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9636Y1 - Pendant Compound Air Cleaner - Google Patents

Pendant Compound Ai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636Y1
KR200409636Y1 KR2020050034366U KR20050034366U KR200409636Y1 KR 200409636 Y1 KR200409636 Y1 KR 200409636Y1 KR 2020050034366 U KR2020050034366 U KR 2020050034366U KR 20050034366 U KR20050034366 U KR 20050034366U KR 200409636 Y1 KR200409636 Y1 KR 2004096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ir
filter
installed inside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36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주성
Original Assignee
윤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주성 filed Critical 윤주성
Priority to KR2020050034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63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636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이 고안은, 필터 방식과 음이온 방식을 복합적으로 사용하고 공기의 흐름을 바꾸어 부유먼지를 능동적으로 필터링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공기 청정효율을 높이고, 향나무를 이용하여 산림욕 효과를 줄수가 있으며, 선택적으로 가습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펜던트형 복합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This design combines the filter method and the anion method and changes the flow of air to actively filter the floating dust, thereby improving the air-cleaning efficiency relatively and using the juniper to provide the forest bath effect. As a pendant compound air cleaning device, which can be added,

외주면에 걸림홈에 형성된 토출구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기와,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청정기 주변의 공기가 강제로 순환되도록 하는 모터팬과,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톤치드를 발산함으로써 산림욕의 효과를 제공하는 향나무판과,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 분진을 걸러주는 활성탄 필터와, 천정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연결되어 청정기가 매달리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한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분진을 1차적으로 걸러주는 필터와, 상기한 케이스의 토출구의 걸림홈에 상부가 연결되며 공기의 방향을 바꾸어주는 날개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방향 절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case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locking groov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negative ion generator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generate negative ions, and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force circulation of air around the cleaner A motor fan, a cedar board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provide a forest bath effect by releasing a phytoncide, an activated carbon filter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filter out suspended dust contained in the air, and a ceiling The suppor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se and connected to the base to be installed, and the floating dust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to the inside of the case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The upper part is connected to the filtering filter and the locking groove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case and the direction of air is That lend to the wing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comprises an air-direction selector.

펜던트, 청정기, 케이스, 부유분진, 활성탄 필터, 음이온발생기  Pendant, Purifier, Case, Floating Dust, Activated Carbon Filter, Anion Generator

Description

펜던트형 복합 공기청정장치{Pendant type air cleaner}Pendant type air cleaner {Pendant type air cleaner}

도 1은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던트형 복합 공기청정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ndant composit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던트형 복합 공기청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ndant composit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던트형 복합 공기청정장치의 공기방형 절환기의 사시 구성도이다.3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deflector of a pendant composit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던트형 복합 공기청정장치의 가습기의 사시 구성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of a humidifier of the pendant composit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케이스 2 : 음이온 발생기1: case 2: negative ion generator

3 : 모터팬 4 : 향나무판3: motor fan 4: juniper board

5 : 활성탄 필터 6 : 지지대5: activated carbon filter 6: support stand

7 : 필터 8 : 베이스7: filter 8: base

9 : 공기방향 절환기 10 : 가습기9: air direction changer 10: humidifier

이 고안은 공기 청정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필터 방식과 음이온 방식을 복합적으로 사용하고 공기의 흐름을 바꾸어 부유먼지를 능동적으로 필터링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공기 청정효율을 높이고, 향나무를 이용하여 산림욕 효과를 줄수가 있으며, 선택적으로 가습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펜던트형 복합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design is related to the field of air purifiers. More specifically, it uses a combination of a filter method and an anion method, and changes air flow to actively filter suspended dust, thereby improving air cleaning efficiency and using a juniper tree for a forest bath eff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dant compound air purifier, which can provide a humidification function.

현대인은 생활의 90% 이상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으며, 실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은 건강에 커다란 위협이 되고 있다. 미국 환경보호국(EPA)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가정이나 사무실의 공기오염도는 실외보다 2~5배, 경우에 따라서는 100배 이상 높다고 하는데, 이와 같은 이유는 밀폐된 실내에서는 미생물이나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이 지속적으로 누적되기 때문이다. 호흡기 계통(알레르기나 천식)의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공기 중에 떠 있는 부유물질에 의해 가장 먼저 영향을 받게 되는데,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0.3미크론 이하의 미세한 입자들은 그 크기가 아주 작기 때문에 허파 속 깊은 곳까지 침투하여 우리의 면역체계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와 같이 신축건물이 많은 환경에서는 페인트나 벽지 등 건축자재로부터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물질(VOC) 역시 건강에 커다란 위협이 되고 있다. Modern people spend more than 90% of their lives indoors, and pollutants in indoor air are a major threat to health. According to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air pollution in homes and offices is two to five times higher than outdoors and in some cases more than 100 times higher. This is because it is constantly accumulating. People with problems with the respiratory system (allergy or asthma) are first affected by suspended solids in the air. Recent studies show that microscopic particles below 0.3 microns are very small in size. It has been shown to penetrate the body and seriously affect our immune system. In addition, volatile organic substances (VOCs) generated from building materials such as paint and wallpaper are also a serious threat to health in many new buildings such as Korea.

공기 청정기는 이와 같이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로서 오염된 공기를 모터팬으로 흡입하고 필터에 의해 0.01μm정도까지의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를 집진하며 악취를 탈취하게 되는데, 상기한 공기청정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공기청정 방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The air purifier is a device that purifies the contaminated indoor air and converts it into fresh air. The contaminated air is sucked into the motor fan, and dust and microorganisms of 0.01 μm are collected by the filter to deodorize the odor. The various air cleaning methods used in the air cleaner are summarized as follows.

가. 오존 방식 end. Ozone method

일정 농도 이상의 오존은 살균력과 탈취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체에 무해할 정도로 미량의 오존을 사용할 경우에는 공기청정 능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입증됨에 따라, 공기청정능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인체에 유해한 정도의 오존을 사용하게 되는데, 세계의 저명한 건강관련기관(EPA, Health Canada, American Lung Association)에서는 미세한 오존이라도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Ozone above a certain concentration is known to provide bactericidal and deodorizing power. However,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use of a small amount of ozone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proves that there is almost no air cleaning ability, and in order to have air cleaning ability, the ozone that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is used. Related agencies (EPA, Health Canada, American Lung Association) warn that even minute ozone can be harmful to humans.

나. 전기 집진식 I. Electric dust collection

전기 집진식은 정기적으로 청소를 하여야 하며, 사용 후 얼마 지나지 않아 20% 이하까지 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지며, 가스나 냄새를 제거하지 못하고, 알레르기 유발입자와 같이 큰 입자에 대해서는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Electrostatic precipitating should be cleaned regularly, and after a short time of use, the efficiency drops sharply to 20% or les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remove gas or odor and is not effective for large particles such as allergens.

다. UV 라이트 방식 All. UV light method

특정한 파장의 UV 라이트는노출시간과 강도만 적절하면 미생물을 죽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공기를 살균하는 데는 별로 신뢰할만하지 않으며, 건강상의 위험요소를 증대시키고 처리문제와 비용의 증가 등의 문제가 있다. 일부 제조사에서 UV 라이트를 사용하는 이유는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거나 미생물을 죽이기 보다는 램프 교체를 통한 이익의 추구에 있다. 또한, 냄새나 가스를 제거하지 못하고, 세계의 많은 건강관련기관에서는 낮은 신뢰성과 UV 라이트에 대한 그릇된 믿음 등의 부작용을 우려하여 UV 라이트를 살균용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권유하고 있다. UV light of a certain wavelength is known to kill microorganisms only if the exposure time and intensity are appropriate, but it is not very reliable for sterilizing air,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increasing health risks, increasing processing problems and increasing costs. The reason why some manufacturers use UV light is in pursuit of the benefits of lamp replacement rather than increasing system efficiency or killing microbes. In addition, odors and gases cannot be removed, and many health-related organizations around the world are recommending not using UV light for sterilization due to side effects such as low reliability and false belief in UV light.

라. 광촉매 방식(PCO) la. Photocatalytic Method (PCO)

이 기술은 아직 초보 단계에 있으며 입상 방식의 활성탄(GAC)만큼 효과적으로 가스오염물질을 제거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e technology is still in its infancy and is not known to remove gas pollutants as effectively as granular activated carbon (GAC).

마. 음이온 방식 hemp. Negative ion method

음이온 방식은 음이온에 의해 공기 중의 미세입자를 대전시켜 벽이나 가구와 같은 물체의 표면에 부착시키거나 입자끼리 결합하여 바닥으로 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음이온 방식은 실제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벽이나 가구, 커튼 등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The negative ion method charges fine particles in the air by negative ions and attaches them to the surface of an object such as a wall or a furniture, or combines particles to fall to the floor. However, since the negative ion method does not actually remove contaminants, there is a problem of contaminating walls, furniture, curtains, and the like.

바. 필터 방식 bar. Filter method

헤파(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rrestor) 필터는 제2차 세계대전 때 원자로의 배출물로부터 방사능 입자가 방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높은 집진효율로 인해 산업, 의학,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클린룸의 핵심기술이 되었다. 헤파필터는 공기를 통한 감염관리에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 인정 받아(WHO, CDC) 전세계의 병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헤파필터는 직경이 1미크론 보다도 작은 유리섬유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0.3미크론 이상의 입자에 대한 제거효율이 99.97% 이상 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rrestor (HEPA) filters were developed to prevent the release of radioactive particles from nuclear reactor emissions during World War II. It became. Hepa filters are widely used in hospitals around the world, recognized as the most effective means of airborne infection control (WHO, CDC). The HEPA filter is manufactured using glass fibers smaller than 1 micron in diameter, and the removal efficiency for particles larger than 0.3 micron is specified to be 99.97% or more.

하지만 업계에서 널리 인용되는 99.97%라는 효율이 공기청정기에서 얻을 수 있는 실질효율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헤파방식 공기청정기의 대부분은 저급한 필터의 채택이나 필터미디어와 프레임 또는 필터프레임과 제품케이스 사이의 유격에 의해 실질효율이 50-95%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미국의 질병관리 및 예방센터 (CDC)는 헤파필터의 효율에 대한 정보를 공기청정기 제조회사가 문서로 제공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However, the 99.97% efficiency widely quoted in the industry does not guarantee the real efficiency achievable with air cleaners. Most HEPA air cleaners have only 50-95% real efficiency due to the use of low quality filters or the clearance between the filter media and the frame or filter frame and the product case.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recommends that air cleaner manufacturers provide documentation on the efficiency of HEPA filters.

고성능이라는 헤파필터의 이미지를 상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헤파-타입이라고 불리는 필터를 사용하기도 한다. In order to commercially use the image of the high performance hepa filter, a filter called hepa-type is used.

그러나 이런 류의 헤파-타입 필터는 값은 저렴한 반면 헤파필터에 비해 효율이 월등히 떨어지기 때문에 미국폐협회(ALA)에서는 0.3미크론의 입자에 대한 이들 필터의 실질효율은 55%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However, because this type of hepa-type filter is cheaper and is much less efficient than the hepa filter, the American Lung Association (ALA) warns that the actual efficiency of these filters for 0.3 micron particles is less than 55%. have.

근래에는 헤파필터보다 한단계 높은 울파(ULPA, Ultra Low Penetration Absolute)필터가 고품질의 1등급을 요하는 반도체와 생화학시장, 클린룸 등에서 오랫동안 이용되어왔으며, 헤파필터의 0.3 미크론(micron) 효능범위에 비교해볼 때 울파필터의 효능범위는 0.1~0.01micron으로 까지 규정된 한단계 진전된 제품으로서, 미세먼지, 바이러스, 박테리아, 비듬, 곰팡이, 꽃가루, 라돈 붕괴산물, 각종 매연 등 0.1㎛이상 99.999%(five nine)~99.9999%(six nine)까지 제거한다.Recently, ULPA (Ultra Low Penetration Absolute) filters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in semiconductors, biochemical markets, and clean rooms that require high quality first grade, and compared to 0.3 micron efficacy range of HEPA filters. The effect range of Ulfa filter is 0.1 ~ 0.01micron, which is a step up product, and it is over 99㎛ 99.999% (five nine) including fine dust, virus, bacteria, dandruff, mold, pollen, radon decay products and various soot. ) To 99.9999% (six nine).

이와 같이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상기 열거한 바와 같은 여러가지 공기청정 방식중에서 하나의 공기청정 방식을 선택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필터방식이 그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selects and applies one air cleaning method from the various air cleaning methods as listed above, and the filter method occupies the mainstream.

그러나,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하나의 공기청정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공기청정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ir cleaner has a problem in that the air cleaning efficiency is relatively lowered because one air cleaning method is used.

또한,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부유 먼지를 수동적으로 필터링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공기 청정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passively filters the floating dus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ir cleaning efficiency is relatively lowered.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터 방식과 음이온 방식을 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공기 청정효율을 높인 펜던트형 복합 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pendant composite air cleaning device with a relatively high air cleaning efficiency by using a combination of a filter method and an anion metho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공기의 흐름을 바꾸어 부유먼지를 능동적으로 필터링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공기 청정효율을 높인 펜던트형 복합 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ndant composite air cleaning device having a relatively high air cleaning efficiency by actively filtering floating dust by changing air flow.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향나무를 이용하여 산림욕 효과를 줄수가 있으며, 선택적으로 가습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펜던트형 복합 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rest bath effect using the juniper, to provide a pendant composite air cleaning device that can selectively add a humidification func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고안의 구성은, 외주면에 걸림홈에 형성된 토출구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기와,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청정기 주변의 공기가 강제로 순환되도록 하는 모터팬과,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톤치드를 발산함으로써 산림욕의 효과를 제공하는 향나무판과,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 분진을 걸러주는 활성탄 필터와, 천정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연결되어 청정기가 매달리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한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분진을 1차적으로 걸러주는 필터와, 상기한 케이스의 토출구의 걸림홈에 상부가 연결되며 공기의 방향을 바꾸어주는 날개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방향 절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in which a discharge port formed in a locking groov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an anion generator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generate negative ions, and the case described above. A motor fan installed inside the casing to force the air around the purifier to be forced to circulate, a cedar board installed inside the casing to provide the effect of a forest bath by releasing a phytoncide, and an air installed inside the casing Activated charcoal filter to filter the suspended dust contained in, and the support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se connected to the base installed on the ceiling to hang the purifier, and the case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A filter for filtering the suspended dust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to the primary filter; The upper is connected to the locking groove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device and comprises an air-direction selector, which is a wing that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air formed in the bottom.

이 고안의 구성은, 상기한 공기방향 절환기 대신에 가습기가 설치되며, 상기한 가습기는 상기한 케이스의 토출구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에 안착되는 지지대와, 상기한 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담겨 있고 외부에 물심지가 설치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umidifier is installed in place of the air direction changer, the humidifier is installed on the support seat which is formed in the engaging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case,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arrier containing water therein and a wick installed therein.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고안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 Other objects, features, and operational advantages, including the purpose, operation, and effect of this desig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For refere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only presented by selecting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from among the various possible examples to help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or limited only by this embodiment In addition, various changes, addi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other embodiments that are equally clear.

도 1은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던트형 복합 공기청정장치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던트형 복합 공기청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pendant composit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endant composit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던 트형 복합 공기청정장치의 구성은, 외주면에 걸림홈(11)에 형성된 토출구(12)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와, 상기한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기(2)와, 상기한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어 청정기 주변의 공기가 강제로 순환되도록 하는 모터팬(3)과, 상기한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톤치드를 발산함으로써 산림욕의 효과를 제공하는 향나무판(4)과, 상기한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 분진을 걸러주는 활성탄 필터(5)와, 천정에 설치되는 베이스(8)와 연결되어 청정기가 매달리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케이스(1)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6)와, 상기한 케이스(1)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한 케이스(1)의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분진을 1차적으로 걸러주는 필터(7)와, 상기한 케이스(1)의 토출구(12)의 걸림홈(11)에 상부가 연결되며 공기의 방향을 바꾸어주는 날개(91)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방향 절환기(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configuration of the pendant composit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12 formed in the locking groove 11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 an anion generator (2) installed inside the case (1) to generate negative ions, and a motor fan installed inside the case (1) to force air around the purifier to circulate forcibly (3), a juniper board (4) provided inside the case (1) to provide an effect of a forest bath by dissipating a phytoncide, and floating suspended in the air provided in the case (1). Activated charcoal filter (5) for filtering dust, a support (6)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se (1) to be connected to the base (8) installed on the ceiling to hang the purifier, and the case (1) Inside of the case (1) The upper part is connected to the filter (7) for filtering the suspended dust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and the locking groove 11 of the discharge port 12 of the case (1)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air The wing 91 comprises an air direction switch 9 formed at the bottom.

도 3은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던트형 복합 공기청정장치의 공기방형 절환기의 사시 구성도이다.3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deflector of a pendant composit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던트형 복합 공기청정장치의 공기방형 절환기(9)의 구성은, 상기한 케이스(1)의 토출구(1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1)에 안착되는 지지대(93)와, 상기한 지지대(93)의 하단에 경첩(92)을 이용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날개(9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deflector 9 of the pendant composit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12 of the case 1. It comprises a support 93 which is seated in the engaging groove 11, and the wing 91 is installed to enable the angle adjustment using a hinge 92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93).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던트형 복합 공기청정장 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ction of the pendant composit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전원이 인가되면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팬(3)이 회전되면서 청정기 주변의 공기가 강제로 순환된다.When power is applied, the air around the purifier is forced to circulate while the motor fan 3 installed inside the case 1 rotates.

이때 필터(7)는 상기한 케이스(1)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한 케이스(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분진을 1차적으로 걸러준다.At this time, the filter 7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1 to primarily filter the floating dust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case (1).

필터(7)에 의해 1차적으로 걸러진 공기는 활성탄 필터(5)를 거치면서 활성탄 필터(5)에 의해 2차적으로 걸러지면서 살균작용이 이루어진다.The air filtered primarily by the filter 7 is secondaryly filtered by the activated carbon filter 5 while passing through the activated carbon filter 5 to effect sterilization.

이와 같이 활성탄 필터(5)를 거친 공기는 향나무판(4)으로부터 발산되는 피톤치드와 섞여지고 음이온발생기(2)로부터 발생되는 음이온과 섞여지게 됨으로써 산림욕 효과를 줄 수 있는 청정공기로 변환되어 토출구(12)를 통하여 케이스(1)의 외부로 토출된다.As su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ctivated carbon filter 5 is mixed with phytoncide emitted from the juniper board 4 and mixed with the anion generated from the anion generator 2 to be converted into clean air which can give a forest bath effect to the discharge hole 1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

상기한 케이스(1)의 토출구(12)의 하부에는 공기방향 절환기(9)가 설치되어 있어서 토출구(12)로부터 토출되는 청정공기를 위쪽으로 반사시켜서 올려줌으로써 청정기 주변에 공기의 와류를 형성하여 청정기 주변의 공기가 쉽게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An air direction changer 9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discharge port 12 of the case 1 to reflect the upward of the clean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 and to raise the vortex of air around the cleaner. The air around the purifier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purifier.

상기한 공기방향 절환기(9)는 날개(91)가 경첩(92)을 이용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위로 반사되는 공기의 각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e air direction changer 9 allows the user to arbitrarily adjust the angle of the air reflected upwards by allowing the wing 91 to be angle-adjustable using the hinge 92.

한편, 상기한 공기방향 절환기(9)의 대신에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가습기(10)를 토출구(12)의 하부에 설치하게 되면, 토출구(12)로부터 토출되는 청 정공기에 의해 가습기(10)의 내부에 담겨져 있는 물이 미립자화되어 공중으로 분산됨으로써 가습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umidifier 10 as shown in FIG. 4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12 instead of the air direction switch 9,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 The water contained in the humidifier 10 is dispersed into the air to generate a humidification effect.

도 4는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던트형 복합 공기청정장치의 가습기의 사시 구성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of a humidifier of the pendant composit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던트형 복합 공기청정장치의 가습기(10)는, 상기한 케이스(1)의 토출구(1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1)에 안착되는 지지대(103)와, 상기한 지지대(103)의 하단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담겨 있고 외부에 물심지(102)가 설치되는 담체(1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4, the humidifier 10 of the pendant composit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cking groove 1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12 of the case 1. The support 103 is seated on the) and the support 101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103, the water contained therein and the water wick 102 is installed on the outside.

사용자는 공기방향 절환기(9)와 가습기(10) 중에서 필요에 따라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하여 사용할 수가 있음으로써 좀더 다양한 목적으로 공기청정장치를 이용할 수가 있게 된다.The user can select and install one of the air direction changer 9 and the humidifier 10 as necessary to use the air cleaning device for various purposes.

이와 더불어, 베이스(8)에는 전원이 설치되며, 청정기를 매다는 지지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베이스(8)의 내부에 모터 및 풀리를 설치하여 청정기의 펜던트 길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ase 8 is provided with a power source, and not only serves to support the purifier, but also to install a motor and a pulley in the base 8 so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adjust the pendant length of the purifier. Do.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이 고안은, 필터 방식과 음이온 방식을 복합적으로 사용하고 공기의 흐름을 바꾸어 부유먼지를 능동적으로 필터링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공기 청정효율을 높이고, 향나무를 이용하여 산림욕 효과를 줄수가 있으며, 선택적으로 가습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this design uses a combination of a filter method and an anion method, and changes air flow to actively filter suspended dust, thereby improving air clean efficiency and using a juniper to provide a forest bath effect. There is an effect, which can optionally add a humidification function.

Claims (2)

외주면에 걸림홈에 형성된 토출구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A case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locking groov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기;An anion generator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generate an anion;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청정기 주변의 공기가 강제로 순환되도록 하는 모터팬;A motor fan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forcibly circulate air around the cleaner;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톤치드를 발산함으로써 산림욕의 효과를 제공하는 향나무판;A juniper board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provide an effect of the forest bath by emitting phytoncide;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 분진을 걸러주는 활성탄 필터;An activated carbon filter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filter suspended dust contained in air; 천정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연결되어 청정기가 매달리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A support that is connected to the base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installed above the case to suspend the purifier; 상기한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분진을 1차적으로 걸러주는 필터; 및A filter installed outside of the case to filter out floating dust contained in air introduced into the case; And 상기한 케이스의 토출구의 걸림홈에 상부가 연결되며 공기의 방향을 바꾸어주는 날개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방향 절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던트형 복합 공기청정장치.Pendant type composite air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engaging groove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case and comprises an air direction changer is formed at the lower wing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ai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한 공기방향 절환기 대신에 가습기가 설치되며, 상기한 가습기는A humidifier is installed in place of the air direction changer, and the humidifier 상기한 케이스의 토출구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에 안착되는 지지대와, 상기한 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담겨 있고 외부에 물심지가 설치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던트형 복합 공기청정장치.Pendant ty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seated in the engaging groov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case, the carrier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and the water wick is installed inside Compound air cleaner.
KR2020050034366U 2005-12-06 2005-12-06 Pendant Compound Air Cleaner Expired - Fee Related KR20040963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366U KR200409636Y1 (en) 2005-12-06 2005-12-06 Pendant Compound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366U KR200409636Y1 (en) 2005-12-06 2005-12-06 Pendant Compound Air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636Y1 true KR200409636Y1 (en) 2006-02-24

Family

ID=41760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36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09636Y1 (en) 2005-12-06 2005-12-06 Pendant Compound Ai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63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543B1 (en) 2009-09-07 2009-12-29 코코제니 Humidifier with Phytoncide Volatiliz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543B1 (en) 2009-09-07 2009-12-29 코코제니 Humidifier with Phytoncide Volatiliz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17040C (en) Air purifying device
US5616172A (en) Air treatment system
CN201612874U (en) A kind of indoor air purifier
JP7664932B2 (en)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unit
CN101069752A (en) air purification device
CA2424685A1 (en) Air filtration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a fireplace
CN111727348A (en) Air sterilizer unit
KR101663962B1 (en) Air purifying device of air cleaner
KR20150015880A (en) The bad smell removing method of an air cleaner and thereof device
KR20210065023A (en) Integrated type air purifying module with germicidal, ionizing, and phtocatalytic function
CN102029096A (en) Air cleaner
CN2653356Y (en) Indoor air sterilizing device
KR20180012021A (en) Disinfection-type air purification system
KR20210090578A (en) Air cleaner
CN104613551A (en) Air purifier
KR101584056B1 (en) air purifier
KR200409636Y1 (en) Pendant Compound Air Cleaner
KR200371836Y1 (en) Air cleaner using filter
CN2621271Y (en) Sterilizing air purifier
KR20210091072A (en) Air cleaner
JP2004125328A (en) Positive pressure air cleaning system
KR101980073B1 (en) Lamp with air purifying function
EP3909618A1 (en) Air sanitising device
KR102594289B1 (en)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device with the ability to remove fine dust, bacteria, and viruses
KR20240004017A (en) Fan filter unit for air purification steriliz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120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12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7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1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