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11912Y1 - 옥내소화전방수구 - Google Patents

옥내소화전방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912Y1
KR200411912Y1 KR2020050036613U KR20050036613U KR200411912Y1 KR 200411912 Y1 KR200411912 Y1 KR 200411912Y1 KR 2020050036613 U KR2020050036613 U KR 2020050036613U KR 20050036613 U KR20050036613 U KR 20050036613U KR 200411912 Y1 KR200411912 Y1 KR 200411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rod
lid
indoor fir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갑수
Original Assignee
박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갑수 filed Critical 박갑수
Priority to KR2020050036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9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91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옥내소화전방수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밸브로드의 상하 이동스트로크가 짧으면서도 방수구의 개방 스트로크가 길게 이루어져 소방규격을 만족함은 물론, 방수구의 전체크기도 콤펙트하여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도 저렴하도록 된 옥내소화전방수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밸브케이스에 체결된 뚜껑의 상부에 위치한 핸들이 체결부재를 매개로 뚜껑의 내부 축중심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밸브로드에 의해 축방향으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밸브체가 밸브케이스의 밸브시트에 착탈되어 밸브를 개폐하도록 된 밸브유니트를 포함하는 옥내소화전방수구에 있어서, 상기 밸브유니트(1500)는, 밸브로드(1510)는 축방향으로 이동은 하지 못하고 회전만 가능하게 설치되고, 밸브로드의 하부에는 축방향 중심에 밸브이동유니트(1530)와 체결되어 밸브로드의 조작에 의해 밸브이동유니트가 가이드부(G)에 의해 회전없이 상하로만 이동하고, 밸브이동유니트의 하부에는 밸브케이스(1100)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120)로 물이 공급되어 배출구(1130)로 배출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된 밸브체(1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화전, 옥내, 방수구, 스트로크

Description

옥내소화전방수구{The Indoor Hydran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내소화전방수구에서 밸브체가 밸브시트에 밀착되어 방수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내소화전방수구에서 밸브체가 밸브시트에 조금 이탈되어 떨어져 방수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내소화전방수구에서 밸브체가 밸브시트에 최대한 이격되어 방수구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내소화전방수구를 구성하는 밸브유니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내소화전방수구를 구성하는 밸브유니트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분해조립도이다.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0 옥내소화전방수구 1100 밸브케이스
1200 뚜껑 1300 핸들
1400 체결부재 1500 밸브유니트
1510 밸브로드 1520 오링
1530 밸브이동유니트 1540 밸브체
1550 스톱퍼나사 1600 오링
본 고안은 옥내소화전방수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로드의 상하 이동스트로크가 짧으면서도 방수구의 개방 스트로크가 길게 이루어져 소방규격을 만족함은 물론, 방수구의 전체크기도 콤펙트하여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도 저렴하도록 된 옥내소화전방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전 설비는 소방대상 건축물에 설치되어 비상시 건물의 자체인원에 의해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는 것으로, 크게 수원(물 저장부분), 제어반, 가압송수장치, 옥내소화전함(옥내소화전방수구, 소방호스등이 내장되어 있음), 소방배관 및 비상전원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옥내소화전방수구는 등록특허 제10-0393412호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밸브케이스(10)의 상부에 뚜껑(30,100)이 체결되고, 이 뚜껑에 밸브로드(40,300)가 체결되어 밸브로드가 뚜껑에서 좌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밸브로드의 하단에 설치된 밸브체(20,200)의 패킹(90,900)이 밸브케이스(10)의 밸브시트(5)에서 떨어져 밸브가 열리게 되고, 반대로 우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패킹이 밸브케이 스의 밸브시트에 밀착되어 유입구(1)로 들어오는 물의 유로를 차단하게 된다.
즉, 상기 밸브로드(40,300)가 핸들(50)의 조작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면 밸브로드에 형성된 숫나사부와 상기 뚜껑에 형성된 암나사부에서 체결되어 밸브로드가 상승 및 하강하면서 상기 밸브체(20,200)의 패킹(90,900)이 밸브시트에서 떨어져 밸브가 열리거나 또는 닫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밸브로드(40,300)의 하단부에 형성된 숫나사부와 체결되어 밸브로드를 상하로 안내하는 뚜껑(30,100)의 암나사부는 상기 밸브케이스(10)의 내측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밸브로드의 이동거리가 짧게 되는 구조로 새롭게 바뀌는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에 적합하지 않게 되고, 이를 적합하게 구성하는 경우에 뚜껑(30,100)의 상부로 암나사부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 높이 이상을 돌출시켜야 함은 물론, 이로인해 밸브로드가 상부로 많이 돌출되므로 방수구의 크기가 크게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방수구의 크기가 크게되어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도 높게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밸브로드의 상하 이동스트로크가 짧으면서도 방수구의 개방 스트로크가 길게 이루어져 소방규격을 만족할 수 있도록 된 옥내소화전방수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방수구의 전체크기도 콤펙트하여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도 저렴하도록 된 옥내소화전방수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이드부가 뚜껑의 하부에 일측으로 관통형성된 나사에 체결되는 스톱퍼나사와, 밸브이동유니트의 외주면에 종방향으로 일정 폭과 깊이로 형성된 가이드홈으로 구성되어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된 옥내소화전방수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밸브케이스와, 이 밸브케이스의 상부 뚜껑체결부에 체결된 뚜껑과, 이 뚜껑의 상부에 위치한 핸들이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뚜껑의 내부 축중심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밸브로드에 의해 축방향으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밸브체가 밸브케이스의 밸브시트에 착탈되어 밸브를 개폐하도록 된 밸브유니트를 포함하는 옥내소화전방수구에 있어서, 상기 밸브유니트는, 상기 밸브로드는 축방향으로 이동은 하지 못하고 회전만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밸브로드의 하부에는 축방향 중심에 밸브이동유니트와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밸브로드의 조작에 의해 밸브이동유니트가 가이드부에 의해 회전은 하지 않고 상하로만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밸브이동유니트의 하부에는 상기 밸브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로부터 물등의 유체가 공급되어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상기 밸브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옥내소화전방수구는, 상기 밸브로드의 일단은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해 4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핸들의 회전력을 용이하게 밸브로드에 전 달 할 수 있고, 상기 밸브로드의 축방향중심으로 일정깊이의 암나사가 형성되어 밸브로드에서 핸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로드의 외주면 소정위치에는 환형돌기가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오링을 안착시켜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되며, 상기 밸브로드의 타단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이동유니트의 타측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체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옥내소화전방수구는,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뚜껑의 하부에 일측으로 관통형성된 나사에 체결되는 스톱퍼나사와, 상기 밸브이동유니트의 외주면에 종방향으로 일정 폭과 깊이로 형성된 가이드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내소화전방수구에서 밸브체가 밸브시트에 밀착되어 방수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내소화전방수구에서 밸브체가 밸브시트에 조금 이탈되어 떨어져 방수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내소화전방수구에서 밸브체가 밸브시트에 최대한 이격되어 방수구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내소화전방수구를 구성하는 밸브유니트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내소화전방수구를 구성하는 밸브유니트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조립도이다.
본 고안의 옥내소화전방수구(1000)는, 밸브케이스(1100)와, 이 밸브케이스의 상부 뚜껑체결부(1140)에 체결된 뚜껑(1200)과, 이 뚜껑의 상부에 위치한 핸들(1300)이 체결부재(1400)를 매개로 상기 뚜껑의 내부 축중심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밸브로드(1510)에 의해 축방향으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밸브체(1540)가 밸브케이스(1100)의 밸브시트(1110)에 착탈되어 밸브를 개폐하도록 된 밸브유니트(15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밸브로드(1510)의 일단은 상기 체결부재(1400)가 체결되기 위해 4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핸들(1300)의 회전력을 용이하게 밸브로드(1510)에 전달 할 수 있고, 그 축방향중심으로 일정깊이의 암나사(1512)가 형성되어 밸브로드(1510)에서 핸들(13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주면 소정위치에는 환형돌기(1513)가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오링(1520)을 안착시켜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타단에는 숫나사부(1511)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이동유니트(1530)의 타측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532)에 체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로드(1510)는 축방향으로 이동은 하지 못하고 회전만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 밸브로드(1510)의 하부에는 축방향 중심에 밸브이동유니트(1530)와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밸브로드의 조작에 의해 밸브이동유니트(1530)가 가이드부(G)에 의해 회전은 하지 않고 상하로만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밸브이동유니트(1530)의 하부에는 상기 밸브케이스(1100)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120)로부터 물등의 유체가 공급되어 배출구(1130)로 배출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상기 밸브체(1540)가 체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G)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뚜껑(1200)의 하부에 일측으로 관통형성된 나사에 체결되는 스톱퍼나사(1550)와, 상기 밸브이동유니트(1530)의 외주면에 종방향으로 일정 폭과 깊이로 형성된 가이드홈(1531)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가이드부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뚜껑(1200)의 하부에 축방향으로 각형의 홈이 일정깊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이동유니트(1530)의 외주면이 뚜껑의 내측에 형성된 각형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밸브이동유니트가 회전은 하지 않고 길이방향의 이동은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각형은 사각 또는 오각 및 육각, 팔각형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체(154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밸브이동유니트(1530)의 일단부(1531)에 끼워지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어퍼밸브(1541)와, 이 어퍼밸브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단부(1531)에 끼워지는 패킹(1542)과, 상기 일단부(1531)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1531a)에 체결되어 패킹(1542)을 어퍼밸브(1541)로 가압하도록 된 와셔너트(1543)를 포함한다.
한편 미설명부호 1520은 상기 밸브로드(1510)의 상부에 끼워져 밸브로드(1510)가 뚜껑(1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물(유체)가 뚜껑(1200)의 상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오링이고, 미설명부호 1600은 상기 뚜껑(1200)이 밸브케이스(1100)의 상부 뚜껑체결부(1140)에 체결될 때 유체(물)이 수압에 의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오링이다.
따라서 도 1의 상태에서 상기 핸들(130)을 시계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밸브체(1540)가 밸브케이스(1100)의 밸브시트(1110)에서 떨어지게 되어 도 2의 상태와 같이 되고, 이후 계속해서 상기 핸들을 반 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도 3의 상태와 같이 밸브체(1540)가 더이상 올라가지 못하는 상태까지 이르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로드(1510)는 상기 뚜껑(1200)의 축방향 중심에서 회전만 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은 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상기 밸브로드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밸브로드와 나사결합되고 회전은 하지 못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만 할 수 있도록 된 밸브이동유니트(1530)가 선택적으로 상기 밸브케이스(1100)의 밸브시트(1110)에 착탈되어 상기 유입구(1120)로 들어오는 물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배출구로 보내지는 소방수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로드(1510)는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밸브이동유니트(1530)는 회전이 제한되는 체결구조에 의해 상기 밸브체(1540)의 열림높이가 높게 이루어지면서도 밸브로드의 길이가 짧아도 되어서 콤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제조비용도 저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밸브유니트의 밸브로드는 축방향으로 이동은 하지 못하고 회전만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밸브로드의 하부에는 축방향 중심에 밸브이동유니트와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밸브로드의 조작에 의해 밸브이동유니트가 가이드부에 의해 회전은 하지 않고 상하로만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밸브이동유니트의 하부에는 상기 밸브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로부터 물등의 유체가 공급되어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 록되어, 밸브로드의 상하 이동스트로크가 짧으면서도 방수구의 개방 스트로크가 길게 이루어져 소방규격을 만족함은 물론, 옥내소화전방수구의 전체크기도 콤펙트하여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도 저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옥내소화전방수구는, 밸브로드의 일단은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해 4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핸들의 회전력을 용이하게 밸브로드에 전달 할 수 있고, 상기 밸브로드의 축방향중심으로 일정깊이의 암나사가 형성되어 밸브로드에서 핸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옥내소화전방수구는, 가이드부가 뚜껑의 하부에 일측으로 관통형성된 나사에 체결되는 스톱퍼나사와, 밸브이동유니트의 외주면에 종방향으로 일정 폭과 깊이로 형성된 가이드홈으로 구성되어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3)

  1. 밸브케이스(1100)와, 이 밸브케이스의 상부 뚜껑체결부(1140)에 체결된 뚜껑(1200)과, 이 뚜껑의 상부에 위치한 핸들(1300)이 체결부재(1400)를 매개로 상기 뚜껑의 내부 축중심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밸브로드(1510)에 의해 축방향으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밸브체(1540)가 밸브케이스의 밸브시트(1110)에 착탈되어 밸브를 개폐하도록 된 밸브유니트(1500)를 포함하는 옥내소화전방수구에 있어서,
    상기 밸브유니트(1500)는, 상기 밸브로드(1510)는 축방향으로 이동은 하지 못하고 회전만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밸브로드(1510)의 하부에는 축방향 중심에 밸브이동유니트(1530)와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밸브로드의 조작에 의해 밸브이동유니트(1530)가 가이드부(G)에 의해 회전은 하지 않고 상하로만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밸브이동유니트(1530)의 하부에는 상기 밸브케이스(1100)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120)로부터 물등의 유체가 공급되어 배출구(1130)로 배출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상기 밸브체(1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소화전방수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로드(1510)의 일단은 상기 체결부재(1400)가 체결되기 위해 4각형 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핸들(1300)의 회전력을 용이하게 밸브로드(1510)에 전달 할 수 있고,
    상기 밸브로드의 축방향중심으로 일정깊이의 암나사(1512)가 형성되어 밸브로드(1510)에서 핸들(13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로드의 외주면 소정위치에는 환형돌기(1513)가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오링(1520)을 안착시켜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되며,
    상기 밸브로드의 타단에는 숫나사부(1511)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이동유니트(1530)의 타측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532)에 체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소화전방수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G)는 상기 뚜껑(1200)의 하부에 일측으로 관통형성된 나사에 체결되는 스톱퍼나사(1550)와, 상기 밸브이동유니트(1530)의 외주면에 종방향으로 일정 폭과 깊이로 형성된 가이드홈(153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소화전방수구.
KR2020050036613U 2005-12-28 2005-12-28 옥내소화전방수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411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613U KR200411912Y1 (ko) 2005-12-28 2005-12-28 옥내소화전방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613U KR200411912Y1 (ko) 2005-12-28 2005-12-28 옥내소화전방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912Y1 true KR200411912Y1 (ko) 2006-03-21

Family

ID=4176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61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11912Y1 (ko) 2005-12-28 2005-12-28 옥내소화전방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91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504B1 (ko) 2007-02-01 2008-02-20 주식회사 육송 옥내소화전방수구
KR100877927B1 (ko) 2008-09-19 2009-01-12 (주)화이어대상 옥내 소화전 방수구
KR200448696Y1 (ko) * 2008-01-31 2010-05-07 중앙공업 주식회사 옥내소화전 방수구
KR101036566B1 (ko) * 2008-08-01 2011-05-24 (주)화이어대상 옥내소화전방수구
KR200460451Y1 (ko) 2010-01-20 2012-05-25 우명배 소화전 밸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504B1 (ko) 2007-02-01 2008-02-20 주식회사 육송 옥내소화전방수구
KR200448696Y1 (ko) * 2008-01-31 2010-05-07 중앙공업 주식회사 옥내소화전 방수구
KR101036566B1 (ko) * 2008-08-01 2011-05-24 (주)화이어대상 옥내소화전방수구
KR100877927B1 (ko) 2008-09-19 2009-01-12 (주)화이어대상 옥내 소화전 방수구
KR200460451Y1 (ko) 2010-01-20 2012-05-25 우명배 소화전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566B1 (ko) 옥내소화전방수구
KR101565831B1 (ko) 소방호스용 연결구
KR200460451Y1 (ko) 소화전 밸브
KR200411912Y1 (ko) 옥내소화전방수구
US20100319939A1 (en) Actuate device for fire extinguisher
US7565912B2 (en) Frost-proof exterior-wall valve
US20090320933A1 (en) Weeping System for Fire Hydrant Having a Protective Valve or Device
KR102466702B1 (ko) 옥내 소화전 밸브 개폐구
KR101987693B1 (ko) 옥내 소화전용 방수구
KR100877927B1 (ko) 옥내 소화전 방수구
KR102554430B1 (ko) 소화전 앵글밸브의 개폐장치
KR101735291B1 (ko) 소방용 건축물 옥외 소화전
KR200415806Y1 (ko) 개폐식 소방밸브
US3650471A (en) Fire hydrant spray device
JP3679477B2 (ja) 流水検知装置
CN204767123U (zh) 一种能够快速开关的消防栓
RU2686823C1 (ru) Пожарный колодец
US20100044610A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outlets of a fluid distributor valve
KR102724485B1 (ko) 옥내소화전용 방수구
KR200448696Y1 (ko) 옥내소화전 방수구
US20160319523A1 (en) Anti-Freeze Faucet Structure
CN205494750U (zh) 快开自泄消防炮
KR20060090547A (ko)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KR20190002968U (ko) 소방용 밸브장치
KR101564196B1 (ko) 내부 잔류용수 배출 기능을 갖는 지상 소화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12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12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1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UJ0210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vocation

Patent event code: UJ02102R02D

Patent event date: 20070509

Request date: 20070509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Appeal identifier: 2007103000100

Decision date: 2008040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0509

Effective date: 20080401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080401

Patent event code: UJ13011S10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Appeal identifier: 2007103000100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Decision date: 20080401

Request date: 20070509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80813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5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40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