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427Y1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9427Y1 KR200409427Y1 KR2020050034057U KR20050034057U KR200409427Y1 KR 200409427 Y1 KR200409427 Y1 KR 200409427Y1 KR 2020050034057 U KR2020050034057 U KR 2020050034057U KR 20050034057 U KR20050034057 U KR 20050034057U KR 200409427 Y1 KR200409427 Y1 KR 20040942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
- cleaning
- driving force
- motor
- brush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11538 clean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0238876 Acari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26 pur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carpet or duv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08 swee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3—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ols, e.g. vibrators, agitators, b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청소기는, 바디와, 상기 바디와 연결된 헤드와, 상기 바디에 설치되어 청소물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팬과 모터로 이루어진 청소용 송풍기와, 바닥을 탁탁 두들 수 있는 타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청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a head connected to the body, a cleaning blower having a fan and a motor installed on the body to generate a suction force for sucking the cleaning material, and the floor can be tapped. Since it comprises a hitting mea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lean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청소기, 바디, 헤드, 송풍기, 제트 터보 스크류, 타격수단 Cleaners, bodies, heads, blowers, jet turbo screws, blowers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청소기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lea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청소기의 바디가 도시된 개략도,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ody of a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청소기의 바디에 구비된 송풍기를 나타낸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wer provided in the body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청소기의 헤드가 도시된 개략도,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head of a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청소기의 헤드에 구비된 타격수단을 나타낸 도면,6 is a view showing a hitting means provided in the head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헤드에 구비된 타격수단을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the hitting means provided in the head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헤드에 구비된 타격수단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striking means provided in the head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 바디 54 : 집진실50: body 54: dust collecting chamber
60 : 청소용 송풍기 70 : 청소용 필터60: cleaning blower 70: cleaning filter
80 : 공기정화수단 100 : 헤드80: air purification means 100: head
102 : 제1브러시 104 : 제2브러시102: first brush 104: second brush
110 : 모터 130 : 타격 봉110: motor 130: blow rod
140 : 구동력방향 전환수단 140: driving force direction switching means
본 고안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풍기가 제트 터보 스크류 구조로 구비되고, 헤드에 바닥을 두들길 수 있는 타격수단이 구비되어 청소 성능이 월등한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in particular, a blower is provided with a jet turbo screw structure, the head is provided with a hitting means capable of hitting the floor, and relates to a cleaner with superior cleaning performan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청소기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lea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 기술에 따른 청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2)와 먼지 등과 같은 청소물을 수거하는 집진봉지(4) 등이 내장된 바디(10)와, 상기 바디(10)와 연결되어 공기와 함께 청소물이 흡입되는 헤드(20)로 구성된다.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ure 1, the
상기 송풍기(2)는 통상 하나의 원심 팬과, 상기 원심 팬을 구동시키는 팬 모터로 구성된다.The
상기 헤드(20)에는 공기와 함께 청소물이 흡입될 수 있는 흡입구(20a)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20)의 흡입구(20a)에는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해 바닥에 쌓여있는 청소물을 털어 부양시키는 브러시(22)가 회전 가능토록 설치된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청소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follows.
상기 송풍기(2)가 구동되면,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되어 상기 헤드(20)를 통해 공기와 함께 청소물이 흡입된다. 상기 공기와 함께 흡입된 청소물은 상기 집진봉지(4)에 수거되고, 공기는 다시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청소가 이루어진다.When th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청소기는, 상기 송풍기(2)의 흡입력이 바닥에 강력하게 붙어 있는 청소물까지 수거할 수 있을 정도록 강력하지 않고, 특히 카페트 또는 이불 등 직물 속 먼지나 진드기까지 청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is not so powerful that the suction power of the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송풍기의 흡입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직물 속 먼지나 진드기까지 깔끔하게 흡입할 수 있어서 청소 성능이 향상된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improve the suction power of the blower, it is also possible to cleanly suck dust and mites in the fabric to provide a cleaner with improved cleaning performanc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청소기는, 청소물이 수거되는 집진실이 구비된 바디와; 상기 바디와 연결되고 청소물이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 된 헤드와; 상기 바디에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팬과 모터로 이루어진 청소용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용 송풍기의 팬은 다수개가 직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body is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chamber for cleaning matter; A head connected to the body and having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cleaning material is sucked; It is installed in the body and comprises a cleaning blower consisting of a fan and a motor to generate a suction force; The fan of the cleaning blow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is arranged in series.
상기 청소용 송풍기의 팬은 직렬 배치된 다수개가 한 조를 이루고, 적어도 두 조 이상이 병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n of the cleaning blow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in series arranged in a pair, at least two or more pairs arranged in parallel.
상기 청소용 송풍기의 팬은 한 조의 팬들이 하나의 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청소용 송풍기의 모터는 각 조의 축과 일대일 연결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n of the cleaning blower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fan is provided so that a pair of fans are connected to one shaft, the motor of the cleaning blower is connected one-to-one with the shaft of each pair.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청소기는, 청소물이 수거되는 집진실이 구비된 바디와; 상기 바디에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청소용 송풍기와; 상기 바디와 연결되고 청소물이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헤드와; 상기 헤드에 설치되어 바닥을 두들길 수 있는 타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body is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chamber for cleaning matter; A cleaning blower installed at the body to generate suction power; A head connected to the body and having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cleaning material is suck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riking means installed on the head to beat the floor.
상기 타격수단은 모터와, 바닥을 두들길 수 있도록 상기 헤드에 상하 이동 가능토록 결합된 타격 봉과,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타격 봉에 전달하는 구동력방향 전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riking means includes a motor, a striking rod coupled to the head so as to be able to knock the floor, and a driving force direction switching means for conver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into a vertical reciprocating mo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striking rod. .
상기 헤드의 흡입구에는 브러시가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브러시의 회전시 상기 헤드 밖으로 나오는 브러시 모와 간섭되어 상기 브러시가 털어질 수 있게 하는 브러시용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ction port of the head is coupled to the brush so as to be rotatab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brush projection for allowing the brush to be brushed out to interfere with the brush bristle coming out of the head when the brush is rotated.
상기 브러시는 브러시 모가 정전기에 의해 바닥에 쌓인 청소물을 흡착할 수 있도록 정전기 발생부재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rus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ush bristle is formed of an electrostatic generating member so as to adsorb the cleaning material accumulated on the floor by static electricity.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청소기는 크게 바디(50)와, 상기 바디(50)와 흡입관(51)을 통해 연결되어 바닥에 쌓여있는 청소물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헤드(100)로 구분된다.As shown in Figure 2 and 4,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hrough th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청소기의 바디가 도시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청소기의 바디에 구비된 송풍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ody of a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wer provided in the body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바디(50)에는 일측에 상기 흡입관(51)이 연결되는 바디 흡입구(50a)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바디(50)로 흡입된 공기가 여과 후 토출되는 바디 토출구(50b)가 형성된다. The
상기 바디(50)의 하측에는 상기 바디(50)의 이동이 용이토록 바퀴(52)가 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side of the
상기 바디(50)의 내부에는 상기 헤드(100)를 통해 흡입된 청소물이 수거되고 공기는 여과 후 통과되는 집진실(54)과, 상기 헤드(100)를 통해 청소물이 공기와 함께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관(51)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청소용 송풍기(60)가 설치된다.The cleaning material sucked through the
상기 집진실(54)은 통상적인 먼지 봉투 또는 집진통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바디(50)에 착탈된다.The
상기 청소용 송풍기(60)는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62)과, 상기 팬(62)과 회전축(63)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팬(62)을 회전시키는 모 터(64)로 구성된다.The
상기 청소용 송풍기(60)의 팬(62)은 강한 흡입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다수개가 축 방향으로 일렬, 즉 직렬 배치되어 제트 터보 스크류 방식으로 구비된다.The
상기 청소용 송풍기(60)의 팬(62)은 직렬 배치된 다수개가 하나의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한 조를 이루고, 적어도 두 조 이상이 병렬 배치되며, 상기 청소용 송풍기(60)의 모터(64)는 각 조의 회전축과 일대일 연결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청소용 송풍기(60)는 상기 청소용 송풍기(60)의 모터(64)가 작은 용량으로 다수개 구비됨으로써, 큰 용량으로 1개 구비된 경우보다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이 때 상기 청소용 송풍기(60)의 팬(62)은 공기 흡입구(66a)와 공기 토출구(66b)가 각각 구비된 팬 하우징(66)에 의해 보호되는데, 상기 팬 하우징(66)의 공기 흡입구(66a)는 상기와 같이 청소용 송풍기(60)의 팬(62)이 다수 조로 구비된다면, 상기 각 조의 팬(62)들과 일대일 대응될 수 있도록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바디(50)에는 상기 바디(50)에 흡입된 공기가 여과된 후 상기 바디(50)의 바디 토출구(50b)를 통해 상기 바디(5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청소용 필터(70)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청소용 필터(70)는 소비자에 의해 손쉽게 교환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50)에 착탈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즉, 상기 바디(50)에는 일면이 개구된 슬라이딩 홈(50c)이 형성되고, 상기 청소용 필터(70)는 상기 바디(50)의 슬라이딩 홈(50c)에 삽입되거나 탈거될 수 있 다.That is, the
또 한편, 상기 바디(50)에는 상기 바디(50)의 상부에 형성된 정화용 흡입구(50d)를 통해 상기 바디(50)로 직접 공기를 흡입하여 집중 여과시킨 후, 다시 상기 바디 토출구(50b)를 통해 상기 바디(50)의 외부로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바디(50)가 놓은 공간을 정화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수단(80)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공기정화수단(80)은 상기 바디(50)에 흡입된 공기를 집중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용 필터(82)와, 상기 바디(50)가 놓인 공간의 공기가 상기 공기정화용 필터(82)에 의해 여과될 수 있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공기정화용 송풍기(84)로 구성될 수 있다.The air purifying means 80 is an air purifying
상기 공기정화용 필터(82)는 공기정화 목적으로 흡입된 공기를 여과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청소용 필터(70)보다 용량이 크고, 성능이 더 좋은 것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air purifying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청소기의 헤드가 도시된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청소기의 헤드에 구비된 타격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head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4,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striking means provided on the head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헤드(100)는 바닥에 청소물이 공기와 함께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100a)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흡입관(51)과 연결될 수 있는 흡입관 연결구(100b)가 형성된다.The
상기 헤드(100)의 흡입구(100a)에는 전방에 바닥의 청소물이 상기 헤드(100) 의 흡입구(100a)로 잘 흡입될 수 있도록, 제1브러시(102)가 구비될 수 있다.A
상기 제1브러시(102)는 상기 헤드(100)의 흡입구(100a)에 회전 가능토록 구비되어 모터(110)와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바닥의 청소물을 전후방향으로 쓸 수 있다.The
이 때 상기 제1브러시(102)는 상기 모터(110)와 벨트 또는 체인방식의 제1동력전달수단(12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제1브러시(102)는 회전되면서 바닥의 청소물을 좌우방향으로도 쓸 수 있도록 브러시 모(102a)가 상기 제1브러시(102)의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식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rush bristles 102a may be helically implant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상기 제1브러시(102)는 브러시 모(102a)가 정전기에 의해 바닥의 청소물을 흡착할 수 있도록 정전기 발생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 때 상기 제1브러시(102)의 브러시 모(102a)에 붙은 청소물이 상기 제1브러시(102)에서 떨어져서 상기 바디(50)에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100)의 흡입구(100a)에는 상기 제1브러시(102)의 회전시 상기 헤드(100) 밖으로 나오는 브러시 모(102a)와 간섭되어 상기 제1브러시(102)가 털어질 수 있게 하는 제1브러시용 돌기(103)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즉, 상기 제1브러시(102)는 브러시 모(102a)가 상기 헤드(100) 밖으로 나올 때 상기 제1브러시용 돌기(103)에 탁탁 부딪치고 아울러 상기 제1브러시용 돌기(103)와 마찰되면서 털어질 수 있다.That is, when the brush bristle 102a comes out of the
물론, 상기 제1브러시(102)는 브러시 모(102a)가 매우 얇고 길게 형성됨으로써 쉽게 굽혀졌다 원 상태로 펼쳐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브러시용 돌기(103)와의 마찰로 인해 회전 저항이 크지 않다.Of course, since the
또한, 상기 헤드(100)의 흡입구(100a)에는 후방에 브러시 모(104a)가 정전기 발생부재로 이루어진 제2브러시(104)가 회전 가능토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제2브러시(104)는 상기 제1브러시(102)를 회전시키는 상기 모터(1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The
아울러, 상기 헤드(100)의 흡입구(100a)에는 상기 제2브러시(104)가 털어질 수 있도록 제2브러시용 돌기(105)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한편, 상기 헤드(100)에는 카페트, 이불, 매트리스 또는 맨 바닥을 탁탁 쳐서 먼지, 진드기 등이 쉽게 방출되게 함과 아울러 청소물이 쉽게 부양될 수 있도록 바닥을 강제적으로 두들 수 있는 타격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타격수단은 모터(110)와, 바닥을 두들길 수 있도록 상기 헤드(100)에 상하 이동 가능토록 결합된 타격 봉(130)과, 상기 모터(110)의 구동력을 상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타격 봉(130)에 전달하는 구동력방향 전환수단(140)으로 구성된다.The striking means includes a
상기 모터(110)는 상기 구동력방향 전환수단(140)이 상기 제1브러시(102)를 회전시키는 모터(110)와 벨트, 체인방식의 제2동력전달수단(150)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브러시(102)와 타격수단에 공용될 수 있다.The
상기 타격 봉(130)은 상기 헤드(10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구동력방향 전환수단(140)과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시소 운동될 수 있는 지렛(132)과, 상기 지렛(132)의 양끝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렛(132)의 시소 운동시 교대로 바닥을 두들기는 봉 부재(13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봉 부재(134)는 상기 지렛(132)의 양 끝에 각각 다수개씩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구동력방향 전환수단(140)은 상기 타격 봉(130)의 상측에 회전 가능토록 구비되고 상기 모터(110)와 제2동력전달수단(150)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모터(1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142)과, 상기 회전판(142)과 타격 봉(130)을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144)로 구성될 수 있다.The driving force direction switching means 140 is provided to be rotatable abov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청소기의 청소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leaning process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청소기의 청소모드가 작동되면, 상기 청소용 송풍기(60)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고, 상기 청소용 송풍기(60)의 흡입력에 의해 바닥의 청소물이 공기와 함께 상기 헤드(100)의 흡입구(100a)를 통해 흡입된다.When the cleaning mode of the cleaner is activated, the suction power is generated by the
이 때 상기 청소용 송풍기(60)는 청소용 송풍기(60)의 팬(62)이 제트 터보 스크류 방식으로 구비되고, 청소용 송풍기(60)의 모터(64) 다수개가 병렬 구조로 구비됨으로써 강한 흡입력이 발생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청소물은 상기 제1,2브러시(102,104)가 회전됨에 따라 전후, 좌우방향으로 쓸리면서 바닥으로부터 털어지고, 상기 제1,2브러시(102,104)에 발생된 정전 기에 의해 상기 제1,2브러시(102,104)에 흡착됨과 아울러 상기 제1,2브러시용 돌기(103,105)에 의해 상기 제1,2브러시(102,104)로부터 상기 흡입관(51)으로 털어지며, 상기 타격 봉(130)이 상하 이동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부양된다.In addition, the cleaning material is swept from the bottom while sweeping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as the first and
따라서, 청소물이 공기와 함께 상기 헤드(100)의 흡입구(100a)를 통해 깨끗하게 흡입될 수 있다.Therefore, the cleaning material may be suctioned cleanly together with the air through the
상기와 같이 헤드(100)의 흡입구(100a)에 흡입된 청소물은 공기와 함께 상기 흡입관(51)에 의해 상기 바디(50)에 구비된 집진실(54)로 안내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leaning material sucked into the
상기 집진실(54)로 안내된 청소물은 상기 집진실(54)에 수거되고, 청소물과 함께 흡입된 공기는 상기 집진실(54)을 통과하여 상기 청소용 송풍기(60)로 유동되고, 상기 청소용 송풍기(60)에서 상기 청소용 필터(70)로 유동되어 여과된 후 상기 바디(50)의 바디 토출구(50b)를 통해 외부로 다시 토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청소작업이 수행된다.The cleaning material guided to the
한편, 청소 작업과 상관없이 상기 공기정화용 송풍기(84)를 구동시키면, 상기 바디(50)의 정화용 흡입구(50d)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바디(50)의 정화용 흡입구(50d)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정화용 필터(82)에 의해 집중 여과된 후 상기 바디(50)의 바디 토출구(50b)를 통해 토출된다. 그러면, 상기 바디(50)가 놓인 공간의 공기가 정화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와 타격수단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동일, 유사하므 로 타격수단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생략한다.Hereinafter, the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other configurations except for the hitting means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hitting means And drawings are omitted.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헤드에 구비된 타격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헤드에 구비된 타격수단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the hitting means provided in the head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7, Figure 9 is a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showing the action of the striking means provided in the head.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타격수단은, 헤드(150)에 설치된 모터(160)와, 바닥을 두들길 수 있도록 상기 헤드(150)에 상하 이동 가능토록 결합된 타격 봉(170)과, 상기 모터(160)의 구동력을 상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타격 봉(170)에 전달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모터(160)의 회전축(160')에 일정 각도(θ)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타격 봉(170)과 결합된 커넥팅 로드(180)로 구성된다.Strike means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타격 봉(170)은 그 중앙이 상기 구동력방향 전환수단인 커넥팅 로드(180)와 결합된 리테이너(172)와, 상기 리테이너(172)의 전후 양끝에 각각 구비되어 상하 왕복 운동되면서 바닥을 두들 수 있는 한 쌍의 봉 부재(174)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리테이너(172)는 상기 커넥팅 로드(18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커넥팅 로드(180)가 끼워지는 홀(172a)이 형성된다.The
특히, 상기 커넥팅 로드(180)는 상기 모터(16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리테이너(172) 측 엔드부(180')가 상하 및 전후로 동시에 움직이는 바, 상기 리테이너(172)의 홀(172a)은 상기 커넥팅 로드(180)가 상기 모터(16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타격 봉(170)이 상하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전후로 긴 슬롯 형상으로 형성된다. Particularly, when the connect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타격수단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action of the blow means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follows.
상기 모터(160)가 구동되면, 상기 커넥팅 로드(180)의 리테이너(172) 측 엔드부(180')가 상기 모터(160)의 회전축(160')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타격 봉(170)이 상하 왕복 운동되면서 바닥을 두드리므로 바닥의 청소물이 상기 타격 봉(170)의 진동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부양된다.Whe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청소기는, 바디와, 상기 바디와 연결된 헤드와, 상기 바디에 설치되어 청소물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팬과 모터로 이루어진 청소용 송풍기를 포함하고, 특히 상기 청소용 송풍기의 팬이 제트 터보 스크류 방식으로 구비되고, 상기 청소용 송풍기의 모터가 병렬 배치된 다수개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송풍기의 흡입력이 강력하여 청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body, a head connected to the body, and a cleaning blower comprising a fan and a motor installed on the body to generate a suction force capable of sucking the cleaning material. In particular, since the fan of the cleaning blower is provided by a jet turbo screw method, and the motor of the cleaning blower is provided in plural numbers arranged in parallel, the suction power of the blower is strong, so that the cleaning performance is improv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청소기는 바닥을 탁탁 두들 수 있는 타격수단이 더 포함됨으로써 바닥의 청소물이 부양되어 쉽게 흡입될 수 있고, 바닥이 카페트 또는 이불 등과 같은 직물 재질인 경우 직물 속의 먼지나 진드기까지 깨끗하게 흡입될 수 있어서 청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low means for tapping the floor, so that the cleaning material of the floor can be easily sucked, and if the floor is a textile material such as carpet or duvet, dust or mites in the fabric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lean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ecause it can be sucked clean.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청소기는 상기 헤드의 흡입구에 브러시가 회전 가능토 록 구비되고, 상기 브러시의 브러시 모가 정전기 발생부재로 성형되어 나선형으로 식모됨으로써 청소물이 상기 브러시 모에 흡착되어 쉽게 흡입될 수 있고, 상기 브러시 모가 전후 및 좌우로 동시에 움직임으로써 바닥이 구석구석 쓸어질 수 있기 때문에 청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that the brush is rotatable in the suction port of the head, the brush bristles of the brush is molded into an electrostatic generating member and planted in a spiral so that the cleaning material is easily sucked by the brush bristles. In addition, since the brush hairs can be swept from corner to corner by simultaneously moving back, forth, and left and righ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lean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청소기는 청소용 필터가 상기 바디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될 수 있기 때문에 청소용 필터의 교환이 용이하고, 상기 바디에 공기정화수단이 구성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청소기가 놓인 공간의 공기 정화까지 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replace the cleaning filter because the cleaning filter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the air purifying means is configured on the body to clean the air in the space where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give up.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4057U KR200409427Y1 (en) | 2005-12-02 | 2005-12-02 | Vacuum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4057U KR200409427Y1 (en) | 2005-12-02 | 2005-12-02 | Vacuum Cleane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50023392U Division KR200404453Y1 (en) | 2005-08-12 | 2005-08-12 | Vacuum clea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9427Y1 true KR200409427Y1 (en) | 2006-02-22 |
Family
ID=4175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4057U KR200409427Y1 (en) | 2005-12-02 | 2005-12-02 |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9427Y1 (en) |
-
2005
- 2005-12-02 KR KR2020050034057U patent/KR200409427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56811B1 (en) | Suction head of vacuum cleaner | |
EP2016882B1 (en) | Suction brush for vacuum cleaner | |
GB2251178A (en) | Vacuum cleaner | |
KR101193002B1 (en) | Cleaning appliance and control circuitry | |
JP2004000408A (en) |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 |
WO2002080749A2 (en) | Agitator drive system with bare floor shifter | |
JP4482034B2 (en) | Vacuum cleaning head | |
CN102920395A (en) | Double-side self-cleaning linkage structure for filter cartridge of dust collector | |
US20060053584A1 (en) | Rotary agitator with reverse helix pattern | |
CN116723784A (en) | vacuum cleaner | |
KR20090089105A (en) | Cleaning device | |
US6918155B2 (en) | Dual agitator drive system with worm gear | |
CN114466613B (en) | Cleaner head for vacuum cleaning appliances | |
CN113333391B (en) | Cleaning device | |
CN103479290A (en) | Handheld type dust collector with beater | |
CN202681826U (en) | Handheld dust collector with beater | |
KR100767061B1 (en) | vacuum cleaner | |
KR200409427Y1 (en) | Vacuum Cleaner | |
KR200404453Y1 (en) | Vacuum cleaner | |
KR100267385B1 (en) | Structure of suction / blowing combination inlet of vacuum cleaner | |
US20140250626A1 (en) | Vibrating member for a brushless vacuum cleaner | |
JP5253885B2 (en) | Suction port and vacuum cleaner | |
KR200306319Y1 (en) | Vacuum cleaning appointment suction head the brush is had built-in | |
CN216984726U (en) | A remove mite head and cleaning machine for cleaning machine | |
JP7614009B2 (en) | Rotating brush for suction port body and suction port body equipped with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6 |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UA0106 | Division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02 Patent event code: UA01011R06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2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1205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10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812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30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