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13709Y1 -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 - Google Patents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709Y1
KR200413709Y1 KR2020060002417U KR20060002417U KR200413709Y1 KR 200413709 Y1 KR200413709 Y1 KR 200413709Y1 KR 2020060002417 U KR2020060002417 U KR 2020060002417U KR 20060002417 U KR20060002417 U KR 20060002417U KR 200413709 Y1 KR200413709 Y1 KR 200413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jector rod
plate
mill
molding
g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4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현
이종찬
Original Assignee
김용현
이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현, 이종찬 filed Critical 김용현
Priority to KR20200600024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7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70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2045/4063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preventing damage to articles caused by the ej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에 관한 것으로, 중심부에 상부보다 직경이 큰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한 단턱이 가동측 설치판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이젝터봉과, 상기한 이젝터봉의 상단부와 직접 연결된 제 1밀판과, 상기한 이젝터봉의 상부가 관통되며 이젝터봉의 하강시 단턱과 일정한 간격을 갖는 제 2밀판과, 제 1밀판에 설치되어 게이트 및 런너를 밀어주는 제 1밀핀과, 제 2밀판에 설치되어 성형물을 밀어주는 제 2밀핀으로 구성되어 런너와 게이트가 먼저 취출되고 성형물이 취출되어 성형물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런너, 게이트, 밀판, 밀핀, 사출성형

Description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EJECTOR PLATE FOR INJECTION MOLDER}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젝터봉 12 : 단턱
20 : 제 1밀판 30 : 제 2밀판
40 : 런너 50 : 게이트
60 : 제 1밀핀 70 : 성형물
80 : 제 2밀핀
본 고안은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판을 이중으로 형성하여 시간차를 갖고 구동하도록 하고 각각에 설치된 밀핀이 사출금형에서 성형물과 게이트 및 런너를 각각 밀어줌으로써, 성형물과 게이트 및 런너의 충돌로 인한 성형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성형재료를 사출성형기 내에서 가열 용융한 후, 스크루를 통해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로 가압 주입하여 충전하고, 이를 고화 또는 경화하여 성형품으로서 꺼내는 성형방법이다.
상기 사출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용융된 재료는 스프루, 런너 및 게이트 등의 주입공간을 통하여 제품의 성형공간인 금형의 캐비티 내로 주입되므로 성형품에는 상기 주입공간에 해당하는 불필요한 성형물(이하, 런너와 게이트로 칭함)이 일체로 성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성형된 후, 밀판이 동작하여 밀핀이 승강하면서, 게이트와 성형물의 연결부분이 분리되어, 런너와 게이트 및 성형물이 분리되면서 취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성형물의 취출과정에서 게이트와 성형물의 연결부분이 밀핀의 동작에 의하여 끊어지면서 게이트가 성형물을 치면서 성형물에 손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밀판을 이중으로 형성하여 시간차를 갖고 구동하도록 하고, 밀판 각각에 설치된 밀핀이 성형물과 게이트 및 런너를 각각 밀어줌으로써, 성형물과 게이트 및 런너의 충돌로 인한 성형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중심부에 상부보 다 직경이 큰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한 단턱이 가동측 설치판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이젝터봉과, 상기한 이젝터봉의 상단부와 직접 연결된 제 1밀판과, 상기한 이젝터봉의 상부가 관통되며 이젝터봉의 하강시 단턱과 일정한 간격을 갖는 제 2밀판과, 제 1밀판에 설치되어 게이트 및 런너를 밀어주는 제 1밀핀과, 제 2밀판에 설치되어 성형물을 밀어주는 제 2밀핀으로 구성되어 런너와 게이트가 먼저 취출되고 성형물이 취출되어 성형물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게, 이젝터봉(10)에 의하여 즉시 구동되는 제 1밀판(20)과, 상기한 이젝터봉(10)의 단턱(12)에 의하여 제 1밀판(20)과 시간차를 두고 구동되는 제 2밀판(30) 및, 상기한 제 1밀판(20)에 설치되어 런너(40)와 게이트(50)를 밀어주는 제 1밀핀(60)과, 상기한 제 2밀판(30)에 설치되어 성형물(70)을 밀어주는 제 2밀핀(80)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이젝터봉(10)은 중간에 단턱(12)이 형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한 이젝터봉(10)은 상부는 좁고 하부는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고, 가동측 설치판(92)에 형성된 통공(92a)을 상기한 단턱(12)이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한 이젝터봉(10)은 하강위치에서 단턱(12)이 통공(92a)의 상단부와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 1밀판(20)은 이젝터봉(10)의 상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이젝터봉(10)의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하며, 상기한 제 1밀판(20)에는 런너(40)의 하부에 설치되어 런너(40)와 게이트(50)를 밀어주는 제 1밀핀(60)이 일체로 설치된다.
제 2밀판(30)은 제 1밀판(20)과 가동측 설치판(92)사이에 설치되어 승하강하며, 이젝터봉(10)의 상단부가 관통되는데, 상기한 이젝터봉(10)이 관통되는 안내공(32)은 단턱(1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한 제 2밀판(30)에는 성형물을 밀어내는 제 2밀핀(80)이 일체로 설치된다.
한편, 도면중 미설명부호 96a, 96b는 제 1밀핀(60) 및 제 2밀핀(80)이 관통되는 금형의 가이드홀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우선, 사출작업이 완료되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위치에 있던 이젝터봉(10)이 승강하면 상기한 이젝터봉(10)과 일체로 설치된 제 1밀판(20)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하면서 제 1밀핀(60)에 의하여 게이트(50)와 성형물(70)의 연결부위(A)가 절단되면서 런너(40)와 게이트(50)가 먼저 취출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후 상기한 이젝터봉(10)의 단턱(12)이 상기한 제 2밀판(30)의 안내공(32) 단부에 걸려서 상기한 제 2밀판(30)이 이젝터봉(10)에 의하여 승강 하게 되므로 제 2밀핀(80)이 성형물(70)을 취출하게 된다.
따라서, 런너(40)와 게이트(50)가 먼저 취출된 후 성형물(70)이 취출되므로 성형물(7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런너와 게이트가 먼저 취출된 후 성형물이 취출되므로 런너와 게이트로 인한 성형물의 파손이 방지되어 제품의 불량율이 대폭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이젝터봉에 단턱을 형성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밀판이 2단으로 동작되도록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중심부에 상부보다 직경이 큰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한 단턱이 가동측 설치판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이젝터봉과,
    상기한 이젝터봉의 상단부와 직접 연결된 제 1밀판과,
    상기한 이젝터봉의 상부가 관통되며 이젝터봉의 하강시 단턱과 일정한 간격을 갖는 제 2밀판과,
    제 1밀판에 설치되어 게이트 및 런너를 밀어주는 제 1밀핀과,
    제 2밀판에 설치되어 성형물을 밀어주는 제 2밀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젝터봉은 단턱이 형성되도록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
KR2020060002417U 2006-01-26 2006-01-26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 Expired - Lifetime KR200413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417U KR200413709Y1 (ko) 2006-01-26 2006-01-26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417U KR200413709Y1 (ko) 2006-01-26 2006-01-26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709Y1 true KR200413709Y1 (ko) 2006-04-12

Family

ID=41763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417U Expired - Lifetime KR200413709Y1 (ko) 2006-01-26 2006-01-26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70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984B1 (ko) * 2010-04-28 2011-06-21 재영엠티에스 주식회사 사출물 취출방법 및 장치
KR20220085873A (ko) 2020-12-15 2022-06-23 에이테크솔루션(주)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
CN115816772A (zh) * 2022-11-11 2023-03-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成型模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984B1 (ko) * 2010-04-28 2011-06-21 재영엠티에스 주식회사 사출물 취출방법 및 장치
KR20220085873A (ko) 2020-12-15 2022-06-23 에이테크솔루션(주)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
CN115816772A (zh) * 2022-11-11 2023-03-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成型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9244B2 (en) Injection mold
KR200413709Y1 (ko)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
KR101548518B1 (ko) 런너의 자동 분리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JP5794242B2 (ja) 成形金型
KR200421064Y1 (ko) 경사면 언더컷 처리 구조
JP5054923B2 (ja) 電子部品の樹脂封止成形方法
KR101705003B1 (ko) 이종제품의 동시성형이 가능한 사출금형
KR101600500B1 (ko) 사이드 게이트의 자동절단 및 성형물의 취출을 위한 사출 금형장치
KR200444791Y1 (ko) 슬라이드 코어와 변형 밀핀을 이용한 성형품 내/외측 언더컷 처리 장치
KR101683032B1 (ko) 사출 금형장치의 사이드 게이트의 자동절단 및 성형물의 취출 방법
KR101464548B1 (ko) 게이트 자동절단 사출금형
KR200421065Y1 (ko) 슬라이드 코어 작동방향 보스 언더컷 처리 구조
KR200444793Y1 (ko) 사출성형장치에서 제품 흡착 방지를 위한 취출 장치
KR20090004630U (ko) 수직 수평 언더컷 취출을 위한 슬라이드 코어
KR200444344Y1 (ko) 다중 언더컷 취출을 위한 슬라이드 코어
KR20160094630A (ko) 런너게이트 취출시 성형품 손상방지를 위한 2단 취출장치
KR200421109Y1 (ko) 변형밀핀을 이용하여 제품 내측에 게이트를 설치하는 구조
KR101173064B1 (ko) 사출 성형용 금형 장치
CN109435188B (zh) 一种注塑模具的抽芯机构
KR20120000201U (ko) Led leadframe용 복합사출금형
KR200451369Y1 (ko) 슬라이드 코어를 이용한 파이프형 언더컷 취출 장치
KR200444792Y1 (ko) 사출성형장치의 밀핀
KR200421063Y1 (ko) 경사면 언더컷 처리 구조
KR0136498Y1 (ko) 금형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
CN206718376U (zh) 一种塑料拼接片的注射成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12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1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2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6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