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267Y1 - Folding support for safety net installation of scaffold - Google Patents
Folding support for safety net installation of scaffol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8267Y1 KR200408267Y1 KR2020050033848U KR20050033848U KR200408267Y1 KR 200408267 Y1 KR200408267 Y1 KR 200408267Y1 KR 2020050033848 U KR2020050033848 U KR 2020050033848U KR 20050033848 U KR20050033848 U KR 20050033848U KR 200408267 Y1 KR200408267 Y1 KR 20040826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safety net
- scaffolding
- scaffold
- folding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6—Scaffold with cantilevered sections, e.g. to accommodate overhangs or recesses in the facad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04G5/061—Console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scaf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계의 안전망 설치용 지지대에 있어서,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이동시 부피가 축소되고 비계에 착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안전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비계의 안전망 설치용 접이식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affolding safety net installation support for scaffolding safety scaffolding, which is foldable to reduce the volume during movement and to be easily removable on the scaffolding, as well as to the scaffolding safety net installation folding support for easy installation of the safety net.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안테나식으로 선단 지지대가 후단지지대로부터 인입인출되며 상기 선단지지대의 끝단에 안전망의 일측 테두리를 걸어 고정하는 고정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후단지지대의 끝단이 절첩식으로 고정되며 안전망의 다른쪽 테두리를 걸어 고정하는 고정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접이틀, 상기 접이틀을 비계에 고정하도록 접이틀에 설치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져, 지지대의 길이조절이 용이하여 외벽체의 형상에 대응하게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외벽체와 안전망간의 틈새가 거의 발생되지 않고, 지지대의 인출길이의 확인을 통해 안전망이 시공규격에 맞는 폭으로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지지대의 길이를 줄인 상태로 접이틀에 접어 고정하면 부피가 최대한 작아지게 되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the support is drawn in and pulled out from the rear end of the support by the antenna type,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fixing ring for fixing one end of the safety net to the end of the end support, the end of the rear end of the support The folding frame is fixed to the folding frame and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safety net is installed, the fix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folding frame to fix the folding frame to the scaffold, the length of the support is easy to adjust the outer wall of the Since the safety net can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shape, the gap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safety net hardly occurs, and it is easy to check whether the safety net is installed in the width that meets the construction standard by checking the drawout length of the support. Fold it down and fasten it to the folding frame to make it as small as possible. There is an advantage of easy transportation and storage.
비계, 낙하물 방지 망, 안전망, 접이식 지지대 Scaffolding, Falling Nets, Safety Nets, Folding Supports
Description
도 1a는 본 고안의 접힘상태 사시도,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ld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본 고안의 펼침상태 사시도,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pand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c는 도 1b의 A-A선 단면도,1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B;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다.Figure 2 show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지지대, 11 -- 후단지지대,10-support, 11-rear support,
12 -- 선단지지대, 13,14 -- 볼트,12-tip support, 13,14-bolts,
15 -- 홈, 16,28 -- 고정고리,15-groove, 16,28-fixing ring,
20 -- 접이틀, 21 -- 후면판,20-folding frame, 21-backplane,
22,23 -- 측면판, 24 -- 장공,22,23-side plates, 24-longs,
25 -- 축볼트, 27 -- 스토퍼,25-shaft bolts, 27-stoppers,
30 -- 고정부재, 31 -- 클램프,30-holding member, 31-clamp,
32 -- 받침대, 40 -- 수직틀,32-pedestal, 40-vertical frame,
50 -- 안전망.50-safety net.
본 고안은 비계에서 건물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건축공사시 떨어질 수 있는 낙하물을 수집하기 위한 안전망이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을 설치하기 위한 비계의 안전망설치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이동시 부피가 축소되고 비계에 착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안전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비계의 안전망 설치용 접이식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net for scaffolding for installing a safety net for collecting falling objects that can fall during construction work from the scaffolding to the building side, or a scaffold for installing a scaffold for work. Preferably, it is made of a folding support for folding the scaffolding safety net to reduce the volume when moving and easy to attach to the scaffold as well as to easily install the safety net.
일반적으로 비계는 건축공사 때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로서, 재료나 용도면 혹은 공법에 따라 분류되는 각종 비계들이 있다. In general, scaffolding is a temporary construction installed to work at a high place during construction work, and there are various scaffolds classified according to materials, uses, or methods.
최근에는 망간파이프로 이루어진 비계를 많이 사용하는데, 예컨대 건물의 외벽공사를 위해 사용되는 비계는 건물의 외벽 전체에 걸쳐 외벽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틀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틀을 격자모양의 사다리 형태로 결속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재료운반이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을 여러 층으로 설치하며, 또한 건축공사시 떨어질 수 있는 작업자나 낙하물을 중간에서 수집하여 낙하물에 의한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전망을 건축물과 비계사이에 여러 층으로 설치한다.Recently, scaffolding composed of manganese pipes is used a lot, for example, scaffolds used for building exterior walls of buildings ar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a horizontal frame installed horizontally at a distance from the exterior walls throughout the building's exterior walls. The vertical frame is installed in a lattice-shaped ladder. In addition, the safety net is installed in order to prevent accidental accidents caused by falling objects by collecting workers or falling objects that may fall during construction work in multiple layers. Installed in multiple floors between the building and the scaffolding.
안전망은 그물망이 40㎝ 내외의 폭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서, 안전망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그물망의 형체를 유지시키기 위한 테두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테두리로는 예컨대 천 등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봉제되고 그 테두리에 비계나 벽체 등의 고정물에 끈으로 묶어 고정하기 위한 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도 있고, 혹은 가장자리에 천 등을 봉제하는 대신에 로프 등을 끼워 사용하는 것도 있는데, 아뭏튼 가장자리의 형태와는 관계없이 안전망은 낙하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안전망이 고정되는 건축물과 비계사이에서 가급적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The safety net is formed with a net having a width of about 40 cm, and both edges of the safety net are provided with edges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net, and the edges are sewn along the length direction, for example, with a cloth and scaffolding on the edges. In some cases, a ring is provided to fix the wall to a fixture such as a wall, or a rope may be used instead of sewing the fabric on the edge.A safety net is a falling object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edge. Since this is to prevent falling, it should be installed so that there is no gap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scaffold where the safety net is fixed.
그리하여 종래에는 외줄비계의 경우 안전망을 설치할 때 안전망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일측은 비계에 철사 등을 사용하여 묶고 또다른 길이방향 가장자리 일측은 건물외벽에 고정하였는바, 외벽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벽체에 고정용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못, 앵커 등을 박아 고정하여야 했다.Thus, in the case of the outer file scaffolding, when installing the safety net,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edge of the safety net was tied to the scaffold using wires and the other one of the longitudinal edges was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t was necessary to install or fix nails, anchors, etc.
이와 같이 벽체에 안전망을 설치하기 위해 벽체에 고정용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못, 앵커 등을 박게 되면 자연 벽체에 손상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such, when a fixing structure is installed on a wall or a nail, an anchor, or the like is installed in order to install a safety net on the wall, there is a problem of damaging the natural wall.
또한, 벽체에 고정용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못, 앵커 등을 박는데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에 걸려진 안전망이 쉽게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나마 쌍줄비계의 경우에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수평틀에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는 길이까지 길게 연장된 지지대를 수평방향으로 걸쳐 결속한 후 그 연장부위에 안전망을 설치할 수도 있으나, 최소한 수평틀과 2개소에서 결속하여야하므로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길이가 긴 지지대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 문에 운반 및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work time to install the fixing structure on the wall or nails, anchors, etc., as well as the safety net caught therein can be easily released. In the case of a double-row scaffolding, however, a support net extended to a length that can be installed on two horizontal frames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installed in the extension part, and a safety net can be installed on the extension part. Due to the need to bind in place, it takes a lot of work time, and because of the need to use a long support, there was a problem in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storage.
아울러, 설치의 번거로움 때문에 안전망의 양 가장자리만 비계와 건물의 외벽에 고정할 뿐 폭방향으로 중간중간에 안전망을 받쳐주는 지지대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안전망에 다소 무거운 낙하물이 떨어진 경우 안전망이 찢어지면서 낙하하게 되어 안전망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due to the cumbersome installation, only the two edges of the safety net are fixed to the scaffold 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support net supporting the safety net is not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width direc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all occurs when the fall does not fulfill the role as a safety net.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계에 착탈식으로 일측을 고정하고 다른 일측은 건물외벽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펼쳐지면서 길이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평방향으로 펼쳐지는 지지대의 양단에는 안전망의 양 가장자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망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안전망을 중간 중간에서 받쳐주어 안전망으로서의 안정성을 높여주며,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건축현장으로 운반하거나 철거하여 올 때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비계가 건물외벽으로부터 시공규격에 맞게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비계의 안전망 설치용 접이식 지지대를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both sides of the support to be detachably fixed to the scaffold and the other side can be adjus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being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while both ends of the support unfol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asily fix both edges of the safety net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safety net, and also to support the safety net in the middle of the middle to enhance the stability as a safety net, and foldable to the volume when moving or dismantling to the construction sit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ing support for safety net installation of the scaffold, which can be easily transported by minimizing it, and can easily check whether or not the scaffold is installed in a state spac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meet the construction specifications.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안테나식으로 선단 지지대가 후단지지대로부 터 인입인출되며 상기 선단지지대의 끝단에 안전망의 일측 테두리를 걸어 고정하는 고정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후단지지대의 끝단이 절첩식으로 고정되며 안전망의 다른쪽 테두리를 걸어 고정하는 고정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접이틀, 상기 접이틀을 비계에 고정하도록 접이틀에 설치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져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the support is drawn in and pulled out from the rear end support by the antenna type,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fixing ring for fixing the one side of the safety net to the end of the end support, the rear end of the support The end is foldable and consists of a folding frame is provided with a fixing ring for fixing the other edge of the safety net, the fix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folding frame to fix the folding frame to the scaffold.
상기 고정부재는 비계의 접촉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받침부와 비계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가 접이틀에 수직 배열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for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scaffold and the clamp for fixing to the scaffold is arranged in a vertical arrangement on the folding frame.
상기 접이틀은 상기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후면판의 양측에서 각각 절곡되어 한쌍의 측면판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에는 측면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는 장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장공에 상기 후단지지대의 후부가 장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선회축 결합되는 한편, 상기 장공의 전방으로는 지지대의 펼침시 펼침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양 측면판에 걸쳐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The folding frame is bent at both sides of the rear plate on which the fixing member is installed, a pair of side plates are formed, and the side plates are formed with long holes facing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plates, respectively, the rear end of the long holes. The rear portion of the support is pivotally coupl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hole, while the front of the long hole has a stopper for limiting the unfolding angle of the support when it is unfold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본 고안의 접힘상태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의 펼침상태 사시도, 도 1c는 도 1b의 A-A선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ld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pand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b.
안전망이 고정되는 지지대(10)는 접이틀(20)에 절첩식으로 고정되는 후단지지대(11)와 상기 후단지지대(11)에 안테나식으로 인입인출되는 선단지지대(12)로 이루어져 있다.The
상기 후단지지대(11)의 일측에는 선단지지대(12)의 회전을 방지하고 선단지지대(12)를 인출하거나 인입시켜 조절한 후 유동되지 않도록 그 위치를 고정하는 볼트(13)(14)가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볼트머리는 육각너트로 이루어져 있으나 필요에 따라 나비너트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One side of the
특히 볼트(13)는 주로 선단지지대(12)를 사용상태로 인출한 후 그 위치를 고정하도록 사용되며, 볼트(14)는 주로 선단지지대(12)를 운반상태로 접은 후 그 위치를 고정하도록 사용된다.In particular, the
선단지지대(12)는 볼트(13)(14)를 조여 선단지지대(12)를 고정할 때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13)(14)로 고정되는 부위에 길이방향을 따라 만곡된 홈(15)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회전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The
또한, 선단지지대(1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을 설치하여 인출될 길이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규격에 따른 인출위치를 표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아울러, 선단지지대(12)의 끝단에는 안전망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고리(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고리(16)는 예컨대 'ㄷ'자 형으로 이루어져 하단의 절곡부는 선단지지대(12)에 고정되고 상단의 절곡부는 개방되어 안전망을 걸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안전망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있는 링이나 로프 등을 용이하게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고정고리(16)는 한쌍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면서 개방끝단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대 고정고리의 개방끝단 을 넘어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한 쌍의 고정고리(16) 사이에 안전망의 테두리가 끼워져 지지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거나, 한쪽 고정고리에 고정된 안전망이 유동되어 이탈되려 할 때 다른 쪽 고리에 의해 걸려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한편, 상기 지지대의 후단지지대(11) 중에서 상기 선단지지대(12)가 인입인출되는 부위와 대향되는 반대쪽 끝단은 접이틀(20)에 절첩식으로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opposite end of the
상기 접이틀(20)은 후술되는 고정부재(30)가 설치되는 후면판(21)과 상기 후면판(21)의 양측에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판(22)(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측면판(22)(23)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2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장공(24)에 후단지지대(11)의 끝단이 축볼트(25)에 의해 선회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볼트(25)는 너트(26)에 의하여 풀린 상태에서는 상기 장공(24)을 따라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The folding
그리하여, 지지대(10)를 펼칠 때에는 축볼트(25)를 도시된 화살표의 A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지지대(10)를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지지대(10)가 90도 정도 회전되는 위치에는 더 이상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스토퍼(2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27)는 측면판(22)(23)의 양단에 걸쳐 수직되게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대(10)는 축볼트(25)와 스토퍼(27)에 의해 2점 지지되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지지대(1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선단지지대(12)를 도 1b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켜 길이를 조절한다.Thus, when unfolding the
또한, 접이틀(20)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대(10)의 고정고리(16)와 대응되어 안전망의 다른 일측의 테두리를 고정하는 고정고리(28)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고리(28)도 상기 고정고리(16)와 마찬가지 형태로 1쌍으로 형성되어 그 사이에 안전망의 테두리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선단지지대(12)의 고정고리(16)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고정고리(28)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접이틀(20)의 상단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안전망을 안전하게 걸어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설치위치를 변경하여 접이틀(20)의 다른 위치에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접이틀(20)에 설치하지 않고 후단지지대(11)의 후부에 설치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접이틀(20)의 후면판(21)에는 접이틀(20)을 비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3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부재(30)는 비계에 접촉될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받침부(31)와 비계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32)로 이루어진다. 받침부(31)와 클램프(32)는 후면판(21)의 하단과 상단에 배치되어 각각 고정되어 반대의 경우로 설치할 수도 있다.The
받침부(31)는 비계와 체결시 비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순히 비계와 접촉되는 것만으로도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작용을 하며 클램프(32)가 비계에 단단히 고정되어 접이틀(20)이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접이틀(20)이 비계에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받침부(31)는 별도의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접이틀(20)의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받침부(31)는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원형의 비계파이프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비계가 각파이프로 이루어 진 경우에는 각진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운반 및 보관을 위해 지지대(10)를 접어넣을 때에는 선단지지대(12)를 후단지지대(11) 안으로 밀어넣은 후 볼트(14)로 고정하고, 후단지지대(11)를 축볼트(25)를 중심으로 도 1b 의 화살표 C방향으로 선회시킨 후 축볼트(25)를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켜 축볼트(25)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를 조여 고정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When folding the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tate diagra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접이틀(20)이 고정부재(30)를 이용하여 비계의 수직틀(40)에 각각 고정되고, 지지대(10)가 접이틀(20)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선단지지대(12)의 고정고리(16)와 접이틀(20)의 고정고리(28)에 안전망(50)의 테두리(51)가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lurality of
안전망(50)은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신축 폭이 넓으므로 접이틀(20)을 건물외벽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비계의 수직틀(40)에 고정한 후 건물 외벽 방향으로 선단지지대(12)를 인출하면 인출길이에 따라 선단지지대(12)의 끝단을 건물외벽에 밀착시키거나 건물내측으로 인출할 수 있으므로 안전망과 건물외벽 사이에 틈새가 거의 생기지 않아 낙하물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또한 인접되는 지지대(10)간 설치거리에 따라 안전망(5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낙상사고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대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서 안전망의 가장자리와 외벽체간의 접촉부를 외벽체의 형상에 대응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외벽체와 안전망간의 틈새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arbitrarily adjust the length of the support, so that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edge of the safety net and the outer wall can be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wall, so that there is little gap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safety net.
또한, 지지대의 인출길이를 통해 안전망이 시공규격에 맞는 폭으로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check whether the safety net is installed in the width corresponding to the construction standard through the withdrawal length of the support.
아울러, 지지대의 길이를 줄인 상태로 접이틀에 접어 고정하면 부피가 최대한 작아지게 되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folding and fixing the folding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support is reduced, the volume becomes small as much as possible,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of easy transportation and storag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3848U KR200408267Y1 (en) | 2005-11-30 | 2005-11-30 | Folding support for safety net installation of scaffol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3848U KR200408267Y1 (en) | 2005-11-30 | 2005-11-30 | Folding support for safety net installation of scaffol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8267Y1 true KR200408267Y1 (en) | 2006-02-07 |
Family
ID=4448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384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08267Y1 (en) | 2005-11-30 | 2005-11-30 | Folding support for safety net installation of scaffol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8267Y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2277B1 (en) * | 2008-05-21 | 2010-09-15 |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 Gangform Fall Prevention Device |
KR101205611B1 (en) | 2010-12-02 | 2012-11-27 | 김서헌 | A safety net for electric pole |
KR101244502B1 (en) * | 2010-05-11 | 2013-03-18 | 미래안전산업(주) | Apparatus for installing fall protection net |
CN112412079A (en) * | 2018-11-22 | 2021-02-26 | 李丽容 | Horizontal rotating mechanism suitable for hanging net pole ectopic activity free bearing |
KR20220035885A (en) | 2022-02-28 | 2022-03-22 | 김종영 | Scaffolding safety net fittings |
KR20230026059A (en) * | 2021-08-17 | 2023-02-24 | 한국전력공사 | Fall prevention device for stell tower |
-
2005
- 2005-11-30 KR KR2020050033848U patent/KR200408267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2277B1 (en) * | 2008-05-21 | 2010-09-15 |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 Gangform Fall Prevention Device |
KR101244502B1 (en) * | 2010-05-11 | 2013-03-18 | 미래안전산업(주) | Apparatus for installing fall protection net |
KR101205611B1 (en) | 2010-12-02 | 2012-11-27 | 김서헌 | A safety net for electric pole |
CN112412079A (en) * | 2018-11-22 | 2021-02-26 | 李丽容 | Horizontal rotating mechanism suitable for hanging net pole ectopic activity free bearing |
CN112412079B (en) * | 2018-11-22 | 2022-02-18 | 李丽容 | A horizontal rotation mechanism suitable for the ectopic movable hinge seat of the hanging net rod |
KR20230026059A (en) * | 2021-08-17 | 2023-02-24 | 한국전력공사 | Fall prevention device for stell tower |
KR102780774B1 (en) | 2021-08-17 | 2025-03-17 | 한국전력공사 | Fall prevention device for stell tower |
KR20220035885A (en) | 2022-02-28 | 2022-03-22 | 김종영 | Scaffolding safety net fitting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38851A (en) | Modular shelter | |
JPH10510018A (en) | Temporary protective cover system | |
CA2959929C (en) | Scaffold accessories | |
US5664391A (en) | Roof anchor and hanging scaffold system | |
JP2017203334A (en) | Temporary protective shelf device | |
US20060243524A1 (en) | Collapsible hanging scaffold bracket | |
KR200408267Y1 (en) | Folding support for safety net installation of scaffold | |
US11131106B2 (en) | Containment shroud system | |
KR101951634B1 (en) | The Slab tent device for improve work efficiency to Construction site | |
US8376086B1 (en) | Safety net | |
KR102127867B1 (en) | Foldable dropping object prevention system installed integrally with gang form | |
KR102362725B1 (en) | Fall proofing Network Assembly for Window Construction | |
JP3439196B2 (en) | Hanging scaffold | |
JP5977097B2 (en) | Simple protective fence | |
AU2011204883A1 (en) | Portable ventilation curtain frame | |
JP2021088922A (en) | Support device | |
KR200172587Y1 (en) | Supporting struture of a net for hanging | |
JP3125149U (en) | Roof fall prevention device | |
JP3045574U (en) | Net tension bracket | |
JPH05106336A (en) | Assembled scaffolding for work at high position | |
CN108149919A (en) | A kind of construction site large span canopy | |
JPH0654822U (en) | Fall prevention tool from the roof | |
JP3709173B2 (en) | Sunshade for rooftop construction | |
JPH0584749U (en) | Safety belt support device for roof construction | |
JPH0886094A (en) | Temporary ro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1130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2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120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310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31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Patent event date: 20060926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30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