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15568Y1 - Frame with album - Google Patents

Frame with alb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568Y1
KR200415568Y1 KR2020060004148U KR20060004148U KR200415568Y1 KR 200415568 Y1 KR200415568 Y1 KR 200415568Y1 KR 2020060004148 U KR2020060004148 U KR 2020060004148U KR 20060004148 U KR20060004148 U KR 20060004148U KR 200415568 Y1 KR200415568 Y1 KR 200415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bum
frame
side wall
cover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14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철
Original Assignee
이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철 filed Critical 이재철
Priority to KR2020060004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56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568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44Picture frames using a tension wire for holding the members or corner pieces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7Picture frames having means for fixing the picture or backing to the frame, e.g. clips, nails or the lik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앨범 속 사진을 바꿔가면서 선택적으로 개재하여 볼 수 있도록 한 앨범이 내장된 액자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전면에는 투명창이 형성되고, 후면으로는 앨범을 펼친 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측벽이 형성된 액자틀과, 상기 액자틀의 수용공간에 안착된 앨범을 고정하기 위해 측벽에 결합되는 덮개와, 상기 액자틀에 수용된 앨범을 탄력적으로 압박 고정하기 위해 상기 덮개의 내측에 적어도 1개 이상 결합되는 압박부재;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앨범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용공간의 면적을 조절하여 앨범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액자틀의 측벽 내측 4방 면에 근접하게 개재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간격조절부재는 측벽과의 사이에 압박부재가 결합되어 탄력적으로 앨범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with a built-in album which can be selectively interposed while changing the photos in the album. A transparent window is formed in the front and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album unfolded in the rear is provided. A frame frame having a side wall formed thereon, a cover coupled to the side wall to fix the album se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frame, and at least one coupling inside the cover to elastically press-fix the album housed in the frame frame. Compression member being; And a gap adjusting member interposed close to four inner sides of the side wall of the frame so as to support the album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area of the accommodation spa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lbum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gap adjus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member is coupled to the side wall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album.

앨범, 액자, 수용공간, 코일스프링 Album, Frame, Storage Space, Coil Spring

Description

앨범이 내장된 액자{A Photo Frame Having An Album}A photo frame having an album

도 1a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앨범이 내장된 액자의 사시도,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with an albu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도 1a의 분해 사시도,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A;

도 2a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앨범이 내장된 액자의 개념도,2a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rame with an albu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의 분해사시도이다.FIG.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A.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액자틀 11: 투명창10: frame frame 11: transparent window

20: 측벽 21: 제 1지지홈20: side wall 21: first support groove

22: 클립 30: 덮개22: clip 30: cover

31: 지지구 40: 압박부재31: support 40: pressure member

50: 간격조절부재 51; 제 2지지홈50: spacing member 51; 2nd support groove

100: 액자 200: 앨범100: frame 200: album

본 고안은 앨범 속 사진을 바꿔가면서 선택적으로 개재하여 볼 수 있도록 한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고 싶은 사진이 들어있는 앨범의 양면을 펼친 상태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측벽을 형성하고, 수용된 앨범은 편향된 양쪽의 두께에 상관없이 흔들림 없게 탄력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덮개에 압박부재를 구비하고, 또한 액자틀의 내부에는 앨범의 크기(면적)에 상관없이 앨범의 크기에 맞게 그 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간격조절부재를 구비한 앨범이 내장된 액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that can be selectively interposed while changing the photo in the album, more specifically, to form a side wall to accommodate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album containing the photo you want to see, Has a pressing member on the cover so that it can be elastically accommodated without shaking,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both sides of the deflection, and the gap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size of the album regardless of the size (area) of the album inside the frame. It relates to a frame with a built-in album having a gap adjusting member.

일반적으로 각급학교의 졸업식 때에나 약혼, 결혼 및 사진첩 기념출판 등등과 관련하여 기념사진이나 인물사진 또는 작품사진 등을 모아 인쇄하여 졸업앨범 또는 기념앨범 등의 다양한 앨범이 출판되어 널리 배포되고 있다.In general, various albums, such as graduation albums or commemorative albums, are published and widely distributed by collecting and printing commemorative photographs, portrait photographs, and photographic works related to the commencement ceremony of each school, engagement, marriage, and photo album commemorative publication.

그러나 이와 같이 사진첩으로 인쇄된 졸업앨범이나 기념앨범 등은 배포되는 행사 당시에만 흥미를 갖고 접하고, 행사가 끝나고 시간이 경과하면 대부분의 사람이 이를 치워 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However, most of the graduation albums and commemorative albums printed in the photobooks were only interested at the time of distribution, and most of them were removed after the event was over.

따라서 이와 같이 행사 종료 후 자칫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방치되어 사장되어 버리는 기념앨범의 보관을 소홀히 하는 경우에는 소중한 졸업앨범이나 기념앨범을 분실하게 되는 경우가 쉽게 발생하여 필요할 때 찾아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Therefore, in case of neglecting the storage of the commemorative album that is left unattended after the event, the valuable graduation album or commemorative album can easily be lost and not found when necessary.

뿐만 아니라, 일단 보관하였다 하더라도 보관 장소 등의 기억이 뚜렷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를 찾는데 상당한 노고와 시간을 소비하게 되는 번거로움과 불편을 느끼게 되고 이에 따라 소중한 추억이 담긴 앨범의 활용도가 저조한 게 작금의 현실이다.In addition, even if it is stored once, if the memory of the storage place is not clear, it can be bothersome and inconvenient to spend considerable effort and time to find it, and thus the utilization of the album containing precious memories is low. to be.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도 앨범 표지에 사진을 표출시켜 액자로 사용하게 한 것이 많이 등장하고 있으나, 우선 이들의 대부분이 촬영하여 인화한 사진을 보관하기 위한 사진 액자에만 적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진을 보관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지에 사진이 외부에서 볼 수 있게 구멍을 천공하여 뚫고, 이의 후방에 사진을 집어넣는 포켓 등을 별도로 형성하여 앨범의 표지에다 접착시켜 고정하고, 이의 외측 표면에 투명필름을 접착하여 형성시키는 복잡한 구조로 구성하고 있어 이의 제작이 상당히 까다롭고 어려운 비현실적인 단점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진의 교체시 앨범 표지에 접착된 포켓 등이 쉽게 탈락하거나 훼손될 위험 소지가 많아 그 내구성이 취약한 단점을 지니고 있어 자칫 앨범 자체의 외관을 손상시킬 수 있는 부담이 크고, 이러한 제반 단점으로 인하여 사진을 인쇄하여 보관하는 고가의 졸업앨범이나 기념앨범에 적용하기에는 상당한 부담이 있어 현실적으로 실용화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Therefore, in view of the above, a lot of things have appeared to be used as a frame by expressing a photo on the album cover in the past, but most of them are applied only to the photo frame for storing the photographs taken and printed, As a means for storing the picture, a hole is formed in the cover so that the picture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and a pocket for inserting the picture in the rear thereof is separately formed and adhered to the cover of the album to be fixed, and transparent to the outer surface thereof. It is composed of a complex structure that bonds and forms the film, which makes the production of the film difficult and unrealistic. It also has a high risk of easily falling off or damaging the pockets attached to the album cover when the photos are replaced. This vulnerability has the potential to damage the appearance of the album itself. Many have had to follow the Pharmaceutical Issues in reality it is practically expensive yearbook or to apply considerable pressure to bear on the anniversary album kept large, due to print pictures in these various disadvantages.

특히 근래에 들어와 결혼앨범의 경우, 고가로 제작되고 있으며, 앨범을 펼쳤을 경우, 양측면의 사진이 하나로 이어져 구성된다.Especially in recent years, wedding albums are being produced at high prices, and when the album is unfolded, the photos on both sides are composed into one.

이러한 사진은 앨범을 펼쳤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앨범 속에 있는 사진을 항시적으로 보기에는 앨범 보관 및 파손의 문제점 때문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These photos have a lot of limitations due to the problems of storing and destroying the album at all times, except when the album is unfolded.

한편 액자 역시 개재하고 자 사진을 확대하여 잘 보이는 장소인 벽면에 걸어 보관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photo frame was also interposed, and the photograph was enlarged and stored on a wall, a place where it can be seen.

특히 가족 사진이나 자신이 좋아하는 이미지를 액자에 끼워 사용했다. 그러나 이러한 사진 액자를 통해 볼 수 있는 사진의 수는 한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진을 보고자 할 경우에는 종래의 끼워진 사진을 일일이 새로운 사진으로 교체해야하므로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he used a picture of his family or his favorite image on a frame. However, the number of pictures that can be viewed through such a picture frame is not only limited, but if you want to see another pictu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nventional inserted picture must be replaced with a new picture one by one.

이를 위해 앨범이 수용되는 액자가 기 출원된 바 있으나, 이는 단순이 앨범의 겉 표지 만을 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앨범의 낱장에 들어 있는 사진을 보기에는 불가능 하다는 단점이 있다.For this purpose, a frame for accommodating an album has been previously applied, but it is simply configured to view only the outer cover of the album, and thus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view the photos contained in the album sheet.

따라서 액자에 앨범을 펼친 상태 그대로 수용할 수 있어 원하는 사진을 개재할 수 있으며, 또한 수용된 앨범은 편향된 양쪽의 두께에 상관없이 흔들림 없게 탄력적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또한 앨범 크기에 맞게 그 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구조의 액자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 album can be unfolded on the frame as it is, and the desired picture can be interposed. Also, the accommodated album can be flexibly received without shaking,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both sides, and the gap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album size. There is a demand for a frame having an adjustable structur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앨범 속 사진을 바꿔가면서 선택적으로 개재하여 볼 수 있도록 한 앨범이 내장된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ame in which an album is built so as to be selectively interposed while changing pictures in the album.

아울러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보고 싶은 사진이 들어있는 앨범의 양면을 펼친 상태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측벽을 형성하고, 수용된 앨범은 양쪽의 편향된 두께에 상관없이 흔들림 없게 탄력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덮개에 압박부재를 구비하고, 또한 액자틀의 내부에는 앨범의 크기(면적)에 상관없이 앨범의 크기에 맞게 그 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간격조절부재를 구비한 앨범이 내장된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side wall to accommodate both sides of the album containing the photos you want to see in the unfolded state, and the accommodated album can be accommodated elastically without shaking, regardless of the biased thickness of both sides It is to provide a frame with a built-in album with a pressing member, and the inside of the frame frame is provided with an interval adjusting member that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lbum regardless of the size (area) of the album. .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전면에는 투명창이 형성되고, 후면으로는 앨범을 펼친 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측벽이 형성된 액자틀과, 상 기 액자틀의 수용공간에 안착된 앨범을 고정하기 위해 측벽에 결합되는 덮개와, 상기 액자틀에 수용된 앨범을 탄력적으로 압박 고정하기 위해 상기 덮개의 내측에 적어도 1개 이상 결합되는 압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앨범이 내장된 액자에 의해서 달성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window is formed on the front side, the rear side frame to provide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album in an open state, and to fix the album se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frame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side wall, and at least one pressing member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cover for elastically pressing and fixing the album housed in the frame frame. .

더 나아가 본 고안의 목적들은, 전면에는 투명창이 형성되고, 후면으로는 앨범을 펼친 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측벽이 형성된 액자틀과, 상기 액자틀의 수용공간에 안착된 앨범을 고정하기 위해 측벽에 결합되는 덮개와, 상기 액자틀에 수용된 앨범을 탄력적으로 압박 고정하기 위해 상기 덮개의 내측에 적어도 1개 이상 결합되는 압박부재;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앨범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용공간의 면적을 조절하여 앨범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액자틀의 측벽 내측 4방 면에 근접하게 개재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간격조절부재는 측벽과의 사이에 압박부재가 결합되어 탄력적으로 앨범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이 내장된 액자에 의해서 달성된다.Furtherm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parent window is formed on the front side, the rear side frame frame to provide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album in an unfolded state, and fixing the album se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frame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side wall, and at least one pressing member coupled to an inner side of the cover for elastically pressing and fixing the album housed in the frame; And a gap adjusting member interposed close to four inner sides of the side wall of the frame so as to support the album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area of the accommodation spa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lbum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gap adjusting member is achieved by an album-incorporated pictur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member is coupled between the sidewall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album.

상기에서 액자틀의 측벽 상부면에는 상기 덮개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는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upper sidewall of the frame frame further includes a clip hinged to allow the cover to be selectively detachably fixed.

상기에서 덮개의 내측으로는 압박부재를 삽입 고정하기 위해 돌출 형성되는 지지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side of the cover further comprises a support which is formed to protrude in order to fix the pressing member.

상기에서 압박부재는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pressing member is preferably a coil spring.

상기에서 측벽의 내면으로는 압박부재를 삽입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제 1지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further includes a first support groove formed to insert and fix the pressing member.

상기에서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압박부재를 삽입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제 2지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gap adjust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second support groove formed to insert and fix the pressing member.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앨범이 내장된 액자에 관하여 첨부되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frame is built in the alb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a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앨범이 내장된 액자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분해 사시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with an albu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A.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앨범(200) 속 사진을 넘겨서 원하고자 하는 사진을 선택적으로 개재하여 볼 수 있도록 한 앨범이 내장된 액자(100)에 관한 것이다.As illustrated in FIGS. 1A and 1B,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100 in which an album is embedded so that a picture desired in the album 200 can be selectively interposed to view a picture in the album 200.

이러한 액자(100)는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앨범(200)을 수용하는 액자틀(10)과, 상기 액자틀(10)에 수용된 앨범(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30)로 구성된다.The frame 100 is largely composed of two parts, which is composed of a frame 10 for accommodating the album 200 and a cover 30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album 200 accommodated in the frame 10. do.

상기 액자틀(10)은 전면으로 사진을 볼 수 있도록 투명창(11)이 형성되고, 후면으로는 앨범(200)을 펼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측벽(20)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The frame 10 has a transparent window 11 is formed so that you can see the picture in the front, side walls 20 are formed in the rear to provide a receiving spac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open state of the album 200 It is a composition.

이 때 상기 측벽(20)은 실시예로 앨범(200)의 두께를 감안하여 약 10㎝ ~ 15㎝ 정도의 높이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side wall 20 has a height of about 10 cm to 15 cm in view of the thickness of the album 200 in an embodiment.

때문에 상기 측벽(20) 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앨범(200)을 펼친 상태로 수용하게 되면, 상기 앨범(200)의 양쪽 두께는 편향되기 마련이다.Therefore, when the album 200 is accommodated in an open state in the accommodating space formed in the side wall 20, both thicknesses of the album 200 are deflected.

따라서 덮개(30)를 액자틀(10)에 결합시킬 경우, 상기 앨범(200)은 수용공간 내에서 전/후로 유동될 수 있어 파손이 우려된다.Therefore, when the cover 30 is coupled to the frame 10, the album 200 may flow back and forth in the receiving space, which may cause damage.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덮개(30)는 액자틀(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앨범을 탄력적으로 압박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1개 이상 결합되는 압박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본 고안에서 도시된 압박부재(40)는 총 2개로 구성된 구조이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over 30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pressing member 40 coupled to elastically press fixed to the album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10, the pressing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ber 40 is a structure composed of two pieces in total.

여기서 압박부재(40)는 탄성복귀력이 뛰어난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코일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덮개(30)에는 지지구(31)가 돌출 형성된 구조이다.Here, the pressing member 40 is preferably a coil spring having excellent elastic return force. In order to fix the coil spring, the cover 30 has a structure in which a support 31 is protruded.

상기 지지구(31)는 상기 압박부재(40)를 삽입시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개수는 상기 압박부재(40)의 개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달리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upport 31 is for supporting the pressing member 40 by inserting, and the number thereof may be selectively vari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pressing members 40.

한편 상기 액자틀(10)의 측벽(20) 상부면에는 상기 덮개(30)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클립(22)이 힌지결합 되어 구성되는 구조이다.Meanwhile, the clip 22 is hing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20 of the frame 10 so that the cover 30 can be selectively detachably fixed.

도 2a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앨범이 내장된 액자의 개념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분해사시도이다.2A is a conceptual view of a frame with an albu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A.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는 앨범(200)의 크기(면적)에 상관없이 앨범(200)의 크기에 맞게 그 간격이 탄력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간격조절부재(50)를 구비한 앨범이 내장된 액자(100)에 관한 것이다.As shown in Figures 2a and 2b, the second embodiment is a spacing member 50 that can be elas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lbum 200 irrespective of the size (area) of the album 200. It relates to a frame 100 is a built-in album with.

이를 위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앨범(200)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용공간의 면적을 조절하여 앨범(2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액자틀(10)의 측벽(20) 4방 면에 근접하게 개재되는 간격조절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o this end, interposing the four sides of the side wall 20 of the frame 10 so as to support the album 200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area of the accommodation spa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lbum 20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t comprises a gap adjusting member 50 is made.

이러한 상기 간격조절부재(50)는 상기 각 측벽(20)의 내측에 개재되는 4개의 목판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간격조절부재(50)는 압박부재(40)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고정된다.The gap adjusting member 50 is composed of four wooden boards interposed inside each of the side walls 20, the gap adjusting member 50 is elastically fixed by the pressing member (40).

더불어 설명하면, 상기 간격조절부재(50)와 상기 각 측벽(20)의 사이에는 각각 2개씩 한쌍으로 압박부재(코일스프링)(40)가 삽입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된 앨범(200)의 각 축을 탄력으로 잡아줄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는 것이다.In addition, two pairs of pressing members (coil springs) 40 are respectively inserted between the gap adjusting member 50 and the respective side walls 20 to elastically rotate each shaft of the album 20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t will be prepared to hold the structure.

이 때 상기 각 간격조절부재(50)와 상기 각 측벽(20)에는 압박부재(40)를 삽입시키기 위한 제 1, 2지지홈(21,5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각 간격조절부재(50)는 각 측벽(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In this case, each of the gap adjusting members 50 and the side walls 20 are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supporting grooves 21 and 51 for inserting the pressing members 40, respectively. ) Is stably fixed to each side wall 20.

따라서 상기 액자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앨범(200)의 크기에 상관없이 앨범(200)을 탄력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album 200 may be elastically accommodat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album 20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frame.

한편 제 2실시예도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덮개(30)에는 액자틀(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앨범(200)을 탄력적으로 압박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1개 이상 결 합되는 압박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mbodiment, 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cover 30 includes a pressing member 40 coupled to at least one or more to elastically press and fix the album 20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10. It is configured by.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앨범이 내장된 액자는, 실시예로 설명되어진 간격조절부재 이외에, 액자틀과 동일 형상으로 상기 액자틀의 수용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액자틀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로 구성된 속틀을 제작하여 앨범의 크기에 맞게 삽입하여 앨범을 고정시키는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rame in which the album is bui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gap adjusting member described in the embodiment, is composed of a relatively smaller size than the frame so that the frame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in the same shape as the frame.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structure to fix the album by inserting to fit the size of the album.

또한 덮개의 내측에 압박부재를 구비한 구조 이외에, 스폰지와 같은 쿠션부재를 구비한 구조도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structure having the pressing member inside the cover, a structure having a cushion member such as a sponge is also possible.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펼쳐진 앨범이 내장된 액자에 따르면, 앨범 속 사진이 끼워진 상태에서 앨범을 넘겨 바꿔가면서 선택적으로 개재하여 볼 수 있는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the frame with the unfolded alb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feature that can be selectively intervened while switching over the album in the state that the photo in the album is fitted.

또한 수용된 앨범은 편향된 양쪽의 두께에 상관없이 흔들림 없게 탄력적으로 수용될 수 있어 액자에 수용된 앨범의 파손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received album can be elastically accommodated without shaking,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both sides of the defl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reducing the damage of the album accommodated in the frame.

그리고 앨범 크기에 맞게 그 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nd the gap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o fit the album size.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quest. I want to.

Claims (7)

전면에는 투명창(11)이 형성되고, 후면으로는 앨범(200)을 펼친 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측벽(20)이 형성된 액자틀(10);A transparent window 11 is formed at the front side, and a frame frame 10 having the side wall 20 formed thereon to provide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album 200 in an open state; 상기 액자틀(10)의 수용공간에 안착된 앨범(200)을 고정하기 위해 측벽(20)에 결합되는 덮개(30); 및A cover 30 coupled to the side wall 20 to fix the album 200 se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10; And 상기 액자틀(10)에 수용된 앨범(200)을 탄력적으로 압박 고정하기 위해 상기 덮개(30)의 내측에 적어도 1개 이상 결합되는 압박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앨범이 내장된 액자.At least one pressing member 40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30 in order to elastically press and fix the album 200 accommodated in the frame 10, the album comprising a built-in Photo Frame. 전면에는 투명창(11)이 형성되고, 후면으로는 앨범(200)을 펼친 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측벽(20)이 형성된 액자틀(10);A transparent window 11 is formed at the front side, and a frame frame 10 having the side wall 20 formed thereon to provide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album 200 in an open state; 상기 액자틀(10)의 수용공간에 안착된 앨범(200)을 고정하기 위해 측벽(20)에 결합되는 덮개(30);A cover 30 coupled to the side wall 20 to fix the album 200 se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10; 상기 액자틀(10)에 수용된 앨범(200)을 탄력적으로 압박 고정하기 위해 상기 덮개(30)의 내측에 적어도 1개 이상 결합되는 압박부재(40); 및At least one pressing member 4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30 in order to elastically press the album 200 accommodated in the frame 10; And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앨범(200)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용공간의 면적을 조절하여 앨범(2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액자틀(10)의 측벽 내측 4방 면에 근접하게 개재되는 간격조절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A gap adjusting member interposed close to four inner sides of the side wall of the frame 10 to support the album 200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area of the accommodation spa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lbum 20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ncluding 50, 상기 각 간격조절부재(50)는 측벽(20)과의 사이에 압박부재(40)가 결합되어 탄력적으로 앨범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이 내장된 액자.The interval adjusting member 50 is a frame with an album,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member 40 is coupled between the side wall 20 and elastically support the album.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액자틀(10)의 측벽(20) 상부면에는 상기 덮개(30)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는 클립(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이 내장된 액자.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20 of the frame 10 further includes a clip 22 which is hinged to allow the cover 30 to be selectively detachably fixed.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덮개(30)의 내측으로는 압박부재(40)를 삽입 고정하기 위해 돌출 형성되는 지지구(3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이 내장된 액자. The inside of the cover 30 is a frame with an albu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31) protrudingly formed to insert and secure the pressing member (4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압박부재(40)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이 내장된 액자.The pressing member 40 is a frame with an albu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spring.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측벽(20)의 내측면으로는 압박부재(40)를 삽입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제 1지지홈(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이 내장된 액자.The inner side of the side wall 20 is a frame with an album further comprising a first support groove (21) formed to insert and fix the pressing member (40).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간격조절부재(50)는 상기 압박부재(40)를 삽입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제 2지지홈(5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이 내장된 액자.The gap adjusting member 50 is a frame with an albu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support groove (51) formed to insert and secure the pressing member (40).
KR2020060004148U 2006-02-14 2006-02-14 Frame with album Expired - Fee Related KR20041556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148U KR200415568Y1 (en) 2006-02-14 2006-02-14 Frame with alb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148U KR200415568Y1 (en) 2006-02-14 2006-02-14 Frame with alb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568Y1 true KR200415568Y1 (en) 2006-05-03

Family

ID=41765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14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15568Y1 (en) 2006-02-14 2006-02-14 Frame with alb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568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84743A1 (en) Desk top picture frame storage box
US4794713A (en) Combination of album and picture frame
US6003901A (en) Combined photo album and picture frame and an easel therefor
US20160088957A1 (en) Multiple Side Interchangeable Display Framing System
KR200415568Y1 (en) Frame with album
JP2002019330A (en) Scrap book
US20050086839A1 (en) Hanging picture gallery or album
US20060261592A1 (en) Scrapbook organizer
KR20080001382U (en) Decorative photo frames
KR200436483Y1 (en) Graduation album with document storage
KR200332469Y1 (en) A frame for albums
KR200483301Y1 (en) Picture frame
JP3064630U (en) Commemorative photo album
JP3822185B2 (en) Picture frame with two layers of pockets
KR200319606Y1 (en) a stand type perfume album structure
KR200357553Y1 (en) An album with picture frame
KR102317801B1 (en) Album table
KR200166182Y1 (en) Structure of photograph album for a table
KR200206448Y1 (en) Desk calendar
KR200226981Y1 (en) Album with compact disk holder
KR200266713Y1 (en) binder type album
JP3111722U (en) Double-sided viewing frame
JP3069264U (en) Photo album with compact disc
KR200303630Y1 (en) Desk calendar
KR200257233Y1 (en) graduation album structure laying melody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21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2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3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30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80623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3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