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637Y1 - Folding Umbrella Stand - Google Patents
Folding Umbrella Sta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2637Y1 KR200412637Y1 KR2020060001207U KR20060001207U KR200412637Y1 KR 200412637 Y1 KR200412637 Y1 KR 200412637Y1 KR 2020060001207 U KR2020060001207 U KR 2020060001207U KR 20060001207 U KR20060001207 U KR 20060001207U KR 200412637 Y1 KR200412637 Y1 KR 20041263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mbrella
- plate
- support
- stand
- pedestal
- Prior art date
Links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402754 Erythranthe mosch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을 꽂는 우산꽂이통을 접어서 보관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sm for folding an umbrella holder to hold an umbrella
종래의 단순한 우산보관통 대신 삽입구가 나 있고 일련번호가 있는 우산꽂이통을 비치하여 우산을 삽입 보관할 수 있게 하고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우산꽂이통을 접어서 편리하게 보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stead of the conventional simple umbrella storage, there is an insertion port and has an umbrella stand with a serial number so that the umbrella can be inserted and stored, and when not in use, the object is to fold the umbrella stand for convenient storage.
본 기기는 물받이통(1)과 우산꽂이판(2) 및 받침대(9)와 그 부속물로 구성 되었는 바 받침대고정연결판(10)으로 2개씩 연결된 4개의 받침대(9)가 물받이통(1)의 양면 가장자리로 난 4개의 지주(12)에 안으로만 구부러지도록 회전되게 부착되어 있으며 우산삽입구가 나 있는 우산꽂이판(2)이 받침대(9)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되 위에서는 고정쇠(16)를 돌려 잠그면 고정되고 고정쇠(16)를 돌려 밑으로 내리면 물받이통(1)속으로 들어가며, 혼합우산꽂이통에서 접는우산삽입구(5)가 나 있는 밑면으로 우산받침판(19)이 양측으로 난 지지대에 의거 부착되어 있되 우산받침판(19)이 물받이통(1)에 닿으면 2개의 지지대는 안으로 오므라 들어 접는우산삽입관(7)사이로 들어가 우산꽂이통이 접어지는 기구인바The instrument consists of a water tank (1), an umbrella stand plate (2), a stand (9) and its accessories. Four stand (9) connected two by two with a stand fixing connecting plate (10). Umbrella stand plate (2) attached to the four pillars (12) of the two sides of the edge to bend only inward and with an umbrella insert opening is connected to the pedestal (9) to move up and down, but the clamps (16) from above. Turn the lock to lock it, and then turn the clamp 16 to the bottom to enter into the sump container (1), and the umbrella support plate (19) is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umbrella stand. When the umbrella support plate (19) touches the drip tray (1), the two support stands inward to enter between the folding umbrella insertion pipe (7).
우산이 미려하게 세워져 삽입되고 자기우산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으며 우산꽂이통이 접어져 간편히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umbrella is built up beautifully and can easily find the magnetic umbrella, and the umbrella stand can be folded for easy storage.
물받이통, 우산꽂이판, 받침대, 우산삽입구, 받침대연결판, 지주, 고정쇠, 우산받침판, 지지대 Drip tray, Umbrella stand, Base, Umbrella inlet, Base connecting plate, Strut, Fixture, Umbrella stand, Support stand
Description
도 1은 긴우산꽂이통의 전체를 조립한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the entire assembly of the long umbrella rack
도 2는 혼합우산꽂이통의 전체를 조립한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entire assembled umbrella rack
도 3의 (가)는 혼합우산꽂이통의 우산꽂이판 모형도Figure 3 (a) is a model of the umbrella stand of the mixed umbrella rack
도 3의 (나)는 우산삽입관3 (b) is the umbrella insertion pipe
도 4는 받침대와 받침대고정연결판 및 지주의 상세도Figure 4 is a detailed view of the pedestal and pedestal fixed connecting plate and strut
도 5는 고정쇠가 고정쇠 삽입관내에 삽입된 모형5 is a model in which the clamp is inserted into the clamp insert tube
도 6의 (가)는 고정쇠Fig. 6A is a clamp
도 6의 (나)는 고정쇠삽입관6 (b) is a clamping tube insertion tube
도 7의 (가)는 왼편 회전부착점의 상세도7A is a detailed view of the left rotation attachment point
도 7의 (나)는 오른편 회전부착점의 상세도Figure 7 (b) is a detailed view of the right rotation attachment point
도 8의 (가)는 받침대와 받침대회전연결판8 (a) is a pedestal and pedestal rotation connecting plate
도 8의 (나)는 지주와 지주연결판8 (b) is a strut and strut connection plate
도 8의 (다)는 연결핀8 (c) is a connecting pin
도 9의 (가)는 받침대가 오른편으로 숙여졌을 때(A) of Figure 9 when the pedestal is leaned to the right
도 9의 (나)는 받침대가 왼편으로 숙여졌을 때9 (b) is when the pedestal is bowed to the left side
도 10은 우산꽂이판이 물받이통 안으로 들어갔을 때10 is when the umbrella stand plate enters the drip tray
도 11은 도10에서 양편 받침대를 숙였을 때11 is when the two sides pedestal in Figure 10
도 12는 우산받침판과 지지대의 모형12 is a model of the umbrella support plate and the support
도 13의 (가)는 왼편에 위치한 지지대의 상세도Figure 13 (a) is a detailed view of the support located on the left side
도 13의 (나)는 오른편에 위치한 지지대의 상세도Figure 13 (b) is a detailed view of the support located on the right side
도 14의 (가)는 왼편에 위치한 지지대가 반절 접어졌을 때Figure 14 (a) is when the support on the left side is folded half
도 14의 (나)는 오른편에 위치한 지지대가 반절 접어졌을 때Figure 14 (b) is when the support on the right side is folded half
도 15는 혼합우산꽂이통의 우산꽂이판이 반절 내려 왔을 때Figure 15 when the umbrella stand plate of the mixed umbrella rack half down
도 16은 도15에서 전부 내려갔을 때 지지대와 우산삽입관의 투시도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and the umbrella insertion tube when all are lowered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 물받이통 2 : 우산꽂이판 3 : 손잡이 4 : 긴우산삽입구 5 : 접는우산삽입구 6 : 긴우산삽입관 7 : 접는우산삽입관 8 : 일련번호 9 : 받침대 10 : 받침대 고정연결판 11 : 받침대회전연결판 12 : 지주 13 : 지주연결판 14 : 연결핀 15 : 회전부착점 16 : 고정쇠 17 : 고정쇠삽입관 18 : 받침대연결구 19 : 우산받침판 20 : 꽂이판지지대 21 : 받침판지지대 22 : 회전연결점 23 : 지지대부착점 24 : 고리 25 : 걸림침 26: 누수구Reference Signs List 1
본 고안은 비 오는 날 우산을 받은 후 공공건물이나 다중이 이용하는 각종 업소 등에 출입 시 우산으로부터 빗물이 흘러내려 건물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우산삽입구가 나 있고 그 앞에 일련번호가 기재된 우산꽂이통에 우산을 개기만 하여 그대로 꽂아서 보관하여 두고 우산꽂이통을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접어서 축소시켜 보관함으로서 보관의 편의를 기 할 수 있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This design is designed to prevent rainwater from flowing down from the umbrella when entering and exiting public buildings or other businesses used by the public after receiving the umbrella on a rainy day, and an umbrella stand is provided with a serial number in front of it. It only relates to a mechanism that can be stored simply by opening an umbrella in a bucket and storing it as it is.
종래에도 공공건물이나 접객업소등에서 우산을 담아두는 통을 두고 있지만 이것은 우산을 삽입하여 세워두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우산을 담아두기만 하는 통으로 젖은 우산을 갠 후 손으로 말아서 고리를 채워야하는 관계상 불편하고 우산이 많이 들어갔을 경우 뒤섞여져서 건물 밖으로 나올 때 자기우산을 찾기가 어려우며 통이 커서 보관이 불편하다.Conventionally, in public buildings and hospitality establishments, there are buckets for storing umbrellas, but this is not an umbrella inserted upright, it is simply a container for storing umbrellas. It is difficult to find a self umbrella when it comes out of the building when it is mixed up when it is crowded.
또한 갠 우산에 비닐로 포장을 씌워 휴대하고 들어가는 우산포장기도 있지만 너무 고가이고 크고 무거워서 대형 병원이나 대형 마트 등에서만 사용하고 중소규모의 업소에서는 사용치 않아서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umbrella package that can be carried with a plastic wrap on the umbrella. However, it is too expensive and large and heavy, so it is only used in large hospitals and large marts and not used i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우산삽입구가 나 있고 그 앞에 일련번호가 기재된 우산꽂이통을 영업소의 규모에 맞는 형으로 비치하고, 우산을 받은 후 개어서 말지 않고 그대로 우산삽입구에 삽입만 하면 우산천이 조여져서 미려하게 세워지며 우산을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우산꽂이통을 접어서 축소시켜 보관할 수 있게 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 보급하여 전 영업소에서 사용케 하고자 하는데 있다.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n umbrella holder with an umbrella insertion slot in front of it, and to hold the umbrella holder with the serial number in front of the office, and to receive the umbrella and not open it. If the umbrella is not used, the umbrella holder can be folded down to be stored and stored at a low price.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기구는 우산을 받은 후 공공의 건물이나 일반대중이 이용하는 영업소 등에 출입시 우산을 출입구에서 꽂아두고 출입할 수 있는 우산꽂이통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물받이통, 우산꽂이판, 받침대와 그 부속물로 되어 있다.This equipment relates to an umbrella holder that allows people to enter and leave an umbrella at a public building or public office after receiving an umbrella.The configuration consists of a drip tray, umbrella stand, pedestal and its accessories. It is.
우산은 긴우산과 접는우산이 있는바 우산꽂이통도 여기에 맞게 긴우산꽂이통, 접는우산꽂이통, 혼합우산꽂이통의 3종류로 나누어져 있다. 긴우산꽂이통은 긴 우산만 전용으로 삽입할 수 있는 꽂이통으로 보통 교회나 극장 등 다중이 일시에 건물 내로 들어가 용무를 보고 일시에 나오는 곳에서 사용하기에 편리한 제품이다.Umbrella has a long umbrella and a folding umbrella. The umbrella stand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 long umbrella stand, a folding umbrella stand and a mixed umbrella stand. The long umbrella holder is a shelf that can be inserted only for long umbrellas, and it is convenient to use in places where people can see the business at the same time.
다음에 접는우산꽂이통은 접는우산만 전용으로 삽입 사용할 수 있는 꽂이통으로서 역시 위와 같은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바 보통 중소규모의 교회 등은 출입인원이 200명 정도 되는 곳에서 우산삽입구가 100개로 된 긴우산꽂이통과 접는우산꽂이통을 함께 비치함으로서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The next folding umbrella holder is a holder that can be used for only folding umbrellas. It can also be used in the above cases. In the case of small and medium-sized churches, there are 100 umbrella inserts in about 200 people. Long umbrella rack and folding umbrella rack together can be used properly.
그리고 혼합우산꽂이통은 우산꽂이판이 긴우산삽입구와 접는우산삽입구로 나누어져 긴우산과 접는우산을 동시에 하나의 우산꽂이통에 삽입 사용할 수 있는 우산꽂이통인 바 금융기관이나 각종 영업소 등과 같이 계속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장소에서 사람들이 용무를 보기위하여 연속적으로 출입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보통 영업장에 머무는 인원이 10명 내지 40명 정도 됨으로 그 규모도 우산삽입구가 10개 내지 40개짜리로 만들되 긴우산삽입구와 접는우산삽입구를 반절로 나누면 되는 것이다.The mixed umbrella holder is divided into long umbrella inserts and folding umbrella inserts.The umbrella holder can be used to insert long umbrellas and folding umbrellas into one umbrella holder at the same time. It is a product that can be used when people enter and exit continuously in order to see business at the place where they perform. Usually, the number of people staying at the business place is about 10 to 40 people, and the size is 10 to 40 umbrella inserts, but the long umbrella insert and the folding umbrella insert can be divided in half.
다음에는 구체적인 기기의 내용을 보겠다. 도 1은 긴 우산만 전용으로 꽂는 긴 우산꽂이통의 전체를 조립한 평면도이다. 형태는 제일 밑면에 타원형으로 된 물 받이통(1)이 있고 양측으로 받침대(9)가 4개 나 있으며 위로는 타원형으로 된 우산꽂이판(2)이 있다.Next we'll look at the specifics of the device. 1 is a plan view of the entire assembly of the long umbrella holder barrel plugged into the long umbrella only. The shape is oval drip tray (1) at the bottom, four pedestals (9) on both sides, the upper is an umbrella stand plate (2).
물받이통(1)은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받아 고이게 하는 통이다. 그 양측 가장자리로는 받침대(9) 4개가 지주(12)와 연결되어 붙어 있고(상세 후술) 그 위로 우산을 꽂을 수 있는 우산꽂이판(2)이 나 있다.Drip tray (1) is a bucket to collect rain water falling from the umbrella. At both edges thereof, four
다음에 도 2는 긴 우산과 접는 우산을 동시에 삽입할 수 있는 혼합우산꽂이통의 전체를 조립한 평면도로서 역시 물받이통(1)에 4개의 받침대(9)가 세워져 있고 그 위로 우산꽂이판(2)이 붙어 있는바 이 혼합우산꽂이통의 우산꽂이판을 도 3에서 보겠다.Next, FIG. 2 is a plan view of an assembly of a mixed umbrella holder container into which a long umbrella and a folding umbrella can be inserted at the same time. Also, four
도3에서 보면 우산꽂이판(2)은 반절로 나누어져서 긴우산삽입구(4)와 접는우산삽입구(5)가 별도로 나 있다. 이곳은 우산을 접어서 삽입하는 구멍인데 우산을 말지 않고 접어서 바로 삽입하면 된다. 긴우산삽입구(4)에 비해 접는우산삽입구(5)가 약간 넓은바 그것은 접는 우산이 접었을 때 통이 조금 크기 때문이다.In FIG. 3, the
또한 우산꽂이판(2) 밑면으로는 도3 (나)의 모양과 같은 원통형의 둥근관이 우산삽입구(4, 5)밑면으로 붙어서 우산꽂이판(2) 아래로 솟아나 있는바 그 형태는 도 16에서와 같이 되어 있다. 이 우산삽입관은 긴우산삽입구(4) 밑으로는 긴우산삽입관(6)이 붙어 있고 접는우산삽입구(5) 밑에는 접는우산삽입관(7)이 붙어 있어서 우산삽입구와 우산삽입관은 일체를 이루어 그 곳으로 우산이 용이하게 삽입되는데 이렇게 우산삽입관이 붙어 있음으로서 우산 삽입 시에 우산이 반듯하게 삽입된다.In addition, a cylindrical round tube like the shape of Fig. 3 (B)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umbrella stand plate (2) and rises below the umbrella stand plate (2) at the bottom of the umbrella stand plate (2). As in The umbrella insertion tube has a long umbrella insertion tube (6) under the long umbrella insertion opening (4) and a folding umbrella insertion tube (7) under the folding umbrella insertion opening (5). The umbrella is easily inserted into the place where the umbrella insertion tube is attached so that the umbrella is inserted straight when the umbrella is inserted.
즉 우산을 접어서 꼭지를 밑으로 하여 우산삽입구를 통해 밀어 넣으면 우산 은 반듯하게 내려가 우산꼭지는 물받이통 밑면에 닿고 우산은 곧 바로 세워진다. 여기서 긴우산은 전부가 삽입되는 것이 아니고 우산천 윗 부분의 일부는 삽입구 위로 올라와 있으며 우산천 위의 목 부분에서 긴우산삽입관(6)에 의해 조여져서 우산은 접어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우산꽂이통에 꽂힌다.In other words, if you fold the umbrella under the tap and push it through the umbrella insertion slot, the umbrella goes straight down, and the umbrella tap touches the bottom of the trough and the umbrella is set up immediately. Here, the long umbrella is not inserted all the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mbrella cloth is raised above the insertion hole, and the umbrella is folded in the folded state by the long umbrella insert pipe (6) at the neck of the umbrella cloth, so that the umbrella stand can be stably folded. Plugged in.
다음에 우산을 삽입 후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은 물받이통(1) 속으로 들어가 괴고 우산을 삽입할 때 우산꽂이판(2) 위로 흘러내린 빗물은 우산꽂이판(2)이 물받이통(1) 보다 둘레가 약간 작음으로 우산꽂이판 갓면으로 흘러 내려 물받이통 속으로 들어가고 또 우산이 아직 삽입되지 않은 우산삽입구를 통해서도 흘러내린다. 도3에서 우산삽입구 앞에는 일련번호(8)가 기재되어 있어 많은 우산이 꽂혀 있을 경우에도 꽂을 때 미리 자기 번호만 알아두면 번호에 의해서 용이하게 자기 우산을 찾을 수 있다.Next, the rain water falling from the umbrella after inserting the umbrella enters into the drip tray (1), and when the umbrella is inserted, the rain dripping down the umbrella stand plate (2) is more perimeter than the drip tray (1). Is slightly smaller and flows down the umbrella stand to the drip tray and through the umbrella slot where the umbrella is not yet inserted. In FIG. 3, the
다시 도 1로 가서 긴우산꽂이통의 구체사항을 보면 이 우산꽂이통은 긴우산삽입구(4)만 나와 있어 긴 우산만 전용으로 삽입할 수 있는 꽂이통인바 이는 전에 말한바와 같이 교회나 극장 등 다수인이 일시에 들어갔다가 일시에 나오는 건물에서 다수인이 한꺼번에 사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삽입구가 많이 나와 있다.If you go back to Figure 1 and look at the specifics of the long umbrella holder, this umbrella holder has only a long umbrella insert (4), which is a shelf holder that can be inserted only for long umbrellas. There are many insertion slots that can be used by many people at the same time in buildings that go in and out.
이 제품은 우산삽입구가 작고 삽입구의 간격도 넓지 않아서 삽입구가 보통 100개가 나 있어도 우산꽂이통의 넓이가 크지 않아서 이런 곳에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이 긴우산 꽂이통을 사용할 경우에는 별도로 된 접는 우산꽂이통을 함께 사용한다.This product has a small umbrella insertion slot and not a wide gap between insertion slots, so even if there are usually 100 insertion slots, the width of the umbrella holder is not large, so it is convenient to use in these places. When using this long umbrella rack, use a separate folding umbrella rack.
이 접는우산꽂이통은 긴우산꽂이통과 구조가 같고 우산삽입구의 수도 긴우산 꽂이통과 같으나 다만 높이가 반절 크기이고 우산삽입구가 접는우산삽입구(5)로만 되어 있는 것이 다르기에 도면은 생략하였다.The folding umbrella rack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long umbrella rack and the number of umbrella insertion slots is the same as that of the long umbrella rack, but the height is half the size and the umbrella insert is different from the folding umbrella slot (5).
그러면 다시 도 1에서 긴우산꽂이통의 구조와 작동원리를 세밀히 보도록 하겠다. 밑으로는 빗물을 받는 물받이통(1)이 있고 위로는 우산을 꽂는 우산꽂이판(2)이 있는데 여기의 우산꽂이판은 긴우산삽입구(4)만 나 있어 긴 우산만 꽂을 수 있다.Then, in Figure 1, we will look closely at the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long umbrella holder. At the bottom, there is a trough (1) to receive rainwater, and an umbrella stand plate (2) at the top to hold an umbrella. The umbrella stand plate has only a long umbrella insertion slot (4), so only long umbrellas can be inserted.
이 우산꽂이판(2)은 물받이통(1) 가장자리로 세워진 4개의 받침대(9)에 의해서 받쳐져서 물받이통(1)과 떨어져서 고정되게 붙어 있다. 그런데 도 1에서, 물받이통(1)과 우산꽂이판(2)의 설명은 이미 되었음으로 여기서는 받침대(9)에 대해서 설명코자 한다.This umbrella stand plate (2) is supported by four pedestals (9) set up at the edge of the drip tray (1) and fixedly attached to the drip tray (1). By the way, in Fig. 1,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drip tray 1 and the
이 받침대(9)는 우산꽂이판(2)을 물받이통(1) 위에서 받쳐주어 고정 부착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받침대(9)는 좌우 2개씩 전부 4가닥으로 되어 있다. 왼편 2개는 물받이통(1) 왼편 가장자리로 간격을 두고 나 있고 오른편 2개는 오른편 가장자리로 간격을 두고 나 있다.The
그 상세내역을 도4에서 보겠다. 도 4는 받침대(9)를 확대 도시하여 구체화하였는바 이 받침대(9)는 원기둥형태의 둥근 관이며(보통 철파이프로 됨) 왼편에 2개 오른편에 2개가 있는데 이 각 2개의 받침대는 그 위로 받침대고정연결판(10)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 받침대고정연결판(10)은 평평한 직사각형의 형태로 왼편과 오른편에서 각각 2개의 받침대(9)를 연결해서 부착되어 있어 2개의 받침대를 고정시킨다.The details will be shown in FIG. 4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다시 도 1에 의거 이렇게 연결되어 고정된 좌우 각 2개의 받침대(9)는 물받이통(1)속으로 들어가서 그곳 가장자리에 나 있는 지주(12)와 연결 부착되어 세워지는바(구체사항 후술) 이때 각 4개의 받침대(9)는 도 3에서 우산꽂이판(2)에 나 있는 받침대삽입구(18)로 각각 삽입된다. 즉 도 3에서 보면 우산꽂이판(2) 양측 갓면으로 각각 2개씩 4개의 받침대삽입구(18)가 나 있는데 이 구멍속으로 4개의 받침대(9)가 삽입되어 있어 우산꽂이판(2)은 받침대(9)에 걸려서 일탈하지 않고 물받이통(2)의 위 아래로 올라갔다 내려갔다 할 수 있게 된다.Again, the left and right two
여기서 받침대삽입구(18)는 받침대 둘레에 딱 맞아서 우산꽂이판(2)이 흔들림 없이 위 아래로 이동할 수 있는바 우산꽂이판(2)이 밑으로 내려가 있을 때(도 10에서와 같은 모양), 손잡이(3)를 잡고 우산꽂이판을 위로 전부 올리면 우산꽂이판(2)은 도 1에서와 같이 받침대고정연결판(10)에 닿아서 더 이상 올라가지 않게 된다.Here, the
이때 우산꽂이판(2)에 붙어 있는 고정쇠(16)를 옆으로 돌려 받침대고정연결판(10) 위로 올려놓으면 우산꽂이판(2)은 밑면으로 내려가지 않고 받침대(9)위에서 고정된다.At this time, turn the
고정쇠의 상세내역을 도 5에서 보겠다. 도 5는 고정쇠(16)가 고정쇠삽입관(17)속에 들어가 있을 때인바 다시 이를 구분하여 도 6에서 보면 도 6의(가)는 고정쇠(16)로 이는 우산꽂이판(2)이 받침대고정연결판(10)에 걸리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세워진 조그만 원통형에 옆으로 직4면체의 판이 붙어 있고 밑면으로는 모지게 돌출부가 나 있다.The details of the clamp will be shown in FIG. 5. 5 is a
도 6의 (나)는 고정쇠삽입관(17)으로 속이 빈 원기둥형태의 관인바 이 속으로 고정쇠(16)가 들어가서 회전한다. 고정쇠가 고정쇠삽입관 속으로 들어 갔을 때는 도 5의 형태인바 이때 고정쇠(16) 밑면에 있는 모진 부분이 고정쇠삽입관(17) 밑면으로 나와서 걸리고 위로는 직 4면체의 부분이 고정쇠삽입관(17) 윗부분으로 걸려서 고정쇠는 고정쇠 삽입관(17) 안에서 빠지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Figure 6 (b) is a
여기서 고정쇠삽입관(17)은 우산꽂이판(2)에 부착되어 있는바 윗면 일부는 우산꽂이판 위로 올라와 있고 일부는 밑으로 내려가서 부착되어 있되(도 5에서 점선 윗부분이 위로 올라온 부분이고 밑 부분이 내려가 있는 부분임) 단단하게 부착되어 있어 고정쇠(16)가 우산꽂이판(2)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Here, the fixed
다시 도 1로 가보면 손잡이(3)를 잡고, 밑으로 내려와 있는 우산꽂이판(2)을 위로 올려서 도 1과 같이 왼쪽과 오른쪽 양편의 받침대고정연결판(10)이 우산꽂이판(2) 윗면에 걸려서 밀착되게 부착되어 있을 때 좌우 양편의 고정쇠(16)를 돌려 고정쇠의 직 4면체의 부분을 받침대고정연결판(10) 위로 올려놓으면 고정쇠(16)가 받침대고정연결판(10)에 걸려 우산꽂이판(2)은 밑으로 내려가지 않고 고정된다.Going back to Figure 1, grab the handle (3), and raise the umbrella stand plate (2) that is lowered upwards, as shown in Figure 1 on both sides of the pedestal fixed connecting plate (10) on the top of the umbrella stand plate (2) When it is attached tightly, turn the
이 고정쇠(16)는 우산꽂이판(2)에 붙어 있는 것으로 도 2에서 보면 고정쇠(16)가 돌리기전 즉 받침대고정연결판(10)에서 풀어진 상태로 이때는 우산꽂이판(2)을 위 아래로 올리고 내릴 수 있는 때이고 도 1은 고정쇠(16)를 돌려서 받침대고정연결판(10) 위로 올려놓아 우산꽂이판(2)이 받침대고정연결판(10)에 걸려 밑으로 내려가지 않는 상태이다.This
다음에 도 1에서 4개의 받침대(9) 밑면에 있는 회전 부착점(15)은 그리기 편 의상 본 도에서 회전부착점으로만 표시했으나 이곳은 받침대(9)가 물받이통(1)에 붙어 있는 지주(12)와 회전되게 부착되어 앞으로 숙여 질 수 있는 곳으로 그 원 상태는 도 4에서의 받침대(9) 밑면의 형태와 같다Next, in Fig. 1, the
이의 상세한 내역을 다시 도면을 확대하여 도 7에서 보겠다. 도 7의(가)(나)는 왼편과 오른편 회전부착점의 상세도인바 여기서 보면 받침대(9)가 물받이통(1)에 붙어 있는 지주(12)에 회전되게 부착되어 있다.Details of this will be shown in FIG. 7 by enlarging the drawings again. 7 (a) is a detailed view of the left and right rotating attachment points, where the
이를 도 8에 의거 분리 설명하면 도 8의 (가)는 받침대(9)를 지주(12)와 부착 연결지점인 밑면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이 받침대(9)의 밑면으로는 받침대회전연결판(11)이 그림처림 2가닥으로 나서 붙어 있고 그 가운데에 구멍이 나 있다.Referring to the separation based on FIG. 8, (a) of FIG. 8 shows an enlarged bottom of the
다음에 도 8의 (나)는 지주(12)인바 이것은 물받이통(1)의 양면 가장자리로 4개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 지주는 길이가 짧은 원기둥 형태이고 그 위로는 지주연결판(13)이 그림과 같이 반원 형태로 붙어 있으며 그 가운데에 구멍이 나 있다. 지주(12)에 붙어 있는 지주연결판(13)에 받침대회전연결판(11)을 삽입하고 구멍을 맞추어서 연결핀(14)으로 각 구멍에 삽입하면 지주(12)와 받침대(9)는 회전되게 부착하여 연결되고 도 7과 같은 형태가 된다.Next, Fig. 8B is a
도 7의 (가)는 물받이통(1)의 왼편 갓으로 놓여지는 2개의 회전부착점의 형태인바 여기서 받침대회전연결판(11)은 왼쪽면이 모져서 내려와 있음으로, 받침대(9)가 구부러지지 않고 반듯하게 위로 서 있을 경우에는, 이 모진 부분이 지주(12)의 윗면에 닿아서 걸림으로 왼편으로는 더 이상 넘어가지 않고 반듯하게 서 있게 되며 오른쪽으로만 구부러져서 숙여 질 수 있게 된다.7 (a) is in the form of two rotary attachment points that are placed on the left side of the drip tray (1) where the pedestal rotary connecting plate (11) is lowered to the left side, the pedestal (9) is bent If you stand up straight without support, this raised part tou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2), so that the left side is no longer crossed over to the left by the jam and bent only to the right can be leaned down.
다음에 도 7의 (나)는 오른편으로 나 있는 회전부착점(15)의 형태로 이 역시 받침대 회전연결판(11)의 오른쪽 면이 모지게 내려와 있음으로 받침대(9)가, 반듯하게 위로 섰을 경우, 이 모진 부분이 지주(12)위의 둥근 윗면에 닿아서 오른쪽으로 더 이상 넘어가지 않고 반듯하게 고정되며 왼쪽으로만 숙이면 구부러진다.7 (b) is in the form of a
이렇게 받침대(9)를 세웠을 경우에 받침대는 왼편과 오른편으로 넘어가지 않고 고정됨으로 우산꽂이판(2)이 위로 올라가 고정쇠(16)에 의거 고정되어, 도 1과 같이 되었을 경우에 양편 받침대(9)도 고정되어 이 받침대는 좌우로 넘어가지 않으며 이에 따라 우산꽂이판(2)도 안정적으로 받침대(9)위에서 고정 부착되어 있게 된다.When the stand (9) is set up in this way, the stand is fixed to the left and right without falling, so that the umbrella stand plate (2) is lifted up and fixed by the fasteners (16). The pedestal is also fixed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umbrella stand plate (2) is also stably attached on the pedestal (9).
또한 지주(12)와 받침대(9)의 원둘레는 똑 같고 받침대삽입구(18)는 받침대(9)의 원둘레에 딱 맞게 삽입되어 있음으로 우산꽂이판(2)은 받침대(9)와 지주(12)사이를 안정적으로 오르고 내리며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ircumferences of the
이상의 받침대(9)와 지주(12) 전체의 원래 모형은 도 4에서와 같다. 다시 도 1로 가서 긴우산꽂이통의 작동원리를 보겠다. 도 1에서 보면 물받이통(1)의 양면에 4개의 지주(12)가 붙어 있고 그 위로 받침대(9)가 회전부착점(15)에 의거 각각 회전되게 부착되어 있으며 받침대위로는 우산꽂이판(2)이 받침대고정연결판(10)에 닿아 고정쇠(16)에 의해 고정되게 부착되어 있다.The original model of the
여기에서 손잡이(3)를 잡고 받침대고정연결판(10) 위로 나 있는 좌우 양측 고정쇠(16)를 각각 돌려놓으면 고정쇠는 도 2의 형태와 같이 된다. 이때 손잡이(3)이를 밑으로 내리면 우산꽂이판(2)은 밑면으로 내려와 물받이통(1) 속으로 들어가 서 도 10의 형태와 같이 된다.Holding the handle (3) here and turn the left and right both
도 10에서 보면 우산꽂이판(2)이 내려와서 물받이통(1) 속으로 들어가 있고 양편 받침대(9)가 위로 솟아 올라와 있다. 여기서 우산꽂이판(2)은 회전점(15) 밑으로 내려가 있는바, 이에 전에 설명된 바에 의거 받침대(9)는 각각 좌우로 숙어질 수 있게 되어 있기에 왼편에 있는 받침대(9)를 오른편으로 수그리고 오른편에 있는 받침대(9)를 왼편으로 수그리면 도 11과 같이 된다.In FIG. 10, the
여기에서 회전부착점(15)은 오른쪽이 조금 올라와 있어서 오른쪽 받침대(9)가 왼쪽 받침대(9)위로 안정되게 놓여진다.Here, the
이렇게 하여 긴우산꽂이통은 완전히 접어져서 간편히 보관할 수 있는 형태로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long umbrella rack is fully folded and can be easily stored.
다음에는 도 2에 의거 혼합우산꽂이통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보겠다. 이 혼합우산꽂이통은 긴우산과 접는우산을 동시에 삽입 사용할 수 있는 우산꽂이통으로 전술한바와 같이 계속적으로 영업을 하는 장소에서 사람이 용무를 보기위하여 연속적으로 들어가고 나오고하는 곳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제품이다. 이에 따라 우산삽입구가 10개 내지 40개짜리로 다양하게 만들어서 영업소규모에 맞게 사용케 하되 여기서는 표준 한가지 종류만 가지고 설명하겠다. 그리고 여기서 먼저 말할 것은 본제품의 기본 사향은 이 혼합우산꽂이통이다. 그런데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하여 구조가 간편한 긴우산꽂이통을 먼저 설명하고 그에 덧붙여 이 혼합우산꽂이통의 추가사항만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mixed umbrella rack according to FIG. 2 will be described. This mixed umbrella holder is an umbrella holder that can be used to insert a long umbrella and a folding umbrella at the same time. As mentioned above, it is a product suitable for use in places where people continuously enter and exit to see business in the place of continuous business. . Accordingly, the umbrella insertion slots can be made into 10 to 40 pieces to be us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ales office. Here, only one type of standard will be described. And first of all, the basic musk of this product is this mixed umbrella holder. However, for the sake of simplicity, the simple structure of the long umbrella case is described first, and only the additions of the mixed umbrella case are described.
이 혼합우산꽂이통은 그 구조와 작동원리가 도 1의 긴우산꽂이통과 같으나 다만 우산꽂이판(2)에서 긴우산삽입구(4)와 접는우산삽입구(5)로 반절씩 나누어져 있어 긴 우산과 접는 우산을 하나의 꽂이통으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점과 접는우산삽입구(5)가 나있는 우산꽂이판(2) 밑 부분에 우산받침판(19)이 추가로 부착된 점만 다르다.The mixed umbrella rack has the same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as the long umbrella rack shown in Fig. 1, but is divided into half umbrella slots (4) and folding umbrella slots (5) from the umbrella stand board (2).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folding umbrella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as a single holder and that the
여기서 우산꽂이판(2)에 대해서는 기 설명하였기 여기서는 우산받침판(19)과 그 작동원리를 설명하겠다. 도 2에서 보면 우산받침판(19)은 우산꽂이판(2)과 물받이통(1)사이의 중간에서 양측으로 난 꽂이판지지대(20)와 받침판지지대(21)에 의해 연결되어 부착되어 있다.Here, the umbrella stand plate (2) has been described above. Here, the umbrella support plate (19) and its operation principle will be described. In FIG. 2, the
이 우산받침판(19)이 부착되는 이유는 접는 우산은 길이가 짧아서 우산을 삽입 시에 우산꼭지가 물받이통(1) 밑면까지 내려가지 못하기에 중간에 받침판을 만들어 접는 우산꼭지 부분이 이곳에 닿아서 접는 우산이 물받이통까지 내려가지 않고 안정적으로 삽입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도 우산을 개어서 삽입하면 우산천 윗부분의 일부는 우산삽입구 위로 나오며 접는우산삽입관(7)에 의해서 우산천의 위 목 부분이 조여져서 우산은 개어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우산꽂이통에 꽂혀진다.The reason why the
도12에 의거 우산받침판(19)의 상세 모형을 보겠다. 여기에서 보면 우산받침판(19)과 거기 양측 갓으로 2개의 꽂이판지지대(20)와 받침판지지대(21)가 솟아 올라와서 있다. 이 2개의 지지대는 우산받침판(19)을 물받이통(1)과 우산꽂이판(2)사이 중간에서 걸어서 걸려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Based on Fig. 12, a detailed model of the
우산받침판(19)은 반타원형의 형태로 도 2의 혼합우산꽂이통에서 접는우산삽입구(5)가 나 있는 반타원형의 우산꽂이판(2)의 부분과 형태가 같다. 그래서 접는 우산을 접는우산삽입구(5)에 삽입하면 우산 밑 부분이 모두 이 우산받침판(19)에 닿는다. 그리고 우산받침판(19)에는 누수구(26)가 나 있는데 이것은 작은 구멍으로, 접는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이 누수구를 통해서 밑으로 내려와 물받이통(1)에 고인다.
다음에는 지지대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이 지지대는 우산받침판(19)을 우산꽂이판(2)에 걸어서 물받이통(1)과 우산꽂이판(2)사이에서 떠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구성원리를 도 13에서 보겠다.Next, I will explain the support. This support serves to float between the drip tray (1) and the umbrella stand plate (2) by hanging the umbrella support plate (19) on the umbrella stand plate (2), as shown in Figure 13.
도 13의 (가)는 왼편에 위치한 지지대인바 위아래 2개로 나누어져 있는데 윗부분은 꽂이판지지대(20)이고 아랫부분은 받침대지지대(21)이다. 그런데 도 12에서 양측 지지대의 중간에 나 있는 회전연결점(22)은, 받침대(9)의 밑면에 나있는 회전부착점(15)의 원리와 같이, 도면의 설명 편의상 선으로만 그어 나타내었으나 그 실제의 원리를 도 13의 (가)에서 보면 다음과 같다.13 (a) is divided into two upper and lower bars, which are located on the left side, the upper part is a
먼저 위에 있는 꽂이판지지대(20)에는 그 밑면으로 둥글고 작은 걸림침(25)이 양편으로 뻗어나 있다. 또 밑에 있는 받침판지지대(21)에는 윗편 양쪽 갓으로 반원형의 고리(24)가 붙어 있는바 여기서 꽂이판지지대(20)에 붙어 있는 걸림침(25)이 고리(24)속으로 들어가 있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꽂이판지지대(20)는 받침판지지대(21)에 연결되어지고 2개의 지지대는 회전할 수 있게 된다.First, the
다시 도 13의 (가)에서 보면 꽂이판지지대(20)의 밑면의 일부와 받침판지지대(21)의 윗면의 일부가 겹쳐서 물려 있다. 그런데 꽂이판지지대(20)의 밑면의 일부가 받침판지지대(21)의 윗면의 일부보다 구부러지는 쪽 뒤편에 겹쳐서 연결되어 있음으로 꽂이판지지대(20)를 위에서 누르면 꽂이판지지대(20)의 밑면은 받침판지지대(21)의 겹쳐진 윗면을 오른쪽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꽂이판지지대(20)밑면과 받침판지지대(21)의 윗면은 서로 연결된 채 우측으로 기울어져 도 14의 (가)와 같은 형태로 된다. 즉 위 아래 2개의 지지대는 위에서 누를 경우 가운데가 오른쪽으로 구부러지면서 절반정도 눌렀을 경우에는 도 14의 (가)와 같이 되었다가 완전히 눌렀을 경우에는 2개의 지지대는 하나로 합쳐져서 붙게 된다.Again in FIG. 13A,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다음에 도 13의 (나)에 있는 지지대를 보면 이것은 오른편에 위치한 지지대로서 역시 같은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 역시 꽂이판지지대(20)의 밑면의 일부가 받침판지지대(21)의 윗면의 일부보다 구부러지는 쪽 뒤편에 겹쳐서 연결되어 있음으로 꽂이판지지대(20)를 위에서 누르면 이때는 꽂이판지지대(20)의 밑면이 받침판지지대(21)의 윗면을 왼편쪽으로 밀게 되어 2개 지지대의 중앙이 왼쪽으로 구부러지면서 도 14의 (나)와 같은 형태가 되었다가 하나로 겹쳐진다. 즉 도 13의(가)에서 왼편과 오른편에 위치한 지지대는 앞에서 보아 꽂이판지지대(20)가 받침판지지대(21)보다 겹쳐진 부분이 왼편과 오른편에 위치해 있어서 2개 지지대의 중앙을 각각 오른편과 왼편으로 밀게 되는 것이다.Next, when looking at the support in Fig. 13 (b), it is a support located on the right side, which is also configured in the same way, but this is also a part of the bottom of the
다음에 도 12에서 보면 우산받침판(19)의 양측 갓으로 나 있는 2개의 지지대는 위아래가 각각 지지대부착점(23)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양측의 꽂이판지지대(20)는 위에나 있는 지지대부착점(23)이 도 2에서와 같이 우산꽂이판(2)갓으로 밑면에 회전되게 부착되어 있고 양측의 받침판지지대(21)는 밑으로 나 있는 지지대부착점(23)이 도 2에서와 같이 우산받침판(19)의 갓면에 회전되게 부착되어 있음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양측 지지대가 안으로 오므라들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2, the two support bars, which are divided into the two side hats of the
그러면 이 지지대가 물받이통(1)에 닿았을 때 접어지는 원리를 보겠다. 도2의 혼합우산꽂이통에서 손잡이(3)를 잡고 도 1의 형태로 되어 있는 고정쇠(16)를 받침대고정연결판(10)에서 돌려놓아 잠금을 풀어서 도 2의 상태로 되게 한 후 손잡이(3)를 내리면 우산꽂이판(2)은 밑으로 내려오게 되는바 반절 내려 왔을 때에는 도 15와 같이 된다.Then, we will see the principle that the support is folded when it touches the drip tray (1). Holding the handle (3) in the mixed umbrella rack of Figure 2 by turning the fastener (16) in the form of Figure 1 from the pedestal fixed connecting
도 15는 혼합우산꽂이통의 우산꽂이판(2)이 반절 내려 왔을 때인바 이때 우산받침판(19)은 물받이통(1)의 밑면에 닿게 된다. 그리고 꽂이판지지대(20)와 받침판지지대(21)는 구부러져 있지 않고 평평하게 곧게 붙어 있다.Figure 15 is when the umbrella stand plate (2) of the mixed umbrella stand barrel is half down at this time, the
여기서 다시 손잡이(3)를 잡고 우산꽂이판(2)을 밑으로 내리면 우산꽂이판(2)은 물받이통(1)밑면에 닿으며 따라서 물받이통(1)안으로 들어가게 되는바 이때는 도 16의 형태와 같이 된다.If you hold the handle (3) again and lower the umbrella stand plate (2) down, the umbrella stand plate (2) touches the bottom of the drip tray (1) and thus enters the drip tray (1). Become together.
그러면 도 16에 의거 이때 지지대와 우산삽입관의 작용원리를 보겠다. 우산꽂이판(2)이 반절 내려왔을 때에, 우산받침판(19)은 물받이통(1)밑면에 먼저 닿는다(도 15참조). 다음에 우산꽂이판(2)을 계속 내리면 여기에 연결된 양측의 꽂이판지지대(20)와 받침판지지대(21)는 전에 말한 바에 의거 도 14에서와 같이 안으로 오므라들게 된다. 양측 지지대가 오므라들므로 우산꽂이판(2)은 계속 내려와서 도 16에서와 같이 물받이통(1) 속으로 들어가는데 물받이통 밑면 위로 먼저 우산받침판(19)이 놓여져 있기에, 그 위로 우산꽂이판(2)밑면으로 나 있는 우산삽입관이 놓여지게 된다. 여기서 접는우산삽입관(7)은 그 밑에 우산받침판(19)이 놓여 있음으 로 그 위에 놓여지지만, 긴우산삽입관(6)은 그 놓여지는 밑에 우산받침판(19)이 없음으로 바로 긴우산삽입관(6)이 물받이통(1)밑면에 닿게 된다. 여기서 긴우산삽입관(6)이 접는우산삽입관(7)보다 길이가 길기에 더 내려와서 물받이통 밑면에 알맞게 닿게 되고 삽입관위로 나 있는 우산꽂이판(2)은 물받이통(1)속에서 수평으로 놓여지게 된다.Then, based on FIG. 16, we will see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support and the umbrella insertion tube. When the
이상은 도 16에 나타났는바 여기서 지지대를 보면 꽂이판지지대(20)는 우산꽂이판(2)에 부착되어 있고 받침판지지대(21)는 우산받침판(19)에 부착되어 있으며 우산꽂이판(2)이 우산받침판(19)에서 떨어져 있음으로 이 위아래 2개의 지지대는 딱 붙지 않고 도 16에서와 같이 약간 벌려져서 오므라져 있다.As shown in FIG. 16, the
그런데 이 오므라든 지지대는 접는우산삽입관(7)사이로 닿지 않게 들어가 있다. 여기의 도 16은 우산삽입관과 양측 지지대가 우산꽂이판(2)밑으로 나 있고 우산꽂이판은 위로 올라와 있는 투시도인데 그림의 형태상 우산꽂이판(2)은 그림에서 명확히 안 나타나 있다. 이렇게 하여 이 혼합우산꽂이통은 안전하게 접어져서 크기가 축소되어 간편히 보관할 수 있으며 다시 사용코자할 경우에는 손잡이(3)를 잡고 우산꽂이판(2)을 위로 올려 받침대고정연결판(10)에 닿게 한 후 고정쇠(16)를 돌려서 받침대고정연결판(10)위로 올려 잠그면 우산꽂이판(2)은 내려오지 않고 고정되며, 이때 우산받침판(19)은 자체의 무게에 의해서 자연히 내려오고 따라서 꽂이판지지대(20)와 받침판지지대(21)도 벌려져서 우산받침판은 우산꽂이판(2)의 접는우산삽입구(5)밑에 놓여 걸리게 되어 긴우산과 접는우산을 동시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By the way, this retracted support does not reach between the folding umbrella insertion pipes (7). Here,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mbrella insertion tube and both sides of the support under the umbrella stand plate (2) and the umbrella stand plate is raised up, the umbrella stand plate (2) is not clearly shown in the figure. In this way, the mixed umbrella rack can be safely folded and reduced in size for easy storage. If you want to use it again, hold the handle (3) and lift the umbrella stand plate (2) up to touch the pedestal fixed connection plate (10). After turning the lock (16) to the top of the pedestal fixed connecting plate (10) to lock the umbrella stand plate (2) does not come down is fixed, at this time the
본 기기를 사용함으로서 나타나는 효과를 보면 비 오는 날 우산을 받은 후 공공건물이나 교회, 일반 영업소 등에 출입 시 그곳에 비치된 본 우산꽂이통에 젖은 우산을 말지 않고 개기만하여 바로 삽입구에 삽입하면 우산이 반듯하게 세워져서 모양도 좋고 사용이 편리하여 고객에 친절봉사를 기할 수 있다.The effect of using this device is that when you get an umbrella on a rainy day and then enter a public building, a church, or a general office, you do not roll the wet umbrella in the umbrella holder that is stored there. It is erected so that the shape is good and it is convenient to use.
기존 우산꽂이통은 우산이 뒤섞여져 있어 건물 밖으로 나올 때 찾기가 불편하나 본 우산꽂이통에는 일련번호가 있어 우산을 꽂을 때 번호만 알고 있으면 찾을 때 번호에 의해서 쉽게 위치를 알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Existing umbrella stand is inconvenient to find when it comes out of the building because the umbrella is mixed, but this umbrella stand has a serial number, so if you only know the number when you insert the umbrella, you can easily find the location by number.
우산꽂이통은 비 오는 날만 사용함으로 사용치 않을 때에는 보관이 간편하여야 하는 바 본 기기는 접어서 축소시켜 보관할 수 있어 장소를 적게 차지하여 보관이 편리하다.Umbrella stand is only used for rainy days. When not in use, it should be easy to store. This device can be folded and stored for easy storage.
제품이 소규모로 간편하면서도 많은 우산을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저렴한 가격에 제작 보급할 수 있어 중소규모의 모든 영업소에서 쉽게 구입 사용할 수 있다.The product is small and simple, and many umbrellas can be inserted, so it can be manufactured and distributed at a low price, so it can be easily purchased and used at all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또한 본 제품은 긴우산꽂이통, 접는우산꽂이통, 혼합우산꽂이통으로 나누어져 있고 또 크기도 다양하여 각 영업소에서는 자기 영업소 규모에 맞게 제품을 선택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능률을 기할 수 있다.In addition, this product is divided into long umbrella rack, folding umbrella rack, and mixed umbrella rack, and also has various sizes, so each office can select and use the product according to its size.
본 제품은 다른 가구제작 등에 응용할 수 있다. 즉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서류함 등을 사용할 때에는 펴서 사용하고,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접어서 축소시켜 보관한다면 사용과 보관이 편리하다.This product can be applied to other furniture production. In other words, it is convenient to use and store it if you use it when you use the filing cabinet to store the goods, and when you do not use it, you can fold it down and store it.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1207U KR200412637Y1 (en) | 2006-01-16 | 2006-01-16 | Folding Umbrella Sta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1207U KR200412637Y1 (en) | 2006-01-16 | 2006-01-16 | Folding Umbrella Stan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2637Y1 true KR200412637Y1 (en) | 2006-03-30 |
Family
ID=41762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1207U KR200412637Y1 (en) | 2006-01-16 | 2006-01-16 | Folding Umbrella Stan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2637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03619A (en) * | 2018-07-10 | 2018-10-26 | 深圳市漂流伞科技有限公司 | Shared umbrella lock umbrella fixed frame |
-
2006
- 2006-01-16 KR KR2020060001207U patent/KR200412637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03619A (en) * | 2018-07-10 | 2018-10-26 | 深圳市漂流伞科技有限公司 | Shared umbrella lock umbrella fixed fr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340540A (en) | Collapsible costumer | |
US10729226B1 (en) | Support stand for holding articles | |
CN216113842U (en) | An assembled lampshade | |
CN206080351U (en) | Wall -hung type chair of bathing | |
KR200412637Y1 (en) | Folding Umbrella Stand | |
CN205612234U (en) | Rotatable multifunctional umbrella frame | |
CN204463756U (en) | Device for displaying and storing propaganda posters | |
US8123049B2 (en) | Pot stand | |
CN208917761U (en) | A kind of quick assembling flood control small dike | |
CN214736801U (en) | Floor clothes hanger and folding mechanism thereof | |
KR101761519B1 (en) | Push and pull drying rack | |
CN104029621B (en) | Bookshelf mounted on subway | |
KR20100001129U (en) | Indoor advertising placard post with weight | |
CN2488402Y (en) | Tripod telescopic display stand | |
CN219461003U (en) | Multifunctional toilet storage device | |
CN210930592U (en) | Outdoor sales promotion table | |
CN219556700U (en) | Rack for placing articles | |
CN106510405B (en) | A kind of folding umbrella accommodating frame | |
KR101758629B1 (en) | Umbrella holder | |
KR200332561Y1 (en) | A hanging stand regulator for the laundry drying stand | |
TWI476340B (en) | Collapsible flag seat device | |
CN214439283U (en) | A foldable test tube rack for easy extraction of test tubes | |
CN210481811U (en) | Accomodate good folding sunning frame of effect | |
CN2753269Y (en) | Foldable washbasin stand | |
KR200400654Y1 (en) | A display stan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116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3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116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226 Year of fee payment: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22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00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