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13646Y1 -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 Google Patents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646Y1
KR200413646Y1 KR2020060000496U KR20060000496U KR200413646Y1 KR 200413646 Y1 KR200413646 Y1 KR 200413646Y1 KR 2020060000496 U KR2020060000496 U KR 2020060000496U KR 20060000496 U KR20060000496 U KR 20060000496U KR 200413646 Y1 KR200413646 Y1 KR 2004136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absorbing shoe
absorption window
shock absorbing
shoe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영화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우영화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영화, 김영호 filed Critical 우영화
Priority to KR2020060000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6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6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6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충격흡수 밑창에 관한 것으로, 저경도로 형성된 상부흡수창과 하부흡수창 사이에, 상기 상부흡수창과 상기 하부흡수창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경도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흡수창의 하면과 상기 하부흡수창의 상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상하면의 형상이 형성된 중간분산창이 결합되어, 접지시 상기 중간분산창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흡수창 및 하부흡수창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이중으로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신발 밑창이 이종(異種) 경도로 형성되어 접지시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완전히 흡수하여 발목관절이나 무릎관절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중 이종 경도 충격 흡수 신발 충격력 충격량

Description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duplicated shock absorbing shoe-sole}
도 1 -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에 대한 단면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에 작용하는 충격력의 크기(a)와 기존의 신발 밑창에 작용하는 충격력의 크기(b)를 나타낸 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 -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6 -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7 -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8 -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9 - 도 7에 미끄럼방지홈이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 - 본 고안에 따른 제4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11 - 본 고안에 따른 제4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2 - 본 고안에 따른 제5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13 - 본 고안에 따른 제5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4 -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의 구름부에 의한 작용예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상부흡수창 110 : 상향구름부
120 : 하향구름부 130 : 가로홀
140 : 아치보강부재 150 : 가로홈
151 : 통풍공 160 : 구불구불한 곡면
200 : 하부흡수창 210 : 미끄럼방지홈
300 : 중간분산창 400 : 바닥창
본 고안은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발 밑창이 이종(異種) 경도로 형성되어 접지시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이중으로 흡수하는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에 있어서 지면과의 접지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비교적 저경도인 미드솔과, 상기 미드솔 하면에 상기 미드솔보다 고경도인 아웃솔로 형성된 신발 밑창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미드솔은 일반적으로 충격흡수를 위해 폴리우레탄폼 또는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폼으로 형성되며, 아웃솔은 일반적으로 지면과의 마찰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고무(rubber)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신발에 있어서 신발 밑창은 발과 지면과의 접지시 충격 을 흡수할 수 있는 부분이 미드솔에 주로 의존하므로, 지면이 딱딱하거나 울퉁불퉁한 경우 지면으로부터 충격이 제대로 흡수되지 않아 발바닥 및 무릎으로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경향이 있어 발목관절이나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에어백이나 에어젤과 같은 충격흡수기능을 하는 부재를 상기 미드솔에 다양한 형상으로 삽입하여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미드솔에 다수의 중공부를 형성시켜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흡수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그 제조방법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에어백이나 에어젤의 제조를 위한 별도의 제조과정 및 비용이 소요되고, 오랜 사용에 의해 상기 미드솔이나 에어백 및 에어젤이 그 형태가 변형되어 원래의 충격흡수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신발 밑창이 이종(異種) 경도로 형성되어 접지시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이중으로 흡수하는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발의 아치부에 구름부가 형성되어 발의 구름회전 및 지압효과를 발생시키며, 직립보행이 유도되는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의 제공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저경도로 형성된 상부흡수창과 하부흡수창 사이에, 상기 상부흡수창과 상기 하부흡수창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 경도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흡수창의 하면과 상기 하부흡수창의 상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상하면의 형상이 형성된 중간분산창이 결합되어, 접지시 상기 중간분산창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흡수창 및 하부흡수창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이중으로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흡수창은, 발의 아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측으로 볼록하게 상향구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흡수창은, 상기 상향구름부에 대응되어 하측으로 볼록하게 하향구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상향구름부 및 하향구름부에는, 상기 상부흡수창을 가로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가로홀에 아치보강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치보강부재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상향구름부 및 하향구름부의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은, 발의 앞꿈치 부분에 상기 상부흡수창과 중간분산창 및 상기 중간분산창과 하부흡수창이 접하는 면이 구불구불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은, 상기 상부흡수창의 발의 앞꿈치 부분 저면에 상기 상부흡수창을 가로로 관통되도록 가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흡수창에는, 상기 가로홈과 연통되며, 상기 상부흡수창을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통풍공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흡수창 및 하부흡수창은, 서로 다른 경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흡수창 및 하부흡수창은, 저경도 폴리우레탄폼 또는 EVA폼 중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분산창은, 플라스틱 또는 고경도 폴리우레탄폼 중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흡수창의 저면에는, 미끄럼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미끄럼방지홈은, 상기 하향구름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은, 상기 하부흡수창 하면에 고무재로 형성된 바닥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신발 밑창이 이종(異種) 경도로 형성되어 접지시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완전히 흡수하여 발목관절이나 무릎관절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발의 구름회전에 따른 몸 전체가 자연스럽게 흔들리게 됨과 동시에 부분적으로 근육이 긴장하게 되어 파워워킹(power walking)이 가능하여 다이어트 기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직립보행을 유도하여 올바른 걸음걸이가 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발의 아치부에 지압효과를 발생시켜 발 및 신체의 건강을 지키며, 직립 보행을 유도하여 올바른 걸음걸이가 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신발 밑창은 인솔 하측에 형성된 미드솔 및 아웃솔 또는 아웃솔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상부흡수창(100)과 하부흡수창(200), 그리고 상기 상부흡수창(100) 및 하부흡수창(20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흡수창(100) 및 하부흡수창(200)으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을 분산시키는 중간분산창(30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상부흡수창(100) 및 하부흡수창(200)은 상기 중간분산창(3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경도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분산창(300)은 고경도의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흡수창(100) 및 하부흡수창(200)은 저경도 폴리우레탄폼 또는 EVA폼 중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분산창(300)은 플라스틱 또는 고경도 폴리우레탄폼 중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흡수창(100) 및 하부흡수창(200)의 재료인 저경도 폴리우레탄폼 또는 EVA폼은, 미발포 폴리우레탄 또는 EVA 재료를 금형 내부에 삽입하고 일정 온도와 압력하에서 발포하여 성형시킨다. 이러한 재료의 경도 조절은 상기 금형 온도와 압력을 변화시켜 발포정도의 조절에 의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저경도라 함은 Shore C Type 경도계에서 30~50 정도되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흡수창(100) 및 하부흡수창(200)은 신발의 사용처 및 용도에 따라 서로 다른 경도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상기 중간분산창(300)보다는 저경도로는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중간분산창(300)의 재료인 플라스틱 또는 고경도 폴리우레탄폼은, 플라스틱 재료는 사출성형하는 방법으로 소정 형상으로 성형시키며, 상기 폴리우레탄폼은 금형 내부에 삽입하고 일정 온도와 압력하에서 발포하여 성형시킨다. 본 고안에 있어서 고경도라 함은 Shore A Type 경도계 70~80 또는 Shore D Type 경도계 60~80 정도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중간분산창(300)은 상기 상부흡수창(100)과 하부흡수창(200) 사이에 삽입되므로 상기 중간분산창(300)의 상하면은 상기 상부흡수창(100)의 하면과 상기 하부흡수창(200)의 상면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저경도 재료를 상부흡수창(100) 및 하부흡수창(200)의 재료로 사용하고, 고경도 재료를 상기 중간분산창(300)의 재료로 사용하여, 상기 상부흡수창(100) 및 하부흡수창(200)의 사이에 상기 중간분산창(300)을 삽입하여 일체로 신발 아웃솔을 형성시켜 신발 갑피 하측에 접착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신발의 용도 및 사용처에 따라 미끄럼을 방지하게 위해 상기 하부흡수창(200)의 저면에 미끄럼방지홈(210)이 형성되도록 하며, 지면과의 마찰에 의한 내구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흡수창(200) 하면에 고무재로 형성된 바닥창(400)을 더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걷는 동작 중에 신발이 지면에 닿으면, 발바닥면 중 어느 특정한 부 위가 상기 상부흡수창(100)을 부분적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때 상기 상부흡수창(100)이 받는 충격량은 상부흡수창(100)에 닿는 발 부위의 면적에 반비례하고 인체의 하중과 접지될 때의 충격력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흡수창(100)에 가해진 충격량은 고경도의 상기 중간분산창(300)에 전달되게 되며, 상기 중간분산창(300)은 상대적으로 상기 상부흡수창(100)보다 고경도로 형성되어 충격력이 상기 중간분산창(300) 전체에 퍼지게 되며, 부분적으로는 상기 상부흡수창(100)으로 되돌려지고, 부분적으로는 하부흡수창(200)으로 전달되게 된다.
또한 걷는 동작 중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흡수창(100)이 발바닥에 의해 충격력을 받는 동안 상기 하부흡수창(200)은 지면으로부터 충격력을 받게 된다. 이 때 하부흡수창(200)으로 받는 충격량은 상기 중간분산창(300)에서 상기 중간분산창(300)의 면적에 반비례하여 상기 하부흡수창(200) 및 상부흡수창(100)으로 골고루 분산되어 지면으로부터 인체가 받는 충격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1실시예>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와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저경도로 형성 된 상부흡수창(100)과 하부흡수창(200) 사이에 상기 상부흡수창(100)과 상기 하부흡수창(200)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경도로 형성된 중간분산창(300)이 삽입되고, 상기 하부흡수창(200)의 하면에 바닥창(400)이 형성된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 상기 상부흡수창(100)에는 발의 아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측으로 볼록하게 상향구름부(110)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상향구름부(110)는 상기 상부흡수창(100)의 발의 아치부에 대응되는 위치가 소정 곡률을 가지도록 상측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걷는 동작에 의해 발의 아치부에서 상기 상향구름부(110)가 구름작용을 하도록 한 것이다.
즉, 걷는 동안 일반 신발을 신는 것보다 더 많이 발목이 앞쪽으로 꺾이고(뒷꿈치가 닿을 때), 상기 상향구름부(110)에 의해 발이 회전되어 발목이 뒤쪽으로 꺽이게(앞꿈치가 닿을 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발의 구름회전에 의해 몸 전체가 균형을 잡기 위해 팔을 앞뒤로 흔들게 된다거나 근육이 긴장되고, 보폭이 다소 커지는 효과가 있어 파워워킹(power walking)이 가능하여 다이어트 기능이 있다.
또한 발이 무단으로 휘둘린다던지, 발의 접지면이 한쪽으로 치우친다던지 하는 문제점을 해소시켜 직립보행을 유도하여 올바른 자세로 걸을 수 있도록 보조하고, 상기 상향구름부(110)가 부분적으로 발의 아치부에 지압효과를 발휘하게 되어 건강에도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와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저경도로 형성된 상부흡수창(100)과 하부흡수창(200) 사이에 상기 상부흡수창(100)과 상기 하부흡수창(200)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경도로 형성된 중간분산창(300)이 삽입되고, 상기 하부흡수창(200)의 하면에 바닥창(400)이 형성된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 상기 상부흡수창(100)에는 상기 상향구름부(110)에 대응되어 소정 곡률을 가지도록 하측으로 볼록하게 하향구름부(120)가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상부흡수창(100)의 발의 아치부가 상하로 두껍게 형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분산창(300) 및 상기 하부흡수창(200)이 상기 하향구름부(120)의 형상에 대응되어 소정 곡률을 이루는 곡면으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하향구름부(120)는 상기 상향구름부(110)가 걷는 동작에 의해 발의 아치부에서 구름작용을 하는 것을 보조하며, 상기 상향구름부(110)에 순간적으로 체중이 집중되는 경우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3실시예>
도 7과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와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도 7에 미끄럼방지홈(210)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저경도로 형성된 상부흡수창(100)과 하부흡수창(200) 사이에 상기 상부흡수창(100)과 상기 하부흡수창(200)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경도로 형성된 중간분산창(300)이 삽입되고, 상기 하부흡수창(200) 하면에는 바닥창(400)이 형성된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 상기 상향구름부(110) 및 하향구름부(120)에는 상기 상부흡수창(100)을 가로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가로홀(130)에 아치보강부재(140)가 더 결합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아치보강부재(14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향구름부(110) 및 하향구름부(120)의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치보강부재(140)는 상기 상향구름부(110) 및 하향구름부(120)보다는 고경도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종래의 에어젤이나 에어펌프 또는 폴리우레탄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아치보강부재(140)는 상기 상향구름부(110) 및 하향구름부(120)에 의한 구름작용 중에, 상기 상향구름부(110) 및 하향구름부(120)를 지지하며, 원통형상에 의한 상기 아치보강부재(140)가 발의 아치부에 지압효과를 높여 인체의 건강에 더욱 도움을 주도록 한것이다.
또한 도 7은 상기 제3실시예에 의한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흡수창(200)의 저면에 미끄럼방지홈(210)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상기 미끄럼방지홈(210)이 상기 하향구름부(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상향구름부(110) 및 하향구름부(120), 아치보강부재(140)에 의한 발의 구름회전 동작시, 체중이 순간적으로 집중되게 될 때 신발 밑창의 발의 아치부를 더욱 더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제4실시예>
도 10과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4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와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4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저경도로 형성된 상부흡수창(100)과 하부흡수창(200) 사이에 상기 상부흡수창(100)과 상기 하부흡수창(200)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경도로 형성된 중간분산창(300)이 삽입되고 상기 하부흡수창(200) 하면에는 바닥창(400)이 형성된 신발 밑창의 발의 앞꿈치 부분에는 상기 상부흡수창(100)과 중간분산창(300) 및 상기 중간분산창(300)과 하부흡수창(200)이 접하는 면이 구불구불한 곡면(160)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는 비교적 고경도인 상기 중간분산창(300)으로 인해 걷는 동작 중에 신발 밑창의 앞꿈치 측이 뻣뻣하여 발가락 및 발목에 무리를 줄 수도 있으므로, 상기 중간분산창(300) 및 상기 중간분산창(300)의 상하면에 형성된 상부흡수창(100), 하부흡수창(200)의 발의 앞꿈치 부분에서 유연성을 발휘하도록 하여 편안한 보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5실시예>
도 12와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제5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와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5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저경도로 형성된 상부흡수창(100)과 하부흡수창(200) 사이에 상기 상부흡수창(100)과 상기 하부흡수 창(200)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경도로 형성된 중간분산창(300)이 삽입되고 상기 하부흡수창(200) 하면에는 바닥창(400)이 형성된 신발 밑창에 있어서, 상기 상부흡수창(100)의 발의 앞꿈치 부분 저면에는 상기 상부흡수창(100)을 가로로 관통되도록 가로홈(150)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흡수창(100)의 가로홈(150)과 연통되며, 상기 상부흡수창(100)으로 상하로 관통되도록 통풍공(151)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가로홈(150)은 비교적 고경도인 상기 중간분산창(300)으로 인해 걷는 동작 중에 신발 밑창의 앞꿈치 측이 뻣뻣하여 발가락 및 발목에 무리를 줄 수도 있으므로, 발의 앞꿈치 부분에서 유연성을 발휘하도록 하여 편안한 보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게다가 상기 가로홈(150)은 신발 밑창 내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통풍공(151)과 연결되므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신발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하여 신발의 위생 및 발의 위생관리에 도움을 주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에 작용하는 충격력의 크기(a)와 기존의 신발 밑창에 작용하는 충격력의 크기(b)를 나타낸 것이다. 충격량은 운동량의 변화량과 동일하며, 충격력(F)x시간(t)이다. 그리고 충격력은 시간과 면적에 반비례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운동 패턴에서 충격량은 같지만, 충격력(데 미지)은 시간과 면적에 따라 변한다고 할 수 있다. 도 2(a)에 따른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구조는 발과 접지되는 면적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바닥의 충격력을 분산시키는 구조이다.
특히, 외부환경(지면)에 돌출물이 있는 경우에는 집중되는 충격량을 상기 중간분산창(300)에서 흡수하여 발바닥에 균일하게 충격량을 분산시키게 되므로 도 2(b)에 따른 종래의 신발 밑창에 비해 충격량을 분산하는 효과가 탁월한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이 신발의 미드솔 및 아웃솔로 형성된 신발을 사용자가 신고 걷는 동작에 따른 그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걷는 동작 중에 신발이 지면에 닿으면, 발바닥면 중 어느 특정한 부위가 상기 상부흡수창(100)을 부분적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때 상기 상부흡수창(100)이 받는 충격량은 상부흡수창(100)에 닿는 발 부위의 면적에 반비례하고 인체의 하중과 접지될 때의 충격력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흡수창(100)에 가해진 충격량은 고경도의 상기 중간분산창(300)에 전달되게 되며, 상기 중간분산창(300)은 상대적으로 상기 상부흡수창(100)보다 고경도로 형성되어 충격력이 상기 중간분산창(300) 전체에 퍼지게 되며, 부분적으로는 상기 상부흡수창(100)으로 되돌려지고, 부분적으로는 하부흡수창(200)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상부흡수창(100) 및 하부흡수창(200)으로 전달되는 충격량은 상 기 중간분산창(300) 거의 전체에 골고루 분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흡수창(100) 및 하부흡수창(200)으로 전달되므로 인체가 받는 충격량은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즉 상기 중간분산창(300)의 면적에 반비례하는 충격량이 상기 상부흡수창(100) 및 하부흡수창(200)으로 분산 전달되는 것이다.
또한 걷는 동작 중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흡수창(100)이 발바닥에 의해 충격력을 받는 동안 상기 하부흡수창(200)은 지면으로부터 충격력을 받게 된다. 이 때 하부흡수창(200)으로 받는 충격량은 상기 중간분산창(300)에서 상기 중간분산창(300)의 면적에 반비례하여 상기 하부흡수창(200) 및 상부흡수창(100)으로 골고루 분산되어 지면으로부터 인체가 받는 충격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상향구름부(110) 및 하향구름부(120)가 형성된 신발 밑창에 의한 신발을 신고 걷는 동작에 임하게 되면, 일반 신발을 신는 것보다 더 많이 발목이 앞쪽으로 꺾이고(뒷꿈치가 닿을 때), 상기 상향구름부(110) 및 하향구름부(120)에 의해 발이 회전되어 발목이 뒤쪽으로 꺽이게(앞꿈치가 닿을 때) 되어, 발의 회전에 따른 몸 전체가 자연스럽게 흔들리게 됨과 동시에 부분적으로 근육이 긴장하게 된다.
이에 의해 파워워킹(power walking)이 가능하여 다이어트 기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발이 무단으로 휘둘린다던지, 발의 접지면이 한쪽으로 치우친다던지 하는 문제점을 해소시켜 직립보행을 유도하여 올바른 자세로 걸을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향구름부(110) 및 하향구름부(120) 그리고 상기 아치보강부재 (140)에 의해 발의 아치부에 지압효과를 발휘하게 되어 인체의 건강에도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신발 밑창이 이종(異種) 경도로 형성되어 접지시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완전히 흡수하여 발목관절이나 무릎관절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의 구름회전에 따른 몸 전체가 자연스럽게 흔들리게 됨과 동시에 부분적으로 근육이 긴장하게 되어 파워워킹(power walking)이 가능하여 다이어트 기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직립보행을 유도하여 올바른 걸음걸이가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의 아치부에 지압효과를 발생시켜 발 및 신체의 건강을 지키며, 직립보행을 유도하여 올바른 걸음걸이가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저경도로 형성된 상부흡수창과 하부흡수창 사이에, 상기 상부흡수창과 상기 하부흡수창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경도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흡수창의 하면과 상기 하부흡수창의 상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상하면의 형상이 형성된 중간분산창이 결합되어, 접지시 상기 중간분산창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흡수창 및 하부흡수창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이중으로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흡수창은,
    발의 아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측으로 볼록하게 상향구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흡수창은,
    상기 상향구름부에 대응되어 하측으로 볼록하게 하향구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구름부 및 하향구름부에는,
    상기 상부흡수창을 가로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가로홀에 아치보강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보강부재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상향구름부 및 하향구름부의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은,
    발의 앞꿈치 부분에 상기 상부흡수창과 중간분산창 및 상기 중간분산창과 하부흡수창이 접하는 면이 구불구불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은,
    상기 상부흡수창의 발의 앞꿈치 부분 저면에 상기 상부흡수창을 가로로 관통되도록 가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흡수창에는,
    상기 가로홈과 연통되며, 상기 상부흡수창을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통풍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흡수창 및 하부흡수창은,
    서로 다른 경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 격흡수 신발 밑창.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흡수창 및 하부흡수창은,
    저경도 폴리우레탄폼 또는 EVA폼 중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분산창은,
    플라스틱 또는 고경도 폴리우레탄폼 중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흡수창의 저면에는,
    미끄럼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홈은,
    상기 하향구름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14. 제1항 내지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은,
    상기 하부흡수창 하면에 고무재로 형성된 바닥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KR2020060000496U 2006-01-06 2006-01-06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KR2004136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496U KR200413646Y1 (ko) 2006-01-06 2006-01-06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496U KR200413646Y1 (ko) 2006-01-06 2006-01-06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908A Division KR100761897B1 (ko) 2006-01-06 2006-01-06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646Y1 true KR200413646Y1 (ko) 2006-04-11

Family

ID=41763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496U KR200413646Y1 (ko) 2006-01-06 2006-01-06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6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9069C2 (ru) Подошва для полуботин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кроссовки
EP2132999B1 (en) Shoe sole element
US8959798B2 (en) Shoe sole element
US8196315B2 (en) Shoe sole with tunnel-type air chambers
US11882898B2 (en) Sole, particularly for shoes
ES2624137T3 (es) Calzado
KR101668142B1 (ko) 지지 시스템을 가진 신발
KR100884659B1 (ko) 충격분산기능과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
US8776399B2 (en) Shoe insole
US20100242305A1 (en) Therapeutic cushioned sole
KR101216763B1 (ko) 건강 신발
KR101067892B1 (ko)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KR100761897B1 (ko)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WO2008114909A1 (en) Lower structure of footwear
KR100627678B1 (ko) 신발의 솔 구조
RU2524894C2 (ru) Обувь для здоровья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960014893B1 (ko) 운동기능을 갖는 신발밑창구조
KR100758678B1 (ko) 기능성 신발 안창
KR200430896Y1 (ko) 이동 가능한 뒷굽이 장착된 신발 밑창
KR200413646Y1 (ko)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KR200427366Y1 (ko) 아치형 지지부를 갖는 충격완충용 샌들
WO2008054146A1 (en) A shoe having turning and stamping function and lower structure for the shoe
KR101241422B1 (ko) 다중 경도에 의한 구름보행 기능을 갖는 신발 중창 및 그 중창이 설치된 신발
KR101258604B1 (ko) 완충기능을 갖는 신발
KR101063735B1 (ko) 헬스 워킹 샌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06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10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16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1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