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014Y1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0014Y1 KR200410014Y1 KR2020050035784U KR20050035784U KR200410014Y1 KR 200410014 Y1 KR200410014 Y1 KR 200410014Y1 KR 2020050035784 U KR2020050035784 U KR 2020050035784U KR 20050035784 U KR20050035784 U KR 20050035784U KR 200410014 Y1 KR200410014 Y1 KR 20041001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pc
- connector
- support piece
- pin
- pin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7—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에 결합되는 FPC가 커넥터에 지지되면서 FPC가 커넥터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일측면이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전면으로 탭과 결합되며, 상기 수용홈의 개방된 측으로 FPC지지편이 일체로 형성된 플러그하우징과;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핀이 부착되며 상기 접속핀에 FPC가 연결되는 핀모듈과; 상기 핀모듈의 후방으로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면서 상기 핀모듈을 지지하고, FPC의 상,하,좌,우 움직임을 제한하는 상대지지편 및 걸림턱이 형성된 플러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that allows the FPC to be firmly fixed to the connector while the FPC coupled to the connector is supported by the connector,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with one side open on the inside, the front A plug housing coupled to the tab and having an FPC support piece integrally formed at an open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A pin modul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nd fixed, at least one connection pin is attached, and an FPC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I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fixed to the rear of the pin module to support the pin module, the plug cover is formed with a relative support piece and a locking jaw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PC up, down, left and right; .
이에 따라, 핀모듈에 결합된 FPC가 이리저리 움직여 접속핀과 분리되거나, 접촉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Accordingly, the FPC coupled to the pin module is moved to and fro to have an effect of preventing the contact pin from being separated or generated.
플러그, FPC, FPC지지편, 절개부 Plug, FPC, FPC Support Piece, Incision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종래 FPC결합용 커넥터의 일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FPC coupling connector.
도 7은 도 6은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FPC1: FPC
10 : 플러그하우징10: plug housing
11 : 수용홈 12 : 접속구 11: receiving groove 12: connection port
13 : 핀삽입구 14 : FPC지지편 13: pin insertion hole 14: FPC support piece
15 : 잠금홈 15: lock groove
20 : 핀모듈20: pin module
21 : 접속핀 22 : 잠금돌기 21: connection pin 22: locking projection
30 : 플러그커버30: plug cover
31 : 핀지지부 32 : 상대지지편 31: pin support 32: relative support
33 : 걸림턱 331 : 절개부 33: locking jaw 331: incision
332 : 고정편 332: fixed piece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FPC와 접속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that is connected to the FPC.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회로상에서 각 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탭과 플러그가 한 쌍을 이루며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각종 기계 및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각종 전기적인 작동신호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connector is to allow each componen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on the circuit, the tab and the plug is configured to be paired with each other, to supply power to various mechanical and electronic products, or to remove various electrical operation signals It is widely used for making connections.
이러한 커넥터 중 FPC또는 다수의 전선이 측방으로 배열된 플랫케이블과 접속되는 커넥터 중 플러그의 일 예를 도 6내지 도 7을 통해 살펴보면, 내부에 수용홈(101)이 형성되고 전면으로 탭이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구(102)가 형성되며 후방으로 FPC(400)를 받치면서 FP(400)가 과도하게 휘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편(103)이 형성된 플러그하우징(100)과, 상기 플러그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는 절연재의 핀결합체(201)에 상기 접속구(102)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핀(202)이 고정되는 핀모듈(200)과, 상기 핀모듈(200)의 후방에서 핀모듈(200)을 지지하면서 상기 수용홈(101)의 외측단에 고정되는 플러그커버(300)로 구성된다.An example of the plug of the connector that is connected to the FPC or a plurality of wires of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flat cable arranged laterally through 6 to 7, the
또한, 상기 핀결합체(201)의 후방으로 상기 접속핀(202)의 끝단이 돌출되도록 하고, FPC(400)가 접속핀(202)에 납땜등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플러그가 FPC와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connecting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플러그는 FPC가 핀모듈의 접속핀에 납땜 등의 결합방법에 의해 접속되도록 하고, 핀모듈이 플러그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커버를 고정하면 받침편이 FPC가 하부측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었으나,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FPC가 측방으로 및 상부측으로 움직이는 것은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lug as described above, the FPC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n of the pin module by soldering or the like. If the plug cover is fixed while the pin module is inserted into the plug housing, the support piece is bent to the lower side of the FPC. It was possible to prevent this,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side and the upper side FPC due to external impact or vibration.
이에 따라, FPC가 측방 또는 상부측으로 과도하게 움직여 FPC가 파손되거나 접속핀에서 떨어져 나와 커넥터의 접속상태가 불안정해 질 뿐만 아니라, FPC가 핀모듈 및 플러그하우징에 과도한 힘을 가해 플러그가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As a result, the FPC may be excessively moved to the side or the upper side, causing the FPC to break or falling off the connecting pin, resulting in unstable connection of the connector.In addition, the FPC may exert excessive force on the pin module and the plug housing to damage the plug. Occurred.
뿐만 아니라, 핀모듈은 상기 플러그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커버의 지지력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고정력에 한계가 있었고, 플러그가 탭에 접속될 때 접속핀이 후방으로 밀려나와 접속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pin module has a limitation in the fixing force as it is fixed by the support force of the plug cover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plug housing, the connection pin is pushed backward when the plug is connected to the tab, the connection is unstable There was also.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커넥터에 결합되는 FPC가 커넥터에 지지되면서 FPC가 커넥터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is to ensure that the FPC is firmly fixed to the connector while the FPC coupled to the connector is supported on the connector.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커넥터의 후측방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결합되는 FPC가 견고히 지지되도록 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FPC that is bent vertical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connector is firmly supported.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커넥터로 커넥터의 후측방 및 직후방으로 결합되는 FPC가 견고히 지지되도록 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FPC that is coupled to the rear and right of the connector with one connector is firmly supported.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걸림턱이 상대지지편에 견고히 결합되어 지지편과 상대지지편 사이의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함에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locking jaw is firmly coupled to the relative support piece so that the gap between the support piece and the relative support piece does not open.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핀모듈이 플러그하우징의 내측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pin module is firm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plug hous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측에 일측면이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전면으로 탭과 결합되며, 상기 수용홈의 개방된 측으로 FPC지지편이 일체로 형성된 플러그하우징과;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핀이 부착되며 상기 접속핀에 FPC가 연결되는 핀모듈과; 상기 핀모듈의 후방으로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면서 상기 핀모듈을 지지하고, FPC의 상,하,좌,우 움직임을 제한하는 상대지지편 및 걸림턱이 형성된 플러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g housing formed in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is open, the front side is coupled to the tab, the FPC support piece integrally formed in the open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A pin modul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nd fixed, at least one connection pin is attached, and an FPC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I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fixed to the rear of the pin module to support the pin module, the plug cover is formed with a relative support piece and a locking jaw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PC up, down, left and right; .
또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상대지지편의 끝단에 상기 FPC지지편 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atching jaw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vertically bent toward the FPC support piece side at the end of the relative support piece.
또한, 상기 걸림턱의 중앙부에 FPC가 통과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ut portion through which the FPC passe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cking jaw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또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상대지지편의 끝단에 상기 FPC지지편을 감싸도록 ㄷ자 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in the U-shape formed to wrap the FPC support piece at the end of the relative support piece.
또한, 상기 핀모듈의 외측면 및 수용홈의 내측면에 서로 대응되는 걸림턱과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n modul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step and the locking proj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s form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플러그하우징(10)과 핀모듈(20) 및 플러그커버(30)로 구성되어 FPC(1)또는 플랫케이블의 끝단에 결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플러그하우징(10)과 플러그커버(30)가 맞닿는면에 FPC지지편(14) 및 상대지지편(32)을 형성하고, 상대지지편(32)에 걸림턱(33)을 형성하여 커넥터에 결합된 FPC(1)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커넥터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상기 플러그하우징(10)은 내측에 후술되는 핀모듈(20)이 삽입되는 수용홈(11)이 형성되고, 전면으로는 플러그와 짝을 이루는 탭이 결합되어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구(12)가 형성되며, 후면으로는 핀모듈(20) 및 플러그커버(30)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삽입구의 후방으로는 FPC지지편(14)이 형성되어 FPC지지편(14)의 일측면에 FPC(1)가 놓여지도록 한다.The
상기 핀모듈(20)은 상기 접속구(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핀(21)이 결합되어 FPC(1)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술한 삽입구 측으로 삽입되어 수용홈(11)의 내측에 고정되면서 접속구(12)를 통해 탭이 결합되도록 하고, 핀모듈(20)의 후방으로 접속핀(21)이 FPC(1)과 납땜 등의 접속방법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핀모듈(20)이 FPC(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The
상기 플러그커버(30)는 상기 핀모듈(20)이 삽입된 플러그하우징(10)의 후방에 고정되어 삽입홈에서 핀모듈(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핀지지부(31)가 형성되고, 핀지지부(31)의 후방으로 상술한 FPC지지편(14)과 맞닿는 상대지지편(32)을 형성하여 FPC지지편(14)과 상대지지편(32)의 사이 공간에 FPC(1)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The
또한, 상기 상대지지편(32)의 끝단에는 FPC지지편(14) 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림턱(33)을 형성함으로써, 커넥터의 측방으로 유입되어 커넥터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면서 FPC지지편(14)과 상대지지편(32)의 사이에 삽입된 FPC(1)가 측방으로 움직일 때 FPC지지편(14)과 상대지지편(32) 사이의 공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by forming a
이에 따라, FPC(1)의 과도한 움직임이 걸림턱(33)에 의해 제한되어 FPC(1)와 접속핀(21)이 분리됨에 따른 접속불량을 방지하여 커넥터가 더욱 안정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excessive movement of the FPC 1 is limited by the
더불어, 상기 핀모듈(20)의 외측면에는 잠금돌기(22)를 형성하고, 잠금돌기(22)와 대응되는 수용홈(11)의 내측면에는 잠금돌기(22)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잠금홈(15)을 형성함으로써, 핀모듈(20)이 플러그하우징(10)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걸림 고정되어 탭에 플러그를 결합할 때 더욱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33)의 중앙부에 FPC(1)가 통과되 는 절개부(331)를 형성하여 커넥터에 결합되는 FPC(1)가 커넥터의 측방으로 연결될 때 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직후방으로 연결될 때에도 절개부(331)의 양 측에 형성된 걸림턱(33)이 FPC(1)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한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includes all of the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incision through which the
이에 따라, 핀모듈(20)과 접속되는 FPC(1)가 플러그하우징(10)의 직후방으로 연결될 때에는 FPC지지편(14)과 상대지지편(32)의 사이에 FPC(1)를 삽입한 후, FPC(1)가 절개부(331)를 통해 외부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방향에서 접속되는 FPC(1)가 커넥터에 견고히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FPC 1 connected to the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상기 걸림턱(33)이 상기 FPC지지편(14)을 감싸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고정편(332)이 형성되도록 한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includes all the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이에 따라, 플러그커버(30)가 플러그하우징(10)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걸림턱(33) 및 고정편(332)이 FPC지지편(14)의 끝단을 감싸면서 상대지지편(32)이 걸림고정되게 되어 FPC지지편(14)과 상대지지편(32)이 과도하게 벌어져 파손되거나 유격에 의해 FPC(1)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걸림턱(33)에 FPC(1)가 걸림 고정되어 FPC(1)가 접속핀(21)에 견고히 접속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도 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3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상기 걸림턱(33)의 중앙부에 FPC(1)가 통과되는 절개부(331)를 형성하여 커넥터에 결합되는 FPC(1)가 커넥터의 측방으로 연결될 때 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직후방으로 연결될 때에도 절개부(331)의 양 측에 형성된 걸림턱(33)이 FPC(1)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한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includes all of the components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ut portion through which the
이에 따라, 핀모듈(20)과 접속되는 FPC(1)가 플러그하우징(10)의 직후방으로 연결될 때에는 FPC지지편(14)과 상대지지편(32)의 사이에 FPC(1)를 삽입한 후, FPC(1)가 절개부(331)를 통해 외부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방향에서 접속되는 FPC(1)가 커넥터에 견고히 결합되게 될 뿐만 아니라, 걸림턱(33) 및 고정편(332)이 FPC지지편(14)을 감싸면서 상대지지편(32)이 걸림고정되게 되어 FPC지지편(14)과 상대지지편(32)이 과도하게 벌어져 파손되거나 유격에 의해 FPC(1)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플러그하우징의 내측으로 핀모듈이 삽입되도록 하고, 핀모듈의 후방으로 핀지지부 및 상대지지편 및 걸림턱이 형성된 플러그커버로 구성하여 형성된 커넥터에 결합되는 FPC가 커넥터에 지지되면서 FPC가 커넥터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핀모듈에 결합된 FPC가 이리저리 움직여 접속핀과 분리되거나, 접촉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in module to be inserted into the plug housing, and the FPC coupled to the connector formed by the plug cover formed with the pin support part and the relative support piece and the locking step to the rear of the pin module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By supporting the FPC is firmly fixed to the connector while being supported, the FPC coupled to the pin module is moved to and fro to have an effect of preventing the contact pin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또한, 본 고안은 걸림턱을 FPC지지편 측으로 수직 절곡되도록 하여 커넥터의 후측방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결합되는 FPC가 견고히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FPC의 배열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커넥터를 연결할 때에도 FPC가 견고히 지지되어 접속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bent vertically to the side of the FPC support piece so that the FPC is bent vertically in the rear side of the connector to be firmly supported, FPC is firmly supported when connecting the connector in various directions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FPC As a result, the connection is more stable.
또한, 본 고안은 걸림턱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하나의 커넥터로 커넥터의 후측방 및 직후방으로 결합되는 FPC가 견고히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커넥터로 다양한 위치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locations using a single connector by forming a cut in the locking jaw to ensure that the FPC coupled to the rear and right of the connector with a single connector is firmly supported. .
또한, 본 고안은 걸림턱이 FPC지지편을 감싸도록 하여 걸림턱이 상대지지편에 견고히 결합되어 지지편과 상대지지편 사이의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FPC지지편이 커넥터에 더욱 견고히 고정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locking jaw wraps the FPC support piece so that the locking jaw is firmly coupled to the relative support piece so as not to open the gap between the support piece and the relative support piece, so that the FPC support piece is more firmly fixed to the connector. Will have
또한, 본 고안은 잠금돌기와 잠금홈을 형성하여 핀모듈이 플러그하우징의 내측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커넥터의 조립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 질 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반복적인 착탈에도 핀모듈이 상시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안정적인 접속을 수행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locking protrusion and a locking groove so that the pin module is firmly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plug housing, so that the assembly of the connector is more convenient, and the pin module is always fixed at a constant position even after repeatedly removing the connector. This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a stable connection.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5784U KR200410014Y1 (en) | 2005-12-20 | 2005-12-20 |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5784U KR200410014Y1 (en) | 2005-12-20 | 2005-12-20 | connec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0014Y1 true KR200410014Y1 (en) | 2006-03-03 |
Family
ID=41760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5784U Expired - Lifetime KR200410014Y1 (en) | 2005-12-20 | 2005-12-20 |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0014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08294A (en) * | 2018-06-21 | 2018-11-13 | 迈格仪表(成都)有限公司 | A kind of anti-loose redundancy plug |
-
2005
- 2005-12-20 KR KR2020050035784U patent/KR200410014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08294A (en) * | 2018-06-21 | 2018-11-13 | 迈格仪表(成都)有限公司 | A kind of anti-loose redundancy plug |
CN108808294B (en) * | 2018-06-21 | 2024-03-15 | 迈格仪表(成都)有限公司 | Anti-loosening redundant plu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40733B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JP5836715B2 (en) | Shield connector | |
JP4665674B2 (en) | connector | |
JP2006302901A (en) | Substrate-to-substrate connector equipped with improved terminal contact | |
JP2007180008A (en) | Connector plug | |
JP5809203B2 (en) | Flat 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 |
US11146004B2 (en) | Connector assembly | |
JP6702713B2 (en) | connector | |
JP2018120686A (en) | connector | |
JP2000251963A (en) | Small-sized connector | |
TW200908476A (en) | Connector and structure of connector terminal | |
JP2007165307A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5437498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9306321B2 (en) | Electric connector | |
JP2007134301A (en) | Perpendicular fitting female terminal and housing with same mounted thereon | |
JP2004095346A (en) |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for use with the same | |
US11901662B2 (en) | Connector housing, a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 |
TW202247540A (en) | Electrical wire connector and wire-to-board connector | |
JP4854583B2 (en) | Connector cover | |
KR200410014Y1 (en) | connector | |
KR20190061888A (en) | High speed connector | |
JP4987624B2 (en) | Split connector | |
KR102768644B1 (en) | connector | |
KR200467964Y1 (en) | Connector assembly | |
US20250062567A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rotection Co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1220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2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122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22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6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