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12973Y1 - 마루 바닥재 - Google Patents

마루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973Y1
KR200412973Y1 KR2020050031893U KR20050031893U KR200412973Y1 KR 200412973 Y1 KR200412973 Y1 KR 200412973Y1 KR 2020050031893 U KR2020050031893 U KR 2020050031893U KR 20050031893 U KR20050031893 U KR 20050031893U KR 200412973 Y1 KR200412973 Y1 KR 200412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plywood
block
air
plywood b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곤
임준석
Original Assignee
김용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곤 filed Critical 김용곤
Priority to KR2020050031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9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97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4Tiles for floors or wa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공이 간편하고 방음 및 방진 기능 뿐만 아니라 마루 하부 공간에서의 통풍성을 확보하고 음이온을 방출하여 쾌적한 실내 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마루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제1 공기 통로(52)가 형성된 제1 합판 블록(50)과; 상기 제1 합판 블록(50) 위에 부착되고 다수의 공기 구멍을 갖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 에어 패드(40)와; 상기 에어 패드(40) 위에 부착된 제2 합판 블록(30)과; 상기 제2 합판 블록(30) 위에 부착된 목판재(20)를 구비하는 마루 바닥재(10)를 개시한다.
마루, 바닥재, 에어 패드, 습기 배출, 공기 통로, 음이온

Description

마루 바닥재{FLOORING STRUCTUR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루 바닥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루 바닥재를 I-I'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마루 바닥재 6개를 종횡으로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콘크리트 바닥에 설치된 도 3에 도시된 마루 바닥재를 II-II'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루 바닥재 20 : 목판재
30 : 제2 합판 블록 30a : 제1 합판 부재
30b : 제2 합판 부재 30c : 제3 합판 부재
31a : 돌출부 31b : 결합홈
40 : 에어 패드 50 : 제1 합판 블록
52, 60 : 공기 통로 70 : 콘크리트 바닥
51 : 합판 라인
본 고안은 마루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공이 간단하면서도 마루 하부 공간에서의 공기 흐름을 유도하여 통풍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음이온을 방출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마루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마루 뿐만 아니라 교실, 체육관, 강당 등과 같은 공공 시설용 마루로 원목 마루가 널리 이용되는데, 공공 시설용 원목 마루는 사용자가 많고 사용자의 활동량이 많은 편이므로 보행성과 내구성이 요구된다.
보행성은 마루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시키는 방진 고무를 마루 하부 구조물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원목 마루는 습기에 약한 나무 자체의 성질로 인해 마루 구조물의 부식, 뒤틀림이나 갈라짐 등과 같은 변형으로 내구성이 떨어져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원목 마루의 내구성을 위해서는 수축팽창율이 적은 단단한 수종을 선택해야 하고 시공시에는 마루 구조물의 밑에서 올라오는 습기를 1차적으로 차단해야 하며 시공 후에는 마루 구조물에 습기 침투하지 않도록 통풍성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는 콘크리트 바닥 위에 목판재를 직접 펼치는 기존의 현가식 공법을 지양하고 원목 마루 하부에 일정 간격을 갖는 낮은 구조물을 구축하여 콘크리트 바닥과 원목 마루 사이에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공법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체육관용이나 교실용 마루 구조물로는 콘크리트 바닥 위에 일정 간격으로 장선목을 깔고 그 장선목 위에 합판과 원목 마루를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부 구조물을 채택한 원목 마루도 하부의 좁은 공간에서 공기의 흐름이 없이 정체된 상태가 지속됨에 따라 습기가 배출되지 못하여 하부 구조물의 나무가 부식되고 내구성이 떨어져 하자 보수 사례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마루 구조물은 콘크리트 바닥에 다수의 장선을 깔고 그위에 합판재 및 원목 마루를 적층하여 고정시켜야 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시공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방음 및 방진 기능 뿐만 아니라 마루 하부 공간에서의 통풍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마루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음이온을 방출하여 쾌적한 실내 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마루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이 간편한 마루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마루 바닥재는 제1 공기 통로(52)가 형성된 제1 합판 블록(50)과; 상기 제1 합판 블록(50) 위에 부착 되고 다수의 공기 구멍을 갖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 에어 패드(40)와; 상기 에어 패드(40) 위에 부착된 제2 합판 블록(30)과; 상기 제2 합판 블록(30) 위에 부착된 목판재(20)를 구비한다.
상기 에어 패드(40)는 음이온 발생 물질, 즉 음이온이 방출하는 게르마늄 원석 가루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은 적어도 2개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31a)와; 나머지 측면에 형성되어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제2 합판 블록(30)의 돌출부(31a)와 교합되어질 결합홈(31b)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31a) 및 결합홈(31b)은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의 중간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1a) 및 결합홈(31b)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의 상부 측면 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의 하부 측면이 안쪽에 위치한다.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의 하부 측면은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제2 합판 블록(30)의 하부 측면과의 사이에 제2 공기 통로(60)를 형성한다.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은 적층된 구조로 합착된 제1 내지 제3 합판 부재(30a, 30b, 30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3 합판 부재(30a, 30c) 사이의 제2 합판 부재(30b)는 자신 적어도 2개의 측면이 돌출되고 나머지 측면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합착되어 상기 돌출부(31a)와 결합홈(31b)을 형성한다.
상기 제3 합판 부재(30c)는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제3 합판 부재(30c)와 제2 공기 통로(60)를 형성한다.
상기 에어 패드(40)는 상기 제3 합판 부재(30c)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에어 패드(40)와의 사이에 상기 제2 공기 통로(60)가 연장되게 한다.
상기 제1 합판 블록(50)은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제1 합판 블록(50)과의 사이에 상기 제2 공기 통로(60)가 연장되게 한다.
상기 제1 합판 블록(50)은 상기 제1 공기 통로(52)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다수의 합판 라인(51)을 구비한다.
상기 제1 공기 통로(52)는 상기 제1 합판 블록(5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공기 통로(52)는 상기 제1 합판 블록(50)의 길이 및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합판 블록(50)은 상기 제1 공기 통로(52)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다수의 합판 타일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루 바닥재는 제1 합판 블록(50)과; 상기 제1 합판 블록(50) 위에 부착되고 다수의 공기 구멍을 갖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 에어 패드(40)와; 상기 에어 패드(40) 위에 부착된 제2 합판 블록(30)과; 상기 제2 합판 블록(30) 위에 부착된 목판재(2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합판 블록(50) 및 에어 패드(40)는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제1 합판 블록(50) 및 에어 패드(40)와의 사이에 공기 통로(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 패드(40)는 음이온 발생 물질, 즉 음이온이 방출하는 게르마늄 원 석 가루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은 적어도 2개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31a)와; 나머지 측면에 형성되어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제2 합판 블록(30)의 돌출부(31a)와 교합되어질 결합홈(31b)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31a) 및 결합홈(31b)은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의 중간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1a) 및 결합홈(31b)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의 상부 측면 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의 하부 측면이 안쪽에 위치한다.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의 하부 측면은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제2 합판 블록(30)의 하부 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공기 통로(60)가 연장되게 한다.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은 적층된 구조로 합착된 제1 내지 제3 합판 부재(30a, 30b, 30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3 합판 부재(30a, 30c) 사이의 제2 합판 부재(30b)는 자신 적어도 2개의 측면이 돌출되고 나머지 측면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합착되어 상기 돌출부(31a)와 결합홈(31b)을 형성한다.
상기 제3 합판 부재(30c)는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제3 합판 부재와 상기 공기 통로(60)가 연장되게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루 바닥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마루 바닥재(10)는 제1 공기 통로(52)가 형성된 제1 합판 블록(50)과, 그 위에 적층된 에어 패드(40), 제2 합판 블록(30), 목판재(20)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구조를 갖는다. 다시 말하여, 도 1에 도시된 마루 바닥재(10)는 제1 합판 블록(50)과, 그 위에 적층된 에어 패드(40), 제2 합판 블록(30), 목판재(20)가 접착제와 고주파 열 압착 공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마루 바닥재(10)는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와 조립하는 간단한 시공으로 원목 마루 구조물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마루 바닥재(10)는 목판재(20) 하부의 제2 공기 통로(60)를 사이에 두고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와 교합된다.
목판재(20)는 원목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된다. 여기서 목판재(20)의 형상은 직사각형으로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합판 블록(30)은 목판재(20)의 배면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된다. 제2 합판 블록(30)은 적어도 2개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31a)와, 마루 바닥재(10)의 조립시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돌출부(31a)와 교합되도록 나머지 2개의 측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결합홈(31b)을 구비한다. 이러한 돌출부(31a)와 결합홈(31b)은 제2 합판 블록(30)의 측면에서 중간 높이에 위치하여 제2 합판 블록(30)의 측면은 그 중간 높이의 돌출부(31a)와 결합홈(31b)을 중심으로 상부 측면과 하부 측면으로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합판 블록(30)의 하부 측면이 상부 측면 보다 일정 간격(d)을 두고 안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돌출부(31a)가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결합홈(31b)과 교합된 경우 인접한 제2 합판 블록(30)의 하부 측면간에 일정 간격(d)의 제2 공기 통로(60)가 마련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제2 합판 블록(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합판 부재(30a, 30b, 30c)가 적층된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합판 부재(30a, 30b)는 목판재(20)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제3 합판 부재(30c)는 자신의 4개의 측면이 목판재(20)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d)을 두고 안쪽에 위치하도록 작은 크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및 제3 합판 부재(30a, 30c) 사이에 제2 합판 부재(30b)가 적어도 2개의 측면이 돌출되도록 합착됨으로써 제2 합판 부재(30b)에 의해 제2 합판 블록(30)의 적어도 2개 측면의 돌출부(31a)와, 나머지 2개 측면의 일정 깊이의 결합홈(31b)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마루 바닥재(10)의 조립시 제2 합판 부재(30b)의 돌출부(31a)가 인접한 마루 바닥재(10) 제2 합판 부재(30b)의 결합홈(31b)와 교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제3 합판 부재(30c)에 의해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제3 합판 부재(30c) 사이에 일정 간격(d)의 제2 공기 통로(60)가 마련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합판 부재(30a, 30b, 30c) 각각은 원목을 얇게 오려내고 이것을 섬유방향이 직교하도록 겹쳐 붙인 것으로, 목재의 완전 이용이 가능하고 작은 목재로 너비가 넓은 합판을 용이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으며, 목재의 결점인 흠이나 갈라짐·옹이 등이 제거되고, 재료의 방향성이 보완되어 금이나 구부러짐에 대해 강도가 증가되고, 표면의 마무리도 용도에 따라 자유로운 선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에어 패드(40)는 제2 합판 블록(30)의 배면에 부착되고, 특히 제3 합판 부재(30c)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루 바닥재(10)가 조립된 경우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에어 패드(40)와의 사이에 제2 공기 통로(60)가 형성되게 한다. 에어 패드(40)는 내부에 다수의 공기구멍을 갖는 탄성 부재,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나 폴리우레탄 등으로 형성되고 음이온을 발생하는 물질, 예를 들면 게르마늄 원석 가루를 포함한다. 이러한 에어 패드(40)는 게르마늄 원석에 의해 음이온을 방출하고 방출된 음이온은 제2 합판 블록(30) 및 목판재(20)를 경유하여 마루 바닥재(10) 위로 발산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쾌적한 실내 환경이 조성되게 한다. 또한 에어 패드(40)는 목판재(20)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충격 등에 의해 눌려지면서 다수의 공기 구멍을 통해 공기를 방출하는 에어 펌프 역할을 하여 상기 제2 공기 통로(60)와 후술할 제1 공기 통로(52)를 통해 공기 흐름이 유발되게 함으로써 통풍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제1 합판 블록(50)은 다수의 합판 라인(51)을 포함하고, 다수의 합판 라인(51)은 에어 패드(40)의 배면에 서로 이격되게 부착되어 다수의 합판 라인(51) 사이에 에어 패드(40)로부터 방출된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제1 공기 통로(52)를 형성한다. 또한, 제1 합판 블록(50)은 에어 패드(40)와 동일한 위치의 측면을 갖도록 부착됨으로써 마루 바닥재(10)가 조립된 경우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합판 라인(51)과의 사이에 제2 공기 통로(60)가 형성되게 한다. 다시 말하여, 제1 합판 블록(50)에 포함된 다수의 합판 라인(51) 중 외곽에 위치한 합판 라인(51)이 에어 패드(40)와 동일 위치의 측면을 갖도록 부착됨으로써 마루 바닥재(10)가 조립된 경우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합판 라인(51)과의 사이에 제2 공기 통로(60)가 형성되게 한다. 예를 들면, 제1 합판 블록(50)에 포함된 적어도 3개의 합판 라인(51)이 에어 패드(40)의 배면에 나란하게 부착되어 그 합판 라인(51) 사이에 제1 공기 통로(52)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다수의 합판 라인(5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 바닥재(10)의 폭(세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부착되어 제1 공기 통로(52)는 마루 바닥재(10)의 길이(가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로, 다수의 합판 라인(51)이 마루 바닥재(10)의 길이(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부착되어 제1 공기 통로(52)과 마루 바닥재(10)의 폭(세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기도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합판 블록(50)은 다수의 합판 타일을 포함하고, 다수의 합판 타일이 서로 이격되어 에어 패드(40)와 부착됨으로써 제1 공기 통로(52)는 길이 및 폭(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길이(가로) 방향 및/또는 폭(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합판 블록(50)의 제1 공기 통로(52)는 판형 합판재를 에어 패드(40)에 부착한 다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합판 블록(50)은 제1 공기 통로(52) 없이 에어 패드(40)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마루 바닥재(10)가 조립된 경우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제1 합판 블록(50)과의 사이에 제2 공기 통로(60)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루 바닥재(10)는 제1 공기 통로(52)가 형성된 제1 합판 블록(50)과, 다수의 공기 구멍을 갖는 에어 패드(40)가 그 위에 적층된 제2 합판 블록(30) 및 목판재(20)와 일체화된 구조로 제작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마루 바닥재(10)를 조립하는 간편한 시공으로 원목 마루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마루 바닥재(10)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나 충격에 의해 에어 패드(40)가 눌려지면서 공기 흐름을 유발하고 제1 및 제2 공기 통로(52, 60) 또는 제2 공기 통로(60)를 통해 공기가 순환되게 함으로써 마루 바닥재(10) 하부의 통풍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본 고안에 따른 마루 바닥재(10)는 에어 패드(40)에 음이온을 방출하는 물질이 포함하여 마루 바닥재(10) 위로 음이온이 방출되게 함으로써 건강에 도움을 주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마루 바닥재 다수개를 종횡으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콘크리트 바닥에 시공된 도 3에 도시된 다수의 마루 바닥재를 Ⅱ-Ⅱ'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루 바닥재(10)는 방습 필름 등이 설치된 콘크리트 바닥(70) 위에 종횡으로 다수개가 상호 결합되면서 시공된다. 이때,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돌출부(31a)와 결합홈(31b)을 교합하는 간편한 시공 방식으로 다수의 마루 바닥재(10)를 조립하여 원목 마루판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원목 마루판에 사용자에 의해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마루 바닥재(10)에 포함된 에어 패드(40)와 제1 및 제2 공기 통로(52, 60) 또는 제2 공기 통로(60)를 통해 공기가 순환됨으로써 원목 마루판 하부의 통풍성을 확보하여 습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어 패드(40)의 음이온 방출로 사용자의 건강에 이로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에어 패드(40)는 탄성 재질이므로 방음 및 방진 기능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루 바닥재는 제1 공기 통로가 형성된 제1 합판 블록과, 다수의 공기 구멍을 갖는 에어 패드가 그 위에 적층된 제2 합판 블록 및 목판재와 일체화된 구조로 제작됨으로써 마루 바닥재를 조립하는 간편한 시공으로 원목 마루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마루 바닥재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나 충격에 의해 에어 패드가 눌려지면서 공기 흐름을 유발하고 제1 합판 블록의 제1 공기 통로와 마루 바닥재 사이의 제2 공기 통로 또는 마루 바닥재 사이의 제2 공기 통로를 통해 공기가 순환되게 함으로써 마루 바닥재 하부의 통풍성을 확보하여 습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본 고안에 따른 마루 바닥재는 에어 패드에 음이온을 방출하는 물질을 포함하여 마루 바닥재 위로 음이온이 방출되게 함으로써 건강에 도움을 주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 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22)

  1. 제1 공기 통로(52)가 형성된 제1 합판 블록(50)과;
    상기 제1 합판 블록(50) 위에 부착되고 다수의 공기 구멍을 갖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 에어 패드(40)와;
    상기 에어 패드(40) 위에 부착된 제2 합판 블록(30)과;
    상기 제2 합판 블록(30) 위에 부착된 목판재(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바닥재(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패드(40)는 음이온 발생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마루 바닥재(1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패드(40)는 음이온이 방출하는 게르마늄 원석 가루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바닥재(1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은
    적어도 2개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31a)와;
    나머지 측면에 형성되어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제2 합판 블록(30)의 돌출부(31a)와 교합되어질 결합홈(31b)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바닥재(1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1a) 및 결합홈(31b)은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의 중간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1a) 및 결합홈(31b)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의 상부 측면 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의 하부 측면이 안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바닥재(1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의 하부 측면은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제2 합판 블록(30)의 하부 측면과의 사이에 제2 공기 통로(6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바닥재(10).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은
    적층된 구조로 합착된 제1 내지 제3 합판 부재(30a, 30b, 30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3 합판 부재(30a, 30c) 사이의 제2 합판 부재(30b)는 자신 적어도 2개의 측면이 돌출되고 나머지 측면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합착되어 상기 돌출부(31a)와 결합홈(31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바닥재(10).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합판 부재(30c)는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제3 합판 부재(30c)와 제2 공기 통로(6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마루 바닥재(10).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패드(40)는 상기 제3 합판 부재(30c)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에어 패드(40)와의 사이에 상기 제2 공기 통로(60)가 연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바닥재(10).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합판 블록(50)은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제1 합판 블록(50)과의 사이에 상기 제2 공기 통로(60)가 연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바닥재(10).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합판 블록(50)은
    상기 제1 공기 통로(52)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다수의 합판 라인(5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바닥재(10).
  12. 제 1 항 및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통로(52)는 상기 제1 합판 블록(5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바닥재(10).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통로(52)는 상기 제1 합판 블록(50)의 길이 및 폭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바닥재.
  14. 제 1 항 및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합판 블록은
    상기 제1 공기 통로(52)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다수의 합판 타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바닥재.
  15. 제1 합판 블록(50)과;
    상기 제1 합판 블록(50) 위에 부착되고 다수의 공기 구멍을 갖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 에어 패드(40)와;
    상기 에어 패드(40) 위에 부착된 제2 합판 블록(30)과;
    상기 제2 합판 블록(30) 위에 부착된 목판재(2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합판 블록(50) 및 에어 패드(40)는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제1 합판 블록(50) 및 에어 패드(40)와의 사이에 공기 통로(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바닥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패드(40)는 음이온 발생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마루 바닥재(10).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패드(40)는 음이온이 방출하는 게르마늄 원석 가루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바닥재(10).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은
    적어도 2개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31a)와;
    나머지 측면에 형성되어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제2 합판 블록(30)의 돌출부(31a)와 교합되어질 결합홈(31b)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바닥재(10).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1a) 및 결합홈(31b)은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의 중간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1a) 및 결합홈(31b)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의 상부 측면 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의 하부 측면이 안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바닥재(10).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의 하부 측면은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제2 합판 블록(60)의 하부 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공기 통로(60)가 연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바닥재(10).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합판 블록(30)은
    적층된 구조로 합착된 제1 내지 제3 합판 부재(30a, 30b, 30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3 합판 부재(30a, 30c) 사이의 제2 합판 부재(30b)는 자신 적어도 2개의 측면이 돌출되고 나머지 측면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합착되어 상기 돌출부(31a)와 결합홈(31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바닥재(10).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합판 부재(30c)는 인접한 마루 바닥재(10)의 제3 합판 부재(30c)와 상기 공기 통로(60)가 연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마루 바닥재(10).
KR2020050031893U 2005-11-10 2005-11-10 마루 바닥재 Expired - Fee Related KR200412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893U KR200412973Y1 (ko) 2005-11-10 2005-11-10 마루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893U KR200412973Y1 (ko) 2005-11-10 2005-11-10 마루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973Y1 true KR200412973Y1 (ko) 2006-04-05

Family

ID=41763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89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12973Y1 (ko) 2005-11-10 2005-11-10 마루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9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78650A (ko) 체육관 마루판 지지구조물
KR200412973Y1 (ko) 마루 바닥재
CA2671446A1 (en) Floairs
JP2001115631A (ja) 床仕上材の連結構造
JP6317866B2 (ja) 床構造の構築方法
JP2008088801A (ja) 内装建材
JP6813412B2 (ja) 土間用床材
JP2008267035A (ja) 床用緩衝体、床構造、及び、補強床敷設方法
JPH043067Y2 (ko)
JPH0347068Y2 (ko)
KR200335078Y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마루 바닥재
JPH0543158Y2 (ko)
KR200408450Y1 (ko) 에어 패드 및 그를 이용한 장선 구조물 및 마루 구조물
JP3821480B2 (ja) 石貼り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6677987B2 (ja) 床構造
JP2001227147A (ja) 床 板
JP3196961U (ja) 複合建材
JP2017197907A (ja) 防音床材
JP6677986B2 (ja) 床構造
JPH0478777B2 (ko)
JPS63268872A (ja) 床材の取付構造
JPH07292944A (ja) 床板材および床板材の敷設構造
JP3464214B2 (ja) フローリング材とその敷設方法
JP2002349049A (ja) 床材及び床構造
JP3081933U (ja) ユニット式床材及び壁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111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11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