and at least one button and switching device. The base includes at least one displacement sensor for measuring a displacement amount of the base;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is provided for inputting a handwriting handwriting to a computer and is installed in the base; Each butt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and the writing input device; The switching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and the writing input device and can be switched between a first state and a second state. Each button controls the base when the switching device is switched to the first state, and each button controls the writing input device when the switching device is switched to the second state. Accordingly, the computer displacement detectio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cursor index function and the handwriting signature function simultaneously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base and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achieves the purpose of computer operation and signature recognition for data.
실시예Example
이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과 결부시켜, 본 고안에 따른 구조체와 특징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tructure and fea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변위검출 입력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베이스(10), 필기입력장치(20), 제1 버튼(30), 제2 버튼(33) 및 전환장치(40)를 포함한다. 1 to 3 is a view showing a displacement detection input device of a compu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10) 내부에는 수납공간부(12)가 형성되며, 베이스(10)의 상부에는 상기 수납공간부(12)와 연통된 개구부(13)가 형성된다. 베이스(10)의 수납공간부(12)에는 회로판(14)과 롤링부(15)가 설치되며, 상기 회로판(14)에는 다수의 전자소자(16)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위 센서(17)가 설치된다. 상기 롤링부(15)는 하나의 롤러(18)와 상기 변위 센서(17)와 같은 수량의 광 격자(19)가 포함 되는데, 상기 각각의 변위 센서(17)는 광전기 감지 스위치이다. 상기 롤러(18)의 외표면 중 일부분은 베이스(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베이스(10)가 테이블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롤러(18)는 이와 동시에 베이스(10) 내부의 원 지점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각각의 광 격자(19)로 하여금 롤러(18)를 따라 원 지점에서 회전하도록 한다. 다음 각각의 변위 센서(17)를 통하여 각각의 광 격자(19)의 회전량을 측정하며, 나아가 베이스(10)의 변위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변위량을 회로판(14)에 설치된 연결선(60)을 통해 컴퓨터(도시되지 않음)에 전송한다.Here, the
상기 필기입력장치(20)는 콘덴서형 터치 제어패드로서, 베이스(10)의 수납공간부(12)의 상부에 설치되며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된다. 상기 필기입력장치(20)는 어댑터(21)를 통해 베이스(10) 상의 회로판(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펜(22)이 상기 필기입력장치(20)의 표면을 따라 필기를 할 때 상기 필기입력장치(20)는 입력 펜(22)에 의한 필적을 표시하고 상기 필적을 연결선(60)을 통해 컴퓨터에 전송한다.The
상기 제1 버튼(30)은 제1 탄성부재(31)와 제1 미동스위치(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탄성부재(31)는 베이스(10)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미동스위치(32)는 베이스(10) 상의 회로판(14)에 설치되며, 제1 미동스위치(32)는 상기 베이스(10) 및 필기입력장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 미동스위치(32)의 위치는 제1 탄성부재(31)의 위치와 대응되며, 제1 탄성부재(31)는 제1 미동스위치(32)를 촉발하는 작용을 한다.The
상기 제2 버튼(33)은 제2 탄성부재(34) 및 제2 미동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탄성부재(34)는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제2 미동스위치는 베이스(10)의 회로판(14)에 설치되며, 제2 미동스위치는 상기 베이스(10) 및 필기입력장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2 미동스위치의 위치는 제2 탄성부재(34)의 위치와 대응되며, 제2 탄성부재(34)는 제2 미동스위치를 촉발하는 작용을 한다.The
상기 전환장치(40)는 전자스위치로서, 베이스(10)의 회로판(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회로판(14)을 통해 필기입력장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환장치(40)는 제1 상태(도 2를 참조)와 제2 상태(도 4를 참조)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어, 전환장치(40)가 제1 상태로 전환된 경우에 제1 버튼(30)과 제2 버튼(33)은 제1 미동스위치(32)와 제2 미동스위치를 촉발함으로써 베이스(10)를 제어하며, 전환장치(40)가 제2 상태로 전환된 경우에 제1 버튼(30)과 제2 버튼(33)은 각각 제1 미동스위치(32)와 제2 미동스위치를 촉발함으로써 필기입력장치(20)를 제어한다.The
상기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변위검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자료의 편집 작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선(60)으로 컴퓨터에 연결시킨 다음, 전환장치(40)를 제1 상태로 전환시킨다. 다음, 테이블을 따라 베이스(10)를 이동시킴으로써 베이스(10)의 변위 센서(17)로 하여금 베이스(10)의 변위량을 측정하여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제어 커서를 이동시킨 다음, 제1, 제2 버튼(30,33)과 배합하여 컴퓨터 자료의 편집 및 정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아울러, 자료의 편집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서 명 필적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우선 베이스(10)를 이용하여 커서를 자료 상의 서명 위치에 이동시킨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장치(40)를 제2 상태로 전환시켜 커서를 상기 위치에 고정시킨다. 이 때 사용자는 입력 펜(22)을 이용하여 필기입력장치(20)에 직접 서명할 수 있으며, 필기입력장치(20)를 통해 서명 필적을 직접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서명이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면 사용자는 제1 버튼(30)의 제1 탄성부재(31)를 눌러 제1 미동스위치(32)에 압력을 가한 다음, 필기입력장치(20)의 서명 필적을 회로판(14)과 연결선(60)을 통해 컴퓨터에 전송시키면 서명 필적은 편집 중의 자료에 입력하게 된다. 사용자가 필기입력부재(20)의 서명 필적에 만족하지 않을 경우, 제2 버튼(33)의 제2 탄성부재(34)를 직접 눌러 제2 미동스위치에 압력을 가하면, 필기입력장치(20)는 상기 서명 필적을 삭제하며 사용자가 다시 상기 필기입력장치(20)에 요구에 부합되는 서명을 하도록 한다. 이러한 작업을 서명이 요구에 부합되어 컴퓨터에 전송될 때까지 진행한 다음, 전환장치(40)를 제1 상태로 전환시켜 베이스(10)가 다시 커서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case where the user wants to proceed with editing the data using the computer displacement detectio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의 변위검출 입력장치는 베이스와 필기입력장치를 결합시킴으로써 입력장치가 커서 인덱스 기능과 필기 서명 기능을 동시에 갖추도록 하여 컴퓨터 조작 및 자료에 대한 서명 인정 작업을 수행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isplacement detection input apparatus of the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a base and a handwriting input apparatus so that the input apparatus is equipped with a cursor index function and a handwriting signature function at the same time to perform computer operation and signature recognition for data. Can be achieved.
또한 상기 베이스에는 입력 펜을 수납할 수 있는 끼움부가 증설되어, 입력 펜을 분리가능하게 상기 끼움부에 설치하고 서명 시 편리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롤링부 대신 광학 어셈블리 또는 궤적 볼을 이용할 수 있는 바, 광학 어셈블리 또는 궤적 볼 역시 변위 센서로 하여금 베이스의 변위량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베이스의 연결선을 무선 신호 전송모듈로 교체하거나, 또는 상기 필기입력장치를 저항형 터치 제어 패드로 교체하여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마찬가지로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is provided with a fitting portion that can accommodate the input pen, so that the input pen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tting portion and can be easily taken out and used when signing. In addition, an optical assembly or trajectory ball may be used instead of the rolling part, and the optical assembly or trajectory ball may also cause the displacement sensor to measure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bas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ilarly achieved by replacing a connection line of the base with a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module or replacing the writing input device with a resistive touch control pad.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2483U KR200417164Y1 (en) | 2005-05-09 | 2006-01-26 | Computer Displacement Detection Inpu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094207438 | 2005-05-09 | ||
KR2020060002483U KR200417164Y1 (en) | 2005-05-09 | 2006-01-26 | Computer Displacement Detection Input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7164Y1 true KR200417164Y1 (en) | 2006-05-25 |
Family
ID=4176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2483U KR200417164Y1 (en) | 2005-05-09 | 2006-01-26 | Computer Displacement Detection Input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7164Y1 (en) |
-
2006
- 2006-01-26 KR KR2020060002483U patent/KR200417164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485626B (en) | Integrated fingerprint sensor and navigation device | |
US5852434A (en) | Absolute optical position determination | |
US4899137A (en) | Arrangement for the input and processing of characters and/or graphic patterns | |
US6188392B1 (en) | Electronic pen device | |
KR100905819B1 (en) | Tethered stylyus for use with a capacitance-sensitive touchpad | |
US20070139399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tablet PC/pen to paper space | |
US20020118181A1 (en) | Absolute optical position determination | |
EP0892971B1 (en) | Absolute optical position determination | |
US20040114834A1 (en) | Handwritten character recording and recognition device | |
JP5664240B2 (en) | Information input system, information input method, information input program | |
CN100416474C (en) | Rapid input device | |
WO2002058029A2 (en) | Optical position determination on any surface | |
US20060087496A1 (en) | Electronic notepad | |
JP3120618U (en) | Computer pointing device | |
JP5084087B2 (en) | Handwriting command | |
US20020158848A1 (en) | Optical position determination on plain paper | |
KR100360477B1 (en) | Wireless electronic pen | |
KR200417164Y1 (en) | Computer Displacement Detection Input Device | |
EP1380006B1 (en) | Handwritten character recording and recognition device | |
CN113176834A (en) | Screen writing system | |
US735676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puts to a communication or computing device | |
CN101512287B (en) | Distance measuring device | |
JP4778720B2 (en) | Digital pen and handwriting input system | |
RU2166796C2 (en) | Pen for entering alphanumeric and graphical information in computer | |
CN2798180Y (en) | Computer displacement inpu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126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5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12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425 Year of fee payment: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42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004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