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8034Y1 -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034Y1
KR200408034Y1 KR2020050031069U KR20050031069U KR200408034Y1 KR 200408034 Y1 KR200408034 Y1 KR 200408034Y1 KR 2020050031069 U KR2020050031069 U KR 2020050031069U KR 20050031069 U KR20050031069 U KR 20050031069U KR 200408034 Y1 KR200408034 Y1 KR 200408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drainage
floating
drainage
landfill
facto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기
Original Assignee
김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기 filed Critical 김용기
Priority to KR2020050031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0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03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항만(港灣)의 매립공사시 연약 지반의 개량을 위한 연직배수재의 시공 작업에 사용되며, 특히 매립대상지에 해수를 공급하여 담수된 해수면 위에 부유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연약 지반층에 함유된 각종 수분을 강제 배수하기 위한 P.B.D(Paper Board Drain)와 같은 연직배수재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연직배수재 시공장치를 개시한다.
그러한 연직배수재 시공장치는, 지반 개량을 위한 매립지에 공급되어 일정한 높이로 담수되는 해수와, 상기 매립지에 담수된 해수면 위에 부유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한 부유부와, 상기 부유부에 위치하며 일측단이 연직배수재와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가변 가능한 삽입용 로드들로 이루어지는 배수재 삽입부 그리고, 상기 부유부에서 연직배수재의 시공이 가능한 자세로 상기 각 삽입용 로드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각 삽입용 로드들의 가변 동작이 가능하도록 와이어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용 윈치를 포함한다.
항만 매립 공사, 연약 지반 개량 작업, 연직배수재의 수상(水上) 시공, 부유부, 해수(海水), 배수재 삽입부, 삽입용 로드, 구동용 윈치, 작업 능률 향상, 공사 기간 단축, 각종 안전 사고 방지

Description

연직배수재 시공장치{Vertical drainage apparatus for improvement of the sea ground and dredged soil area}
도 1은 본 고안과 관련하는 연직배수재 시공장치를 이용한 시공 방법의 전체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해수를 공급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연직배수재를 시공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연직배수재 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과 관련하는 연직배수재 시공장치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부유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배수재 삽입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배수재 삽입부 및 지지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배수재 삽입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의 배수재 삽입부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연직배수재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만(港灣)의 매립공사시 연약 지반의 개량을 위한 연직배수재의 시공 작업에 사용되며, 특히 매립대상지에 해수를 공급하여 담수된 해수면 위에 부유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연약 지반층에 함유된 각종 수분을 강제 배수하기 위한 P.B.D(Paper Board Drain)와 같은 연직배수재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연직배수재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만의 매립 공사는, 매립 대상지의 외곽에 호안을 설치하고 이 호안 내부에 준설토를 투기한 상태로 일정기간 동안 방치 한 다음, 준설토층 및 원지반층에 포함된 수분을 강제 배수시켜서 각종 단지의 조성이 가능한 지반 강도를 확보하는 지반 개량 작업을 거치면서 진행한다.
상기 지반 개량 작업은 주로 P.B.D(Paper Board Drain)와 같은 연직배수재를 이용하여 연약 지반층에 함유된 수분을 강제 배수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며, 이 방법은, 매립 대상지의 연약 지반에 연직배수재를 삽입하는 공정과, 삽입된 연직배수재에 의해 지반층에 함유된 각종 수분을 외부로 배수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정 중에서 연직배수재의 시공 작업은, 매립 대상지에 준설토를 투기하고 이 준설토에서 분리된 해수를 배수시킨 다음, 배수된 상태로 일정기간 동안 방치한 후 배수재 시공을 위한 인력과 통상의 배수재 시공장치가 연약 지반에 직접 진입한 상태로 진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수재 시공 작업은 연직배수재의 시공 상태에 따라 수분의 배수 효율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지반 개량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공정 중에 하나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재 시공장치는, 캐터필러에 의해 이동하는 대형의 크레인이 주로 사용되며, 이 크레인에는 연약 지반과 대략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고 배수재 시공 깊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배수재 삽입용 로드와 이 로드를 배수재 시공이 가능한 자세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연직배수재 시공방법은, 매립지의 연약 지반 위에 인력과 각종 중장비가 진입하여 연직배수재를 직접 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예를들어, 항만 매립지의 지반 개량 공사일 경우 연직배수재의 시공을 위한 중장비의 진입을 위해 최소 3년 이상의 방치 기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각종 중장비의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준설토 위에 과다한 두께의 모래포설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이러한 시공 방식으로는 매립지의 지반 개량을 위한 전체 공사 기간 및 공사 비용을 절감하기 어렵다.
더욱이, 상기 시공장치는 상기 삽입용 로드와 상기 지지프레임이 연직배수재의 시공 깊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세워진 자세로 설치되고, 이 상태로 연약 지반 위에 직접 진입하여 배수재를 시공하므로 예를들어, 상기 삽입용 로드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자세가 적정 범위에서 조금만 어긋난 상태가 되어도 시공장치 전체가 쉽게 전도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중량에 의한 지반 침하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배수재 시공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와 같이 인력이나 각종 시공장비가 매립지 위에 직접 진입한 상태로 연직배수재를 시공하는 방식으로는 만족할 만한 작업 능률을 기대할 수 없으며, 자칫 대형의 안전 사고를 유발하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매립 공사시 연약 지반의 개량을 위한 연직배수재의 시공 이 용이하고, 특히 매립 대상지에 해수를 공급하여 담수된 해수면 위에 부유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P.B.D와 같은 연직배수제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연직배수재 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지반 개량을 위한 매립지에 공급되어 일정한 높이로 담수되는 해수;
상기 매립지에 담수된 해수면 위에 부유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한 부유부;
상기 부유부에 위치하며 일측단이 연직배수재와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가변 가능한 삽입용 로드들로 이루어지는 배수재 삽입부;
상기 부유부에서 연직배수재의 시공이 가능한 자세로 상기 각 삽입용 로드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각 삽입용 로드들의 가변 동작이 가능하도록 와이어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용 윈치를 포함하는 연직배수재 시공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과 관련하는 연직배수재 시공장치를 이용한 시공 방법의 전체 작업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S1은 제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지칭한다.
상기 작업은, 도 2에서와 같이 매립지(E1) 위에 담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래나 흙을 이용하여 상기 매립지(E1)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외부 호안(L1)을 이용하여 도면에서와 같이 일정한 높이로 제방층(L2)을 형성한다.
상기 제방층(L2)은 매립지(E1)에 위에 담겨지는 담수 용량을 감안하여 담수면보다 대략 1미터 이상 높게 형성한다.
상기 매립지(E1)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준설토층(E2)과 수평배수층(E3)이 각각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준설토층(E2)은 이미 잘 알려진 준설 작업에 의해 수거된 준설토를 투기하여 형성하고, 상기 수평배수층(E3)은 일반 P.E.T 매트 및 모래를 이용하여 상기 준설토층(E2)을 덮는 상태로 형성한다.
상기 제방층(L2)은 상기 매립지(E1) 내부의 담수를 위한 제방 기능을 함과 아울러 상기 매립지(E1)의 지반 개량을 위한 배수재 시공 작업시 작업 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방층(L2)의 시공이 완료되면, 상기 매립지(E1)에 해수를 공급하는 공정(S2)을 진행한다.
이 작업에 사용하는 해수(W)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통상의 펌프 준설선을 이용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준설선을 이용하면 단시일 내에 대면적의 매립 대상지를 담수시킬 수 있다.
상기 매립지(E1)에 담수된 해수(W)는 지반 개량을 위한 통상의 배수재 시공시 담수된 해수면에 부유된 상태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일종의 수상(水上) 작업 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매립지(E1)에 일정한 높이로 담수가 완료되면, 담수된 해수면 위에 부유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상기 매립지(E1)에 배수재를 시공하는 공정(S3)을 진행한다.
이 작업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매립지(E1)에 담수된 해수(W)의 수면에 부유된 상태로 연직배수재(P)의 시공이 가능한 장치를 사용한다.
상기 시공장치는, 담수된 해수면 위에 부유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한 부유부(2)와, 이 부유부(2)에 설치되며 다단식 이동 동작에 의해 연직배수재(P)를 삽입하기 위한 배수재 삽입부(4)와, 이 배수재 삽입부(4)를 상기 부유부(2)에서 연직배수재(P)의 시공이 가능한 자세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6)과, 상기 배수재 삽입부(4)들이 다단식 이동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발생 및 전달하는 구동용 윈치(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유부(2)는 담수된 해수면 위에 부유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한 일반 바 지선과 같은 통상의 부선(艀船)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유부(2)는 담수된 해수면에 부유된 상태에서 자체 동력으로 이동하거나 도 4에서와 같이 별도의 이송장치(1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10)는 상기 매립지(E1)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 제방층(L2) 위에 위치하는 대차(12)와, 이 2개의 대차(12) 위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를 이송용 와이어(14)로 연결하는 이송용 윈치(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대차(12)는 위쪽에 일정한 크기의 작업대(18)를 구비하고, 상기 매립지(E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제방층(L2) 위에 각각 배치되며, 이 제방층(L2)의 연결 구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대차(12)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내부에 엔진과 같은 동력장치가 구비되어 장치의 동력이 바퀴 또는 캐터필러와 같은 무한궤도로 전달되면서 이동하는 이미 잘 알려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대차(12)의 작업대(18) 위에는 이송용 윈치(16)가 설치되며, 이 2개의 이송용 윈치(16)에는 상기 매립지(E1)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송용 와이어(14)가 도면에서와 같이 연결된다.
상기 이송용 윈치(16)는 통상의 와인딩 구동에 의해 상기 이송용 와이어(14)가 상기 어느 하나의 제방층(L2)쪽으로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셋팅된다. 이 이송용 윈치(16)의 조작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제어가 가능하게 셋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 구조는 해당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부유부(2)는 상기 이송용 와이어(14) 일측과 고정되어 상기 이송용 윈치(16)의 구동시 상기 이송용 와이어(14)에 의해 상기 매립지(E1)를 사이에 두고 담수된 해수면에 부유된 상태로 상기 와이어(14)의 연결 구간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부유부(2)는 도 6에서와 같이 수중용 발란스 웨이트(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란스 웨이트(20)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금속판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부유부(2)에서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를 가지며 와이어로 연결되거나 이외에도 위치 변화가 가능하도록 유압실린더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중용 발란스 웨이트(20)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부유부(2)에서 1군데 이상의 지점에 설치될 수 있으며 담수된 해수(W) 중에 도 6에서와 같이 담겨지거나 상기 수평배수층(E3) 위에 걸쳐진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중용 발란스 웨이트(20)는 연직배수재(P)의 시공시 작용하는 각종 외력에 의해 상기 부유부(2)의 자세가 변화될 때 상기 웨이트(20)의 위아래면이 해수(W)와 접촉하면서 기울러짐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저항력을 발생하여 상기 부유부(2)의 자세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부유부(2)에는 연직배수재(P)를 시공하기 위한 배수재 삽입부(4)가 위치된다. 이 삽입부(4)는 가변의 다단식 이동 동작에 의해 상기 연직배수재(P)의 삽입을 위한 전체 길이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삽입용 로드(R1, R2)로 구성되고, 상기 부유부(2)에서 도면에서와 같은 지지프레임(6)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복수개의 삽입용 로드(R)는 도 8에서와 같이 다단식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서로 다른 크기의 중공부를 가지는 사각의 금속 파이프를 사용하고, 2개가 1조로 구성되어 어느 하나의 삽입용 로드(R1)의 중공부에 다른 하나의 삽입용 로드(R2) 일부가 도면에서와 같이 끼워진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셋팅된다.
상기 각 삽입용 로드(R1, R2)는 매립지(E1)에 요구되는 연직배수재(P)의 시공 깊이에 따라 담수된 해수(W) 높이를 감안하여 2번에 걸친 다단식 이동에 의해 삽입 길이가 확장되면서 연직배수재(P)의 시공이 가능한 길이 범위로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연직배수재(P)의 시공시 상기 2개의 삽입용 로드(R1, R2)가 도 8에서와 같이 다단식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위치되므로 상기 부유부(2)에서 해수면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자세로 설치될 때 최소한 수직공간을 점유하여 상기 삽입용 로드(R1, R2)들의 자세가 기울어지면서 발생하는 각종 전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6)은 상기 삽입용 로드(R1, R2)의 다단식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연직배수재(P)의 시공 방향을 따라 도 9에서와 같이 내부에 가이드 공간(24)이 형성되도록 여러개의 금속 파이프를 용접하거나 체결부재로 각각 체결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6)은 상기 삽입용 로드(R1, R2)가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이들의 전체 길이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 범위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공간(24)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각 삽입용 로드(R1, R2)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 도록 다수개의 가이드 로울러(26)들이 설치되고, 이 로울러(26)들의 반대편에는 상기 삽입용 로드(R1, R2)들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28)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6)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부유부(2)에서 수직 방향으로 고정될 때 각종 외력 등에 의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별도의 지지대(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부유부(2)에는 상기 삽입용 로드(R1, R2)들의 다단식 이동을 위한 동력을 구동용 와이어(34)의 와인딩 동작으로 발생 및 전달하는 구동용 윈치(8)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용 와이어(34)는 상기 지지프레임(6)의 가이드 공간(24) 내부에서 상기 각 삽입용 로드(R1, R2)들이 해수면을 향하여 연직배수재(P)의 시공을 위한 다단식 이동이 가능하게 동력을 각각 전달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이와 같이 구조는 상기 각 삽입용 로드(R1, R2)들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6)의 가이드 공간(24) 내부에 상기 구동용 와이어(34)의 이동 구간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상기 각 삽입용 로드(R1, R2)는 상기 지지프레임(6)의 가이드 공간(24)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용 와이어(3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도 9에서와 같은 와이어 홀더(H1, H2)들에 의해 상기 구동용 와이어(34) 일측과 고정된다.
상기 2개의 와이어 홀더(H1, H2)는 상기 2개의 삽입용 로드(R1, R2)가 상기 구동용 와이어(34)에 의해 다단식 이동 동작으로 길이가 확장되고 확장 상태로 원 활한 삽입 동작이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각 로드(R1, R2)와 상기 구동용 와이어(34)의 연결 지점을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한다.
예를들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2개의 와이어 홀더(H1, H2)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홀더(H1)는 삽입 길이의 확장이 가능하게 이동하는 아래쪽의 삽입용 로드(R1)측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다른 하나의 홀더(H2)는 확장 상태로 삽입 동작되도록 이동하는 다른 하나의 삽입용 로드(R2)측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아래쪽 삽입용 로드(R1)는 삽입 길이의 확장 동작 후 상기 와이어 홀더(H1)와 분리된다.
상기 삽입용 로드(R1, R2)는 도 8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용 윈치(8)의 구동시 상기 구동용 와이어(34)에 의해 도 9에서와 같이 어느 하나의 로드(R1)가 1차로 다단식 이동되면서 전체 길이가 확장되고, 이 확장 상태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다른 하나의 로드(R2)가 상기 구동용 와이어(34)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매립지(E1)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직배수재(P)의 시공을 위한 다단식 삽입 동작이 진행된다.
상기 2개의 삽입용 로드(R1, R2)는 상기와 같이 확장 상태로 삽입 동작될 때 이들의 연결부 지점이 도 10에서와 같이 고정용 클램프(36)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이동된다. 이 고정용 클램프(36)는 돌기와 홀의 끼움 결합에 의해 탈착되면서 상기 각 삽입용 로드(R1, R2)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재 삽입부(4)에 의해 시공되는 연직배수재(P)는 통상의 PBD가 사용되며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부유부(2)에서 롤 형태로 감겨진 상태에서 일측단이 상기 각 삽입용 로드(R1, R2)의 중공부를 통하여 어느 하나의 로드(R1) 단부측에 고정된다. 이 로드(R1)는 2개의 로드(R1, R2)가 확장된 상태에서 아래쪽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연직배수재(P)는 상기 2개의 삽입용 로드(R1, R2)가 다단식 이동에 의해 2번에 걸쳐서 삽입 동작될 때 상기 각 삽입용 로드(R1, R2)를 따라 이동하면서 도 5에서와 같이 매립지(E1)의 수평배수층(E3)과 준설토층(E2)을 관통하여 원지반층에 일정한 깊이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삽입 동작 후, 상기 구동용 윈치(8)를 이용하여 상기 각 삽입용 로드(R1, R2)를 상기와 반대 과정을 거치면서 삽입 전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삽입된 연직배수재(P)는 매립지(E1)의 원지반층에 고정되고 상기 각 삽입용 로드(R1, R2)들만 분리되므로 이와 같은 방식으로 매립지(E1) 전체에 연직배수재(P)를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다.
상기 배수재 삽입부(4)는 상기 부유부(2)에서 도 11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배수재 삽입부(4)가 위치하는 복수개의 지점에는 지지프레임(6)과 구동용 윈치(8)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면서 복수개의 연직배수재(P)를 동시에 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공 장치를 이용한 수상 시공 방식은, 매립지(E1)에 담수된 해수(W)의 수면에 부유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연직배수재(P)를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이 방식은 매립지(E1)에 투기된 준설토층(E2)에서 분리된 잔여 해수를 배수한 후 일정한 방치 기간을 두고 진행하는 종래의 배수재 시공 방식에 비하여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공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배수재 삽입부(4)가 가변의 다단식 이동 동작에 의해 삽입 길이의 확장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부유부(2)에서 상기 삽입용 로드(R1, R2) 및 지지프레임(6)의 전체 길이를 대폭 단축시켜서 연직배수재(P)를 시공할 때 한층 안정된 자세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립지(E1)에 담수된 해수(W)는 상기와 같이 수상 시공 방식으로 연직배수재(P)를 시공한 다음, 후공정으로 진행하는 강제 배수 작업 후 외부로 배수하면 된다.
특히, 후공정시 상기 매립지(E1)에 담수된 해수(W)는 강제 배수 작업을 진행할 때 상기 매립지(E1)의 지반에 하중을 가하여 상기 연직배수재(P)들을 통하여 수분의 강제 배수 작용을 촉진하는 일종의 재하용 유체 역할을 하므로 배수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수재 삽입부(4)가 매립지(E1)에 담수된 해수면에서 상기 부유부(2)에 의해 부유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연직배수재(P)를 시공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매립지에 준설토층을 시공한 후 이 준설토층 위에 직접 진입하는 종래의 방식으로 연직배수재(P)를 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지면에서 이동이 가능한 대형 트럭과 같은 이동장치를 구비하고 이 장치 위에 설치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연직배수재를 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매립지의 준설토층에 직접 진입한 상태로 연직배수재를 시공할 때 상기 배수재 삽입부는 상기 이동장치에서 최소한의 수직 공간을 점유하는 상태이므로 설치되므로 연약 지반에서 각종 전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정적인 시공 자세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약 지반의 개량을 위한 연직배수재의 시공 작업시 매립지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외부 호안 내에 해수를 공급하여 담수된 해수면 위에 부상한 상태로 연직배수재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지반 개량을 위한 매립지에 공급되어 일정한 높이로 담수되는 해수;
    상기 매립지에 담수된 해수면 위에 부유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한 부유부;
    상기 부유부에 위치하며 일측단이 연직배수재와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가변 가능한 삽입용 로드들로 이루어지는 배수재 삽입부;
    상기 부유부에서 연직배수재의 시공이 가능한 자세로 상기 각 삽입용 로드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각 삽입용 로드들의 가변 동작이 가능하도록 와이어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용 윈치를 포함하는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유부는, 담수된 해수면에서 부유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한 부선(艀船)이 사용되는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공장치는, 매립지의 해수면에서 상기 부유부를 부유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매립지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대차와, 이 2개의 대차를 이송용 와이어로 연결하는 윈치를 포함하는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용 와이어의 연결 구간에서 적 어도 1개 이상의 부유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직배수재 시공장치는, 상기 각 삽입용 로드와 상기 와이어를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와이어 홀더를 더 포함하는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직배수재 시공장치는, 상기 각 삽입용 로드의 확장 상태에서 이들의 연결 지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클램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는, 돌기와 홀의 끼움 결합에 의해 상기 각 삽입용 로드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재 삽입부는, 상기 부유부에서 적어도 1군데 이상의 지점에 설치되는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직배수재 시공장치는, 담수된 해수면에서 상기 부유부의 부유 자세를 지지하기 위한 수중용 발렌스 웨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중용 발란스 웨이트는, 일정한 크기의 면적을 가지는 금속판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KR2020050031069U 2005-11-02 2005-11-02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08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069U KR200408034Y1 (ko) 2005-11-02 2005-11-02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069U KR200408034Y1 (ko) 2005-11-02 2005-11-02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392A Division KR20050115835A (ko) 2005-11-02 2005-11-02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034Y1 true KR200408034Y1 (ko) 2006-02-07

Family

ID=4448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06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08034Y1 (ko) 2005-11-02 2005-11-02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0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11155A (ja) 砂浜または沿岸地域で使用される基礎工事用プラットフォーム
KR101354383B1 (ko) 수중 발파작업용 작업선
US3230721A (en) Walking work barge
CN114263168A (zh) 一种地层止水围护结构嵌岩地连墙施工方法
CN110847185B (zh) 一种抛石、夯实一体船
JP2015169018A (ja) 自己姿勢制御型沈埋函と沈埋トンネルの施工方法
CN112779967B (zh) 一种污水海域排放管海陆连接段的施工方法
CN111042173B (zh) 一种流沙层沉井施工方法
KR200408034Y1 (ko)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JP3263049B2 (ja) ケーソン製造及び運搬装置並びにその方法
KR20050115835A (ko)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및 그 방법
CN110805044B (zh) 一种抛石、夯实一体船的工作方法
WO1986006133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construction of submerged roadways and other structures
KR101529091B1 (ko) 해중터널 및 그의 시공방법
CN217811285U (zh) 一种天顶移动式水压沉箱挖掘机
CN114703757B (zh) 斜拉桥钢横梁多功能支架及钢横梁的拼装方法
CN114875925B (zh) 一种填海地层临近地铁隧道的超大深基坑施工方法
CN214143720U (zh) 一种组合式整平装置
KR100672815B1 (ko) 수상 모래포설장치 및 그 방법
CN115387207A (zh) 一种浅覆盖层钢混组合桩桥墩结构及施工方法
CN114032897A (zh) 一种水上轮轨式遥控打桩平台及方法
WO1980002708A1 (en) A method for performing underwater casting of concrete structures,and an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200405514Y1 (ko) 수상 모래포설장치
JP3201907U (ja) 作業用台船
KR20200123977A (ko) 선반식 강관널말뚝 안벽보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벽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2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11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