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862Y1 -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 Google Patents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1862Y1 KR200411862Y1 KR2020060000769U KR20060000769U KR200411862Y1 KR 200411862 Y1 KR200411862 Y1 KR 200411862Y1 KR 2020060000769 U KR2020060000769 U KR 2020060000769U KR 20060000769 U KR20060000769 U KR 20060000769U KR 200411862 Y1 KR200411862 Y1 KR 20041186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cipitate
- pump
- removal device
- suction
- suction 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9182 swimm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H4/1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 E04H4/1618—Hand-held powered cleaners
- E04H4/1636—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낚시터 또는 수영장 따위의 구조물에 침전된 수중 침전물을 제거하는 수중 침전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for removing the sediment in the water precipitated on a structure such as indoor fishing or swimming pool.
이러한 본 고안은, 수중 침전물(D)이 바닥(12)으로 침전된 구조물(10)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10)의 바닥(12)으로 안착되는 저면이 침전물(D)을 수용하도록 개방되고, 수용된 침전물(D)을 흡입하도록 흡입구(22)가 구비된 흡입하우징(20); 상기 흡입하우징(20)의 흡입구(22)를 통해 흡입된 침전물(D)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40); 상기 펌프(40)와 흡입구(22) 사이에 연결되어 흡입구(22)를 통해 흡입된 침전물(D)을 펌프(40)로 이송시키면서, 흡입하우징(20)을 구조물(10) 바닥(12)의 사방으로 이동시키는 핸들관(30);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ructure 10 in which the water precipitate (D) is settled to the bottom 12, the bottom seated to the bottom 12 of the structure 10 is opened to receive the precipitate (D), A suction housing 20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22 to suck the received precipitate D; A pump 40 for discharging the precipitate (D)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2 of the suction housing 20 to the outside; The suction housing 20 is connected between the pump 40 and the suction port 22 to transfer the precipitate D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2 to the pump 40, and the suction housing 20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12 of the structure 10. Handle tube 30 to move in all directions; is configured.
따라서, 구조물에 채워진 물을 배수하지 않고 이동하면서 바닥으로 침전된 침전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remove the precipitate precipitated to the floor while moving without draining the water filled in the structure.
침전물, 흡입하우징, 펌프, 핸들관. Sediment, suction housing, pump, handle tube.
Description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측면도.2 is a sid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흡입하우징을 확대한 단면도.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ction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흡입하우징을 확대한 저면사시도.Figure 4 is an enlarged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도.5 is a us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
10 : 구조물 12 : 바닥10: structure 12: floor
20 : 흡입하우징 22 : 흡입구20: suction housing 22: suction port
24 : 암나사 26 : 지지암24: female thread 26: support arm
28 : 러버스트립 30 : 핸들관28: rubber strip 30: handle tube
40 : 펌프 44 : 흡입공40
46 : 배출공 50 : 드레인호스46: discharge hole 50: drain hose
60 : 여과필터 64 : 수나사60: filtration filter 64: male thread
70 : 체크밸브 72 : 밸브자리70: check valve 72: valve seat
74 : 밸브 76 : 코일스프링74: valve 76: coil spring
80 : 스톱밸브 90 : 벨로우즈호스80: stop valve 90: bellows hose
100 : 지지플레이트 102 : 캐스터100: support plate 102: caster
본 고안은 수중 침전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낚시터 또는 수영장 따위의 구조물에 채워진 물을 배수하지 않고 외부에서 이동하면서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수중 침전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that can easily remove the sediment deposited on the floor while moving outside without draining the water filled in the structure of the indoor fishing or swimming pool. It is about.
또한, 본 고안은 배수작업과 물고기 보관작업에 따른 영업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제적으로 인건비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수중 침전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operating loss due to drainage work and fish storage work in advance, and thus relates to an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that can be expected to economically reduce labor costs.
주지된 바와 같이, 실내낚시터는 낚시대에 미끼를 꿰어 물고기를 낚는 것으로, 이러한 실내낚시터의 바닥에는 낚시를 하기 위해 미끼로 사용되는 떡밥 또는 다양한 이물질이 침전되어 수질을 오염시키며, 이로 인해 물고기의 생태관리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is well known, indoor fishing hooks are used to hook fish on a fishing rod to catch fish. On the bottom of such indoor fishing hooks, rice cakes or various foreign substances used as baits for fishing are settled to contaminate the water quality, thereby causing the ecological management of fish. There was a problem that will cause trouble.
또한, 수영장 바닥에도 실내낚시터에서와 같이 이물질이 침전되어 수질을 오염시키며,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개끗한 수질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foreign matters are precipitated on the bottom of the pool as in the indoor fishing, contaminating the water quality,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not provide clean water quality.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내낚시터의 바닥에 가라앉은 침전물을 제거방법으로, 실내낚시터의 수중에 있는 물고기를 건져내고 물을 완전히 배수한 후, 작업자가 실내낚시터의 바닥에 쌓인 침전물을 일일이 주워 제거해야 했 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removing the sediment settled on the bottom of the indoor fishing, after the fish in the water of the indoor fishing and draining the water completely, the worker picks up the sediment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the indoor fishing It had to be removed.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침전물을 제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method for removing the precipitat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로, 물고기를 건져낸 상태에서 물을 완전히 배수한 후, 침전물을 제거해야 하므로, 침전물을 제거하는 동안 실내낚시터 영업을 할 수 없어 경제적으로 영업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since the water must be completely drained after the fish has been drained, the sediment must be removed, and thus the indoor fishing business cannot be operated during the removal of the sediment, resulting in economic losses.
둘째로, 실내낚시터의 바닥에 쌓인 침전물을 제거하는 동안 건져낸 물고기를 별도의 수족관에 보관해야 하므로 물고기의 보관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수족관을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Secondly, since the fish collected during the removal of the sediment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the indoor fishing must be stored in a separate aquarium, the storage of the fish is inconvenient, and there is a problem of providing an economic burden of purchasing a separate aquarium.
셋째로, 작업자가 실내낚시터의 바닥을 돌아다니면서 일일이 침전물을 주워담아서 버려야하므로, 침전물제거시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며, 이에 따라 인건비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ird, because the worker has to pick up the sediment and throw it away while walking around the bottom of the indoor fishing, it takes a lot of time and labor when removing the sediment, which leads to a rise in labor costs.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실내낚시터 또는 수영장 따위의 구조물에 채워진 물을 배수하지 않고 외부에서 이동하면서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수중 침전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is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sediment deposited on the floor while moving outside without draining the water filled in the structure of the indoor fishing or swimming pool To provide an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수작업과 물고기 보관작업에 따른 영업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제적으로 인건비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수중 침전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that can prevent the operating loss due to drainage work and fish storage work in advance, thereby economically reducing labor cos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수중 침전물이 바닥으로 침전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바닥으로 안착되는 저면이 침전물을 수용하도록 개방되고, 수용된 침전물을 흡입하도록 흡입구가 구비된 흡입하우징; 상기 흡입하우징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침전물을 배출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와 흡입구 사이에 연결되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침전물을 펌프로 이송시키면서, 흡입하우징을 구조물의 바닥 사방으로 이동시키는 핸들관;으로 구성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ediment in the water precipitated to the bottom, the bottom seated to the bottom of the structure is open to receive the precipitate, the suction housing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to suck the received precipitate; A pump for discharging the sucked precipitate through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housing; The handle pipe is connected between the pump and the suction port and transfers the suction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to the pump, and moves the suction housing to the bottom of the structure.
여기서, 상기 흡입하우징의 흡입구에는 침전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여과필터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물질은 낚시바늘 따위의 금속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여과필터는 메쉬망을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흡입구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결합수단은 흡입구의 단부 내주연으로 태핑된 암나사에 나사결하되도록 메쉬망의 외주연으로 수나사가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filtration filter is coupled to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housing so as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precipitate, and the foreign material includes a metal material such as a fishing needle. The filtration filter is formed in a cylindrical mesh mesh is coupled to the inlet by the coupling means, the coupling means is screw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mesh net to be screwed to the female screw tapping in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inlet It is preferred to be implemented.
한편, 상기 흡입하우징의 흡입구에는 흡입된 침전물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체크밸브가 내장되며, 상기 체크밸브는 흡입하우징의 흡입구 내주연으로 형성된 밸브자리와, 상기 밸브자리를 개폐시키는 밸브와, 상기 펌프의 구동에 따라 밸브를 탄력적으로 단속하도록 흡입구에 내장되는 탄성부재로 구현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선택적으로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 따위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housing is built in a check valve to prevent the reverse flow of the suction, the check valve is a valve seat formed by the inner periphery of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housing,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seat, the pump It is implemented as an elastic member embedded in the suction port to elastically control the valve in accordance with the drive, the elastic member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coil spring, but may be implemented as a leaf spring having an optional elasticity.
상기 핸들관은 침전물의 이송을 단속하는 스톱밸브를 더 포함한다.The handle tube further includes a stop valve for intermittent transfer of the precipitate.
아울러, 펌프는 캐스터가 구비된 지지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이동이 용이하게 되며, 이러한 펌프와 핸들관 사이는 벨로우즈호스로 연결되어 핸들관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pump is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provided with a caster to facilitate movement, the connection between the pump and the handle tube is connected to the bellows hose is made of the handle tube is free to move.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흡입하우징을 확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흡입하우징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First, the attached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ction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the present invention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state diagram of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10)의 바닥(12)으로 안착되어 수용된 침전물(D)을 흡입하는 흡입하우징(20)와, 상기 흡입하우징(20)를 통해 침전물(D)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펌프(40)와, 상기 펌프(40)와 흡입하우징(20)를 연결하여 흡입하우징(20)를 구조물(10)의 바닥(12) 사방으로 이동시키는 핸들관(30)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1 to 5,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housing 20 for suctioning the sediment (D) received and seated on the
상기 흡입하우징(20)는 구조물(10)의 바닥(12)에 안착되어 침전물(D)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이같이 수용된 침전물(D)을 낮은 대기압으로 흡입하는 것으로, 이러한 흡입하우징(20)의 저면은 개방되어 수용된 침전물(D)을 흡입하도록 흡입구(22)가 구비되고, 흡입하우징(20)의 하부 외주연을 따라 탄성재질로 형성된 러버스트립(28)이 랩핑(wrapping)되어 다수개의 나사(28a)로 고정된다.The
상기 흡입구(22)에는 침전물(D)에 포함된 금속재의 낚시바늘 따위로 이루어 진 이물질의 흡입을 방지하도록, 여과필터(60)가 결합수단으로 결합되어 펌프(40)로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고장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여과필터(60)는 메쉬망(62)을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흡입구(22)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원통형의 메쉬망(62) 둘레를 따라 노출되는 면적이 넓어져 다량의 침전물(D)을 흡입하면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흡입구(22)의 단부 내주연으로 태핑된 암나사(24)와, 상기 암나사(24)에 나사결합되도록 원통형의 메쉬망(62) 단부 외주연으로 형성되는 수나사(64)로 구현된다.The
또한, 상기 흡입구(22)에는 체크밸브(70)가 내장되어 흡입된 침전물(D)의 역류를 방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체크밸브(70)는 흡입구(22)의 내주연으로 형성된 밸브자리(72)와, 상기 밸브자리(72)를 개폐시키는 밸브(74)와, 상기 펌프(40)의 구동에 따라 밸브(72)를 탄력적으로 단속하도록 흡입구(22)에 내장되는 탄성부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76)으로 구현되어 흡입구(22)의 내주연에 구비된 지지암(26)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선택적으로 판스프링 따위로 구현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둔다.Here, the elastic member is implemented as a
따라서, 펌프(40)의 구동으로 탄성부재가 탄력적으로 밸브(74)를 단속함에 따라, 밸브(74)가 밸브자리(72)를 개방하여 흡입구(22)를 통해 침전물(D)이 흡입되는 한편, 펌프(40)의 정지로 인해 탄성부재가 밸브(74)를 탄력적으로 단속하여 밸브(74)가 밸브자리(72)를 폐쇄함에 따라, 흡입구(22)로 흡입된 침전물(D)이 구조물(10)의 바닥(12)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ccordingly, as the elastic member elastically interrupts the
상기 러버스트립(28)은 흡입하우징(20)의 하부 외주연으로 랩핑되어 구조물(10)의 바닥(12)과 밀착되며, 흡입하우징(20)의 내부는 펌프(40)의 구동에 따라 낮은 대기압을 형성하여, 흡입구(22)를 통해 흡입하우징(20)에 수용된 침전물(D)과 물이 함께 흡입된다.The
상기 핸들관(30)은 흡입구(22)로 흡입된 침전물(D)을 펌프(40)로 이송시키는 동시에 흡입하우징(20)를 구조물(10)의 바닥(12)으로 적절히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핸들관(30)은 흡입하우징(20)의 흡입구(22) 및 펌프(40)의 흡입공(44)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핸들관(30)에는 스톱밸브(80)를 설치하여 핸들관(30)으로 이송되는 침전물(D)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핸들관(30)은 구조물(10)의 외부에서 바닥(12)의 침전물(D)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도 2에서와 같이 적절한 길이를 갖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엘보우(32)로 연결된다.The
여기서, 상기 핸들관(30)과 펌프(40) 사이에는 벨로우즈호스(90)가 연결되는데, 상기 벨로우즈호스(90)의 일단은 핸들관(30)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펌프(40)의 흡입공(44)에 연결된다. 따라서, 흡입하우징(20)을 이동시키는 핸들관(30)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Here, the
상기 펌프(40)는 핸들관(30)으로 이송된 침전물(D)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동모터(42)를 구동시켜 임펠러(도시생략)의 원심력으로 핸들관(30)의 내부공기 및 침전물(D)을 계속적으로 빨아들이는 것으로, 이러한 펌프(40)의 일측에는 핸들관(30)에 연결되는 흡입공(44)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흡입공(44)으로 흡입된 물과 침전물(D)을 배출시키는 배출공(4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펌프(40)에는 조작버튼 (48)이 구비되어 펌프(4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펌프(40)는 지지플레이트(10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저면에는 캐스터(102)가 구비되어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The
따라서, 펌프(40)의 구동으로 핸들관(30) 내부의 공기를 계속 빨아들여 흡입하우징(20)의 흡입구(22)는 낮은 대기압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흡입하우징(20)는 구조물(10)의 바닥(12)에 가라앉은 침전물(D)의 일부분을 수용하게 되어, 흡입하우징(20)에 수용된 침전물(D) 및 물이 함께 흡입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한편, 상기 펌프(40)의 배출공(46)에는 드레인호스(50)가 연결되어 펌프(40)로 흡입된 침전물(D)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드레인호스(50)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작업자가 핸들관(30)을 파지하여 구조물(10)의 바닥(12)에 흡입하우징(20)를 내려놓은 상태에서 펌프(40)를 구동시키면, 펌프(40)에 의해 핸들관(30)의 내부공기를 빨아들여 흡입구(22)가 낮은 대기압으로 형성되고, 이때 흡입하우징(20)에 수용된 침전물(D) 및 물이 흡입구(22)로 흡입되어 핸들관(30)을 통해 펌프(40)로 흡입되며, 펌프(40)로 흡입된 침전물(D) 및 물은 배출공(46)을 지나 드레인호스(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or grips the
따라서, 흡입하우징(20)에 수용된 침전물(D) 및 물 만이 흡입구(22)를 통해 배출되어 구조물(10)에 채워진 수량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며, 작업자가 구조물(10)의 바닥(12)으로 핸들관(30)을 자유롭게 이동시켜 흡입하우징(20)를 옮기면서 침전물(D)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only the precipitate (D) and the water contained i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수중 침전물 제거장치는, 구조물(10)에 채워진 물을 배수하지 않고도, 펌프(40)와 흡입하우징(20)를 간편히 이동시키면서 구조물(10)의 바닥(12)에 가라앉은 침전물(D)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simply move the
또한, 본 고안 수중 침전물 제거장치에 따르면, 침전물(D)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필터(60)로 여과하여 펌프(40)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흡입구(22)에 설치된 체크밸브(70)에 의해 흡입된 침전물(D)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ilure of the
아울러, 본 고안 수중 침전물 제거장치는, 침전물(D)의 이송을 단속하는 스톱밸브(80)를 핸들관(30)에 설치하여 침전물(D)의 흐름을 간단한 조작으로 단속할 수 있으며, 펌프(40)와 핸들관(30) 사이를 벨로우즈호스(90)로 연결하여 핸들관(30)의 이동이 자유롭게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by installing a stop valve (80) to control the transfer of the sediment (D) to the handle pipe (30) can control the flow of the sediment (D) by a simple operation, the pump ( The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of one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성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ormation and structure of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by modifying.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조물에 채워진 물을 배수하지 않은 상태에서 구조물의 외부에서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별도의 배수작업 및 물고기 보관작업에 따른 영업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move the sediment deposited on the floor from the outside of the structure without draining the water filled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loss due to separate drainage work and fish storage work It is a very useful design tha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영업중에도 틈틈히 침전물 제거작업을 할 수 있어 배수작업 및 물고기 보관작업에 따른 인건비절감을 기대할 수 있으며, 여과필터로 침전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펌프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to reduce the labor cost according to drainage work and fish storage work, because the sediment can be removed even during the operation, and by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sediment with a filtration filter to prevent the failure of the pump in advance. It can work.
아울러, 본 고안은 체크밸브로 인해 흡입된 침전물의 역류를 방지하여 침전물 제거시 구조물에 채워진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펌프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침전물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backflow of the sediment sucked by the check valve to prevent water pollution filled in the structure when removing the precipitat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remove the precipitate while moving the pump freely.
이와 더불어, 본 고안은 침전물의 흐름을 스톱밸브에 의해 용이하게 단속할 수 있으며, 벨로우즈호스에 의해 핸들관의 이동이 자유롭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ntrol the flow of the sediment by the stop valv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handle pipe can be freely moved by the bellows hose.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0769U KR200411862Y1 (en) | 2006-01-10 | 2006-01-10 |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0769U KR200411862Y1 (en) | 2006-01-10 | 2006-01-10 |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1862Y1 true KR200411862Y1 (en) | 2006-03-17 |
Family
ID=4176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076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11862Y1 (en) | 2006-01-10 | 2006-01-10 |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1862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074386B2 (en) | 2010-08-20 | 2015-07-07 | Korea Institute Of Robot & Convergence | Cleaning robot and underwater sedimen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
KR20220059699A (en) * | 2020-11-03 | 2022-05-10 |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 A groundwater level restora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clogging |
-
2006
- 2006-01-10 KR KR2020060000769U patent/KR200411862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074386B2 (en) | 2010-08-20 | 2015-07-07 | Korea Institute Of Robot & Convergence | Cleaning robot and underwater sedimen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
KR20220059699A (en) * | 2020-11-03 | 2022-05-10 |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 A groundwater level restora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clogging |
KR102412944B1 (en) * | 2020-11-03 | 2022-06-27 |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 A groundwater level restora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clogg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173284A1 (en) | Fish tank cleaner | |
US9682409B2 (en) |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leaning an aquarium | |
US11304411B2 (en) | Safety system for a fish-tank siphon | |
KR200411862Y1 (en) |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 |
US7378026B1 (en) | Drill motor operated portable water-tolerant suction cleaner | |
JPS63107714A (en) | Purifying device in liquid tank | |
KR20050077720A (en) | A glass fish bowl cleaner | |
JP2009159922A (en) | Fishbowl sweeper | |
US10167648B1 (en) | Pool skimmer | |
US4744897A (en) | Sweeper type apparatus for clearing the deposition formed on the bottom of a pond | |
CN222899022U (en) | Cleaning apparatus | |
KR200440453Y1 (en) | Aquarium Cleaner | |
CN221879823U (en) | Large-flow self-cleaning water pump | |
CN219895626U (en) | Water changing structure, base station and cleaning system | |
CN217987471U (en) | Cleaning device, cleaning system and base station suitable for cleaning device | |
CN216628164U (en) | Tea tray drainer with tea-leaf filtering and anti-blocking functions | |
KR102184287B1 (en) | Air Cleaner | |
CN212138914U (en) | A nipple drinker | |
CN211746304U (en) | Hole-type electric dirt cleaning device applied to aquarium | |
JP2012196166A (en) | Siphon pump | |
AU2005100798A4 (en) | AqXtractor | |
JPH06197660A (en) | Cleaning apparatus for pisciculture pond | |
CN2523759Y (en) | Purifier for aquatic organism in aquarium | |
JP2502712Y2 (en) | Floating impurities remover | |
KR100771183B1 (en) | Reservoir for reservoir or river flo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110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3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11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313 Year of fee payment: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31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00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