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12968Y1 - 태양전지모듈 거치 구조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모듈 거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968Y1
KR200412968Y1 KR2020050030644U KR20050030644U KR200412968Y1 KR 200412968 Y1 KR200412968 Y1 KR 200412968Y1 KR 2020050030644 U KR2020050030644 U KR 2020050030644U KR 20050030644 U KR20050030644 U KR 20050030644U KR 200412968 Y1 KR200412968 Y1 KR 200412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ell module
mounting plate
leg
gr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송현
Original Assignee
유송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송현 filed Critical 유송현
Priority to KR2020050030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9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96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구조는 태양전지모듈(20)을 지지하는 거치대(100)와 상기 거치대(100)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콘크리트 암(200)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거치대(100)는, 일정 길이로 이루어진 가로 바(110)와 세로 바(120)가 교차 결합하여 태양전지모듈(20)이 안착될 수 있는 판상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가로 바(110)의 하면에는 역 U 형상의 연결클립(115)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클립(115)의 공간에 상기 세로 바(120)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이 되는 거치판(130);과, 상기 거치판(130)이 일정 각으로 기울어진 구조를 가지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레그(160);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암(200)은 콘크리트 양생을 통하여 일정 배열로 지면에 설치되어 있되, 상면에 상기 레그(160)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반원 형상으로 내측 함입되어 있는 반원홈(210)을 구비하여, 상기 돌출부(215) 상에 상기 레그(160)가 안착된 다음 클램프(220)를 통해 서로 결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전지모듈 거치 구조{STRUCTURE OF SUPPORTING MODULE OF SOLAR BATTER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판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듈연결클립의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듈과 거치판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거치 구조의 측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암의 구조를 도시한 도 4의 B 부분 확대 정단면도 및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 고안에 따른 거치 구조 150: 지면 레그
20: 태양전지모듈 160: 레그
110: 가로 바 170: 모듈연결클립
115: 연결클립 180: 캡
120: 세로 바 200: 콘크리트 암
130: 거치판 210: 반원홈
140: 거치판 레그 220: 클램프
145: 하부직립 레그 240: 앵커
230: 삽입공
본 고안은 태양전지모듈 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콘크리트 바닥 면에 지지하고자 할 때 완벽한 방수성능을 가지고 설치가 용이하며 내구력이 강할 뿐 아니라 다수 개의 타양전지모듈 설치에도 편리함을 보장하는 태양전지모듈 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를 이용한 발전장치는 다양한 용도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적정 수준의 발전 용량을 얻기 위하여 특히 일반 가정이나 도심 속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주로 콘크리트 바닥 면이나 토사로 이루어진 노면 등에서 거치대가 먼저 지지가 되고 이러한 거치대에 태양전지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가급적 동일 시간에 많은 발전 전력을 얻기 위하여 거치대가 자동으로 태양을 따라 이동되는 자동식 거치대 내지 수동으로 거치 각도를 조절하는 수동식 거치대, 또한 모듈의 장착에 종속되는지에 따라 독립형, 연계형으로 구별되어 존재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거치대는 태양전지모듈을 지지하는 요소로서 일반적 으로 규격화되어 있는 태양전지모듈에 비해 다양한 형태와 기능이 도출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며, 이로써 이러한 거치대의 성능이 바로 태양전지로 인한 발전용량의 성능 및 품질을 좌우한다 하여도 과언이 아니며 따라서 거치대가 어떻게 지면에서 용이하고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지 여부 및 거치대에 태양전지모듈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설치 및 장착이 가능한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거치대는 그 크기 및 규격이 정형화되어 필요에 따라 다수 개의 태양전지모듈을 장착하게 될 때 호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불어 지면에 적절히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복잡한 프레임 구조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결국 설치비용 상승이 야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설치비용의 최적화를 꾀하면서도 그 구조가 안정적이고 추가로 태양전지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거치대 및 이러한 거치대를 포함한 전체적인 태양전지모듈 거치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면에 거치대를 고정하기 위한 독창적인 구조를 제시하고 이로 인해 방수 기능 및 용이한 설치 구조를 가지는 태양전지모듈 거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겠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수 개의 태양전지모듈이 거치대에 장착될 때 모듈 상호간 또는 모듈과 거치대 간에 적절한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 개의 태양거치모듈이 필요에 의하여 추가되고자 할 때 거치대의 간단하고 편리한 구조 변경에 의하여 추가 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편리한 거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구조는 태양전지모듈(20)을 지지하는 거치대(100)와 상기 거치대(100)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콘크리트 암(200)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거치대(100)는, 일정 길이로 이루어진 가로 바(110)와 세로 바(120)가 교차 결합하여 태양전지모듈(20)이 안착될 수 있는 판상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가로 바(110)의 하면에는 역 U 형상의 연결클립(115)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클립(115)의 공간에 상기 세로 바(120)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이 되는 거치판(130);과, 상기 거치판(130)이 일정 각으로 기울어진 구조를 가지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레그(160);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암(200)은 콘크리트 양생을 통하여 일정 배열로 지면에 설치되어 있되, 상면에 상기 레그(160)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반원 형상으로 내측 함입되어 있는 반원홈(210)을 구비하여, 상기 돌출부(215) 상에 상기 레그(160)가 안착된 다음 클램프(220)를 통해 서로 결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구조는 상기 거치판(130)에 의해 지지되는 두 개의 태양전지모듈(20)의 간극에 위치하되, C 형상을 90도 반시계 방향 으로 회전시킨 것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양 단부가 상방을 향해 절곡되어 있으며, 이 절곡된 단부가 두 개의 상기 태양전지모듈(20)의 마주보고 있는 단부를 맞물고, 중앙 부위에 체결공(170a)이 형성되어 있는 모듈 연결 클립(170);을 더 포함한다.
더불어, 본 고안에 따른 거치 구조에서의 상기 레그(160)는 상기 거치판(130)의 하부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고정수단(P)에 의해 상기 거치판(130)과 고정되는 거치판 레그(140)와, V자 형상으로 지그재그 그룹을 이루면서 상기 거치판(130)의 정면에서부터 후면에 이르기까지 길이가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거치판 레그(140)를 일정 기울기를 가지게 한 다음 지면 레그(150)와 연결하는 하부직립 레그(145);와, 상기 하부직립 레그(145)의 하단에서 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는 지면 레그(1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콘크리트 암(200)은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1쌍의 삽입공(230)을 가지고, 상기 삽입공(230)을 통해 앵커(240)를 지면에 고정한 다음 몰탈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판(130)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100)는 크게 태양전지모듈(20)을 안착하여 지지하는 거치판(130)과, 지면과 거치판(130)을 연결하는 레그(16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거치대(100)의 레그(160)와 지면을 고정시키는 콘크리트 암(200)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이 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100)의 거치판(130)에 대해서 도시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거치판(130)의 구조를 살펴보면 거치판(130)은 가로 및 세로 바(110,120)가 복수 개로 교차하여 구성됨으로 형성되는 공간상에 태양전지모듈(20)을 안착하는 것으로서, 가로 바(110)와 세로 바(120)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양자가 각각 만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십자형으로 교차되어 있고, 전체적인 거치판(130)의 형상은 바로 이러한 가로 바(110) 및 세로 바(120)의 교차 결합에 의하여 형성이 되며 별도의 최외각 프레임을 가지고 있지 않아 완전한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기보다는 가로 및 세로 바(110,120)의 외측 종단이 각각 바깥쪽으로 약간씩 돌출되어 있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가로 바(110) 및 세로 바(120)는 상면 상에 태양전지모듈(20)과의 결합을 위해 공지의 패스너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가로 바(110)(도면에서는 가로 바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로 바여도 무방함)의 하면에는 각각의 세로 바(120)와 교차되는 부위마다 역 U 자 형상을 가진 고정 클립(115)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고정 클립(115)은 공지의 패스너에 의하여 가로 바(110)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클립(115)의 역 U자 형상 으로 인하여 클립 내에 일정 공간이 발생하는데, 이 공간에 세로 바(120)가 슬라이딩 삽입 결합하게 되어 결론적으로 가로 바(110)와 세로 바(120)가 교차하여 결합할 수가 있고, 가로 바(110)의 길이만 적정선에서 확보된다면 추가적인 세로 바(120)를 연결할 수 있어 이로 인해 복수 개의 태양전지모듈(20) 장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다만, 세로 바(120)가 가로 바(110) 아래에 놓여지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세로 바(120)는 가로 바(110)보다 두께가 얇게 구성되어 세로 바(120)의 중량으로 인한 하중 발생의 감소를 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전지모듈(20)은 이러한 거치판(130)의 가로 바(110)와 세로 바(120)로 인하여 발생되는 상면, 즉 가로 바(110)에 세로 바(120)가 결합된 하면의 반대 면인 가로 바(110)의 평탄면에 안착되어 공지된 다양한 패스너로 가로 바(110)의 상면과 고정이 된다.
그런데, 2개 이상의 태양전지모듈(20)이 거치판(130) 상에서 서로 연결이 되면 모듈(20) 간의 고정이 제대로 되지 않아 태양전지모듈(20)이 상하좌우로 유동될 수 있는 위험이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거치판(130) 상에 안착된 모듈(20) 사이의 일정 틈, 즉 간극에 모듈연결클립(170)을 구비시키고 이러한 모듈연결클립(170)에 의하여 각 태양전지모듈(20)끼리 연결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듈연결클립(170)의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20)과 거치판(13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 1의 A 부분 확대도 이다.
도 2,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태양전지모듈(20)의 후면 외각 프레임이 일반적으로 'ㄷ' 자와 같이 절곡 성형되어 일정한 틈에 별도의 고정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구성되어 있는 점에 착안하여, 도 2의 (a),(b)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모듈연결클립(170)은 중앙에 체결공(170a)을 가지고 측 부위에 다단의 절곡부를 가져 이를 절곡하였을 때 전체적인 정면 형상이 'C' 자를 9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지되 양 단부가 약간 상방을 향해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모듈연결클립(170)은 거치판(130) 상에 위치한 각 모듈(20)의 외각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 사이 공간(간극)에 끼워져 각 모듈(20)의 단부에 모듈연결클립(170)의 절곡된 단부가 맞물리는 방식으로 체결이 된 다음 모듈연결클립(170) 및 가로 바(110) 또는 세로 바(12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의 위치를 조절하여 일치시킨 후에 볼트 너트 조합에 의한 결합으로 서로 체결할 수가 있어 두 개 이상의 모듈(20)이 거치될 때 모듈(20) 간의 간극으로 인하여 장시간 사용 시 모듈(20)이 거치판(130) 상에서 불필요하게 유동되거나 간극 사이즈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러한 모듈연결클립(170)이 모듈(20) 간극에 결합되었을 때, 이 상부에는 추가적으로 캡(180)이 더 체결될 수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캡(180)은 모듈(20) 간의 간극에 상응하는 폭과 가로 바(110) 또는 세로 바(120)의 직경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고 있되, 그 전체적인 형상이 마치 모자를 거꾸로 한 것과 같은 형상, 즉 역 오메가(Ω),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 방향의 하단부가 횡 방향으로 연장된 ∩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횡 방향으로 연장된 좌우 단부가 태양전지모듈(20) 상면을 덮도록 구성되어 결국 태양전지모듈(20)을 하방으로 눌러 태양전지모듈(20)이 외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 기능을 가지고 있고, 그 중앙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모듈연결클립(170)이 각 모듈(20) 사이에 체결 된 다음, 모듈 연결 클립(170)이 체결된 모듈(20) 간의 간극 상부에 위치하고 캡(180), 모듈 연결 클립(170), 가로 내지 세로 바(110,120)의 체결공을 일치시킨 다음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이로써 모듈 연결 클립(170)과 가로 바(110) 내지 세로 바(120), 태양전지 모듈(20)을 압박하여 장시간 사용 시 모듈 연결 클립(170)이 상부로 들뜨거나 결합이 느슨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거치 구조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암(200)의 구조를 도시한 도 4의 B 부분 확대 정단면도 및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거치판(130)의 하부, 구체적으로는 가로 바(110) 하면에 결합된 세로 바(120)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레그(160)가 구비되어 이로 인해 지면에 지지가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레그(160)는 세로 바(120)의 하부 면에서 후술할 콘크리트 암(200)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형태를 가지며 거치판(130)의 크기를 적절히 지지할 수 있도록 거치판(130) 길이 중 일정 간격만큼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레그(160)는 구체적으로 거치판 레그(140), 하부직립 레그(145)와 지면 레그(150)로 이루어져 있다.
거치판 레그(140)는 거치판(130)의 하부에서 거치판(130)을 지지하는 요소이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판(130)의 하방에서 거치판(130)과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그 간격 사이에 고정수단(P)을 위치시켜 이 고정수단(P)에 의하여 거치판(130)과 결합 고정이 되며, 하부직립 레그(145)는 거치판 레그(140)와 지면 레그(150)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마치 V 자와 같이 일정 경사를 가지고 2개의 하부직립 레그(145)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지그재그형식으로 배치가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V자로 이루어진 하부직립 레그(145)의 1개 그룹이 거치판(130)의 정면에서부터 후면에 이르기 까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거치판(130)의 정면이 앞쪽 하방으로 쏠리도록, 즉 거치판(130)이 평행한 구조를 가지지 않고 일정 기울기로 기울어져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이는 거치판(130)이 보다 적절하게 태양광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물론 가로 바(110) 내지 세로 바(120)를 추가하여 상하좌우로 거치판(130)의 길이 및 폭이 확장/축소됨에 따라 이에 상응하여 적절한 개수의 하부직립 레그(145)가 추가적으로 거치판(130)에 결합/이탈될 수가 있다.
즉, 일정 기울기로 이루어진 거치판(130)에 보다 길이가 긴 세로 바(120)를 사용하여 거치판(130)의 후면 부위에 가로 바(110)를 추가적으로 결합하면 그만큼 거치판(130)의 상하 길이가 연장되고 이에 따라 연장된 부위의 거치판(130) 하부에 기존 기울기에 상응하도록 적절한 길이를 가진 추가적인 하부직립 레그(145)를 결합할 수 있으므로, 거치판(130)의 기울기 조절 및 거치판(130)의 크기 조절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게 된다.
지면 레그(150)는 하부직립 레그(145)의 단부에서 일정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는 부위로서, 지면에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암(200)과 결합을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암(200)은 하부직립 레그(145)가 지면과 닿게 되는 부위에 상응한 개수로 형성된 고정 수단으로서, 거치판(130)의 크기에 알맞게 지지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2*4, 5*2와 같은 가로 세로 행렬 구조로 지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암(200)은 콘크리트 양생 과정을 통해 지면에 매립된 육면체 구조를 취하고 있고, 이러한 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암(200)의 상부 면에는 내측으로 함입되어 있는 홈을 가지는데 이 홈을 반원홈(210)이라 명명하며, 이 반원홈(210)의 구체적인 형상은 콘크리트 암(200)의 상부 면에서 지면 레그(150)의 진행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마치 반원 형상으로 함입되어 있다. 이러한 반원홈(210)상으로 지면 레그(150)가 안착이 되며, 안착된 지면 레그(150) 상단에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지면 레그(150)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상방으로 반원형상을 그리며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는 클램프(220)가 콘크리트 암과 고정 수단에 의하여 결합이 되어 결론적으로 지면 레그(150)를 콘크리트 암(200)에 고정하게 된다.
즉, 거치대(100)의 레그(160)를 지면에 매립하지 않고 지면에 별도의 고정수단인 콘크리트 암(200)을 설치하고 이 후 이와 레그(160), 구체적으로는 지면 레그(150)를 클램프(220)로 인하여 연결하는 방식을 본 고안이 취함으로써, 거치대 (200)의 설치에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고 더불어 안정적인 지면 고정 구조를 얻을 수가 있게 된다.
도 4의 B 부위의 확대단면도인 도 5(b)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콘크리트 암(200)은 상면에서 내부를 지나 하면으로 수직 관통되어 있는 삽입공(230)이 일정 간격을 가지고 좌우 1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앵커(240)를 지면과 고정하고 그 다음 삽입공(230)에 몰탈 내지 콘크리트를 충전하고 양생하여 지면과의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가 있다.
특히, 이러한 콘크리트 암(200)은 일반 지면뿐 아니라 지붕에도 장착이 가능한데, 만일 지붕에 장착을 할 경우에는 콘크리트 암(200)을 기성 제품화하여 미리 제조를 하고 지붕면에 앵커에 의하여 연결한 뒤에 크랙 보수용 몰탈로 앵커와 접촉 부위를 접합하여 고정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암(200)의 구조로 인하여 기존 거치대의 레그를 직접적으로 지면에 매립하는 방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누수 문제 내지 설치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 구조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 구조에 따르면,
1) 콘크리트 암의 구조에 의하여 지면이나 지붕 등에 편리하게 거치대를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불필요한 크랙이 발생하여 그 사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할 수가 있고,
2) 거치판을 상하 폭과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로 바와 세로 바의 조합으로 이룸으로 다양한 규격을 가진 태양전지모듈과의 호환성을 상승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3) 거치판 내지 레그의 지면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고 이에 비해 구조가 안정적이라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태양전지모듈 거치 구조로서,
    태양전지모듈(20)을 지지하는 거치대(100)와, 상기 거치대(100)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콘크리트 암(200)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거치대(100)는,
    일정 길이로 이루어진 가로 바(110)와 세로 바(120)가 교차 결합하여 태양전지모듈(20)이 상면에 안착될 수 있는 판상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가로 바(110)의 하면에는 역 U 형상의 연결클립(115)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클립(115)의 공간에 상기 세로 바(120)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이 되는 거치판(130);과,
    상기 거치판(130)과 콘크리트 암(200)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거치판(130)이 일정 각으로 기울어진 구조를 가지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레그(160);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암(200)은 콘크리트 양생을 통하여 일정 배열로 지면에 설치되어 있되, 상면에 상기 레그(160)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반원 형상으로 내측 함입되어 있는 반원홈(210)을 구비하여,
    상기 반원홈(215) 상에 상기 레그(160)가 안착된 다음 클램프(220)를 통해 서로 고정 결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거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판(130)에 의해 지지되는 두 개의 태양전지모듈(20)의 간극에 위치하되, C 형상을 9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것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양 단부가 상방을 향해 절곡되어 있으며, 이 절곡된 단부가 두 개의 상기 태양전지모듈(20)의 마주보고 있는 단부를 맞물고, 중앙 부위에 체결공(170a)이 형성되어 있는 모듈 연결 클립(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거치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중앙부에 체결공을 구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두 개의 태양전지모듈(20) 간극에 체결된 상기 모듈 연결 클립(170) 상단 상에 놓여지되, 전체 형상이 양 방향의 하단부가 횡 방향으로 연장된 ∩ 형상같이 이루어져 횡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양 단부가 상기 태양전지모듈(20)상부에 위치하여 태양전지모듈(20)을 하방으로 누르는 캡(1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거치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160)는,
    상기 거치판(130)의 하부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고정수단(P)에 의해 상기 거치판(130)과 고정되는 거치판 레그(140)와, V자 형상으로 지그재그 그룹을 이루면서 상기 거치판(130)의 정면에서부터 후면에 이르기까지 길이가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거치판 레그(140)를 일정 기울기를 가지게 한 다음 지면 레그(150)와 연결 하는 하부직립 레그(145);와, 상기 하부직립 레그(145)의 하단에서 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는 지면 레그(1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거치구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암(200)은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1쌍의 삽입공(230)을 가지고, 상기 삽입공(230)을 통해 앵커(240)를 지면에 고정한 다음 상기 삽입공(230)에 몰탈을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거치구조.
KR2020050030644U 2005-10-28 2005-10-28 태양전지모듈 거치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412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644U KR200412968Y1 (ko) 2005-10-28 2005-10-28 태양전지모듈 거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644U KR200412968Y1 (ko) 2005-10-28 2005-10-28 태양전지모듈 거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968Y1 true KR200412968Y1 (ko) 2006-04-05

Family

ID=4176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644U Expired - Fee Related KR200412968Y1 (ko) 2005-10-28 2005-10-28 태양전지모듈 거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968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073B1 (ko) * 2008-03-05 2008-11-24 (주)세화에너지산업 태양광 모듈의 설치구조
KR100878224B1 (ko) 2008-05-14 2009-01-13 이현주 태양전지모듈 거치대
KR100928435B1 (ko) * 2008-07-04 2009-11-25 강남수 태양광 모듈 고정형 거치대
KR100997869B1 (ko) 2008-09-18 2010-12-01 채준석 태양전지 모듈판 각도조절장치
KR101374201B1 (ko) * 2011-11-07 2014-03-14 주식회사 에너솔라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고정 클립
KR101431700B1 (ko) * 2013-11-26 2014-08-2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태양전지 모듈 시스템
KR101457150B1 (ko) * 2013-03-25 2014-11-03 주식회사대영금속 태양광 모듈 프레임의 고정 구조
KR20180057243A (ko) 2016-11-22 2018-05-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태양광 패널 지지구조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량 예측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073B1 (ko) * 2008-03-05 2008-11-24 (주)세화에너지산업 태양광 모듈의 설치구조
KR100878224B1 (ko) 2008-05-14 2009-01-13 이현주 태양전지모듈 거치대
KR100928435B1 (ko) * 2008-07-04 2009-11-25 강남수 태양광 모듈 고정형 거치대
KR100997869B1 (ko) 2008-09-18 2010-12-01 채준석 태양전지 모듈판 각도조절장치
KR101374201B1 (ko) * 2011-11-07 2014-03-14 주식회사 에너솔라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고정 클립
KR101457150B1 (ko) * 2013-03-25 2014-11-03 주식회사대영금속 태양광 모듈 프레임의 고정 구조
KR101431700B1 (ko) * 2013-11-26 2014-08-2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태양전지 모듈 시스템
KR20180057243A (ko) 2016-11-22 2018-05-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태양광 패널 지지구조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량 예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7487B2 (ja) パネル支持具
US8813440B2 (en) Solar canopy connector system
CN101877363B (zh) 太阳电池组件边框、太阳电池组件及其安装系统
US20150075589A1 (en) Low-Slope Mounted Photovoltaic Array
KR200412968Y1 (ko) 태양전지모듈 거치 구조
US20150171786A1 (en) Solar panel supports
KR20210117913A (ko) 양면 태양광 모듈용 지지 구조물
KR20160013331A (ko)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KR100905069B1 (ko) 태양광 모듈 거치대의 기초파일
KR101626593B1 (ko) 태양전지 구조물 설치공법
KR101754135B1 (ko) 베이스레일을 이용한 샌드위치 판넬 지붕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 고정 장치
KR101619949B1 (ko) 태양전지 구조물
CN115051630A (zh) 一种装配式太阳能光伏发电支架及施工方法
KR101215625B1 (ko) 태양광 모듈 지지장치
KR101405534B1 (ko) 태양전지 모듈 지지 구조물
FR2934623A1 (fr) Assemblage d&#39;un dispositif de garde-corps et d&#39;un panneau solaire photovoltaique
JP2016149936A (ja) 太陽光パネルの支持構造体
JP5943322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およ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1868579B1 (ko) 태양광 집광장치 지주 받침구
KR100928435B1 (ko) 태양광 모듈 고정형 거치대
KR20190133933A (ko) 태양광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
CN212231374U (zh) 一种太阳能光伏支架
KR101498551B1 (ko) 조립식 지붕에 태양전지 모듈 설치를 위한 마운팅 구조체
JP5739955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支持架台
CN217789594U (zh) 一种光伏发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10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3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1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7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10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