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14619Y1 - 휴대용 구강세척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구강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619Y1
KR200414619Y1 KR2020060002279U KR20060002279U KR200414619Y1 KR 200414619 Y1 KR200414619 Y1 KR 200414619Y1 KR 2020060002279 U KR2020060002279 U KR 2020060002279U KR 20060002279 U KR20060002279 U KR 20060002279U KR 200414619 Y1 KR200414619 Y1 KR 2004146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ar end
oral
push lever
mout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관
서동호
Original Assignee
서동호
오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호, 오재관 filed Critical 서동호
Priority to KR2020060002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6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6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61B17/24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for cleaning of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53Portable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강세척기 본체에 삽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구강세척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레버를 간단히 손으로 눌러주는 누름작동에 의해 누름레버가 주름형 수조를 강제 압압하게 되어 구강세척기 본체에 삽탈 가능하도록 설치된 주름형 수조에 내재된 물이 수압에 의해 구강내로 분사되도록 하는 휴대용 구강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구강세척기는 구강세척기의 본체(20)와, 분사구(10)와, 누름레버(40)와, 주름형 수조(30)와, 본체마개(50)와, 주입밸브(60)와, 호스결합부(70)와 탄력스프링(71)과, 원형볼(7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휴대용 구강세척기는 구강세척기의 본체(20)와, 혀세척기(90)와, 누름레버(40)와, 주름형 수조(30)와, 본체마개(50)와, 주입밸브(60)와, 호스결합부(70)와 탄력스프링(71)과, 원형볼(7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사구, 혀세척기, 주름형 수조, 누름레버, 주입밸브, 호스결합부

Description

휴대용 구강세척기{a portable oral washer}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강세척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강세척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에서 주름형 수조에 물이 주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3c는 도 3b에서 주름형 수조에 물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3d는 도 3c에서 누름레버가 주름형 수조를 압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3e는 도 3d에서 압압작동이 완료되어 주름형 수조가 복원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강세척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분사구 11 : 분사구 덮개
20 : 구강세척기 본체 21 : 손가락 거치대
22 : 본체 관통공 30 : 주름형 수조
40 : 누름레버 41 : 누름레버 고정핀
42 : 누름레버 관통공 50 : 본체마개
60 : 주입밸브 70 : 호스결합부
71 : 탄력스프링 72 : 원형볼
80 : 고무호스 90 : 혀세척부
본 고안은 휴대용 구강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강세척기 본체에 삽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누름레버의 누름작동에 의해 누름레버가 주름형 수조를 강제 압압하게 되어 주름형 수조에 내재된 물이 구강내로 분사되도록 하는 휴대용 구강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구강세척기는 물을 압출시키는 방법에 따라 크게 전동식 구강세척기,수압식 구강세척기로 구분할 수 있어, 전동식 구강세척기는 전동기와 전동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이 필요하여 그 부피가 크고 고가이며 수압식 구강세척기는 그 부피가 작아져 소형화가 되었지만 구성요소는 여전히 많아 구조가 복잡하며 또한 일정량의 물을 내재하는 수조를 구비하지 않고 수관만을 구비하여 사용 시 항상 수도를 개방해 놓아야 한다. 종래의 휴대용 구강세척기는 수압방식으로 일정량의 물을 내재하는 수조를 구비하지 않고 수관만을 구비하여 수관에 내재한 물이 소진하게 되면 다 시 주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사용에 불편함이 많았다. 또한 혀를 세척하는 경우에도 혀의 형상에 적합한 별도의 장치없이 기존의 구강세척기를 그대로 사용하여 세척하여 비효율적인 물의 소비를 야기시켜 왔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휴대용 구강세척기 본체에 삽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구강세척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레버를 간단히 손으로 눌러주는 누름작동에 의해 누름레버가 주름형 수조를 강제 압압하게 되어 구강세척기 본체에 삽탈 가능하도록 설치된 주름형 수조에 내재된 물이 수압에 의해 분사구를 통해 구강내로 분사되어 구강내를 세척하고 상기 분사구를 혀세척기로 간단히 교체하여 혀의 세척도 가능한 휴대용 구강세척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구강세척기는 통공으로 형성되어 그 선단부와 후단부의 각각의 외연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강세척기의 본체(20)와,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 선단부 외연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도록 그 후단부 내연에 나사부가 형성되면서 그 내부가 통공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가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는 분사구(10)와,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에 삽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구강세척기 본체(20)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방향으로 개 방된 그 선단부는 반원호 형상이며 그 후단부로 가면서 계단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그 후단부는 일자형으로 형성된 누름레버(40)와,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에 삽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누름레버(40)의 후단부 하방에 설치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분사구(10)와 통공으로 연결되고 그 중앙부는 주름형으로 성형되어 내부에 물을 내재시키며 그 후단부는 후술하는 본체마개(50)에 삽입되는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주름형(일명 자바라형) 수조(30)와,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의 후단부에 형성된 나사부와 그 선단부 내연에 형성된 나사부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본체마개(50)와, 그 선단부는 상기 본체마개(50)의 후단부를 인입시켜 연결되고 그 후단부는 후술하는 호스결합부(70)와 나사결합되는 주입밸브(60)와, 상기 주입밸브(60)와 나사결합되면서 탄력스프링(71)과 원형볼(72)을 내장하게 되고 그 후단부가 물을 상기 주름형 수조(30)로 안내 이송시켜 주고 고무호스(80)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부가 통공으로 형성된 호스결합부(7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상기 누름레버(40)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의 외부에 손가락 거치대(21)를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누름레버(40)를 손으로 상방향으로 밀어 누름작동을 수행할 시 상기 누름레버(40)의 일자형으로 형성된 그 후단부는 하방향으로 상기 주름형 수조(30)를 압압하도록 상기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와 누름레버(40)를 힌지고정시켜주는 누름레버 고정핀(41)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의 외면과 그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누름레버(40)의 외면에 각각 본체 관통공(22)과 누름레버 관통공(42)을 형성한다.
상기 호스결합부(70)에 내장되는 상기 탄력스프링(71)은 상기 주입밸브(60)와 원형볼(72) 사이에 탄력지지하며 설치되고 상기 원형볼(72)은 상기 호스결합부(70)를 폐색시키는 폐색수단으로서 상기 원형볼(72)의 전진 후진 작용에 의해 고무호스(80)를 통해 주입되는 물의 이송을 가능 또는 차단을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구강세척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의 선단부에 나사결합하는 상기 분사구(10) 대신에 혀세척부(9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혀세척부(90)는 그 내부는 통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상을 구비하면서 원활한 물의 분사를 위하여 그 하단부는 개방이 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T'자형으로 성형되어 있고 그 후단부는 내주면에 나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의 선단부와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강세척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강세척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3e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되 본 고안의 각 작동단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강세척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구강세척기는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의 선단부에 나사결합하는 분사구(10)를 통해 주입된 물이 구강내 로 분사되게 되고 상기 분사구(10)의 선단으로 먼지나 이물질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해 분사구 덮개(11)를 더 구비하게 된다.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는 상기 누름레버(40)가 내장되어 노출되는 부분에는 외부로 개방되어 성형이 되어 있어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 내부에 삽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누름레버(40)가 내장이 되면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에서 외부로 개방되어 성형이 되어 있는 부분이 폐쇄되어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는 원통형의 형상을 구비하게 된다(도 3a 참조).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의 외면과 상기 누름레버(40)의 외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상기 본체 관통공(22)과 누름레버 관통공(42)을 관통하는 상기 누름레버 고정핀(41)에 의해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와 상기 누름레버(40)는 힌지고정되어 손으로 상기 누름레버(40)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압압하면 상기 누름레버 고정핀(41)을 축으로 일자형으로 형성된 상기 누름레버(40) 후단부는 그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주름형 수조(30)의 중앙부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압압하게 되어 상기 주름형 수조(30)에 내재하는 물을 상기 분사구(10)로 압출하게 된다(도 3d 참조). 상기 압압작동에 의해 상기 분사구(10)를 통한 물의 분사가 완료되면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상기 주름형 수조(30)의 중앙부는 개방된 분사구(10)를 통해 대기중의 공기가 역으로 상기 분사구(10)를 통해 상기 주름형 수조(30)의 중앙부로 흡입되어 흡입되는 공기와 탄성부재의 자력 복원력에 의해 상기 주름형 수조(30)의 중앙부은 원래 부피로 복원되면서 그 복원력에 의해 상기 누름레버(40) 후단부는 상방으로 밀려 올려지게 되어 상기 누름레버(40)는 상기 누름레버 고정핀(41)을 축으로 원래 위치로 복원하게 된다(도 3e 참조). 상기 호스결합부(70)에 내장되는 상 기 탄력스프링(71)은 상기 주입밸브(60)와 원형볼(72) 사이에 탄력지지하며 설치되어 고무호스(80)를 통해 물이 주입되게 되면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원형볼(72)이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상기 탄력스프링(71)을 밀어줌과 동시에 호스결합부(70)가 개방되어 물이 상기 주름형 수조(30)로 이송 가능하게 되며(도 3b 참조) 반대로 상기 고무호스(80)를 통해 물의 주입이 완료되게 되면 상기 탄력스프링(7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탄력스프링(71)이 상기 원형볼(72)을 후방으로 후퇴시켜 후퇴된 상기 원형볼(72)은 상기 호스결합부(70)를 폐색시킴으로써 물은 더이상 이송되지 않고 차단되게 된다(도 3c 참조). 따라서 상기 누름레버(40)의 압압에 의한 누름작동이 수행되어도 상기 원형볼(72)은 항시 상기 호스결합부(70)를 폐색하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구강세척기를 휴대하거나 사용하는 중에 내재된 물의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상기 원형볼(72)이 항시 상기 호스결합부(70)를 폐색하게 된다(도 3d 참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구강세척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휴대용 구강세척기는 도 1 내지 3e의 휴대용 구강세척기와 그 구조가 거의 동일하나 도 1 내지 3e의 휴대용 구강세척기의 상기 분사구(10) 대신에 혀세척부(9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혀세척부(90)는 전체적으로 'T'자형으로 성형되어 그 내부는 통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단부는 내주면에 나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의 선단부와 나사결합되고 그 선단부는 혀의 세척을 위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상을 구비하면서 원활한 물의 분사를 위하여 그 하단부는 개방이 되어 있어 분사된 물과 함께 그 하단부로 혀의 세척을 실시하게 된다. 다른 구 성은 도 1 내지 3e의 휴대용 구강세척기와 동일하여 그 구성 및 실시예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구강세척기는 사용자가 휴대를 하거나 사용을 하기에 간편하고 구강세척기 본체에 삽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구강세척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레버를 간단히 손으로 눌러주는 누름작동에 의해 누름레버가 주름형 수조를 강제 압압하게 되어 주름형 수조에 내재된 물이 수압에 의해 분사구를 통해 구강내로 분사되어 치아 사이와 치아와 잇몸 사이 등 구강내에 잔존하는 이물질과 치석 등을 깨끗이 제거하여 청결히 함으로써 구강내의 위생과 상쾌함을 제고시키는 효과가 있음과 아울러 분사구 대신 혀세척기를 사용하여 혀에 있는 미세물을 제거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구강내를 청결히 하는 휴대용 구강세척기에 있어서,
    그 선단부와 후단부의 각각의 외연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강세척기의 본체(20)와,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 선단부 외연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도록 그 후단부 내연에 나사부가 형성되면서 그 내부가 통공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가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는 분사구(10)와,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에 회동하도록 힌지고정되고 구강세척기 본체(20)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방향으로 개방된 그 선단부는 반원호 형상이며 그 후단부로 가면서 계단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그 후단부는 일자형으로 형성된 누름레버(40)와,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에 회동하도록 힌지고정되고 상기 누름레버(40)의 후단부 하방에 설치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분사구(10)와 통공으로 연결되고 그 중앙부는 주름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을 내재시키며 그 후단부는 본체마개(50)에 삽입되는 주름형 수조(30)와,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의 후단부에 형성된 나사부와 그 선단부 내연에 형성된 나사부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본체마개(50)와, 그 선단부는 상기 본체마개(50)의 후단부를 인입시켜 연결되고 그 후단부는 호스결합부(70)와 나사결합되는 주입밸브(60)와, 상기 주입밸브(60)와 나사결합되면서 탄력스프링(71)과 원형볼(72)을 내장하게 되고 그 후단부가 고무호스(80)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부가 통공으로 형성된 호스결합부(7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강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10)는 상기 분사구 덮개(11)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는 상기 누름레버(40)의 반대방향으로 손가락 거치대(21)를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 외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주름형 수조(30)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누름레버(40)와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를 힌지고정시켜주는 상기 누름레버 고정핀(41)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의 외면과 그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누름레버(40)의 외면에 각각 본체 관통공(22)과 누름레버 관통공(42)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강세척기.
  3. 구강내를 청결히 하는 휴대용 구강세척기에 있어서,
    그 선단부와 후단부의 각각의 외연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강세척기의 본체(20)와,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 선단부 외연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도록 그 후단부 내연에 나사부가 형성되면서 그 내부가 통공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는 'T'자형으로 성형되어 그 하단부가 개방이 되어 있는 혀세척부(90)와,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에 삽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구강세척기 본체(20)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방향으로 개방된 그 선단부는 반원호 형상이며 그 후단부로 가면서 계단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그 후단부는 일자형으로 형성된 누름레버(40)와,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에 삽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누름레버(40)의 후단부 하방에 설 치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분사구(10)와 통공으로 연결되고 그 중앙부는 주름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을 내재시키며 그 후단부는 본체마개(50)에 삽입되는 주름형 수조(30)와, 상기 구강세척기 본체(20)의 후단부에 형성된 나사부와 그 선단부 내연에 형성된 나사부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본체마개(50)와, 그 선단부는 상기 본체마개(50)의 후단부를 인입시켜 연결되고 그 후단부는 호스결합부(70)와 나사결합되는 주입밸브(60)와, 상기 주입밸브(60)와 나사결합되면서 탄력스프링(71)과 원형볼(72)을 내장하게 되고 그 후단부가 고무호스(80)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부가 통공으로 형성된 호스결합부(7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강세척기.
KR2020060002279U 2006-01-25 2006-01-25 휴대용 구강세척기 KR2004146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279U KR200414619Y1 (ko) 2006-01-25 2006-01-25 휴대용 구강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279U KR200414619Y1 (ko) 2006-01-25 2006-01-25 휴대용 구강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619Y1 true KR200414619Y1 (ko) 2006-04-21

Family

ID=4448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279U KR200414619Y1 (ko) 2006-01-25 2006-01-25 휴대용 구강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6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724B1 (ko) 구강세정장치
KR100822785B1 (ko) 물청소장치
JP6288562B2 (ja) 口腔洗浄装置
KR100884189B1 (ko) 치아세정수단의 탈부착이 가능한 샤워기
KR101152256B1 (ko) 치아 및 구강 세정장치
KR200414619Y1 (ko) 휴대용 구강세척기
KR20090055296A (ko) 대장 세척용 의료기
CN101627953B (zh) 阴道清洗器
KR102167980B1 (ko) 수도관 개폐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기능성 구강 세척기
KR200415655Y1 (ko) 자기세척유로가 형성된 비데용 분사장치
KR20200101478A (ko) 휴대용 치아 세정 장치
KR20070096476A (ko) 치아 세척기
CN214484702U (zh) 喷嘴收纳结构及口腔冲洗装置
CN212186339U (zh) 一种喷液马桶刷
CN216908178U (zh) 口腔清洁器
CN216675992U (zh) 水箱及口腔清洁器
JPH09238961A (ja) 口腔洗浄器
KR102036779B1 (ko) 구강세척이 가능한 샤워헤드
CN111759078A (zh) 一种新型牙刷
KR101067560B1 (ko) 분사식 구강 세정기
CN218165408U (zh) 一种齿间刷及口腔护理装置
KR101486489B1 (ko) 수도꼭지용 치아세정기
CN216854525U (zh) 具有吸入阀座的个人清洁用具
CN216854523U (zh) 具有挤吸模块的个人清洁用具
CN216854521U (zh) 具有导液管组件的个人清洁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12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1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1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1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3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